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18Y1 -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18Y1
KR200395018Y1 KR20-2005-0014987U KR20050014987U KR200395018Y1 KR 200395018 Y1 KR200395018 Y1 KR 200395018Y1 KR 20050014987 U KR20050014987 U KR 20050014987U KR 200395018 Y1 KR200395018 Y1 KR 200395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servoir
water
steam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주희
Original Assignee
(주)정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신전자 filed Critical (주)정신전자
Priority to KR20-2005-0014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저수통과, 저수통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의 가열에 의해 저수통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의 저부로 분사할 수 있게 저수통과 연결된 스팀분사관과, 물을 담아 저수통에 주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저수공간을 갖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캡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팀청소기에 의하면, 본체에 상시 이용할 수 있게 마련된 보조캡을 이용하여 물을 담아 저수통에 부을 수 있어 별도의 보조 용기를 찾을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고, 저수통에 저수된 물이 히터가 내장된 내실내로 소량씩 유입되도록 되어 있고 급속가열이 가능하며, 브러쉬에 의해 먼지도 흡인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본 고안은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의 주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기를 토출하여 청소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0530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17912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0317931호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팀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물탱크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밀폐형 보조 물탱크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본체 내부에 물탱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스팀청소기의 경우 주전자나 컵과 같이 물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용기를 찾아 물을 담은 다음 물탱트 내로 주입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주전자나 컵과 같은 별도의 용기를 찾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본체에 착탈가능한 보조 물탱크를 갖춘 스팀청소기의 경우에는 본체에 고정설치된 메인 물탱크와 보조 물탱크와의 물유통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밸브 및 그 밖의 요소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물주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팀청소기는 본체 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상기 저수통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본체의 저부로 분사할 수 있게 상기 저수통과 연결된 스팀분사관을 구비하는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물을 담아 상기 저수통에 주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저수공간을 갖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캡;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캡의 가장자리부분이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보조캡 삽입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캡은 상기 보조캡 삽입용 홈을 통해 상기 보조캡의 상부개구가 하부에 위치되게 뒤집힌 상태로 상기 본체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캡은 물을 저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리고 일정깊이 저수공간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일측에서 연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맞은편의 상기 용기부에 저수된 물의 토출경로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골이 형성된 토출가이드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통은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개폐용 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물주입구를 갖는 저수 하우징과; 상기 저수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독립된 보조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수 하우징의 상기 물주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내로 유입된 물을 유입받을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물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가 내장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내실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본체의 저부로 토출할 수 있게 상기 내실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내실과 연통되되 일정높이로 연장된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상기 외관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외관의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상부 개구를 통해 유입받아 저부 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내관;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제1개구를 통해 노출되되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오물을 수집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오물수집통;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일부 요소를 분리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청소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팀청소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자루(15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메인 하우징(112)과, 메인 하우징(112)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내에 장착된 것으로 증기 발생요소를 포함한 작동요소들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10)의 메인하우징(112)의 선단 저부에는 브러쉬(121) 및 오물 수집통(131)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의 메인 하우징(112) 저부에는 브러쉬(121)의 일부가 노출되어 돌출될 수 있게 제1개구(113)가 브러쉬(121)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의 저면에는 걸레(미도시)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걸레와의 결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는 도시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러쉬(121)는 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브러쉬(121)는 사용자가 자루(150)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전진시킬 때 사용자의 전진력에 의해 바닥과의 마찰되면서 회전되게 하거나,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터와 브러쉬(121)의 회전축과의 동력전달 방식은 벨트 또는 그 밖의 공지된 동력전달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브러쉬(121)를 통해 유입된 오물은 브러쉬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본체(110) 내에 설치된 오물 수집통(131) 내로 유입될 게 되어 있다.
오물 수집통(131)은 브러쉬(121)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121)에 부착되어 유입되는 오물을 담을 수 있되 본체(110)의 메인하우징(112)의 측면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수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14는 오물수집통(131)을 투시할 수 있게 본체(110) 상면에 투명소재로 설치된 투시창이다. 투시창(114)과 오물 수집통(131)의 수납공간과의 사이에 차폐벽이 있는 경우 투시창(114)으로부터 오물 수집통(131)으로의 투시가 가능하게 투시창으로부터 차폐벽까지 투시로가 형성되면 된다.
본체(110)는 슬라이딩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바퀴(116)가 장착되어 있다.
