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16Y1 - 회전식 스팀 청소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스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16Y1
KR200395016Y1 KR20-2005-0013084U KR20050013084U KR200395016Y1 KR 200395016 Y1 KR200395016 Y1 KR 200395016Y1 KR 20050013084 U KR20050013084 U KR 20050013084U KR 200395016 Y1 KR200395016 Y1 KR 200395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otary
water tank
clea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훈
Original Assignee
박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훈 filed Critical 박연훈
Priority to KR20-2005-0013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47L11/283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 및 걸레의 회전을 이용하여 바닥을 닦는 스팀 청소부의 전방에 먼지 등을 흡입 및 집진하는 진공 청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진공 청소 및 스팀 청소를 병행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고, 물을 저장 및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며, 저면으로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스팀 배출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및 물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각 회전 날개가, 스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상호 개방된 공간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스팀 청소기{ROTATIONAL STEAM CLEANER}
본 고안은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스팀 및 걸레의 회전을 이용하여 바닥을 닦는 스팀 청소부의 전방에 먼지 등을 흡입 및 집진하는 진공 청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진공 청소 및 스팀 청소를 병행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 청소기는 본체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발생된 스팀을 하부에 장착되는 걸레로 공급하는 청소기이다. 따라서, 걸레가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바닥을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 길이의 연결봉을 이용하여 일어선 상태에서 걸레질이 가능하므로 걸레질을 위해 바닥에 엎드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 청소기는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의 흡착력이 뛰어난 반면 쓰레기나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없으므로, 스팀 청소기와 별도로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쓰레기 또는 먼지가 있는 장소를 청소할 경우 진공 청소기나 비를 이용하여 쓰레기나 먼지 등을 1차로 흡입 및 청소한 후 다시 스팀 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을 걸레질하여야 했다. 또한, 스팀 청소기의 걸레가 먼지를 흡착하는 기능이 있으나, 진공 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스팀 청소기를 사용할 경우 걸레가 금방 오염되게 되어 걸레를 자주 교체 또는 세척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청소 시간이 길어지고 크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을 가열하여 생성되는 스팀을 걸레에 공급하여 걸레가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먼지 등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청소부를 장착하여 진공 청소 및 스팀 청소를 병행함으로써 청소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염된 공간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를 회전시키거나 진공 청소부를 분리하여 스팀 청소만을 수행할 수 있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스팀을 이용한 물걸레 청소를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로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고, 물을 저장 및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며, 저면으로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스팀 배출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및 물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각 회전 날개가, 스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상호 개방된 공간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팀 배출부가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고 물탱크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소정의 관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각 회전 날개가 스팀 배출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물탱크의 상면 일정 영역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2 주입구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이때 하우징의 상면 일정 영역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1 주입구 및 제 1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 마개를 더 포함하고, 제 1 주입구와 제 2 주입구를 소정의 관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한편, 물탱크의 상면 중 스팀 배출부의 수직 방향의 연장선 상으로는 상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출부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물탱크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여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히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부력에 의해 저장된 물에 일정 부분이 뜨며, 저면이 물탱크의 저면과 접촉하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 그리고 제 2 주입구의 내부에 결합되며, 'T' 자 형상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판은 상부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하고,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와 회전축을 상호 연동시켜 구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구동 모터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 기어는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웜 기어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회전판의 저면에 착탈되는 걸레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회전판의 저면으로는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가, 내부의 집진 모듈을 이용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진공 청소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이때 하우징은 정면을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제 1 결합부 및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소정 크기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진공 청소부는 상단이 결합공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길쭉한 봉 형상의 연결봉 및 연결봉의 하단에 결합하는 '∩' 자 형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연결부는 대향하는 내측면에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연결 돌기를 각기 포함하도록 하며, 하우징은 양 측면에 연결 돌기가 결착하도록 함몰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사시도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100)는, 스팀 청소부(20)와 진공 청소부(60)를 포함하는 본체부(10)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봉(7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청소부(20)는 물걸레 청소를 위한 구성부로서,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스팀을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출된 스팀은 상기 스팀 청소부(20) 저면에 장착되는 걸레로 공급됨으로써 걸레가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60)는 스팀 청소부(20)의 정면에 장착되어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구성부로서, 진공 청소부(60)는 내부에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집진 모듈 및 흡입된 먼지를 담기 위한 먼지통(미도시)을 구비한다. 