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789A -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789A
KR20240013789A KR1020237044724A KR20237044724A KR20240013789A KR 20240013789 A KR20240013789 A KR 20240013789A KR 1020237044724 A KR1020237044724 A KR 1020237044724A KR 20237044724 A KR20237044724 A KR 20237044724A KR 20240013789 A KR20240013789 A KR 2024001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leaning device
waste
channe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겐 니
구오시앙 키안
용준 시에
신신 리
Original Assignee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킹클린 일렉트로닉 그린 테크놀러지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586889.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39968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813176.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63486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007095.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72120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20922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989977A/zh
Application filed by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킹클린 일렉트로닉 그린 테크놀러지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29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47L11/4019Fill level sensors; Security means to prevent overflow, e.g. float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27Filtering or separating contaminants or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6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87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실시예는 본체와 바닥 브러시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바닥 브러시는 장치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장치 본체에는 오물 저장 박스가 제공되고, 오물 저장 박스의 박스 본체는 적어도 바닥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를 저장 및/또는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클리닝 장치를 기울이거나 눕혀서 사용할 경우, 오물 저장 박스에서 오물이 모터로 역류하는 일이 없어 모터가 정지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리닝 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닝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27일에 출원된 "집진, 클리닝 및 휴대형 3-in-1 건식-습식 다기능 휴대형 로드형 집진기"라는 명칭의 중국 출원 번호 202110586889.6, 2021년 7월 19일에 출원된 "클리닝 장치용 오물 탱크 및 클리닝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출원 번호 202110813176.9, 2021년 8월 30일 출원된 "바닥 브러시 및 그 클리닝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출원 번호 202111007095.6, 및 2021년 10월 18일에 출원된 "오물 탱크 및 클리닝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출원 번호 202111209222.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각각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물은 클리닝 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는 물을 분무하여 바닥을 세척하는 클리닝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생활, 산업,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에는 일반적으로 세정 유체 박스와 먼지 박스가 있다. 세정 유체 박스는 바닥을 세척하는 세정 유체를 저장하는 구성이고, 먼지 박스는 재순환된 오물을 모으는 구성이다. 현재,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의 액체 박스와 먼지 박스는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의 장치 본체에 배열되어 있어 진공 청소기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용적이 크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클리닝 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와 먼지 박스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장치 본체와 바닥 브러시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오물 저장 박스가 제공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박스 본체는 상기 바닥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를 적어도 저장 및/또는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및 상기 오물 저장 박스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바닥 브러시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박스 본체에는 제2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본체에 격벽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하며;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하부 공간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제1 홀 그룹과 역류 방지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상기 제1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의 오물이 상기 하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를 통해 상기 하부 공간의 오물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에지의 제1 부분은 상기 박스 본체의 측벽과 밀봉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상기 제1 홀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 설치된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하부 공간에 있고;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제1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모따기형 플레이트(cambered plat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설치 홀이 더 제공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설치 홀을 통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홀의 일측에는 환형 배플이 제공되고, 상기 환형 배플은 상기 상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둘레에는 배플 벽이 제공되고, 상기 배플 벽은 적어도 상기 상부 공간 내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본체의 일 단부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는 커버 본체가 제공되며, 상기 박스 본체에는 어댑터 튜브가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 튜브의 일 단부가 상기 커버 본체에 맞닿고, 상기 어댑터 튜브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채널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및 상기 어댑터 튜브의 측벽에는 출구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가스 유출 채널이 제공되며,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가 상기 상부 공간에 연결되고, 및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는 상기 어댑터 튜브의 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출구에는 필터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필터 부재는 가스에 혼입된 고체 물질 및/또는 액체 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유출 채널에는 사이클론 분리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 구조체는 가스에 혼입된 고체 물질 및/또는 액체 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본체의 바닥면에는 오물 입구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 본체는 주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입구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오물 파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오물 파이프의 상부 부분은 오물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주요 본체에는 공기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와 연통하고; 및 상기 오물 파이프에서 유입된 유체가 오물 출구에서 혼합 기체와 혼합 액체로 분리되며, 및 상기 혼합 기체는 사이클론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로 유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요 본체에는 수용 공동이 제공되고, 상기 주요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동과 연결되는 플러그-인 포트(plug-in port)가 제공되며,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상기 플러그-인 포트를 통해 상기 수용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주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요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배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오물 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며, 상기 혼합 기체의 통과를 위한 채널이 상기 배플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고, 및 상기 오물 출구와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배플의 양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물 파이프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오물 입구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 및 제1 파이프라인, 전이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라인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어댑터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이프라인은 상기 파이프 본체와 동축으로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파이프라인은 상기 제2 파이프라인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오물 출구는 상기 제2 파이프라인 상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 기체가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로 유입되기 전에 통과하는 경로는 적어도 2XL1+L2이고, L1은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공기 입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2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공기 입구 사이의 거리(L1) 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L2)의 비율은 0.9 내지 3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상단부가 공기 출구인 연통 튜브; 및 상기 연통 튜브의 주변에 배치된 제1 클램핑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의 주변은 상기 수용 공동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은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연통 튜브의 주변에 의해 나선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 상기 연통 튜브, 상기 주요 본체가 결합하여 사이클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사이클론 채널과 연통하며,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사이클론 먼지-가스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 입구, 상기 사이클론 채널 및 상기 연통 튜브를 통과하고, 세정 가스가 상기 공기 출구로부터 배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의 단면의 외부 윤곽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차 감소하며, 상기 수용 공동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제1 공동과 제2 공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동의 크기와 형상이 상기 제1 클램핑 섹션과 정합하고, 상기 제2 공동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공동의 최소 단면적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로서, 상기 수용 공동 내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 및 연성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고무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성 고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성 고무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주요 본체의 상단부와 맞닿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1 상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단부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included angle)은 제1 사전 설정된 협각이고; 상기 연성 고무는 제2 상단부면과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부면은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하고, 및 상기 연결 부분의 바닥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제2 사전 설정된 협각이며;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제3 사전 설정된 협각이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 부분의 바닥면과 맞닿을 때, 제1 상단부면은 제2 상단부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가요성 밸브 본체를 포함하고, 제2방향을 따른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의 단면의 크기는 제3방향을 따른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3 방향과 수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면에 제공되는 탄성 밸브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제2 홀 그룹이 더 제공되고, 상기 하부 공간의 가스는 상기 제2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홀 그룹 및/또는 상기 제2 홀 그룹은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최저점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수위 탐침 그룹이 제공되고, 상기 수위 탐침 그룹은 상기 박스 본체 내의 오물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 탐침 그룹은 제1 탐침 그룹과 제2 탐침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탐침 그룹과 제2 탐침 그룹은 상기 하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탐침 그룹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홀 그룹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탐침 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 탐침 그룹의 길이보다 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탐침 그룹은 상기 하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2개의 유동 배플들이 더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은 상기 커버 본체의 주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측벽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제2 채널의 출구가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백킹 플레이트가 더 제공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와 상기 어댑터 튜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는 2개의 유동 배플들 사이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른 상기 백킹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른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각각의 크기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에는 착탈 가능한 세정 유체 박스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는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는 상기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상기 장치 본체의 다른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일 단부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배터리가 핸들 내부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일 단부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배터리가 핸들 내부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와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 상기 모터, 및 상기 핸들은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및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복수 위치들 중 한 위치까지의 거리인 각각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및 상기 부착 부재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강모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또는 물 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조합체의 형상은 기둥(column)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조합체의 주요 본체부의 다양한 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단면들의 단면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1 단면들은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조합체의 주요 본체부의 단면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주요 본체부의 다양한 위치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2 단면들의 단면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단면들은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주요 본체부의 단면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면적과 제2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의해 가져올 수 있는 유익한 효과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1)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는 바닥 진공청소, 바닥 클리닝, 휴대형 진공청소의 세 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장치 본체의 상단부에 연결하고, 휴대형 진공청소기와 장치 본체를 전체적으로 긴 기둥 형태로 구성하고, 및 바닥 브러시 위에 세정 액체 박스를 배열하는 등 일련의 구조적 배열을 통해, 사용자가 장치 본체를 조작할 때 하중 무게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사용 상황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동시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와 오물 저장 박스는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및 오물 세정이 매우 용이하다;(2) 본 개시물의 실시예의 오물 저장 박스는 박스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해 박스 내부에 배치된 격벽 플레이트를 가지고, 격벽 플레이트 위에 역류 방지 구조체가 배열된다. 클리닝 장치를 눕혀서 사용할 경우, 역류 방지 구조체로 인해 하부 공간의 오물이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물이 모터로 흐르지 않고, 모터가 정지하지 않아 클리닝 장치가 정상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3)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오물 저장 박스는 박스 본체, 오물 파이프 및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박스 본체의 바닥면에는 오물 입구가 제공되고, 오물 입구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오물 파이프를 형성하며, 오물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오물 출구가 제공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박스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에는 공기 입구가 포함되며, 오물 파이프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오물 출구에서 혼합 기체와 혼합 액체로 분리되고, 혼합 기체는 사이클론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공기 입구를 통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로 유입되며, 오물 출구는 공기 입구의 바닥에 위치하며 박스 본체의 중심축 양측에 위치하여, 혼합 액체가 오물 출구에서 직접 공기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오물 출구와 공기 입구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어, 혼합 기체가 오물 출구로부터 분리되고 그 다음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통과한 후 공기 입구로 들어가며, 혼합 기체 중의 수분은 상대적으로 긴 경로의 유동에 따라 혼합 기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물이 해마(hippocampus) 또는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마가 박테리아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및 모터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클리닝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보장한다;(4)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바닥 브러시는 세정 유체 박스에 대한 설치 하우징의 둘레 제한 기능을 유지하고, 세정 유체 박스의 상부 구조를 작업 부분의 최대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연장시킨다. 이에 따라, 세정 유체 박스는 설치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상부 구조에 의해 연장되기도 하며; 동시에, 세정 유체 박스의 상부 구조가 설치 하우징의 둘레 제한 부분을 은폐함으로써 바닥 브러시의 전체적인 미학이 향상되고 바닥 브러시의 외관이 눈길을 끈다. 또한, 본 개시물은 바닥 브러시의 작동 부분의 형상과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바닥 브러시의 구조를 컴팩트하고 실용적으로 만들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바닥 브러시는 콤팩트하고 가벼우며, 개방된 영역에서 클리닝 효율이 높고, 침대 바닥과 구석구석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세정한다. 구체적으로, 길이, 폭, 높이 측면에서 작업 부분과 세정 유체 박스의 크기와 비율을 제한하고,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에 다양한 구성요소의 위치를 배치하고, 롤러 브러시 내부에 모터를 배열하고, 세정 유체 박스와 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자기 인력 구조를 채택하고, 및 롤러 브러시의 길이를 일련의 방식으로 제한함으로써, 본 개시물은 세정 유체 박스의 용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바닥 브러시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적용 상황에서 클리닝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장치의 롭(rob)을 세장형 폴 형태로 구성하고, 휴대형 진공 청소기와 오물 저장 박스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시트를 채택하고, 로브와 고정 시트의 크기 및 비율을 제한하고, 및 오물 저장 박스를 지지하는 오물 저장 박스의 지지 시트 및 기타 구조적 배열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 본체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부하 중량을 최대한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주요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격벽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역류 방지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박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를 편평하게 놓여졌을 때의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클리닝 장치가 편평하게 놓여졌을 때의 클리닝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I)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Ⅲ)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튜브, 애쉬 축적 드럼(ash accumulation drum), 필터 바스켓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튜브와 애쉬 축적 드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 및 필터 기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Ⅱ)이다.
