KR20060112081A -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081A
KR20060112081A KR1020050034499A KR20050034499A KR20060112081A KR 20060112081 A KR20060112081 A KR 20060112081A KR 1020050034499 A KR1020050034499 A KR 1020050034499A KR 20050034499 A KR20050034499 A KR 20050034499A KR 20060112081 A KR20060112081 A KR 2006011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rubber
rubber gloves
dots
rubber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연남
Original Assignee
윤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연남 filed Critical 윤연남
Priority to KR102005003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081A/ko
Publication of KR2006011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3Gloves with ambidextrous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양면형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고무장갑의 착용시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 향상 및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좌우를 바꾸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장갑의 제활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표면에 다수의 외부돌기(1)가 조밀하게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고무장갑(10,10')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10,10')의 내표면에도 다수의 내부돌기(11)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무장갑, 양면, 내면, 외면, 돌기

Description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A PAIR OF RUBBER GLOVE HAVING BOTH SIDE RIS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고무장갑의 착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고무장갑의 내외면에 돌기가 형성되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쪽 고무장갑을 뒤집었을 때의 변형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돌기 10,10' : 고무장갑
11 : 내부돌기
본 발명은 양면형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무장갑의 외면뿐만 아니라 내면에도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서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면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가정에서 설겆이나 세탁 또는 실내 청소시 화학성분이 함유된 물기로 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서, 방수 특성이 뛰어난 합성고무를 주원료로 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무장갑은 식기 등을 잡았을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표면의 손바닥면 및 손가락 부분에 다수의 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내면측에는 별다른 돌기가 형성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와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매끈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고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설겆이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고무재질의 특성상 손가락과 고무장갑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게 되면서 장기간 사용시 주부습진에 걸리게 됨은 물론, 고무장갑을 벗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무장갑 내면과 손가락이 밀착되어 쉽게 벗어지지 않고 고무장갑이 뒤집어 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시 장갑의 오른손 또는 왼손 부위중 주로 힘을 가하게 되는 일측의 장갑이 주로 닳게 되어 해당 부위가 찢어지거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물이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쌍을 이루고 있는 타측 장갑은 온전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을 못하고 새로운 고무장갑을 또다시 구입해야 함으로 대부분의 가정에는 버려지지 않은 한쪽 장갑만이 다수 보관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고무장갑 사용시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무장갑의 내측에도 통기성을 부여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좌우측을 바꾸어서 양면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외표면에 다수의 외부돌기가 조밀하게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의 내측면에도 다수의 내부돌기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장갑의 착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무장갑의 내/외면에 돌기가 형성되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단면도이고, 도 4는 한쪽 장갑을 뒤집었을 때의 변형 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 고무장갑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쌍을 이루고 있는 양측 고무장갑(10,10')은 외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의 내표면부위에 까지 다수의 돌기(1,11)를 조밀하게 돌출 형성하게 된다.
그중 외표면측에 형성된 외부돌기(1)는 손바닥 부위에 형성되어진 반면, 내표면측에 형성된 내부돌기(11)는 손바닥 부위 뿐만 아니라 뒤집었을 때 외면 손바닥을 이루게 될 손등 부위까지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내부돌기(11)는 0.5mm 이하의 돌출높이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게 된 다. 이는 내부돌기(11)의 돌출높이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실험한 결과, 손과 직접 접촉되어지는 내부돌기(11)가 0.6mm 이상으로 형성하였을 때는 피부 자극에 따른 통증을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고무장갑의 착용 후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식기 세척을 위한 설겆이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좌우 쌍을 이루는 본 발명의 고무장갑(10,10')을 양손에 착용하게 되면, 착용된 고무장갑(10,10')의 내측면에도 내부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장갑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통기층이 형성되어져 장갑과 피부 사이에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무장갑(10,10')을 착용 후 장시간 동안 설겆이나 빨래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내부에서의 통기작용으로 인해 장갑 내부에 습기와 땀이 차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습기방지 작용으로 인해 고무장갑(10,10')이 피부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설겆이를 끝내고 장갑을 벗을 때에도 종래와 같이 장갑이 손에 밀착되어져 있어 뒤집어지거나 하는 어려움이 없이 용이하게 이탈시켜 벗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랜기간 고무장갑(10,10')을 사용함에 있어 한쪽 고무장갑, 일 예로 오른쪽 고무장갑(10)이 닳거나 찢어져 더 이상 사용이 어렵게 된 경우, 손상된 오른쪽 장갑(10)을 버리고 사용 가능한 정상적인 왼쪽 고무장갑(10')은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본 발명의 고무장갑(10,10')을 구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또다시 오른쪽 고무장갑(10)이 손상된 경우, 남겨지는 왼쪽 고무장갑(10')과 함께 이전에 보관하고 있던 왼쪽 고무장갑(10') 두 개중 하나를 뒤집어서 오른쪽 고무장갑으로 사용함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왼쪽 고무장갑(10')을 뒤집어 주게 되면 좌우 방향이 바뀌면서 오른쪽 장갑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때 외측면에 노출되어져 있던 외부돌기(1)는 내측면을 이루게 되고 반대로 내측면에 형성되어져 있던 내부돌기(11)가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지게 됨으로서 세척작업시 식기 등의 물건을 파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면 돌기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고무장갑을 사용하게 되면, 착용시의 착용감이 보다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되고, 짝을 잃은 한쪽 고무장갑을 버리지 않고 모아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 새로운 고무장갑 구입에 따른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면형 고무장갑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내부돌기와 외부돌기의 형성위치 및 형상이 특정화되어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내,외부 돌기의 위치 및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 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무장갑의 착용시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로 인해 장갑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한쪽의 손상된 장갑을 뒤집었을때 반대쪽 장갑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좌우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갑의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외표면에 다수의 외부돌기(1)가 조밀하게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고무장갑(10,10')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10,10')의 내표면에도 다수의 내부돌기(11)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돌기(11)는 손바닥면 및 손등면 부위까지 포함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돌기(11)는 0.5mm 이하의 높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1020050034499A 2005-04-26 2005-04-26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20060112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99A KR20060112081A (ko) 2005-04-26 2005-04-26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99A KR20060112081A (ko) 2005-04-26 2005-04-26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07U Division KR200389630Y1 (ko) 2005-04-26 2005-04-26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81A true KR20060112081A (ko) 2006-10-31

