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24Y1 -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 Google Patents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24Y1
KR200395824Y1 KR20-2005-0016118U KR20050016118U KR200395824Y1 KR 200395824 Y1 KR200395824 Y1 KR 200395824Y1 KR 20050016118 U KR20050016118 U KR 20050016118U KR 200395824 Y1 KR200395824 Y1 KR 200395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rame
hollow
side brush
wir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준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최광준
김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준, 김용준 filed Critical 최광준
Priority to KR20-2005-0016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20)과 와이어 브러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를 제공한다. 프레임(20)은 평탄한 상면(22)과 하면(24) 그리고 원형의 외주면(26)을 갖고, 중심축상에 청소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중공(28)이 형성되며, 외주면(26)과 중공(28) 사이에서 상면(22)과 하면(24)으로 관통되어 중공(28) 둘레로 배치되는 조립홀(30)이 형성된다. 와이어 브러쉬(12)는 하면(24)으로 돌출되도록 조립홀(20)상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는 프레임(20)의 조립홀(30)은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으로 경사지고 외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브러쉬(12)가 중공(28)으로부터 외주면(26)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조립홀(30)상에 각각 결합된다.

Description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SIDE BRUSH FOR ROAD CLEANING VEHICLE}
본 고안은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로를 주행하면서 노면을 청소하는 청소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심에서 도로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브러쉬에는 롤 브러쉬와 사이드 브러쉬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롤 브러쉬는 넓은 도로의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이드 브러쉬는 도로와 경계석의 모서리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8-0001747호 "청소용 전동 원반 브러쉬"는 원반에 여러개의 브러쉬끼움구멍을 뚫어서, 각 브러쉬끼움구멍에는 브러쉬를 반으로 절곡하여 끼워 "" 형의 고정구로 고정시킨 다음, 축고정구를 일체로 형성한 금속제의 ""형 커버 내측에 끼워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서 된 청소용 전동 원반 브러쉬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브러쉬를 반으로 절곡하여 "" 형의 고정구로 고정하고 커버를 덮도록 하므로써, 브러쉬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고, 브러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한편 노면 청소를 위해 강재로 제조된 와이어 브러쉬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브러쉬는 종래 합성수지 브러쉬에 비해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 그 설치구조에 대한 제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이와 같은 와이어 브러쉬를 적용한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는 평편한 합성수지판 또는 합판에 드릴가공을 통해 홀을 형성한 후, 와이어 브러쉬를 고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와이어 브러쉬를 사용한 종래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는 제품 자체가 조잡할 뿐만아니라 와이어 브러쉬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작업시 조립된 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균일한 제품구성이 가능하고, 와이어 브러쉬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 있어서, 평탄한 상면(22)과 하면(24) 그리고 원형의 외주면(26)을 갖고, 중심축상에 청소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중공(28)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26)과 중공(28) 사이에서 상기 상면(22)과 하면(24)으로 관통되어 상기 중공(28) 둘레로 배치되는 조립홀(30)이 형성되는 프레임(20) 및; 상기 하면(24)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조립홀(20)상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 브러쉬(12)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20)의 조립홀(30)은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으로 경사지고 외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12)가 상기 중공(28)으로부터 외주면(26)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조립홀(30)상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 조립홀(30)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걸림 돌기(40)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브러쉬(12)는 반 접은 형태로 상기 걸림 돌기(40)에 걸리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 조립홀(30)의 중공(28) 방향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정지턱(50)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40)는 상기 정지턱(5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12)가 상기 조립홀(30)에 결합되었을 때 와이어 브러쉬(12)의 뒷부분이 상기 정지턱(50)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상면(22)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통상의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구성 및 작용 등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과 작용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표현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생략과 도면의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프레임에 브러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20)과 강철판으로 형성한 와이어 브러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탄한 상면(22)과 하면(24) 그리고 원형의 외주면(26)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부의 중심축상에는 중공(28)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중공(28)은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를 청소차의 회전축에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 청소차의 회전축은 프레임(20)의 중공(28)상으로 삽입되고, 그 고정은 볼트, 너트 등의 다양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에는 다수개의 조립홀(30)이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조립홀(30)은 외주면(26)과 중공(28) 사이에서 상면(22)과 하면(24)으로 관통되어 중공(28) 둘레로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에서 조립홀(30)의 배치 및 형상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조립홀(20)상에는 프레임(20)의 하면(24)으로 돌출되도록 와이어 브러쉬(12)가 결합된다. 이때 조립홀(30)은 프레임(20)의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으로 경사지고 외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에서 와이어 브러쉬(1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28)으로부터 외주면(26)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조립홀(30)상에 각각 결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는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20)을 제공하므로써 종래 기계가공으로는 불가능했던 경사진 조립홀(30)을 제공한다. 따라서 와이어 브러쉬(12)의 조립을 균일하게 하여 제품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조립홀(30)의 중간을 가로질러 걸림 돌기(40)가 형성되도록 하고, 와이어 브러쉬(12)를 반 접은 형태로 걸림 돌기(40)에 걸리도록 하여 프레임(20)에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각 조립홀(30)의 상부에 정지턱(50)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와이어 브러쉬(12)의 뒷부분이 지지되도록 하여, 와이어 브러쉬(12)가 프레임(20)의 상면(22)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즉 정지턱(50)은 각 조립홀(30)의 중공(28) 방향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그 지지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반 접힌 와이어 브러쉬(12)가 결합되는 걸림 돌기(40)가 정지턱(5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지턱(50)은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10)의 제조후부터 사용전까지의 이송시와 사용시 조립홀(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와이어 브러쉬(12)가 프레임(20)의 상면(22)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최대한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 의하면, 와이어 브러쉬(12)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홀(30)이 미리 형성되는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브러쉬(12)의 조립을 균일하게 하여 제품성을 높일 수 있고, 와이어 브러쉬(1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조립홀(30)의 중간을 가로질러 걸림 돌기(40)가 형성되도록 하므로 와이어 브러쉬(12)를 반 접은 형태로 걸림 돌기(40)에 걸리도록 하여 프레임(20)에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각 조립홀(30)의 상부에 정지턱(50)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와이어 브러쉬(12)의 뒷부분이 지지되도록 하여, 와이어 브러쉬(12)가 프레임(20)의 상면(22)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프레임에 브러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12 : 와이어 브러쉬 20 : 프레임
22 : (프레임) 상면 24 : (프레임) 하면
26 : (프레임) 외주면 28 : 중공
30 : 조립홀 40 : 걸림 돌기
50 : 정지턱

