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45Y1 -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 Google Patents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45Y1
KR200396045Y1 KR20-2005-0013791U KR20050013791U KR200396045Y1 KR 200396045 Y1 KR200396045 Y1 KR 200396045Y1 KR 20050013791 U KR20050013791 U KR 20050013791U KR 200396045 Y1 KR200396045 Y1 KR 200396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hellfish
storage tank
filtr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20-2005-0013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패류 보관수인 바닷물에 포함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 및 제독시킬 수 있으며, 보관조 안의 또 다른 망사형의 이중보관함에 어패류를 담아서 보관시키므로 어패류를 어패류보관조 밖으로 한꺼번에 즉시 들어낼 수 있고, 보관중에 어패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 등의 각종 유해물질을 정화조처럼 한곳으로 모아 신속히 배출시켜 어패류가 어패류보관조 내에서 2차오염이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어패류 보관수인 바닷물에 함유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 및 제독시킬 수 있으며, 어패류의 배설물, 분비물 등의 유해물질을 발생 즉시 한곳으로 모아 신속히 밖으로 배출시켜 어패류의 2차오염을 막을 수 있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 등의 일정 모양과 재질을 가지며 뚜껑이 있거나 없는 어패류 보관조와, 상기의 어패류보관조의 맨 윗부분은 잡고서 운반이 가능하게 입구부분을 빙둘러서 감싼 모양으로 구성된 돌출 형태의 운반턱과, 상기의 어패류보관조의 바닥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그사이에 설치된 분리칸막이와,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상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바닷물을 솜, 모래, 숯, 맥반석, 갈대나무 등의 1개 이상의 여과재 보관층을 사행 (蛇行)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가로 또는 세로로 구획되고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1개 이상의 여과 칸막이와, 상기의 여과칸막이 일측에는 여과된 바닷물이 보관조 하부로 유출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유출공과,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하부 안쪽에 위치하면서 어패류를 담아서 보관시켜주되 어패류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어패류의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 등의 각종 유해물질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망사형태를 가지면서, 보관된 어패류를 한꺼번에 즉시 들어낼 수 있는 손잡이나 걸림턱이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운반턱 위에 올려져서 걸쳐지게 하거나, 부유체를 부착시켜서 어패류를 담고도 바닥에 닿지 않고 바닷물 속에 떠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어패류보관함과, 상기의 어패류보관함 안에 설치되어 바닷물 속의 중금속, 비브리오균 등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독시키는 제독장치와, 상기의 어패류보관함 밑에 설치되어 보관조 상부의 여과칸막이에서 여과시키지 못한 상기의 유해물질 등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V자나 U자 모양의 경사판과, 상기의 경사판 하측의 중앙에 설치되어 유해물질을 계속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관과, 그리고 상기의 배출관 옆에 설치되어 어패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이 여과를 끝내고 유입된 바닷물과 같이 계속 동반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속도를 조절시키는 조절밸브와, 상기의 배출관 밑으로 바닷물이 잘 배출되지 못해 어패류보관조의 운반턱 위로 넘치지 못하도록 어패류보관조의 하부 일측에 타설된 다수의 배출공으로 구성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Description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u of firtration and commodore function phay type it keeps}
기존에는 어패류 보관조 안의 분비물, 배설물 등을 위로 떠오르게 하기 위하여 보관조 안에 계속 바닷물을 공급시키고 있으나, 기존의 어패류 보관조 바닥이 평판이기 때문에 낙지나 조개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이나 침전물이 한곳으로 모아질 수 가 없었고 모아서 발생 즉시 밖으로 배출을 시킬 수 없었으므로 계속하여 어패류가 자신의 배설물, 분비물 속에 갖혀서 2차오염이 될 수 밖에 없었고,
기존의 보관조는 전체의 물이 교환되는 것이 아니고 윗부분의 물만 교환이 되는 관계로 1개의 어패류가 세균에 오염이 되면은 전체가 순식간에 전염이 되어 모두 다 폐사하는 문젯점이 있었고 여과기능이 없으므로 보관조 바닥에 뻘물이 고여있거나 부유물질이 바닷물과 같이 유입되어 떠다니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패류 보관수인 바닷물에 포함된 각종 유해성분을 여과 및 제독시킬 수 있으며, 보관조 안의 또 다른 망사형의 이중보관함에 어패류를 담아서 보관시키므로 어패류를 어패류보관조 밖으로 한꺼번에 즉시 들어낼 수 있고, 보관중에 어패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 등의 각종 유해물질을 정화조처럼 한곳으로 모아 신속히 배출시켜 어패류가 어패류보관조 내에서 2차 오염이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에 관한 것이다.