진공 청소부(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팀 청소부(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스팀 청소부의 정면에 진공 청소부를 장착함으로써 먼지의 흡입과 물걸레 청소가 한번에 순차적으로 수행되므로 청소 효율을 높이고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봉(70)은 하단부가 본체부(10), 특히 스팀 청소부(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본체부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로서,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룬다. 연결봉(70)은 청소할 구역에 따라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봉(70)의 하단부에는 스팀 청소부(20)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71)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 자 형상을 이루고 양 단부가 스팀 청소부에 장착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71)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으로는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연결 돌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스팀 청소부(20)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연결 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연결홈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돌기와 연결홈의 상호 회전축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봉(70)을 본체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청소할 구역이나 용도에 따라 진공 청소부(60)를 전면에 배치하거나 스팀 청소부(20)를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부(71)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연결홈을 구비하고 스팀 청소부(20)의 양 측면에 연결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부(71)와 연결봉(70)을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와 연결봉을 상호 회전축 결합함으로써 연결봉이 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청소할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100)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를 도시한 도로서,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사시도,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평면도,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저면도, 그리고 도 2d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에 걸레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 는 스팀 청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분리한 스팀 청소부의 사시도이고,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 커버를 분리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5b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청소부(2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을 걸레(55)로 공급함으로써 물걸레 청소와 함께 뜨거운 스팀으로 살균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스팀 청소부(20)는 각 구성부를 장착하고 감싸는 하우징(21),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물탱크(30),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40),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50) 및 회전판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흡수하는 걸레(5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은 스팀 청소부(2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21)은 각 구성부를 감싸는 구성부로서, 상기 회전판(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저면의 일정 영역이 개방된 형상을 이룬다. 하우징(21)의 상면 일정 영역으로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1 주입구(22), 상기 제 1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 마개(23) 및 스팀 청소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부(24)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주입구(22)를 하우징(21)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하도록 하고, 제 1 주입구를 견고하게 밀봉하기 위하여 제 1 주입구와 주입구 마개는 나사홈을 통해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버튼부(24)는 스팀 청소부(20)의 동작 이외에도 진공 청소부(6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21)의 저면 중 개방된 영역의 주변부로는 본체부(10)가 바닥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바퀴(28)가 구비되고, 하우징(21)의 측면으로는 연결부(71)의 연결 돌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연결홈(27)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1)의 정면으로는 진공 청소부(60)를 장착하는 제 1 결합부(25)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결합부는 진공 청소부(6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26)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3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구성부로서, 하우징(21) 내부의 저면 중 일정 영역에 안착된다. 물탱크(30)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31),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32), 저장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33), 상기 저장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34) 및 물탱크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물탱크 커버(35)를 포함한다. 물탱크 커버(35)는 제 1 주입구(22)로 주입된 물을 물탱크 내로 유입시키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제 2 주입구(36)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주입구와 제 2 주입구는 호스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주입관(미도시)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히터(31)는 물탱크(30) 내부에 장착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 속에 잠기게 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한다. 따라서, 히터(31)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물탱크의 물이 가열되어 끓게 되고 스팀이 발생하게 된다. 히터(31)는 물의 가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배출부(32)는 물탱크(30)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룬다. 이때, 스팀 배출부(32)의 높이는 적어도 물탱크(3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에 물이 가득 찬 경우에도 스팀 배출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 배출부(32)는 물탱크(3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스팀 배출부의 개방된 상단 및 하단을 통해 물탱크의 외부와 내부가 상호 도통되게 된다.