도 3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도(Ⅲ)이다.
도 3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와 정합되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 유체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 유체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 유체 박스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 유체 박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고정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롤러 브러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롤러 브러시와 기어박스 본체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해야 하는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히, 다음 설명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개시물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는 어떠한 창의적 노력 없이도 도면에 따른 다른 유사한 상황에 본 개시물을 적용할 수 있다. 문맥상 명백히 이해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예시되지 않는 한,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 또는 작용을 나타낸다.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는 먼지와 오물을 모두 흡착하는 클리닝 장치로 물로 문지르고, 바닥을 세척하는 기능도 있다. 습식/건식 진공 청소기(이하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세정 유체 박스, 세정 유체 박스에 연결된 물 분무 시스템, 회수 시스템, 회수 시스템에 연결된 오물 저장 박스로 구성된다. 재순환 시스템은 오물 저장 박스 위에(예: 바닥에서 떨어진 박스 측면에) 배열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물 분무 시스템은 세척 요구 사항에 따라 세정 유체 박스에서 바닥으로 세정 유체를 분무할 수 있으며 재순환 시스템은 오물을 오물 저장 박스로 재순환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 작동시, 오물 저장 박스의 구조로 인해, 클리닝 장치의 장치 본체가 기울어지거나 지면과 평행할 때 오물 저장 박스의 물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어, 모터를 멈추거나 심지어 모터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와 오물 저장 박스는 모두 클리닝 장치의 장치 본체에 제공되며, 이로 인해 클리닝 장치의 장치 본체가 사용자(사용자 또는 조작자라고 알려짐)의 조작에 너무 용적이 커질 수 있고, 장치 본체가 바닥과 평행을 이루기 어렵게 되어 제한된 높이의 공간(예: 침대 바닥)의 클리닝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며, 클리닝 장치는 장치 본체, 바닥 브러시 및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한다. 바닥 브러시와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각각 장치 본체의 두 단부에 제공된다. 장치 본체에는 오물 저장 박스가 제공되어 있으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는 바닥 클리닝 및 바닥 브러시를 통한 바닥 클리닝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장치 본체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휴대형 진공 청소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기능 통합과 다양한 사용 상황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예컨대, 일부 위생적인 구석구석(예: 소파 틈새, 옷장 윗부분이나 내부 등)을 휴대형 진공 청소기로 세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의 분해도이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클리닝 장치(100)는 장치 본체(1), 바닥 브러시(2),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본체(1)의 일 단부에는 바닥 브러시(2)가 연결된다. 장치 본체(1)에는 오물 저장 박스(4)(또는 도 1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300))가 제공되고, 오물 저장 박스(4)의 박스 본체(예: 도 8에 도시된 박스 본체(201))는 적어도 바닥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를 저장 및/또는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2)는 장치 본체(1)의 일 단부(예: 장치 본체(1)의 바닥에 가까운 단부 또는 장치 본체(1)의 하단부라 칭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장치 본체(1)는 제1 채널(6)(또는 유체 채널, 본체 채널이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제1 채널(6)은 바닥 브러시(2)와 오물 저장 박스(4)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4)의 박스 본체에는 제2 채널이 제공되고, 제2 채널은 제1 채널(6)과 연통되어, 바닥 브러시(2)와 오물 저장 박스(4)의 연통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에 있어서, 오물 저장 박스(4)의 박스 본체(201)에는 제2 채널(202)이 제공되고, 제2 채널(202)은 제1 채널(6)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300)에 있어서, 오물 저장 박스(300)의 박스 본체(301)에는 오물 파이프(302)(제2 채널에 해당)가 제공되며, 오물 파이프(302)는 제1 채널(6)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가 작동 중인 경우, 바닥 브러시(2)에 의해 흡입된 유체(예: 가스, 액체, 고형 쓰레기 등 또는 이들의 조합)가 오물 저장 박스(4)의 박스 본체(박스 본체(201)) 또는 제1 채널(6)과 제2 채널(예: 제2 채널(202) 또는 오물 파이프(302))을 통해 오물 저장 박스(300)의 박스 본체(301)에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서 "상단부", "하단부"와 같이 상하 방향에 대한 설명이 있을 때, 상단부는 일반적으로 바닥에서 멀리 떨어진 단부를 의미하며, 하단부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클리닝 장치 사용 중에 바닥에 가까운 단부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3에서, 제1 방향에서 Y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은 "위"이고 반대 방향은 "아래"이다.
오물 저장 박스(4)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 또는 도 1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300)의 관련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의 오물 저장 박스(4)는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 또는 도 1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300)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3과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장치 본체(1)의 반대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예: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장치 본체(1)의 단부 또는 장치 본체(1)의 상단부라 칭함).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에서 떨어진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부에는 핸들(32)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조작하거나, 휴대형 진공 청소기(3)만 조작하여 핸들(32)을 잡고 세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로부터 떨어진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부는 핸들(32)로서 직접 구성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하우징은 장치 본체(1)에서 멀리 있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하우징의 단부를 핸들(32) 형태로 설계하여 제조한 후, 일체형 성형 공정(예: 사출 성형 공정, 3D 프린팅 공정 등)을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하우징을 제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32)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핸들(32)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조립할 때 장치 본체(1)로부터 떨어진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32)은 핸들(32)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20)를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20)는 클리닝 장치(100)의 작업 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별도 작업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가 작동되면, 장치 본체(1)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가 설치된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오물을 흡입하기 위해 바닥 브러시(2)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오물 저장 박스(4)는 흡입된 오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와 모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장치 본체(1)에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컨대 전체적으로 소파 표면이나 틈새, 찬장 내부, 찬장 위 등 공간 활용도가 작은 곳과. 세정할 표면이 오염되기 쉽은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에서 클리닝 장치(100)를 사용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의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예: 인과적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는 무선 휴대형 진공 청소기일 수 있으며,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적어도 제1 작동 모드와 제2 작동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와 제2 작동 모드 사이의 전환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장치 본체(1)의 조립 또는 분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는 로드형 진공 청소기 모드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작동 모드에서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장치 본체(1)의 상단부[바닥(또는 세정할 표면)에서 떨어진 장치 본체(1)의 단부]와 연통되고,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입구(310)는 오물 저장 박스(4)와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활성화하면,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흡입을 발생시킬 수 있고(예: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블레이드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및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 브러시(2)의 입구[예: 도 38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400)의 흡입 포트(434)]에서 가스, 먼지 및/또는 액체가 혼합된 유체가 바닥 브러시(2), 장치 본체(1) 내부의 유체 채널(예: 제1 채널(6))을 통과한 후에, 제1 단계에서 가스, 먼지 및/또는 또는 액체가 분리되어(이하, 제1 분리 단계라 함), 먼지 및/또는 액체가 오물 저장 박스(4)에 저장되고, 제1 분리 단계를 거친 유체가 오물 저장 박스(4) 밖으로 유출되고, 그 다음 먼지-가스 분리의 제2 단계를 위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입구(310)를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진입한다. 먼지-가스 분리의 제2 단계를 거쳐 깨끗한 공기를 얻을 수 있으며, 깨끗한 공기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작동 모드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 모드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에서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로킹 해제되어 장치 본체(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만 사용하여 클리닝 작업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흡입에 의해,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입구(310)로부터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고, 분리된 깨끗한 공기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출구로 배출된다.