저수통(140)은 본체(110)의 메인 하우징(112)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저수통(140)의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수통(140)은 개폐용 캡(145)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구(144)를 통해 물을 유입받아 저수할 수 있는 내부 공간(143)을 갖는 저수 하우징(141)과, 저수 하우징(141)에 유입된 물을 2차로 유입받을 수 있게 형성된 내실(14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저수 하우징(141)은 하부 케이스(141a)와 상부케이스(141b)로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41a) 상부가 열린 사각 통형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내실(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41b)는 하부가 열리되 하부 케이스(141a)와 결합되어 내부공간(143)을 형성할 수 있게 구조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41b)는 하부 케이스(141a)의 가장자리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판형결합부분(141c)과, 판형결합부분(141c)의 중앙부분에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부(141d)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41b)의 돌출부(141d)의 형상은 보조캡(16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내실(142)은 저수 하우징(141) 내에 별도의 독립된 보조 공간을 갖게 하부 케이스(141a)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있고, 내부공간(143)으로부터 내실(142)로의 물 유입을 가능하게 내실(142)의 경사진 측면(142a)에 두개의 물 유입홀(142b)이 형성되어 있다. 물 유입홀(142b)의 개수 및 크기는 히터(170)의 가열능력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히터(170)는 내실(142) 내에 유입된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내실(142) 내에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172는 패킹부재이고, 참조부호 173 및 174는 히터(170)를 저수통에결합하기 위한 조립용 브라켓트이다.
또한, 내실(142)에서 히터(170)에 의해 가열된 증기가 본체(110)의 저부로 배출될 수 있게 스팀분사관(180)이 내실(142)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스팀분사관(180)은 외관(181)과 내관(18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관(181)은 내실(142)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게 내실(142)과 연통되되 상부가 닫힌 구조로 내실(142)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부 케이스(141b) 상부까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내관(183)은 상부개구(183a) 및 하부개구(183b)를 갖는 관통관 구조로 되어 있다. 내관(183)은 외관(181)으로부터 내관(183)내로의 증기 토출경로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되되 저수통(140)에 지지되게 내관(183)의 외측면 중 일부는 하부케이스(141a)에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저수통(140)의 물주입구(144)를 통해 주입된 물은 1차로 내실(142) 외측의 내부공간(143)내에 채워지고, 내부공간(143) 내에 저수된 물은 내실(142)의 물유입홀(142b)을 통해 소량씩 내실(142)내로 주입된다. 또한, 내실(142) 내로 주입된 물은 히터(170)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화 되면 외관(181)의 내부관로를 통해 상승한 다음 내관(183)의 상부개구(183a)로부터 하부개구(183b)로 이어지는 토출경로를 통해 이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내관(183)의 하부 개구(183b)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분산시켜 토출할 수 있게 본체(110) 하부에는 내관(183)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임시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저부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토출홀(117a)이 형성된 분배실(117)이 내관(183)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내실이 생략되어 단일 저수공간을 갖는 구조의 저수통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폐용 캡(245)을 통해 물을 주입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케이스(241b)(241a) 상호간의 조립에 의해 내부에 단일 저수공간을 갖게 형성된 저수통(240)이 적용될 수 있다. 스팀분사관(280)은 중공을 갖되 저수통(240)의 내실 상부로 모인 증기가 상부 개구(281)로부터 하부개구(282)를 통해 저수통(240) 하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285는 저수통(240)의 내부공간 중앙에서 스팀분사관(280)의 지지력을 보강해줄 수 있게 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설치된 보강리브로서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팀분사관(280)의 상부개구(281)와 대향되는 저수통(240)의 내측 상면의 높이가 가장 높게 상부 케이스(241b)의 내측 상면이 단층구조를 갖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저수통(240) 내에 저수되어 히터(170)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하는 증기는 스팀분사관(280)의 상단과 대향되며 가장 높게 위치된 집중영역(246)내로 집중된다. 따라서, 스팀분사관(280) 내로의 증기의 진입효율을 높일 수 있고, 히터(170)에 의해 물이 끓는 과정에서 물이 내부에서 튀어도 집중영역(246) 이외의 부분은 스팀분사관(280)의 높이 보다 낮아 스팀분사관(280) 내로의 진입이 억제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체(110)에는 히터(170) 및 브러쉬(121) 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미도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110)의 메인 하우징(112)의 상면을 보면 저수통(140)의 개폐용 캡(145) 및 물주입구(144)의 일부가 노출되게 인입홈(118)이 형성되어 있고, 인입홈(118)을 중심으로 더 이격되어 보조캡(160)의 외형라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깊이 보조캡 삽입용 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캡 삽입용 홈(119)은 보조캡(160)의 가장자리가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캡(160)의 구조를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조캡(160)은 본체(110)의 메인하우징(112)의 상면에 형성된 보조캡 삽입용 홈(119)을 통해 삽입될 수 있게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캡(160)은 용기부(161), 손잡이부(162) 및 토출가이드부분(16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용기부(161)는 본체(110)로부터 분리시켜 뒤집은 상태가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열린 상부개구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내부에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을 갖는다.
