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719Y1 -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719Y1
KR200372719Y1 KR20-2004-0029861U KR20040029861U KR200372719Y1 KR 200372719 Y1 KR200372719 Y1 KR 200372719Y1 KR 20040029861 U KR20040029861 U KR 20040029861U KR 200372719 Y1 KR200372719 Y1 KR 200372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key
disk
groov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익
김종순
Original Assignee
아산에스제이 주식회사
김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산에스제이 주식회사, 김종순 filed Critical 아산에스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9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3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vertica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면청소차에 부착되어 회전하면서 노면에 퇴적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는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둘레홈이 형성되고, 둘레홈에 다수의 제1 키홀이 등각도로 형성되어, 차량에 부착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둘레홈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작링;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잠금부가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조작링의 내부에 잠금부가 중심을 향하도록 힌지연결되도록 힌지 연결공이 형성되며, 조작링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 부여되고, 잠금부가 제1 키홀에 삽입하도록 둘레홈과 내부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키 및 상부면이 곡면부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키홀에 대응하도록 제2 키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다수의 모가 형성되는 브러쉬부로 이루어지는 브러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One-touch type brush mounting device for road sweeper}
본 고안은 도로, 활주로, 운동장 등과 같이 노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노면청소차에 부착되어 회전하면서 노면에 퇴적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활주로, 운동장 등과 같은 곳에는 노면에 쌓인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노면청소차를 가동시킨다.
노면청소차는 차량의 전면, 측면 또는 차량의 중앙에 부착된 브러쉬를 회전시켜서, 노면의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이를 흡입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노면청소차에서는 지속적으로 노면을 청소하면 브러쉬가 마모되어 주기적으로 이를 교체하여야 한다.
노면청소차에서 브러쉬를 장착 및 탈거시키는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차량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부에 유압모터(3)가 구비되어 프레임(1)에 고정된 브라켓(2)과, 상기 유압모터(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브러쉬 고정 플레이트(51) 및 상기 브러쉬 고정 플레이트(51)에 체결되어 브러쉬(53)가 부착되는 브러쉬 플레이트(52)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면청소차에서 브러쉬를 장착, 탈거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브러쉬(5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하부에서는 브러쉬(53)를 잡아서 브러쉬 플레이트(52)의 하부면과 브러쉬(53)의 상부면을 일치시키고, 상부에서 다른 작업자가 볼트(54)를 일일이 조여서 장착하여야만 하였다. 반대로 브러쉬를 탈거하는 과정에서는 다수의 작업자는 필요는 없으나, 일일이 브러쉬(53)와 브러쉬 플레이트(52) 사이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서 탈거하였다. 이에 따라, 브러쉬의 장착 또는 탈거가 불편하였고, 브러쉬의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브러쉬(53)를 체결하기 위한 대부분의 구성요소, 특히 브러쉬 플레이트(52)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브러쉬(52)를 회전시키기 위해 유압모터에 공급되는 유압이 높아지게 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장치 또는 유압을 공급하는 라인에 많은 무리가 발생하여 이로 인하여 유압모터, 유압라인 등이 파손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모터의 회전축에 브러쉬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시킬수 있도록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면청소차의 브러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노면청소차의 브러쉬의 착탈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를 사용한 착탈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브러쉬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부 투시도.