특히, 본 개시물에 포함되는 유체는 세정 공기 유체일 수도 있고, 오물과 함께 유입되는 유체일 수도 있다. 오물은 먼지, 고형 오물(예: 담배꽁초, 종이 조각, 쌀알 등) 및 액체 오물(예: 오렌지 주스, 오물, 계란액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로드형 진공 청소기 모드에서는, 오물 저장 박스(4)가 제1 분리 구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물을 함유한 기류가 오물 저장 박스(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물액, 고형 오물 및 이에 함유된 먼지가 분리되어 오물 저장 박스(4)에 저장될 수 있다. 먼지와 가스형 액체는 소형, 경량 등의 특징을 가지므로, 먼지와 가스형 액체는 공기 스트림과 함께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안내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는 제2 분리 구조를 구성하여,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유입되는 공기 스트림에 오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는 이로부터 먼지와 가스를 분리하여,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 오물을 분리 저장하고, 배출을 위해 공기 유동을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환기 출구로 보낸다.
상기 배열에 기초하여,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100)는 기본적인 진공 청소 기능, 즉 건조한 고형 오물 및 먼지를 세정하는 동시에, 젖은 쓰레기, 유체가 함유된 물질 또는 건조 오물과 혼합된 쓰레기를 세정하는 기능 즉, 건조 및 습식 사용 모두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바닥 브러시(2)에 흡수된 유체는 오물 저장 박스(4)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 의해 2단계로 먼지와 분리되므로, 비교적 깨끗한 공기를 얻을 수 있어, 클리닝 공정에서 공기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다양한 사용 모드를 제공하며, 구조가 컴팩트하고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클리닝 장치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별도로 사용 후 장치 본체(1)에 장착하여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는 세정 유체를 저장하는 세정 유체 박스(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 유체 박스(50)는 바닥 브러시(2)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바닥을 세정하는 기능도 갖는다. 바닥을 세정하는 기능은 주로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와 바닥 브러시(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는 분무 헤드와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무 헤드와 펌프는 물 분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는 세정 유체 박스(50)로부터 분무 헤드로 세정 유체를 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분무 헤드는 바닥 브러시(2) 또는 바닥에 세정 유체를 분무하기 위해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의 출력 단부 역할을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바닥을 세정하고 및/또는 바닥 관리를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는 물일 수 있거나 세정제, 컨디셔너 등일 수 있다.
장치 본체(1)에 오물 저장 박스(4)를 위치시키고, 바닥 브러시(2)에 세정 유체 박스(50)를 위치시켜 두 박스의 위치를 합리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장치 본체(1)가 너무 용적이 크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2)에 세정 유체 박스(50)를 장착함으로써 세정 유체 박스(50)와 바닥 브러시(2)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세정 유체 박스(50)와 바닥 브러시(2) 사이에 긴 세정 유체 호스를 배열할 필요가 없고, 그리고 분무 헤드가 그에 따라 세정 유체를 빠르게 분무하도록 한다. 또한, 바닥 브러시(2)에는 세정 유체 박스(50)가 제공되어, 바닥 브러시(2)의 무게를 증가시켜 바닥 브러시(2)가 바닥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바닥 브러시(2)의 클리닝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2)에 대신에 오물 저장 박스(4)를 장치 본체(1)에 제공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에 부착되는 개수가 많아 바닥 브러시(2)의 세정 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적화된 구조를 바탕으로 장치 본체가 너무 용적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손에 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높이가 제한된 공간에서도 세정이 용이해지는 많은 개선사항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의 사용시에는, 세정 유체 박스(50)에 물, 세정제 등을 채우거나, 오물 저장 박스(4)를 세정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브러시(2)에 대한 세정 유체 박스(50)와 장치 본체(1)에 대한 오물 저장 박스(4)는 세정 유체 박스(50)에 물, 세정제 등을 채우거나 오물 저장 박스(4)를 세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분해될 수 있다.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예: 세정 유체 박스, 펌프, 분무 헤드 등), 바닥 브러시(2) 및 클리닝 장치(100)가 바닥을 세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5 내지 도 50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 관련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 모터(33), 핸들(32)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제1 방향(Y)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제1 방향(Y)은 그 길이방향일 수 있다.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 모터(33), 핸들(32)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치 본체(1)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장치 본체(1)로부터 먼 단부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 모터(33), 및 핸들(32)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핸들(32)까지 연속적인 폭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핸들(32)까지 연속적인 폭을 갖는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핸들(32)까지 연속되는 폭이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핸들(32)까지 제1 방향(Y)을 따라 각 위치에 대응하는 폭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사전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부터 핸들(32)까지의 제1방향(Y)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폭이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핸들(32)까지 제1방향(Y)을 따라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폭 의 차이가 발생함을 의미하고, 설정된 폭은 상기 설정된 폭의 1%, 2%, 3% 등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작동 상태(즉, 제1 작동 모드 또는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핸들(32)을 쥐고, 모터(33)는 배터리(320)에 의해 구동되고, 흡입을 제공하고(예: 모터(33)는 블레이드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부압을 생성함), 흡입 효과 하에서, 유체[예: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분리 단계 후의오물 저장 박스(4)로 흡입되는 유체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유체]는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환기 입구(310)를 통해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유입되고,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출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부터 핸들(32)까지 연속적인 폭을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외면이 상대적으로 매끄럽고 제1 방향(Y)에 따른 그 폭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 작동 중에 핸들(32)을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부터 핸들(32)까지 연속적인 폭을 갖도록 제공되어, 휴대형 진공 청소기(3) 내부의 유체 유동(예: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부터 환기 출구까지)을 매끄럽게 하고; 더욱이,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전체적으로 시선에 평행한 적용 상황일 때,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시야에 가능한 한 거의 간섭을 야기하지 않아, 사용자가 세정할 대상물 가까이에 공기 환기 입구(310)를 두거나,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장치 본체(1)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에 오물 저장 박스(4)를 설치하는 경우, 장치 본체(1)와 오물 저장 박스(4)의 조합은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통형 조합은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라 조합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단면이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단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의 단면은 사전 설정된 반경을 갖고, 실질적으로 원주형인 조합은 각 위치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의 반경과 사전 설정된 반경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반경의 1%, 2%, 3% 등인 것을 의미한다.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조합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단면은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조합의 단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체의 주요 부분[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에 연결된 장치 본체(1) 위 부분을 제거한 후 남은 부분을 포함하는 조합체의 중간 부분, 및 바닥 브러시(2)와 연결되는 장치 본체(1) 아래 부분]의 단면적은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동시에,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또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에서 모터(33)까지의 부분(예: 핸들(32)과 환기 입구(310)을 제거한 후 남은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중간 부분이라고 칭하는 부분]의 단면적은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조합체의 주요 부분의 단면적은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라 조합된 주요 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단면적 각각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장치 본체의 길이(또는 제1 방향(Y)를 따른 길이)를 따른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단면적이 각각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단면은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조합체의 주요 부분의 단면이고, 제2 단면은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주요 부분의 단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체의 주요 부분의 제1 단면은 사전 설정된 제1 단면적을 가지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조합체의 주요 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제1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예: 제1 단면적과 제1 사전 설정된 단면적의 차이는 제1 사전 설정된 단면적의 1%, 2%, 3% 등이다). 마찬가지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의 제2 단면은 제2 사전 설정된 단면적을 갖고,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제2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예: 제2 단면적과 제2 사전 설정 단면적의 차이는 제2 사전 설정된 단면적의 1%, 2%, 3% 등이다).