손잡이부(162)는 용기부(16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가이드부분(163)은 손잡이부(162) 맞은 편에 용기부(16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로를 집중시킬 수 있게 골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캡(160)은 상부개구 내로 본체(110)의 메인하우징(112)의 인입홈(118)으로부터 보조캡 삽입용 홀(119) 사이의 영역이 진입되게 뒤집어서 본체(110)에 끼워 넣어 보관하면 된다. 또한, 물을 보충하고자 할 때는 보조캡(160)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부(161)의 상부 개구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물을 담은 다음 개폐용 캡(145)을 열고 저수통(140)에 물을 주입하고, 개폐용 캡(145)을 닫은 다음에는 보조캡(160)을 엎어 본체(110)에 결합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청소기에 의하면, 본체에 상시 이용할 수 있게 마련된 보조캡을 이용하여 물을 담아 저수통에 부을 수 있어 별도의 보조 용기를 찾을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고, 저수통에 저수된 물이 히터가 내장된 내실내로 소량씩 유입되도록 되어 있고 급속가열이 가능하며, 브러쉬에 의해 먼지도 흡인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일부 요소를 분리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수통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저수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을 나타내 보인 절단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보조캡을 뒤집은 상태에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12: 메인하우징
121: 브러쉬 140: 저수통
160: 보조캡 170: 히터

Claims (6)

  1. 본체 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상기 저수통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본체의 저부로 분사할 수 있게 상기 저수통과 연결된 스팀분사관을 구비하는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물을 담아 상기 저수통에 주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저수공간을 갖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캡의 가장자리부분이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보조캡 삽입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캡은 상기 보조캡 삽입용 홈을 통해 상기 보조캡의 상부개구가 하부에 위치되게 뒤집힌 상태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은
    물을 저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리고 일정깊이 저수공간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일측에서 연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맞은편의 상기 용기부에 저수된 물의 토출경로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골이 형성된 토출가이드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은
    물을 저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개폐용 캡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물주입구를 갖는 저수 하우징과;
    상기 저수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독립된 보조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수 하우징의 상기 물주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내로 유입된 물을 유입받을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물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가 내장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내실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본체의 저부로 토출할 수 있게 상기 내실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내실과 연통되되 일정높이로 연장된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상기 외관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외관의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상부 개구를 통해 유입받아 저부 개구를 통해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내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제1개구를 통해 노출되되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오물을 수집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오물수집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KR20-2005-0014987U 2005-05-26 2005-05-26 스팀청소기 KR200395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87U KR200395018Y1 (ko) 2005-05-26 2005-05-26 스팀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987U KR200395018Y1 (ko) 2005-05-26 2005-05-26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18Y1 true KR20039501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987U KR200395018Y1 (ko) 2005-05-26 2005-05-26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04B1 (ko) 2007-06-18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04B1 (ko) 2007-06-18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2941B2 (en) Complex type cleaner
AU2021200830B2 (en) Extraction cleaner with quick empty tank
KR200395018Y1 (ko) 스팀청소기
KR101610704B1 (ko) 가습기
US20240041280A1 (en) Spot cleaner apparatus
KR100619755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KR200417691Y1 (ko) 스팀 청소기
US6848145B2 (en) Steam jet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RU2335587C2 (ru) Утюг, содержащий водяной резервуар, оснащенный заливным отверстием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утюга
KR200408296Y1 (ko) 다용도 스팀청소기
CN216535190U (zh) 清洁基站以及清洁系统
CN103494577B (zh) 用于真空清洁装置的附属工具
RU2346093C2 (ru) Утюг, содержащий водяной резервуар, оборудованный заливным отверстием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утюга
KR101222723B1 (ko) 청소기의 노즐
CN101511249A (zh) 用于硬地面的地板吸嘴
CN208447471U (zh) 地面清洗机
KR970000317Y1 (ko) 습건식 전기 소제기
RU2455918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CN217447674U (zh) 一种洗碗机
KR100748713B1 (ko) 스팀청소기
CN217471875U (zh) 回收存储部及湿式表面清洁设备
KR100595576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JPS591592Y2 (ja) 温水式衛生洗浄器
CN217185972U (zh) 湿式表面清洁系统
AU2021391424A1 (en) Surfac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