도7a 및 도7b는 브러쉬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8는 브러쉬를 탈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부 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프레임 2 : 브라켓
3 : 유압모터 10 : 디스크
11 : 모터축 연결부 12 : 둘레홈
13 : 제1 키홀 14 : 돌출부
20 : 조작링 21 : 내부홈
22 : 힌지 연결축 23 : 스프링
24 : 미세 돌기 30 : 키
31 : 잠금부 32 : 연결부
33 : 힌지 연결공 40 : 브러쉬
41 : 결합부 42 : 곡면부
43 : 제2 키홀 44 : 요홈부
45 : 브러쉬부 46 : 플레이트
47 : 모 51 : 브러쉬 고정 플레이트
52 : 브러쉬 플레이트 53 : 브러쉬
54 : 볼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는 도로, 활주로, 운동장 등의 노면의 먼지, 이물질을 제거하는 노면청소차에 부착되는 브러쉬에 있어서,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둘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에 다수의 제1 키홀이 등각도로 형성되어, 차량에 부착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둘레홈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작링;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잠금부가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조작링의 내부에 잠금부가 중심을 향하도록 힌지연결되도록 힌지 연결공이 형성되며, 조작링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 부여되고, 잠금부가 제1 키홀에삽입 가능하도록 둘레홈과 내부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키 및 상부면이 외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키홀에 대응하도록 제2 키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다수의 모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부로 이루어지는 브러쉬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크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브러쉬의 결합부에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키홀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키의 잠금부가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부와 브러쉬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링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는 디스크(10), 조작링(20), 키(30) 및 브러쉬(40)로 이루어진다.
디스크(10)는 중앙에 유압모터(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축 연결부(11)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디스크(10)의 하부는 브러쉬(40)가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디스크(10)는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갖는 둘레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12)에 하나 이상의 제1 키홀(13)이 형성된다. 디스크(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키홀(13)의 일측면은 일방향으로 경사면(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디스크(10)의 내측으로 다수의 돌출부(14)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조작링(20)은 상기 디스크(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디스크(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조작링(20)은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디스크(10)의 둘레홈(1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내부홈(21)이 형성된다.
한편, 조작링(20)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사용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키(30)는 후단에서 일정하게 연장되다가 선단이 일방향으로 꺾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골프클럽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선단은 상기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 삽입되는 잠금부(31)를 형성하고, 후단은 조작링(20)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된다. 키(30)의 잠금부(31)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키(30)는 제1 키홀(13)과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10)의 둘레홈과 조작링(20)의 내부홈(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한다. 조작링(20)에 동일한 각도로 조작링(2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하는 힌지 연결공(33)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 연결공(33)에 키(30)의 연결부(32)를 위치시키고 힌지 연결축(22)을 고정시켜 조작링(20)의 내부에 키(30)를 위치시킨다. 또한, 조작링(20)의 내부홈(21)와 키(30)의 중간부에 스프링(23)을 구비하여 키(3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한다.
여기서, 키(30)의 선단부인 잠금부(31)가 조작링(20)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하고, 조작링(20)에서 키(30)의 위치는 키(30)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선정한다. 그리고, 디스크(10)의 경사면(13a)이 형성된 곳으로 조작링(20)에 힌지연결된 키(3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잠금부(31)가 삽입되도록 하여, 키(30)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 원할하게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한다.
디스크(10)와 조작링(20)의 조립은 상기 디스크(10)와 조작링(20)을 체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주와 내주에 홈이 형성된 디스크(10)와 조작링(20)에 키를 삽입하여 상하로는 이탈하지 않되, 상호간의 회전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회전도 디스크(10)에 대하여 조작링(20)이 360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키(30)가 삽입되어 있어서,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브러쉬(40)는 상부의 결합부(41)와 하부의 브러쉬부(4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41)는 상기 디스크(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디스크(10)의 내경과 같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을 둘레를 따라 바깥부분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곡면부(42)가 형성된다. 결합부(41)의 측면을 따라서는 다수의 제2 키홀(43)이 형성된다. 제2 키홀(43)의 개수와 위치는 디스크(10)에 형성되는 제1 키홀(13)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도록한다.
또한, 결합부(41)의 둘레를 따라 디스크(10)의 돌출부(14)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홈부(44)가 형성되도록 하여, 브러쉬(40)의 결합부(41)가 디스크(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디스크(10)에 브러쉬(40)의 운동이 구속되도록 한다.