제1 단면 또는 제2 단면의 면적은 조합체 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일부 필요한 부착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부 변화(예: 일부 위치에 대응하는 단면의 면적이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단면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음)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면 또는 제2 단면의 면적은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합체 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각 위치에 해당하는 제1방향(Y)(또는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외곽 윤곽의 면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면의 면적과 제2 단면의 면적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면적과 제2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단면의 면적과 제2 단면의 면적 사이의 차이가 1 %, 2% 또는 3% 이내라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단면적과 제2 단면적을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면적 크기가 장치 본체(1)(결속체)의 단면적 크기와 합리적으로 정합할 수 있으므로, 장치 본체(1)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까지의 단면 크기에 큰 변화가 없게 하여, 장치 본체(1)의 제1 방향(Y)에 수직인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면의 외부 윤곽이 일치하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그 조합체는 기둥 형태로 되어 있어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장치 본체(1)에 설치하였을 때, 휴대형 진공 청소기(3), 장치 본체(1) 및 오물 저장 박스(4)로 이루어진 전체가 기본적으로 세장형 기둥 형태로 되어 있어, 클리닝 장치(100)를 내려놓고 사용할 때 장치 본체(1)가 바닥과 평행하게 되기 쉽고, 침대 바닥과 같이 높이가 제한된 공간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클리닝 장치(100)의 미적인 외관도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유체 채널은 장치 본체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은 장치 본체(1)의 하단부(오물 저장 박스(4)의 하부에 위치함) 내에 구성된 유체 채널(즉, 제1 채널(6))과 장치 본체의 상단부(오물 저장 박스(4)의 상부에 위치함)에 구성된 유체 채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본체(1)의 하단부의 유체 채널(즉, 제1 채널(6))은 바닥 브러시(2)(흡입 입구)를 오물 저장 박스(4)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장치 본체(1)의 상단부의 유체 채널은 오물 저장 박스(4)를 휴대형 진공 청소기(3)(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 또는 환기 입구(310))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의 상단부 내의 유체 채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116) 또는 도 7에 도시된 관통 홀(1151)일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분리 단계 후의 오물 저장 박스 내의 유체는 제2 단계의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장치 본체의 상단부 내의 유체 채널을 통과하여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들어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강모 브러시, 애완 동물 브러시 및 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는 수납 부재와 브러시 헤드 부재로 분할될 수 있다. 수납 부재와 브러시 헤드 부재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예: 제2 작동 모드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납 부재는 호스, 긴 수납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브러시 헤드 부재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강모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개별으로 사용할 경우,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직접 사용하여 휴대형 진공 청소 작업을 완료할 수도 있고,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강모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등의 브러시 헤드 부재가 연결될 수 있고, 호스, 긴 수납기 등과 같은 수납 부재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브러시 헤드 부재 사이에 적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클리닝 요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주요 부분의 제2 단면적은 장치 본체(1) 및 오물 저장 박스(4)의 조합의 단면적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단면의 면적은 제1 단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의 정품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일부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장치 본체(1)의 부분일 수 있고, 장치 본체(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연장 부분의 단면적은 제1 단면의 면적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 내부 및 오물 저장 박스(4) 상부에 모터(34)가 제공될 수 있으며, 모터(34)는 클리닝 장치(100)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바닥(또는 세정할 표면)으로부터 유체를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클리닝 장치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와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차이점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배치되는 위치가 다르다는 점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장치 본체(1)의 바닥에서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오물 저장 박스(4)와 동일한 장치 본체(1)의 측면(예: 장치 본체(1)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100)의 장치 본체(1)는 로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로드(1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1)의 하부에는 바닥 브러시(2)(예: 도 35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400)의 연결 부분(420))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 브러시 연결 단부(111)가 제공될 수 있고, 로드(1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기 편리한 핸들 단부(112)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의 전방측에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예: 오물 저장 박스(4, 300))가 분리되게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오물 저장 박스(4)의 상부에 제공되고; 장치 본체(1)는 바닥 브러시(2)와 오물 저장 박스(4)를 연통시키는 제1 채널(6)로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100)의 작동 원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고, 이에 대한 관련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고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는 고정 시트(115)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시트(115)는 장치 본체(1)의 로드(11)에 대해 부분적으로 볼록할 수 있으며, 휴대형 진공 청소기(3)는 고정 시트(115)를 통해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시트(115)에는 관통 홀(1151)이 구비된다. 환기 입구(310)와 관통 홀(1151)을 갖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의 단부가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끼움 및 연결'이란 표현은 환기 입구(310)를 갖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의 단부 형상이 관통 홀(1151)의 형상에 맞게 끼워져,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가 관통 홀(1151)과 밀봉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지칭하고, 오물 저장 박스(4)에서 배출된 유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개별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고정 시트(115)에 꽂혀 있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직접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 사이의 유체 밀봉 및 로킹 안정성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예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는 각각 관통 홀(1151)의 상단과 하단에 밀봉되어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유체는 관통 홀(1151)을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입구(310)로 유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4)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서 멀어지는 고정 시트(115)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오물 저장 박스(4)는 고정 시트(115)를 통해 장치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바닥 브러시(2)에서 떨어진 오물 저장 박스(4)의 단부를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서 뒤로 물러나는 고정 시트(115)의 단부에 끼움 연결하여 오물 저장 박스(4)와 고정 시트(115) 사이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와 장치 본체(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장치 본체(1)에는 제1 로킹 기구(113)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로킹 기구(113)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를 장치 본체(1)에 잠그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는 제2 로킹 기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킹 기구(114)는 오물 저장 박스(4)를 장치 본체에 잠그도록 구성된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와 오물 저장 박스(4)는 모두 제1 로킹 기구(113)와 제2 로킹 기구(114)를 배열함으로써 장치 본체(1)에 대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로킹 구조(113) 또는 제2 로킹 구조(114)는 로킹 구조, 클램핑 구조, 자기 흡입 구조, 본딩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4)의 설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장치 본체(1)에는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는 오물 저장 박스(4)가 장치 본체(1)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오물 저장 박스(4)의 바닥 또는 측면에서 오물 저장 박스(4)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를 장치 본체(1)의 후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장치 본체(1)의 후방측은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조작할 때 장치 본체(1)가 사용자를 향하는 측면(예: 도 3에 도시된 장치 본체(1)의 우측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가 홈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홈은 장치 본체(1)의 후방에 구성되며, 적어도 오물 저장 박스(4)의 대부분이 홈 내부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4) 용적의 절반 초과가 홈에 배치되어 오물 저장 박스(4) 설치 후 장치 본체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매끄럽고 둥글게 만들 수 있으며, 다른 물체에 부딪히거나 충돌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로킹 구조(114)에 의해 오물 저장 박스(4)의 로킹이 해제되면,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4)의 일 단부가 자동으로 장치 본체(1)로부터 멀어지면서 오물 저장 박스(4)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오물 저장 박스(4)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장치 본체(1)와 특정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특정 각도는 45°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각도는 15°, 20°, 30°, 45° 등일 수 있다. 각도는 45°보다 클 수도 있다(예: 50°, 60°)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각도의 구체적인 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물 저장 박스(7)를 꺼내어 오물 저장 박스(7) 내의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는 장치 본체(1)에 선회되고,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의 일 단부에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의 플러그 부재가 선회 부분으로부터 멀리 구성된다.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4)와 장치 본체(1)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탄성 부재는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를 장치 본체(1)에 대해 튕겨서, 플러그 부재가 장치 본체(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4)의 일 단부가 고정 시트(115)에 끼워져 연결되고, 오물 저장 박스(4)의 다른 단부가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에 연결된다. 이 때, 오물 저장 박스(4)의 측벽 일부가 장치 본체(1)에 부착되고, 탄성 부재는 오물 저장 박스(4)와 플러그 부재의 작용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오물 저장 박스(4)를 고정 시트(115)에서 분리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부재가 장치 본체(1)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플러그 부재가 오물 저장 박스(4)를 장치 본체(1)로부터 멀리 구동시키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판 스프링, 벨로우즈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오물 저장 박스(4)에는 플러그 부재와 결합 가능한 플러그-인 부재(41)가 제공되어, 플러그 부재가 회전되면, 오물 저장 박스(4)가 플러그-인 부재(41)를 통해 플러그 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플러그 부재가 장치 본체(1)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오물 저장 박스(4)는 플러그 부재와 함께 장치 본체(1)로부터 멀어지고, 및 오물 저장 박스(4)를 장치 본체(1)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공정은 오물 저장 박스(4)의 자동 전개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러그 부재와 플러그-인 부재의 위치를 전환하여 오물 저장 박스(4)의 자동 전개의 동일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오물 저장 박스(4)에 액체가 있을 때, 자동 전개 각도가 너무 크면, 액체가 튀거나 넘치기 쉽기 때문에 장치 본체(1)에 대한 오물 저장 박스(4)의 자동 전개 각도는 45°이하일 수 있으며, 장치 본체(1)에 제한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제2 로킹 구조(114)의 최대 회전 진폭을 구체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전개가 너무 빨라서 오물 저장 박스(4)의 액체가 격렬하게 흔들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의 선회 부분에 회전식 댐퍼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에 장치 본체(1)에 대해 볼록한 형태의 고정 시트(115)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무게중심과 무게의 대부분을 장치 본체(1)가 아닌 고정 시트(115)에 지지하게 된다. 또한, 장치 본체(1)에는 제1 로킹 기구(113)가 제공되어, 고정 시트(115)와 제1 로킹 구조(113)의 협동에 의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가 안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1)와 오물 저장 박스(4) 사이의 접촉 면적은 장치 본체(1)에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 고정 시트(115) 및 제2 로킹 구조(114)를 제공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는 고정 시트(115)의 구조, 로킹 구조[예: 제1 로킹 구조(113), 제2 로킹 구조(114)],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 등을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 또는 오물 저장 박스(4)의 고정을 실현할 수 있어, 장치 본체(1)의 지지 면적에 대한 요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로드 본체(11)를 세장형 로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장치 본체(1)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장치 본체의 전체 중량을 70% 초과로 줄일 수 있으며, 전체 장치의 외관이 심플하고 산뜻하다.