Claims (3)

  1.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에 있어서,
    평탄한 상면(22)과 하면(24) 그리고 원형의 외주면(26)을 갖고, 중심축상에 청소차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중공(28)이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26)과 중공(28) 사이에서 상기 상면(22)과 하면(24)으로 관통되어 상기 중공(28) 둘레로 배치되는 조립홀(30)이 형성되는 프레임(20) 및;
    상기 하면(24)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조립홀(20)상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 브러쉬(12)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20)의 조립홀(30)은 상면(22)으로부터 하면(24)으로 경사지고 외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12)가 상기 중공(28)으로부터 외주면(26)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조립홀(30)상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 조립홀(30)의 중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걸림 돌기(40)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브러쉬(12)는 반 접은 형태로 상기 걸림 돌기(40)에 걸리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각 조립홀(30)의 중공(28) 방향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정지턱(50)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40)는 상기 정지턱(5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12)가 상기 조립홀(30)에 결합되었을 때 와이어 브러쉬(12)의 뒷부분이 상기 정지턱(50)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상면(22)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KR20-2005-0016118U 2005-06-07 2005-06-07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KR200395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18U KR200395824Y1 (ko) 2005-06-07 2005-06-07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18U KR200395824Y1 (ko) 2005-06-07 2005-06-07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24Y1 true KR200395824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18U KR200395824Y1 (ko) 2005-06-07 2005-06-07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34B1 (ko) * 2022-08-24 2023-04-12 정원배 노면청소차용 사이드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34B1 (ko) * 2022-08-24 2023-04-12 정원배 노면청소차용 사이드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470B2 (ja) 自走式床掃除用集塵装置及び床掃除用集塵装置用の走行車
US7631385B2 (en) Automotive cleaning device
HUE033913T2 (en) Enhanced cleaning sheet plate element for the production of rotary brush assemblies for automotive systems
KR200395824Y1 (ko)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CN104507713A (zh) 轮胎防滑装置
US20070017055A1 (en) Windshield wiper scrubber adapter
EP1084940B1 (fr) Elément de structure composite, notamment support de face avant de véhicule
KR101787596B1 (ko) 노면청소차용 철제 사이드 브러쉬
JP2514918B2 (ja) 騒音の発生しない側溝
KR200427210Y1 (ko) 자동차용 프로텍션몰딩
US9272569B2 (en) Wheel lug ring
KR200385194Y1 (ko) 청소차의 브러시 교체장치
JP3767133B2 (ja) 床面清掃車
KR100720041B1 (ko)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KR200372719Y1 (ko)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KR101351931B1 (ko) 볼 조인트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200405365Y1 (ko) 타이어 광택휠
KR102521534B1 (ko) 노면청소차용 사이드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9211Y1 (ko) 도로 청소차용 로울러 브러쉬
JP2519945Y2 (ja) ブラシ取付装置および回転ブラシ
KR200323486Y1 (ko) 차량용 머드가드
KR200290819Y1 (ko) 휠커버 세척장치
CN210163836U (zh) 一种清扫车用新型滚刷
KR200384203Y1 (ko) 자동차의 스노우체인 장착너트세트
KR200395674Y1 (ko) 도로 청소차용 더블밴드 스트립 롤러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