한편, 발생된 스팀이 스팀 배출부(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물탱크(30)의 물이 스팀 배출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 커버(35) 중 스팀 배출부의 수직 연장선 상의 영역으로는 상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이격부(37)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이격부(37)는 주변 영역보다 상부로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스팀 배출부(32)의 상단부와 물탱크 커버(35)의 내부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물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이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스팀은 물탱크 커버(35)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격부(37)와 스팀 배출부(32) 상단부의 이격된 공간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체부(1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짐으로써 물탱크(30)의 물이 일방향으로 몰리거나 흔들리더라도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이격부(37)의 내부면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스팀 배출부(32)를 통해 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센서(33)는 물탱크(30)에 저장된 물의 양, 특히 물의 부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와 부력을 가지고 저면이 금속판과 접촉하게 되면 일정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물탱크(30)에 물이 충분할 경우 수위 센서(33)는 물에 떠 있으므로 물탱크의 저면 등과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탱크의 물이 점차 줄어들어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위 센서가 점차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결국 물탱크 저면의 금속판과 수위 센서의 저면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수위 센서(33)는 물탱크의 물이 부족함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물탱크의 물을 항상 적정양으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위 센서(33)의 상면 역시 금속판과 접촉할 경우 일정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물탱크에 물을 주입할 때 수위 센서(33)가 점차 위로 올라가면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주입되면 물탱크의 상면(물탱크 커버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물탱크에 너무 많은 양을 주입하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역류 방지부(34)는 'T'자형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조각편으로, 물탱크 커버(35)를 장착하였을 때 주입구(36)의 내부면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주입구(36)의 상단에 비해 하단의 개방된 공간이 좁아지게 되므로 물을 가열하거나 물탱크가 기울었을 때 물탱크의 물이 주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 모터(4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판(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40)의 구동력은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41)를 통해 회전판(50)으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외주를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가 구동 모터(40)의 구동축과 회전판(50)의 회전축(50a)을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력을 회전판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도 5a 에서는 구동 모터(40)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실시례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구동 모터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구동 기어(41)로 웜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회전판의 회전축(50a)을 상호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팀 청소부(20)의 전체 높이를 줄여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50)은 하우징(21) 저면의 개방된 영역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40)에 의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부로서, 복수의 회전 날개(51)를 구비하고 각 회전 날개 사이를 개방 형성하도록 한다. 즉, 각 회전 날개(51)는 회전축(50a)이 형성된 회전판(50)의 중앙부와 테두리부에 양 단부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팀 배출부(32)를 통해 물탱크(30)의 저면으로 배출되는 스팀은 각 회전 날개(51)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회전 날개(51)는 스팀 배출부(3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판(50)이 회전하면서 상기 각 회전 날개가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팀 배출부(32)를 통한 스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회전판(50)의 저면으로는 걸레(55)가 부착되는데, 상기 걸레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52)를 통해 부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판(5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걸레(55)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각기 벨크로 테이프(52)를 각기 구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판(50)의 저면 중 회전 날개(5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 즉 회전판의 중앙부와 테두리부에 벨크로 테이프(52)를 구비하도록 한다. 한편, 벨크로 테이프(52) 이외에 단추, 지퍼, 걸림편 또는 자석 등 다른 다양한 수단을 통해 회전판(50)에 걸레(55)를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걸레(55)는 먼지 등의 흡착력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한 초극세사를 이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60)는 스팀 청소부(20)의 정면에 장착되며,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구성부이다. 진공 청소부(30)의 저면으로는 먼지 등이 흡입되는 흡입구(61)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의 주변으로는 본체부(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퀴(64)가 구비된다. 또한, 진공 청소부(60)의 내부로는 흡입구(61)를 통해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집진 모듈(62)과 흡입된 먼지 등이 담기는 먼지통(미도시)을 구비하고, 집진 모듈은 흡입력을 발생하는 집진 모터와 진공 청소부(60)의 배면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한편, 진공 청소부(60)의 상면으로는 스팀 청소부(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 2 결합부(6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63)는 스팀 청소부(20)의 제 1 결합부(25)에 형성된 결합공(26)에 끼워짐으로써 진공 청소부(60)를 스팀 청소부의 정면에 장착하게 된다. 한편, 진공 청소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결합공(26)과 제 2 결합부(63)에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회전판(50) 저면에 형성된 베르로 테이프(52)를 통해 걸레(55)를 회전판에 부착하고, 스팀 청소부(20) 정면의 제 1 결합부(25)에 진공 청소부(60)를 장착한다. 진공 청소부(60)의 장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25)의 결합공(26)에 제 2 결합부(63)를 장착한 후 체결 수단 등을 이용해 상호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스팀 청소부(20)의 주입구 마개(23)를 오픈시킨 후 제 1 주입구(22)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주입된 물은 주입관을 타고 제 2 주입구(36)를 통해 물탱크(30)에 주입된다. 이때, 수위 센서(33)가 물탱크 커버(35)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물이 적정량 차게 되면 수위 센서가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와 물탱크 커버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소정의 경고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주입구 마개(23)를 닫은 후에 버튼부(24)를 조작하여 스팀 청소부(20)를 동작시키면 히터(31)에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산하게 되고, 상기 히터의 열에 의해 물탱크(30)의 물이 가열되어 끓게 된다. 따라서, 스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스팀은 물탱크(30) 내에서 위로 상승하여 물탱크 커버(35)를 타고 스팀 배출부(3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탱크(30)의 저면은 스팀 배출부(32)에 의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이 물탱크의 저면으로 배출되어 회전판(50)에 장착된 걸레(55)에 흡수되게 된다.