또한, 세장형 로드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큰 변화가 없으며, 단면적(예: 로드 본체(11)에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은 로킹 구조 등 필요한 부착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분적인 변화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길이 방향(도 3에 도시된 Y 방향)에 따른 로드 본체(11)의 단면적의 대부분이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드 본체(11)의 단면적은 최소값과 최대값을 가질 수 있으며, 최대 단면적이라도 고정 시트(115)의 평균 단면적,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단면적, 오물 저장 박스(4)의 평균 단면적 중 어느 하나보다 작아야 한다. 고정 시트(115)의 평균 단면적은 2차측 고정 시트(115)의 단면적의 평균이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평균 단면적은 로드 본체(11)에 길이방향에 있는 상이한 위치들의 고정 시트(115)의 평균 단면적이다.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평균 단면적은 로드 본체(11)에 길이방향에 따른 상이한 위치들의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평균 단면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본체(11)의 최대 단면적은 로드 본체(11)의 경량화를 보장하기 위해 3개 단면적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x 방향은 도 7에 도시된 폭 방향이라 할 수 있음)을 따른 로드 본체(11)의 크기(U1) 대 길이 방향(도 7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른 장치 본체(1)의 눈금(V1)의 비율은 0.02 내지 0.06 범위 내일 수 있다. 폭 방향을 따른 로드 본체(11)의 크기(U1)는 43㎜ 내지 49㎜일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른 로드 본체(11)의 크기(V1)는 1000㎜ 내지 1200㎜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장치 본체는 전체적으로 경량화되어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클리닝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와 무게가 최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시트는 대략 원형 링 형태일 수 있으며, 폭 방향을 따른 고정 시트의 최대 크기(예: 도 7에 도시된 U2) 대 폭방향을 따른 로드 본체(11)의 크기(U1)의 비율은 1.8 내지 3의 범위 내에 있고, 이는 고정 시트와 로드 본체(11)의 전체 폭을 최대한 작게 설계하면서 사용성을 확보하고 바닥 브러시(2)를 침대 바닥 깊숙이 밀어 넣기 위해 로드 본체(11)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장치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였을 때, 고정 시트(115)의 돌출면적 대 로드 본체(11)의 돌출면적의 비율은 6.5 내지 9의 범위 내이다. 여기서 돌출면적이란 단면적의 외부 에지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시트(115)의 돌출면적은 55㎠ 내지 80㎠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4)는 장치 본체(1)의 후방측(예: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조작할 때 사용자를 바라보는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오물 저장 박스(4)는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5)(예: 홈)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4)가 장치 본체(1)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이 "전방측", "후방측" 등과 같은 전후방 배향에 관계될 때, "전방측"은 특별한 설명 없이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조작할 때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예: 도 4에서 좌측)을 의미할 수 있고, "후방측"은 사용자를 바라보는 측면(예: 도 4의 우측)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의 방향은 "후방"이고,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은 "전방"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제공된 클리닝 장치의 구조도는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개시물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물의 교시 하에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물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개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되거나, 다른 요소 중 하나 이상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원래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요소는 복수의 하위 요소로 분할될 수 있거나, 복수의 요소가 단일 요소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100)의 오물 저장 박스(4)는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와 연계하여, 오물 저장 박스(4)는 박스 본체(201)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 본체(201)에는 바닥 브러시와 연결되는 제2 채널(202)이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제2 채널(202)의 하단부(예: 바닥에 가까운 단부)가 도 2에 도시된 제1 채널(6)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제2 채널(202)과 바닥 브러시(예: 도 2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2)) 사이의 연통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202)은 오물 채널로도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스 본체(201)의 내부에는 격벽 플레이트(203)가 제공될 수 있으며, 격벽 플레이트(203)는 박스 본체(201)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204)과 하부 공간(205)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부 공간(204)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가깝고, 하부 공간(205)은 바닥 브러시에 가깝다. 제2 채널(202)은 하부 공간(205)에서 격벽 플레이트(203)를 거쳐 상부 공간(204)까지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는 제1 홀 그룹(231)과 역류 방지 구조(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역류 방지 구조(230)는 상부 공간(204)의 오물이 제1 홀 그룹(231)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제1 홀 그룹(231)을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202)에서 박스 본체(201)의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된 오물은 적어도 제1 홀 그룹(231)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역류 방지 구조(230)는 역류 방지 구조(230)를 통해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상부 공간(204)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202)과 박스 본체(201)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채널(202)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가 간단하고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202)과 박스 본체(201)도 분할 구조일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 제2 채널(202)을 박스 본체(201)에서 제거하여 제2 채널(202) 및/또는 박스 본체(201)를 철저히 세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202)과 박스 본체(201)가 분할 구조인 경우, 둘은 나사식으로 연결되거나 함께 밀봉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4)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100)의 경우, 장치 본체(1)(또는 오물 저장 박스(4))를 실질적으로 직립 위치(예: 수평면에 대한 장치 본체(1)의 각도가 90도 이상이거나 또는 60도 이상인 경우, 이하 "직립"이라 함)에서 유지할 때, 오물을 흡입하여 제2 채널(202)로 보내고 제2 채널(202)에서 상부 공간(204)으로 유동한 후, 역류 방지 구조(230)를 통해 제1 홀 그룹(231)으로부터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어 하부 공간(205)에 저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202)은 제1 채널(6)과 연통될 수 있으며, 클리닝 장치(100)의 작동 시에, 바닥 브러시(2)에 의해 흡입된 오물은 제1 채널(6)에 순차적으로 제2 채널(202)로 유입될 수 있다. 장치 본체(1)(또는 오물 저장 박스(4))가 크게 기울어져 있는 경우(예: 수평면에 대해 30도 이하 또는 심지어 수평면에 대해 약 2도의 각도에서, 이하 '평탄화' 또는 '눕혀서'이라 함), 역류 방지 구조(230)는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230)를 거쳐 상부 공간(205)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 방지 구조(230)는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모터(33) 및/또는 모터(34))로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모터는 멈추지 않고, 클리닝 장치(100)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클리닝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물 저장 박스(4)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는 직립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1)를 크게 기울여서 사용할 수도 있고, 평탄하거나 눕혀서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사용이 매우 용이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에서, 박스 본체(201)의 일 단부(예: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가까운 단부)에는 오물을 버릴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에는 커버 본체(216)가 제공될 수 있고, 커버 본체(216)에는 가스 유출 채널(218)이 제공될 수 있다.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는 상부 공간(204)과 연통될 수 있다. 가스 유출 채널(218)의 출구(221)에는 모터(33 또는 모터(34)) 또는 모터와 연통되는 펌핑 장치(예: 흡입 펌프)가 제공되어 박스 본체(201) 내부의 가스를 펌핑함으로써, 오물을 제2 채널(202)을 통해 박스 본체(201)로 흡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부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가스 유출 채널(218)의 출구(221)에 제공된다. 필터 부재는 가스에 동반된 미세한 고형물(즉, 고형 쓰레기)을 여과하여 모터가 쓰레기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부재는 여과를 개선하기 위해 헤파(hepa)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유출 채널(218)의 출구(221)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3)에 연결될 수 있어, 공동(201) 내 분리(예: 먼지-가스 분리의 제1 단계) 후에 얻은 가스가 가스 유출 채널(218)의 출구(221)를 통해 먼지-가스 분리의 제2 단계를 위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31)로 유입되어 휴대형 진공 청소기(3)의 환기 출구에서 배출되는 깨끗한 가스를 얻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는 가스 유출 채널(218)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를 통해 가스가 유동할 때,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는 가스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 쓰레기의 일부를 분리하고(예: 제1 분리 단계), 나머지 고형 쓰레기는 필터 부재에 의해 여과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는 커버 본체(21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는 커버 본체(216)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를 제공함으로써, 필터 부재의 부하가 단축되고, 필터 부재의 수명이 향상되며, 필터 부재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빈도가 줄어들고, 사용자의 클리닝 장치(100)의 사용이 용이해진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격벽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 플레이트(203)에는 제1 홀 그룹(231)이 제공된다. 역류 방지 구조(230)는 격벽 플레이트(203)에 설치되는 제1 홀 그룹(231)에 대응되는 역류 방지 밸브(232)를 포함한다. 역류 방지 구조(230)는 하부 공간(205)에 배치되고 제1 홀 그룹(231)을 통해 상부 공간(204)과 연통한다. 대안으로,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의 제1 부분(206)이 박스 본체(201)의 측벽과 밀봉 접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와 박스 본체(201)의 측벽 사이에 밀봉 링이 제공되어, 격벽 플레이트(203)와 박스 본체(201) 사이의 밀봉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역류 방지 밸브(232)는 장치 본체(1)가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졌을 때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밸브(232)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와 박스 본체(201)의 측벽 사이의 밀봉으로 인해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와 박스 본체(20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오물이 상부 공간(204)으로 역류하여 모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리닝 장치(100)를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물 저장 박스(4)를 청소할 때, 격벽 플레이트(203)를 박스 본체(201)에서 제거하고, 제1 홀 그룹(231)에 의해 오물 중의 고형 쓰레기를 여과할 수 있다. 즉, 오물이 박스 본체(201)에 저장되고, 고형 쓰레기는 격벽 플레이트(203)에 적재되어, 오물로부터 고형 쓰레기의 분리를 실현한다. 