Family

ID=3762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99A KR20060112081A (ko) 2005-04-26 2005-04-26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36B1 (ko) * 2010-12-14 2013-04-01 박성훈 껍질 제거용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36B1 (ko) * 2010-12-14 2013-04-01 박성훈 껍질 제거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630Y1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20160003640U (ko) 공기 방울 고무장갑
KR20060112081A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101288368B1 (ko) 거품을 형성하는 고무장갑
KR200422125Y1 (ko) 세척용 장갑
JP3206356U (ja) ゴム手袋
USD620657S1 (en) Set of gloves with sponge strips and scouring strips
KR200304325Y1 (ko) 부직포와 폴리에틸렌이 합지된 이중소재의 위생장갑
JP3209498U (ja) スポンジゴム手袋
KR940005618Y1 (ko) 세척용 고무장갑
KR200308019Y1 (ko) 작업용 개량 장갑
KR200353535Y1 (ko) 장갑형 수세미
KR200386467Y1 (ko) 주부 습진 방지 및 지압 효과용 고무장갑
KR200150852Y1 (ko) 마디부를 갖는 고무장갑
CN210809737U (zh) 一种厨房清洁用手套清洁刷
KR200361347Y1 (ko) 장갑형 손걸레
CN211048485U (zh) 一种手套清洗部
JP3039919U (ja) 洗浄用手袋
KR200419533Y1 (ko) 바람 드는 고무장갑
KR200186464Y1 (ko) 고무장갑
JP2006223669A (ja) 洗い用手袋
KR200389616Y1 (ko) 고무장갑
JP3113389U (ja) 万能手袋ブラシ
JP3176390U (ja) 洗剤含浸部付き炊事用手袋
KR200409736Y1 (ko) 장갑형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