한편, 구동 모터(40) 역시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구동력은 구동 기어(41)를 통해 회전판(50)의 회전축(50a)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판(50)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레(55) 역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팀 배출부(32)의 하부로 걸레가 회전하게 되므로 걸레를 전체 영역에 걸쳐 스팀을 골고루 공급하여 걸레를 적정한 수분과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회전 날개(51)가 스팀 배출부(32)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팀 배출부로 흡입력을 발생하여 스팀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걸레(55)가 회전하면서 바닥을 청소하게 되므로 청소 효율을 보다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이 계속해서 가열됨에 따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위 센서(33) 또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물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수위 센서의 저면과 물탱크(30)의 저면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수위 센서로부터 소정의 경고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물 부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24)를 조작하여 진공 청소부(60)를 동작시키면 집진 모듈(62)이 구동되면서 흡입구(61)를 통해 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흡입한 후 순차적으로 스팀 청소부(20)에 의해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바닥 등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뿐만 아니라 걸레(55)에 먼지 등이 묻는 등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걸레의 교체 주기를 늘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팀 청소부(20)와 진공 청소부(60)를 함께 사용하는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청소할 구역이나 용도에 따라 스팀 청소부 또는 진공 청소부를 별도로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연결봉(70)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길이를 조절하여 청소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진공 청소부를 분리하여 스팀 청소부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물걸레 청소가 아닌 뜨거운 스팀 등을 이용한 살균을 하고자 할 경우 회전판(50)에 부착된 걸레(55)를 떼어낸 후 스팀 배출부(32)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살균할 대상에 바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스팀을 이용한 걸레질 청소 뿐만 아니라 진공 청소를 병행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을 높이고 청소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는,
첫째로, 진공 청소부를 통한 먼지 또는 이물질 제거와 스팀 청소부를 통한 물걸레 청소를 한번에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 높이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걸레의 오염도를 줄여 걸레의 교체 주기를 늘일 수 있고,
둘째로, 진공 청소부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므로 먼지 청소와 별도로 스팀 청소 및 물걸레 청소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로, 벨크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걸레를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물걸레 청소와 스팀을 이용한 살균 청소가 선택적으로 가능하고,
넷째로,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걸레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고정된 위치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걸레의 전면에 골고루 흡수시킬 수 있으며, 걸레가 적정 습도와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바닥 등을 청소하게 되므로 청소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다섯째로, 각 회전 날개가 스팀 배출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회전판의 회전시 각 회전 날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스팀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여섯째로, 구동 모터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고 웜 기어를 이용해 회전판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경우 스팀 청소부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일곱째로, 이격부를 통해 스팀 배출부와 물탱크 커버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스팀의 배출 공간을 제공하여 스팀이 스팀 배출부로 쉽게 유입 및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팀 청소부가 기울거나 뒤집어졌을 때 물탱크의 물이 스팀 배출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덟째로, 역류 방지부를 통해 제 2 주입구의 상부보다 하부가 좁게 형성되므로 물을 가열하거나 물탱크가 기울어졌을 때 물이 주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홉째로, 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부족하거나 과잉된 것을 감지하므로 항상 적정한 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연결부의 연결 돌기와 연결홈이 회전축 결합하므로 연결봉을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봉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청소할 구역이나 용도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스팀 청소기의 측면도.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사시도.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평면도.
도 3c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저면도.
도 3d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부와 스팀 청소부의 단면도.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에 걸레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분리한 스팀 청소부의 사시도.