이후 고형 쓰레기는 분리하여 쓰레기통에 비우고, 오물은 변기, 싱크대 등의 방출 장치로 비워줌으로써, 변기, 싱크대 등의 방출 장치가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 그룹(231)을 갖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구조와 역류 방지 밸브(232)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클리닝 장치(100)에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은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204)에서 하부 공간(205)으로 흐르는 오물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는 50개 내지 200개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는 70 내지 15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는 8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통 홀은 바아-형 홀, 원형 홀 등으로 규칙적인 형상 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통 홀은 바아-형 홀이고, 바아-형 홀의 길이와 폭이 상대적으로 커서 제1 홀 그룹(231)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고형 쓰레기가 제1 관통 홀을 통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격벽 플레이트(203)가 더 나은 여과 효과를 갖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통 홀이 바아-형 홀인 경우, 격벽 플레이트(203)가 상대적으로 큰 여과 효과를 갖고 고형 쓰레기가 제1 홀 그룹(23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바아-형 홀의 길이 대 폭 비율은 0.5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아-형 홀의 길이 대 폭의 비율은 0.7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아-형 홀의 길이 대 폭의 비율은 0.8 내지 1.2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 중 제1 관통 홀의 면적은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물이 제1 홀 그룹(231)을 통과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고형 쓰레기를 더 잘 차단하고 더 나은 여과 효과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 중 제1 관통 홀의 면적은 85㎟ 내지 100㎟일 수 있다. 제1 홀 그룹(231) 중 제1 관통 홀의 면적은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 중 제1 관통 홀의 면적은 98㎟일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홀 그룹(231)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이 향상되고 고형 쓰레기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홀 그룹(231)은 격벽 플레이트(203)에 제공되므로, 격벽 플레이트(203)에서 제1 홀 그룹(231)의 면적의 비율(즉, 제1 홀 그룹(231)에 있는 제1 관통 홀의 전체 면적 대 격벽 플레이트(203)의 면적의 비율)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구조적 강도와 관련이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가 상대적으로 더 나은 구조적 강도를 갖고 오물의 채널이 제1 홀 그룹(231)을 통과하는 더 높은 통과 효율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 상의 제1 홀 그룹(231)의 면적 비율은 0.1 내지 0.5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 상의 제1 홀 그룹(231)의 면적 비율은 0.1 내지 0.4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 상의 제1 홀 그룹(231)의 면적 비율은 0.2 내지 0.3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는 박스 본체(2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격벽 플레이트(203)를 박스 본체(20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플레이트(203)에는 핸들(307), 핸들(207)이 제공되고, 및 핸들(207)은 박스 본체(201)의 개구(즉, 커버 본체(216)가 제공된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물 저장 박스(4)를 세정할 때 핸들(207)을 들어올림으로써 쉽게 격벽 플레이트(203)를 박스 본체(201) 밖으로 꺼낼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에 담지된 고형 쓰레기도 박스 본체(201)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오물로부터 고형 쓰레기를 분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가 커버 본체(216)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본체(216)를 제거할 때, 격벽 플레이트(203)도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오물 저장 박스(4) 내의 오물을 버릴 때, 격벽 플레이트(203)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려 오물과 고형 쓰레기가 다시 섞이는 상황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는 모따기형 플레이트(cambered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는 하부 공간을 향해 돌출된 모따기형 플레이트일 수 있고, 제1 홀 그룹(231)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은 바닥 브러시(2)로부터 최소 거리에 있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상면 또는 하면의 위치일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에서 오프셋된 제1 홀 그룹(231)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방사 방향을 따라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과 제1 홀 그룹(231)의 위치 사이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를 돌출된 모따기형 플레이트로 제공함으로써 고형 쓰레기가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에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형 쓰레기에 의해 제1 홀 그룹(231)이 막힐 가능성이 줄어들고,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 플레이트(203)에도 제2 홀 그룹(210)이 제공되고, 제2 홀 그룹(210)은 상부 공간(204)과 하부 공간(205)을 자유롭게 연통시킨다. 사용시 오물은 제1 홀 그룹(231)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고, 하부 공간(205) 내의 공기는 제2 홀 그룹(210)을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어 모터(예: 모터(34))에 의해 펌핑되어, 상부 공간(204)과 하부 공간(205) 사이의 압력차를 증가시키므로, 오물이 상부 공간(204)에서 하부 공간(205)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204) 내의 오물의 일부는 제2 홀 그룹(210)에서 하부 공간(20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홀 그룹(210)은 오물 중의 고형 쓰레기를 여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둘레에서 제1 홀 그룹(231)과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은 격벽 플레이트의 둘레에서 제1 홀 그룹(231)과 오프셋되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둘레에 제2 홀 그룹(210)과 제1 홀 그룹(231) 사이에 이격거리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의 원주 방향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를 따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100)를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역류 방지 밸브(232)가 닫혀서 하부 공간(205)의 오물 수위가 제2 홀 그룹(210)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하부 공간(205)의 오물은 또한 제2 홀 그룹(210)을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은 제2 홀 그룹(210)과 반경 방향으로 반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231)이 제2 홀 그룹(210)과 반경 방향으로 반대되는 것은 제1 홀 그룹(231)과 제2 홀 그룹(210)이 격벽 플레이트(203)의 반경방향을 따라 격벽 플레이트(203)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중심에 위치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원주를 따라 제1 홀 그룹(231)과 제2 홀 그룹(21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하부 공간(205)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오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물의 수위는 제2 홀 그룹(210)보다 높지 않으며, 하부 공간(205)의 오물도 제2 홀 그룹(210)을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은 하나 이상의 제2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 그룹(210)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높이면서 고형 쓰레기를 잘 차단하고 우수한 여과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 중 제2 관통 홀의 면적은 350㎟ 내지 4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 중 제2 관통 홀의 면적은 360㎟ 내지 39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 중 제2 관통 홀의 면적은 360㎜ 내지 39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 중 하나 이상의 제2 관통 홀의 면적은 370㎟ 내지 3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 중 제2 관통 홀의 면적은 376㎟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홀 그룹(210)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높이고 고형 쓰레기를 차단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203)의 구조적 강도가 양호하고 오물이 제2 홀 그룹(210)을 통과하는 효율이 높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에서 제2 홀 그룹(210)의 면적 비율을(예: 제2 홀 그룹(210)의 제2 관통 홀의 전체 면적 대 격벽 플레이트(203)의 면적의 비율)은 0.01 내지 0.2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에서 제2 홀 그룹(210)의 면적 비율은 0.02 내지 0.1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에서 제2 홀 그룹(210)의 면적 비율은 0.05 내지 0.08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의 제2 관통 홀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과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 개수 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210)의 제2 관통 홀의 개수, 형상에 대한 추가 설명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 형상에 대한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를 기울이거나 눕혀서(지면과 평행하게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 오물이 하부 공간(205)에서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홀 그룹(210)만이 제1 홀 그룹 없이 격벽 플레이트(203)에 제공되며, 이 경우 클리닝 장치(100)가 제2 홀 그룹(210)의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지 않도록 배열하면 충분하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2 홀 그룹(210)이 박스 본체(201)의 전방측에 가까운 격벽 플레이트(203)에 제공되면, 클리닝 장치(100)는 사용 시 후방측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가 모따기형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경우, 제2 홀 그룹(210)은 격벽 플레이트(203)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오프셋될 수도 있다. 제2 홀 그룹(210)이 고형 쓰레기로 막힐 가능성을 줄여, 사용자의 클리닝 장치(100)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 플레이트(203)의 원주방향 직립을 따라 배플 벽(211)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배플 벽(211)은 적어도 상부 공간(204)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배플 벽(211)은 격벽 플레이트(203)를 박스 본체(201)로부터 들어올릴 때 고형 쓰레기가 격벽 플레이트(203)의 에지에서 박스 본체(201)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벽(211)에는 침출 홀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고형 쓰레기의 낙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격벽 플레이트(203)에 남아있는 오물을 침출 홀을 통해 박스 본체(201) 내부로 배출시켜 고형 쓰레기와 오물을 분리하는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의 원주방향을 따라 프레임(212)을 수직으로 설치한 후, 프레임(212)에 스트레이너(strainer;213)를 제공하고, 스트레이너(213)가 침출 홀의 역할을 하여, 침출 홀을 갖는 상기 배플 벽(21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에 배플 벽(211)이 제공되는 경우, 핸들(207)은 배플 벽(211)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예: 핸들(207)은 프레임(212)의 상향 연장부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을 계속 참조하면, 격벽 플레이트(203)에는 설치 홀(214)이 더 구비된다. 설치 홀(214)은 제1 홀 그룹(231)과 제2 홀 그룹(210)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예컨대, 설치 홀(214)과 제1 홀 그룹(231) 사이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이 있고, 설치 홀(214)과 제2 홀 그룹(210) 사이에는 격벽 플레이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이 있다. 제2 채널(202)은 파이프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채널(202)은 설치 홀(214)을 통해 하부 공간(205)에서 상부 공간(204)까지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격벽 플레이트(203)가 박스 본체(201)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홀(214)과 제2 채널(202)이 밀봉 접촉(예: 설치 홀(214)의 에지와 제2 채널(202) 사이에 밀봉 링이 제공될 수 있음)함으로써, 클리닝 장치(100)를 편평하게 놓을 때 설치 홀(214)의 에지와 제2 채널(202) 사이의 틈새의 존재를 방지하여, 오물이 설치 홀(214)의 에지와 제2 채널(202)의 틈새를 통해 하부 공간(205)에서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202)은 오물 개구가 박스 본체(201)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부 공간(204)과 연통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오물 개구는 오물이 제2 채널(202)을 따라 박스 본체(201)[상부 공간(204)]으로 진입하는 개구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박스 본체(201)의 상단에 상단벽이 제공되고, 상단벽에는 오물을 버릴 수 있는 개구가 제공되고, 커버 본체(216)는 개구에서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채널(202)의 오물 개구는 박스 본체(201)의 상단 벽에 제공되고 상부 공간(204)과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설치 홀(214)의 측면에는 환형 배플(215)이 제공될 수 있으며, 환형 배플(215)은 상부 공간(204)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채널(202)은 환형 배플(215)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격벽 플레이트(203)와 제2 채널(202) 사이의 연결을 신뢰성 있게 만든다. 이렇게 하면, 클리닝 장치(100)를 기울이거나 편평하게 눕힐 때, 그리고 격벽 플레이트(203)가 (배플 벽(211)과 함께) 박스 본체(201)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더라도, 제2 채널(202)의 축 방향에 대한 격벽 플레이트(203) 사이의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방지되고, 격벽 플레이트(203) 위의 역류 방지 구조(230)가 원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230)를 통해 하부 공간(205)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232)는 피팅(fitting;233)과 가요성 밸브 본체(234)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233)은 밸브 본체(234)의 입구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방향에 따른 밸브 본체(234)의 출구 단면의 크기는 제3 방향에 따른 밸브 본체(234)의 출구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3 방향과 수직이다. 