바닷물에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만 각종 공해물질의 배출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어 가고 있고 오염된 하천수로 인해 연해의 바닷물에는 각종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어패류 보관수로 사용하기에는 위생적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어패류가 보관조 내에서 자생하면서 발생시킨 배설물, 분비물 등의 유해성분을 발생 즉시 신속히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함으로써 2차 오염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패류 보관수인 바닷물에 함유된 독소 성분을 여과 및 제독시켜 어패류의 오염을 줄일 수 있고, 어패류의 배설물을 발생 즉시 신속하게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외관형태도이고, 도3은 정면도이고, 도4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 등의 일정 모양과 재질을 가지며 뚜껑이 있거나 없는 어패류 보관조(10)와, 어패류보관조(10)의 맨 윗부분은 잡고서 운반이 가능하게 입구부분을 빙둘러서 감싼 모양으로 구성된 돌출 형태의 운반턱(12)과,
상기의 어패류보관조의 바닥은 상부(20)와 하부(21)로 나누어지고 그사이에 분리칸막이(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보관조 상부(20)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바닷물을 솜, 모래, 숯, 맥반석, 갈대나무 등의 1개 이상의 여과재 보관층을 가로 또는 세로로 사행 (蛇行)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가로 또는 세로로 구획된 여과 칸막이(30)가 1개 이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여과칸막이 일측에는 여과된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의 여과칸막이를 통과한 바닷물이 보관조 하부(21)로 유출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유출공(3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여과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받는 바닷물이 솜뭉치층과 맥반석 등을 통과하면서 바닷물 속의 중금속, 잔류농약, 세제찌꺼기 등의 각종 유해성분, 이물질, 부유물, 뻘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하부 안쪽에 위치하면서 어패류를 담아서 보관시켜주되 어패류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어패류의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 등의 각종 유해물질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망사형태를 가지면서, 보관된 어패류를 한꺼번에 즉시 들어낼 수 있는 손잡이나 걸림턱이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운반턱 위에 올려져서 걸쳐지게 하거나, 부유체를 부착시켜서 어패류를 담고도 바닥에 닿지 않고 바닷물 속에 떠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어패류보관함(40)이 구성되어 있다.
어패류보관함(40) 안에는 바닷물 속의 중금속, 비브리오균 등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독시키는 제독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어패류보관함 밑에 설치되어 보관조 상부의 여과칸막이에서 여과시키지 못한 상기의 유해물질 등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V자나 U자 모양의 경사판(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경사판 하측의 중앙에는 상기의 유해물질을 계속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관(6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배출관(60) 옆에는 어패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이 여과를 끝내고 유입된 바닷물과 같이 계속 동반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전시나 바닷물을 절약해야 할 경우에는 보관조 하부(21) 안의 바닷물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혹은 필요시 조절하여 계속 가두어 둘 수 있는 조절밸브(7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의 배출관(60) 밑으로 바닷물이 잘 배출되지 못해 어패류보관조(10)의 운반턱(12) 위로 넘치지 못하도록 어패류보관조의 하부(21) 일측에 다수의 배출공(11)을 타설시켜 바닷물이 미리 배출공(11)을 통해 자동으로 먼저 빠져나가는 구조를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독 장치(80)는 중금속, 잔류농약,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는 제독 기능이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예를들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살균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자외선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uv램프, 전기를 이용한 전자살균기, 해수 전기분해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독장치(80)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모래, 숯, 맥반석 등의 여과재는 운반이 용이한 망이나 함 등에 담아서 설치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고,
상기의 제독장치(80)는 어패류보관함에 그냥 넣어두고 사용하는 것보다는 상기의 여과칸막이 안에 넣어두고 사용하거나 좁은 배관 안에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며,
갈대나무의 경우에는 상층부를 절단시키고 갈대뿌리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어패류보관조(10)에 뚜껑을 설치할 때에는 보관목적으로 어패류보관조 전체를 덮어줄 수 있는 뚜껑을 사용할 수 도 있지만 보관과 전시의 2가지 목적을 충족할 수 있도록 뚜껑의 일부를 아예 절단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존과 같이 어패류 보관조 안의 분비물, 배설물 등을 위로 떠오르게 한 뒤 배출시키기 위하여 보관조 안에 계속 바닷물을 공급시키고 있으나, 기존의 어패류 보관조 바닥이 평판이기 때문에 낙지나 조개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이나 침전물이 한곳으로 모아질 수가 없었고 모아서 밖으로 배출을 시킬 수 는 더 더욱 없어서 계속하여 어패류가 자신의 배설물, 분비물 속에 갖혀서 2차오염이 될 수 밖에 없었고,
기존의 보관조는 전체의 물이 교환되는 것이 아니고 위의 물만 교환이 되는 관계로 1개의 어패류가 세균에 오염이 되면은 전체가 순식간에 전염이 되어 모두 다 폐사하는 문젯점이 있었으며, 보관조 자체에 여과기능이 없으므로 보관조 바닥에 뻘물이 고여있거나 부유물질이 떠다니는 문젯점도 있었다.