하부의 브러쉬부(45)는 플레이트(46)에 다수의 모(47)를 구비하여 지면의 먼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브러쉬(40)의 결합부(41)와 브러쉬부(45)를 ABS와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를 사용하면 금형속에 재료를 가하여 사출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고,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적은 힘으로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해지며, 구동에 필요한 동력도 적게 소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노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노면청소차에 브러쉬(40)를 장착하여야한다. 작업자가 노면청소차에 브러쉬(40)를 장착하는 과정은 브러쉬(40)를 디스크(10)에 삽입하기만 하면된다. 종래의 노면청소차에서와 같이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1)상에 고정된 브라켓(2)에 유압모터(3)를 고정시키고, 상기 유압모터(3)의 회전축에 디스크(10)를 체결시키고, 모터에 체결된 디스크(10)에 브러쉬(40)를 장착시킨다.
디스크(10)의 돌출부(14)의 위치와 브러쉬(40)의 요홈부(44)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브러쉬(40)를 디스크(10)에 삽입하면, 브러쉬(40) 최상단에 위치한 곡면부(42)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을 통해 일부가 돌출된 키(30)의잠금부(31)와 맞닿게 된다(도6a 및 도7a 참조). 키(30)의 잠금부(31)는 브러쉬(40)의 결합부(41)가 디스크(10)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지만, 키(30)의 잠금부(31)와 브러쉬(40)의 곡면부(42)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브러쉬(40)를 계속해서 디스크(10)에 삽입시키면 브러쉬(40)의 곡면부가 키(30)의 잠금부(31)를 밀게되어 일시적으로 키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서 이탈하여 조작링(20)의 내부홈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러쉬(40)는 디스크(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브러쉬(40)가 디스크(10)에 삽입되면, 키(30)의 잠금부(31)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디스크(10)의 제1 키홀(13)로 삽입된다. 디스크(10)에 브러쉬(4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의 위치와 브러쉬(40)의 제2 키홀(43)의 위치가 맞닿아 있으므로, 제1 키홀(13)에 삽입된 잠금부(31)는 단부가 제2 키홀(43)에도 삽입된다.
따라서, 일단 디스크(10)에 삽입된 브러쉬(40)는 키(30)에 의해서 하부로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되고, 디스크(10)의 돌출부(14)와 브러쉬(40)의 요홈부(44)가 서로 일치하여 디스크(10)에 의해서 브러쉬(40)의 운동이 구속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10)에 브러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를 회전시키면, 디스크(10)와 브러쉬(40)가 동시에 회전하여 노면의 먼지, 이물질 등을 쓸어서 제거하게된다.
장시간동안 브러쉬(40)를 사용하면 브러쉬(40)의 모(47)가 마모되어 충분히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브러쉬(40)만 교체하여 사용하면된다.
브러쉬(40)를 탈거하는 과정은 디스크(10)의 외주에 위치한 조작링(20)을 일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브러쉬(40)를 디스크(10)에 이탈시킬 수 있다.
디스크(10)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크(1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디스크(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조작링(20)을 일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조작링(20)에 힌지연결된 키(30)도 조작링(20)과 같이 회전된다. 이때, 키(30)는 조작링(20)과 동시에 조작링(20)의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키(30)의 잠금부(31)가 힌지 연결축(22)을 중심으로 조작링(20)의 외곽쪽을 선회하여, 키(30)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서 이탈되어, 브러쉬(40)를 디스크(10)의 내부에서 구속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디스크(10)에서 브러쉬(40)가 이탈된다(도8 참조).
디스크(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링(2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링(20)에 힌지연결된 키(30)도 같이 회전한다. 키(30)가 회전하면, 키(30)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의 일측에서 미끄러지면서 조작링(20)의 스프링(23)을 압축하는 방향 즉, 초기 위치에서 조작링(2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키(30)가 힌지 연결공(33)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제1 키홀(13)에서 이탈된다.