즉, 밸브 본체(234)는 편평한 개방형 밸브 본체일 수 있다. 단지 예시적으로, 밸브 본체(234)의 출구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밸브 본체(234)의 제2 방향을 따른 크기는 직사각형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3방향을 따른 밸브 본체(234)의 크기는 직사각형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과 밸브 본체(234)는 사출 성형 공정, 3D 프린팅 공정 및 기타 일체형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과 밸브 본체(234)가 분리된 구조로 된 후 접착 연결, 클램핑 연결 등의 연결 공정에 의해 조립되어 역류 방지 밸브(23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이 제1 홀 그룹(231)에 대응하는 격벽 플레이트(203)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에서 역류 방지 밸브(23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관(208)이 제1 홀 그룹(231)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하면(바닥 브러시(2)에 가까운 면)에 제공될 수 있고, 피팅(233)이 도관(208)에 연결되어 역류 방지 밸브(232)와 격벽 플레이트(203) 사이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은 도관(208)에 쉽게 슬리브로 고정된 다음 고정 부재(예: 클램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과 도관(208)은 또한 플랜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과 도관(208)은 나사 연결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피팅(233)에는 암나사가 설치되고, 도관(208)에는 상기 암나사에 맞춰 외부면에 수나사가 제공되며, 피팅(233)과 도관(208)은 나사 조임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232)를 격벽 플레이트(203)에 설치하는 상기 방식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역류 방지 밸브(232)를 격벽 플레이트(203)에 설치하기 위한 다른 공정(예: 접착 연결, 클램핑 연결 등)도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는 제1 홀 그룹(231)의 모든 제1 관통 홀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 밸브(232)를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관(208)이 상기 제1 홀 그룹(231)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하면에 제공되고, 도관(208)의 일 단부가 역류 방지 밸브(232)의 피팅(233)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격벽 플레이트(230)의 하면에 연결되고, 도관(208)의 다른 단부는 제1 홀 그룹(231)의 모든 제1 관통 홀과 맞닿아, 상부 공간(204)으로부터의 오물이 제1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한 후 동일한 역류 방지 밸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는 제1 홀 그룹(231) 중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홀에 각각 대응하는 격벽 플레이트(203)에 설치되는 복수의 역류 방지 밸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홀 그룹(231)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 하면에는 복수의 도관(208)이 제공되고, 복수의 도관(208)의 일 단부는 복수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피팅(233)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도관(208) 각각의 다른 단부는 격벽 플레이트(230)의 하면에 연결되고, 복수의 도관(208) 각각의 다른 단부는 제1 홀 그룹(231)의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홀에 연결되어서, 상부 공간(204)의 오물이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홀을 통과한 후 해당 역류 방지 밸브(2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는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은 1:1일 수 있다. 예컨대, 역류 방지 구조(230)의 각 역류 방지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제1 관통 홀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각각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은 1:2일 수 있다. 예컨대, 역류 방지 구조(230)의 각 역류 방지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2개의 제1 관통 홀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각각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은 1:4일 수 있다. 예컨대, 역류 방지 구조(230)의 각 역류 방지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4개의 제1 관통 홀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각각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은 1:5일 수 있다. 예컨대, 역류 방지 구조(230)의 각 역류 방지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5개의 제1 관통 홀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각각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은 1:10일 수 있다. 예컨대, 역류 방지 구조(230)의 각 역류 방지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10개의 제1 관통 홀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30)에 각각 설치된다. 역류 방지 구조(230)의 역류 방지 밸브(23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231)의 제1 관통 홀의 개수의 비율도 다른 값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팅(233)은 탄성이 있고, 피팅(233)도 밸브 본체(234)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의 외면은 편평한 표면(235)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234)를 폐쇄(즉, 편평한 개구가 폐쇄)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를 직립 위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공간(204)의 오물이 제1 홀 그룹(231)과 도관(208)을 거쳐 밸브 본체(234)로 유입된다. 오물의 압력(P1)이 밸브 본체(234)에 작용하고 밸브 본체(234)를 팽창시키고(즉, 편평한 개구가 열림), 오물은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를 눕혀서 사용하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공간(205)의 오물에 대한 압력(P2)이 밸브 본체(234)의 평면(235)에 작용하여, 밸브 본체(234)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밸브 본체(234)를 폐쇄하여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밸브 본체(234)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공간(2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물은 격벽 플레이트(203)에 집중되고,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로부터 멀어진다. 물의 양이 적고, 물이 박스 본체(201) 외부로 펌핑되지 않아, 모터가 정지하거나 손상될 확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를 눕혀서 사용할 때, 하부 공간(205)에 역류 방지 밸브(232)를 닫을 만큼의 오물이 없거나 소량만 있는 경우, 흡입되는 오물이 또한 상부 공간(204)에 그리고 격벽 플레이트(203) 가까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며(오물의 일부가 하부 공간(205)로 유입될 수 있음), 박스 본체(201) 외부로 펌핑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모터가 정지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232)는 제1 개구 세트(231)에 대응되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하면에 배치되는 탄성 밸브편(236)일 수도 있다. 탄성 밸브편(236)은 제1 개구 세트(231)를 격벽 플레이트(203)에 접착하여 격벽 플레이트(203)로 덮어 제1 개구 세트(231)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부 공간(204)과 하부 공간(205)은 제1 개구 세트(231)를 통해 연통될 수 없다. 클리닝 장치(100)를 직립 위치에서 사용하면, 상부 공간(204)에서 오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 밸브편(236)이 하부 공간(205) 방향으로 밀려서 개방되고(도 14의 점선은 밀어서 열리는 탄성 밸브편(236)을 도시한 것이다), 오물은 제1 개구 그룹(231)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100)를 눕혀 놓으면, 하부 공간(205) 내의 오물이 탄성 밸브편(236)을 격벽 플레이트(203)에 가압하여 제1 개구 세트(231)를 폐쇄함으로써 하부 공간(205) 내의 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역류 방지 밸브(232)를 통과한 오물이 상부 공간(204)에 위치할 때 역류 방지 밸브(232)가 완전히 열려서[예: 밸브 본체(234)가 팽창되거나 탄성 밸브편(236)이 하부 공간(205)측으로 밀려 열리게 되어], 오물이 상부 공간(204)에서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오물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된 후, 역류 방지 밸브(232)는 완전히 폐쇄되어[예: 밸브 본체(234)를 닫거나 탄성 밸브편(236)을 격벽 플레이트(203)에 부착하여 제1 홀 그룹(231)을 폐쇄하여],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상부 공간(204) 및 밸브 본체(234)로 다시 유동하지 않거나 또는 탄성 밸브편(236)은 탄성 변형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이 우수한 탄성 변형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을 구성하는 재료는 고무, 실리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은 쇼어 경도(shore hardness)(D)가 20도 내지 80도 범위 내의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은 쇼어 경도(D)가 40도 내지 80도 범위의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은 쇼어 경도(D)가 60도 내지 70도 범위의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은 쇼어 경도(D)가 35도인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쇼어 경도(D)가 35도인 실리콘은 더 나은 탄성과 경도를 가지며, 이는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에 더 나은 변형 능력과 더 나은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실리콘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밸브 본체(234)나 탄성 밸브편(236)이 장기간 오물에 의해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사용 상황에서는, 클리닝 장치(100)가 흡입하는 쓰레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역류 방지 밸브(232)를 통과하는 고온의 쓰레기로 인해 역류 방지 밸브(232)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높은 온도는 역류 방지 밸브(232)의 밸브 본체(234)나 탄성 밸브편(236)의 탄성에 영향을 미쳐 역류 방지 밸브(232)를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의 탄성이 감소하는 경우, 역류 방지 밸브를 개방하는 것(즉, 역류 방지 밸브(232)가 상부 공간(204)에서 하부 공간(205)으로 단방향 안내)의 어려움이 증가하여, 역류 방지 밸브(232)를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온도가 높아지면, 밸브 본체(234)나 밸브 탄성편(236)이 쪼개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역류 방지 밸브(232)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고온에서도 역류 방지 밸브의 내열성과 작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을 구성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25℃ 내지 80℃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을 구성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30℃ 내지 70℃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34) 또는 탄성 밸브편(236)을 구성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밸브(232)는 또한 덕빌 밸브, 멤브레인 체크 밸브, 솔레노이드 체크 밸브, 또는 다른 유형의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역류 방지 밸브(232)를 다른 종류의 역류 방지 밸브 또는 체크밸브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종류의 역류 방지 밸브 또는 체크밸브가 역류 방지 밸브(23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본 개시물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튜브(217)가 박스 본체(201) 내부에 제공될 수 있고, 커버 본체(216)는 어댑터 튜브(217)의 일 단부에 맞닿을 수 있다. 커버 본체(216)의 압력 하에서, 어댑터 튜브(217)는 안정적이므로 오물 유속이 빠른 경우에도 제2 채널(202)로부터의 오물의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튜브(217)의 다른 단부가 제2 채널(202)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 튜브(217)의 다른 단부는 어댑터 튜브(217)의 입구(223)이고 제2 채널(202)의 다른 단부는 제2 채널(202)의 출구(224)이다. 예컨대, 어댑터 튜브(217)의 입구(223)는 제2 채널(202)의 출구(224)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는 출구(220)를 가지며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는 커버 본체(216)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본체(216)를 향한 어댑터 튜브(217)의 단부 부분은 폐쇄되고, 어댑터 튜브(217)의 측벽에는 출구(220)가 제공될 수 있다. 어댑터 튜브(217)의 측벽에 출구(220)를 제공함으로써 박스 본체(2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물-가스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이 가스 유출 채널(218) 내로 펌핑되어 모터에 도달할 위험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100)의 사용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는 원주를 따라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즉,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219)는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와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다. 예컨대, 출구(220)는 입구(219)로부터 멀어지게 어댑터 튜브(217)의 측벽에 배열된다. 