도 5b 는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 커버를 분리한 물탱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부 20 : 스팀 청소부
21 : 하우징 22 : 제 1 주입구
23 : 주입구 마개 24 : 버튼부
25 : 제 1 결합부 26 : 결합공
27 : 연결홈 28, 64 : 바퀴
30 : 물탱크 31 : 히터
32 : 스팀 배출부 33 : 수위 센서
34 : 역류 방지부 35 : 물탱크 커버
36 : 제 2 주입구 37 : 이격부
40 : 구동 모터 41 : 구동 기어
50 : 회전판 51 : 회전 날개
52 : 벨크로 테이프 55 : 걸레
60 : 진공 청소부 61 : 흡입구
62 : 집진 모듈 63 : 제 2 결합부
70 : 연결봉 71 : 연결부
100 : 회전식 스팀 청소기

Claims (16)

  1. 스팀을 이용한 물걸레 청소를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고, 물을 저장 및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발생시키며, 저면으로 상기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스팀 배출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 회전 날개가,
    상기 스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상호 개방된 공간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배출부가,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소정의 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 날개가,
    상기 스팀 배출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면 일정 영역으로 상기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2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정 영역으로,
    상기 물을 주입하기 위한 제 1 주입구; 및
    상기 제 1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구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입구와 상기 제 2 주입구를 소정의 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면 중 상기 스팀 배출부의 수직 방향의 연장선 상으로,
    상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여 상기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부력에 의해 상기 저장된 물에 일정 부분이 뜨며, 저면이 상기 물탱크의 저면과 접촉하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가,
    상기 제 2 주입구의 내부에 결합되며, 'T' 자 형상의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스팀 청소기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회전축을 상호 연동시켜 상기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가 상기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스팀 청소기가,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착탈되는 걸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저면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스팀 청소기가,
    내부의 집진 모듈을 이용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진공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정면을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 소정 크기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청소부가,
    상단이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스팀 청소기가,
    길쭉한 봉 형상의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하단에 결합하는 '∩' 자 형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대향하는 내측면에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 연결 돌기를 각기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양 측면에 상기 연결 돌기가 결착하도록 함몰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팀 청소기.
KR20-2005-0013084U 2005-05-10 2005-05-10 회전식 스팀 청소기 KR200395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84U KR200395016Y1 (ko) 2005-05-10 2005-05-10 회전식 스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84U KR200395016Y1 (ko) 2005-05-10 2005-05-10 회전식 스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16Y1 true KR200395016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084U KR200395016Y1 (ko) 2005-05-10 2005-05-10 회전식 스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16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46B1 (ko) * 2015-09-04 2017-11-10 신일산업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
KR20190000261U (ko) * 2017-07-21 2019-01-30 김흥길 양면 걸레를 구비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20190015934A (ko) * 2017-08-07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758103B2 (en) 2017-08-0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72478B2 (en) 2017-08-0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986973B2 (en) 2017-08-07 2021-04-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013388B2 (en) 2017-08-07 2021-05-2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096545B2 (en) 2017-08-07 2021-08-2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197595B2 (en) 2017-08-07 2021-1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439287B2 (en) 2018-01-25 2022-09-13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robot cleaner
US11478120B2 (en) 2017-08-07 2022-10-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46B1 (ko) * 2015-09-04 2017-11-10 신일산업 주식회사 스팀 청소기
KR200489362Y1 (ko) * 2017-07-21 2019-06-07 김흥길 양면 걸레를 구비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20190000261U (ko) * 2017-07-21 2019-01-30 김흥길 양면 걸레를 구비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US10952586B2 (en) 2017-08-07 2021-03-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013388B2 (en) 2017-08-07 2021-05-2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0758103B2 (en) 2017-08-0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72478B2 (en) 2017-08-07 2020-09-15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JP2020529898A (ja) * 2017-08-07 2020-10-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
KR20190015934A (ko) * 2017-08-07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986973B2 (en) 2017-08-07 2021-04-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KR102014140B1 (ko) * 2017-08-07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096545B2 (en) 2017-08-07 2021-08-2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197595B2 (en) 2017-08-07 2021-1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JP7004800B2 (ja) 2017-08-07 2022-01-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
US11744429B2 (en) 2017-08-07 2023-09-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478120B2 (en) 2017-08-07 2022-10-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622661B2 (en) 2017-08-07 2023-04-1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439287B2 (en) 2018-01-25 2022-09-13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robot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016Y1 (ko) 회전식 스팀 청소기
KR100661339B1 (ko) 로봇 청소기
KR100746080B1 (ko)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KR100470320B1 (ko)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
KR100738478B1 (ko) 스팀 및 진공 복합 청소기
CN100381090C (zh) 复合式清洁器
CN107296579B (zh) 一种带有洗碗机的多功能橱柜
CN108903843A (zh) 一种水洗清洁装置
KR20020075487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402524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WO2005011461A1 (en) Steam cleaner having vacuum cleaning function
CN107232804B (zh) 集成有洗碗机的多功能橱柜
KR20070027895A (ko) 진공 및 스팀 청소기
KR100582285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7010939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KR102128198B1 (ko)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CN214632021U (zh) 一种多功能双刷洗地机
CN101511249A (zh) 用于硬地面的地板吸嘴
KR20240013789A (ko) 클리닝 장치
KR100676283B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200410348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100595576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CN218821313U (zh) 一种用于协助注射液瓶身擦拭的弯柄锥
CN214343482U (zh) 一种便携式肿瘤内科化疗呕吐物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