키(30)의 잠금부(31)가 디스크(10)의 제1 키홀(13)에서 이탈되면, 동시에 브러쉬(40)의 제2 키홀(43)에서도 키(30)의 잠금부가 이탈하므로, 브러쉬(40)가 디스크(10)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에 의하면, 노면청소차에서 브러쉬의 장착과 탈착이 용이해진다. 노면청소차에서 브러쉬는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소모품으로, 브러쉬의 교체가 용이해지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이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를 체결시키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금속재가 사용되는 부분도 줄어들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유압모터에 작용하는 축하중이 줄어들어서 작동하는데 소요되는 동력이 적게 소모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도로, 활주로, 운동장 등의 노면의 먼지, 이물질을 제거하는 노면청소차에 부착되는 브러쉬에 있어서,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둘레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12)에 다수의 제1 키홀(13)이 등각도로 형성되어, 차량에 부착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크(10);
    상기 디스크(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둘레홈(1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디스크(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작링(20);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잠금부(31)가 형성되고, 후단은 상기 조작링(20)의 내부에 잠금부(31)가 중심을 향하도록 힌지연결되도록 힌지 연결공(33)이 형성되며, 조작링(20)에 연결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이 부여되고, 잠금부(31)가 제1 키홀(13)에 삽입 가능하도록 둘레홈(12)과 내부홈(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키(30) 및
    상부면이 외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곡면부(42)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키홀(13)에 대응하도록 제2 키홀이 형성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의 하부에 연결되는 플레이트(46)와 상기 플레이트(46)에 구비되는 다수의 모(47)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부(45)로 이루어지는 브러쉬(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출부(14)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에 대응하도록 브러쉬(40)의 결합부(41)에 요홈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홀(13)의 일측은 경사면(13a)으로 형성되고,
    키(30)의 잠금부(31)가 상기 경사면(13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부(41)와 브러쉬부(45)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링(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KR20-2004-0029861U 2004-10-22 2004-10-22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KR200372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1U KR200372719Y1 (ko) 2004-10-22 2004-10-22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861U KR200372719Y1 (ko) 2004-10-22 2004-10-22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719Y1 true KR200372719Y1 (ko) 2005-01-21

Family

ID=4935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861U KR200372719Y1 (ko) 2004-10-22 2004-10-22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7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4Y1 (ko) 2011-06-09 2013-02-28 박상래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분리장치
CN109706868A (zh) * 2019-01-03 2019-05-03 安徽长中刷业有限公司 一种道路清扫用清扫刷盘快速拆卸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14Y1 (ko) 2011-06-09 2013-02-28 박상래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의 분리장치
CN109706868A (zh) * 2019-01-03 2019-05-03 安徽长中刷业有限公司 一种道路清扫用清扫刷盘快速拆卸结构
CN109706868B (zh) * 2019-01-03 2023-12-29 安徽长中刷业有限公司 一种道路清扫用清扫刷盘快速拆卸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053A (en) Removable brush coupling
EP2106231B1 (en) Vacuum cleaner nozzle
GB2426918A (en) An agitator assembly
GB2400021A (en) Edge cleaner for floor care appliance
JPH0215653Y2 (ko)
CN110254131B (zh) 一种机器人移动底盘万向脚轮
KR200372719Y1 (ko) 원터치식 브러쉬 고정 장치
CN107997708B (zh) 清洁工具
US4583307A (en) Clearing appliance, especially for snow clearance
CN101152066A (zh) 吸尘器吸尘头及使用这种吸尘头的电动吸尘器
KR100765495B1 (ko) 노면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CN113892867A (zh) 滚刷、滚刷装置以及地面清洁设备
CN215367015U (zh) 刷头、刷头组件及具有该刷头组件的清扫车
KR100757383B1 (ko) 진공청소기의 노즐조립체
CN211484435U (zh) 一种悬浮式清洁工具
CN213805126U (zh) 一种道路清扫用清扫刷
KR20080064769A (ko) 자동차 타이어 청소장치
KR19990005961U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405365Y1 (ko) 타이어 광택휠
KR101044828B1 (ko) 광택용 패드 세척기
JP2601893Y2 (ja) 床面清掃機の清掃ブラシ着脱装置
KR200395824Y1 (ko) 노면 청소차용 사이드 브러쉬
US20190202035A1 (en) Cleaning Grinding Head Structure
JPH0848484A (ja) エスカレータ移動手摺内面清掃具
KR200214524Y1 (ko) 계단 논스립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