보관조 안에 또 다른 망사형의 이중보관함이 들어있고, 이중보관함에 낙지나 어패류가 보관이 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낙지나 조개류를 꺼내기 위하여 추운 겨울에도 어쩔 수 없이 손을 보관조 안에 넣어야하는 불편함도 있었으나
상기의 불편함을 모두 다 해소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과 음이온과 살균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해년마다 여름이면 되풀이되는 비브리오균, 대장균, 중금속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어패류가 항상 여과 및 제독된 위생적인 깨끗한 물속에서 생활할 수 있어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과 같이 유입된 바닷물이 솜, 모래, 숯, 맥반석, 갈대나무 등의 1개 이상의 여과재보관층을 가로 또는 세로로 사행 (蛇行) 통과함으로써 여과시간이 훨씬 길어지는 잇점도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형태도이고, 도3은 정면도이고, 도4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어패류보관조 11: 배출공 12: 운반턱 20: 상부
21: 하부 30: 여과칸막이 31: 유출공 32: 분리칸막이 40: 어패류보관함 41: 손잡이 또는 걸림턱 50: 경사판 60: 배출관 70: 조절밸브 80: 제독 장치

Claims (7)

  1. 사각 등의 일정 모양과 재질을 가지며 뚜껑이 있거나 없는 어패류 보관조(10)와,
    상기의 어패류보관조의 맨 윗부분은 잡고서 운반이 가능하게 입구부분을 빙둘러서 감싼 모양으로 구성된 돌출 형태의 운반턱(12)과,
    상기의 어패류보관조의 바닥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그사이에 설치된 분리칸막이(32)와,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상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바닷물을 솜, 모래, 숯, 맥반석, 갈대나무 등의 1개 이상의 여과재 보관층을 사행 (蛇行)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가로 또는 세로로 구획되고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1개 이상의 여과 칸막이(30)와,
    상기의 여과칸막이 일측에는 여과된 바닷물이 보관조 하부(21)로 유출되도록 천공된 다수의 유출공(31)과,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하부 안쪽에 위치하면서 어패류를 담아서 보관시켜주되 어패류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어패류의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 등의 각종 유해물질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망사형태를 가지면서, 보관된 어패류를 한꺼번에 즉시 들어낼 수 있는 손잡이나 걸림턱이 상기의 어패류보관조 운반턱 위에 올려져서 걸쳐지게 하거나, 부유체를 부착시켜서 어패류를 담고도 바닥에 닿지 않고 바닷물 속에 떠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어패류보관함(40)과,
    상기의 어패류보관함 안에 설치되어 바닷물 속의 중금속, 비브리오균 등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독시키는 제독장치(80)와,
    상기의 어패류보관함 밑에 설치되어 보관조 상부의 여과칸막이에서 여과시키지 못한 상기의 유해물질 등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V자나 U자 모양의 경사판(50)과,
    상기의 경사판 하측의 중앙에 설치되어 유해물질을 계속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관(60)과,
    그리고 상기의 배출관 옆에 설치되어 어패류가 발생시키는 배설물, 분비물과 침전물이 여과를 끝내고 유입된 바닷물과 같이 계속 동반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속도를 조절시키는 조절밸브(70)와,
    상기의 배출관 밑으로 바닷물이 잘 배출되지 못해 어패류보관조의 운반턱 위로 넘치지 못하도록 어패류보관조의 하부 일측에 타설된 다수의 배출공(11)으로 구성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장치(80)는 오존 발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장치(80)는 초음파 진동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장치(80)는 uv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장치(80)는 전자살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독장치(80)는 해수 전기분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7. 삭제
KR20-2005-0013791U 2005-03-15 2005-05-13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KR200396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91U KR200396045Y1 (ko) 2005-03-15 2005-05-13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82 2005-03-15
KR20-2005-0013791U KR200396045Y1 (ko) 2005-03-15 2005-05-13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671A Division KR100801881B1 (ko) 2005-03-15 2006-03-15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45Y1 true KR200396045Y1 (ko) 2005-09-16

Family

ID=4369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91U KR200396045Y1 (ko) 2005-03-15 2005-05-13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22B1 (ko) 2006-08-04 2007-08-13 김경희 기능성 전기믹서기를 구비한 다용도 제독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22B1 (ko) 2006-08-04 2007-08-13 김경희 기능성 전기믹서기를 구비한 다용도 제독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7061A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0869941B1 (ko) 상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장치
JP2007152223A (ja) 水の浄化装置、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1610807B1 (ko) 사이펀에 의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생물막 여과 수처리 장치
KR100801881B1 (ko)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CN212799960U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雨水净化装置
KR100623929B1 (ko) 계곡수용 간이 정수 장치
KR200396045Y1 (ko)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JPH06254318A (ja) ろ過装置
KR100857421B1 (ko) 정수 장치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CN113354119A (zh) 农村生活污水处理装置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RU162796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с зернистой очищающей загрузкой
CN20899530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110033580A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KR100534553B1 (ko) 소하천 수질 정화시설물
KR100748021B1 (ko) 어패류 보관장치
KR200435202Y1 (ko) 생태연못의 수처리장치
CN211198674U (zh) 一种水中重金属吸附移除装置
KR20130043741A (ko) 수족관
CN217479163U (zh) 一种底栖生物净化滤池
CN220987229U (zh) 一种带有水质净化功能的水产养殖鱼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