예컨대,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 및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는 어댑터 튜브(217)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며, 출구(220)의 높이가 입구(219)의 높이보다 낮아 출구(220)와 입구(219)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박스 본체(2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하여 가스-물 분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어댑터 튜브(217)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출구(220)와 입구(219)는 어댑터 튜브(217)의 축을 교차하는 출구(220)와 입구(219) 사이의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와 제2 채널(202)은 일체형 구조이다. 예컨대, 어댑터 튜브(217)는 제2 채널(202)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는 직선형일 수 있으며 격벽 플레이트(203)의 설치 홀(214)의 채널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채널(202)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와 제2 채널(202)은 분리된 구조이다. 예컨대, 어댑터 튜브(217)를 별도로 제작하여 제2 채널(202)과 조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채널(202)은 단지 직선형 튜브로 제작할 수 있으며, 어댑터 튜브(217)와 설치 홀(214) 사이의 치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채널(202) 및 어댑터 튜브(217)의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6)에는 수위 탐침 그룹(24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수위 탐침 그룹(240)은 하부 공간(205)을 향해 연장된다. 수위 탐침 그룹(240)은 박스 본체(201) 내부의 오물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박스 본체(201) 내부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클리닝 장치(100) 내부의 모터(예: 모터(33) 또는 모터(34))는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박스 본체(201) 내의 오물을 즉시 버리도록 경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위 탐침 그룹(240)은 양극 수위 탐침을 채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위 탐침 그룹(240)은 또한 단극 수위 탐침 또는 다른 형태의 수위 탐침을 채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를 계속 참조하면, 수위 탐침 그룹(240)은 하부 공간(205)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탐침 그룹(241)과 제2 탐침 그룹(24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241)은 제2 탐침 그룹(242)의 연장 길이보다 큰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탐침 그룹(242)은 상부 공간(204) 내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홀 그룹(231) 바로 위에 있을 수 있다. 제1 탐침 그룹(241)은 클리닝 장치(100)가 직립 위치에서 사용될 때 박스 본체(201) 내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박스 본체(201) 내부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모터의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박스 본체(201) 내부의 오물을 신속하게 버리도록 경고할 수 있다. 제2 탐침 그룹(242)은 클리닝 장치(100)를 편평하게 눕혀 사용할 때 박스 본체(201) 내부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탐침 그룹(242)에 의해 모니터링된 수위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모터는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오물을 즉시 버리도록 상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100)를 눕혀서 사용할 때, 격벽 플레이트(203)에 제공된 역류 방지 구조(230)는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230)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가 회전을 멈추지 않게 하여, 클리닝 장치(100)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채널(202)을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흡입된 오물은 격벽 플레이트(203)에 의해 상부 공간(204)에 쌓일 수 있다. 상부 공간(204)에 쌓인 오물이 너무 많아 커버 본체로 유입되는 경우, 오물은 먼저 제2 탐침 그룹(24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탐침(242)은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라는 신호를 발생시켜, 오물이 모터에 흡입되어 모터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탐침 그룹(241)과 제2 탐침 그룹(242)을 제공하여 박스 본체(201) 내부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물이 모터에 흡입되어 모터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100)의 수명이 크게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241)은 하부 공간(205)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탐침 그룹(241)은 격벽 플레이트(203)를 관통하여 하부 공간(205)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박스 본체(201)(하부 공간(205)) 내의 오물이 격벽 플레이트(203)에 도달하기 전에, 제1 탐침 그룹(241)이 임계 수위를 검출하여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오물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클리닝 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제 상황에 따라 제1 탐침 그룹(241)이 하부 공간(205)으로 들어가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탐침 그룹(241)이 하부 공간(205)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박스 본체(201) 내부의 격벽 플레이트(203)의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203)가 박스 본체(201) 내부에서 높을수록, 제1 탐침 그룹(241)이 하부 공간(205)으로 들어가는 깊이가 깊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241)은 상부 공간(204)에 격벽 플레이트(203)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격벽 플레이트(203)가 막히게 되면, 하부 공간(205)의 오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상부 공간(204)에 오물이 쌓이는 경우에도, 제1 탐침 그룹(241)은 여전히 오물의 수위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오물이 모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205)에서의 제1 탐침 그룹(241)의 위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241)은 하부 공간(205) 또는 상부 공간(204)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제1 탐침 그룹(241)은 상부 공간(204)과 하부 공간(205) 모두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탐침 그룹(242)은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구(220)로부터의 오물이 제2 탐침 그룹(242)에 직접 분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탐침 그룹(242)의 오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를 계속 참조하면, 커버 본체(216)에도 상부 공간(204)으로 연장되는 2개의 유동 배플(243)이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유동 배플(243)은 커버 본체(216)의 원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각각의 유동 배플(243)의 측면 에지(244)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박스 본체(201)의 측벽에 의해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2 채널(202)의 출구(224)는 2개의 유동 배플들(2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유동 배플(243)은 거기에 튀는 오물이 아래쪽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오물이 박스 본체(201)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클리닝 장치(100)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202)로부터 박스 본체(21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유동 배플(243)을 우회하여 커버 본체(216)의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에 도달함으로써,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더욱 구불구불하게 만들어 박스 본체(201) 내부의 물-가스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킬 수 있고 가스-물 분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유동 배플들(243) 사이에 제2 탐침 그룹(242)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본체(216)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어 오물 저장 박스(4)의 반경방향 크기를 줄이는데 유리하며, 클리닝 장치(100)는 작고 간결하고 유연하며 좁은 공간의 클리닝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배플(243)의 측면 에지(244)의 상부 영역(245)은 박스 본체(201)의 측벽과 접촉하고, 하부 영역(246)은 박스 본체(201)의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제2 채널(202)의 출구(224)는 측면 에지(244)의 상부 영역(245)에 대응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유동 배플(243)은 오물이 박스 본체(201) 내부 전체에 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또한 물-가스 혼합물이 아래쪽으로 흘러 유동 배플(243)을 가로지르도록 강제하여, 박스 본체(201) 내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길게 만들고 가스-물 분리 효과를 좋게 만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본체(216)에는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와 어댑터 튜브(217)(출구(2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백킹 플레이트(247)가 제공될 수도 있고, 백킹 플레이트(247)는 2개의 유동 배플들(24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가스 혼합물은 가스 유출 채널(218)의 입구(219)에 도달하기 전에 백킹 플레이트(247)를 지나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박스 본체(201) 내의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가스-물 분리 효과가 좋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유동 배플(243)의 연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247) 및 유동 배플(243)의 연장 길이는 각각 장치 본체(1)의 길이를 따른 백킹 플레이트(247)의 크기 및 유동 배플(243)의 크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배플(243)과 백킹 플레이트(247)가 물-가스 혼합물의 경로를 과도하게 막는 것을 방지하고 클리닝 장치(100)를 사용할 때의 보다 나은 클리닝 효과를 갖는 매끄러운 공기 흐름을 보장한다. 박스 본체(201) 내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연장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5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6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70㎜ 내지 9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70㎜ 내지 9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는 75㎜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유동 배플(243)과 백킹 플레이트(247)가 물-가스 혼합물의 경로를 과도하게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배플(243)의 연장 길이와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는 25㎜ 내지 40㎜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배플(243)의 연장 길이와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는 28㎜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배플(243)의 연장 길이와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는 28㎜일 수 있다. 접힌 유동 플레이트(243)의 연장 길이와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의 차이는 28㎜ 내지 37㎜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힌 유동 플레이트(243)의 연장 길이와 백킹 플레이트(247)의 연장 길이의 차이는 30㎜ 내지 35㎜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217)가 제2 채널(202)에서 분할될 때, 물 배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어댑터 튜브(217) 사이에서 출구(220) 위와 제2 탐침 그룹(242) 아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물 배플은 박스 본체(201)의 측벽에 접촉될 수 있다. 물 배플 플레이트는 물 배플 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제2탐침 그룹(242)과 어댑터 튜브(217)의 출구(220) 사이를 이격하여, 오물이 제2 탐침 그룹(242)에 직접 분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오판의 가능성이 더욱 줄어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와 상호작용하도록 박스 본체(201)의 원주 외측면에 설치 영역(250)이 제공되고, 역류 방지 구조(230)는 격벽 플레이트의 설치 영역(25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클리닝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볼 때, 설치 영역(250)은 박스 본체(20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역류 방지 구조(230)는 박스 본체(201)의 내부에서 박스 본체(201)의 후방측에 가깝게 배치된다(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100)를 편평하게 눕히면(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역류 방지 구조(230)가 폐쇄되어 제2 홀 그룹(210)의 낮은 위치에 있게 되고,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230)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리닝 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유형의 클리닝 장치에서는, 클리닝 장치가 사용을 위해 편평하게 놓여지는 방식이 역류 방지 구조(230)의 배열 위치에 적합한 것에 한하여, 오물 저장 박스(4)가 장치 본체(1)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도 있고(도 5 내지 도 7 및 도 18 참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전방측에는 오물 저장 박스(4)가 제공되고, 역류 방지 구조(230)가 격벽 플레이트(203)의 설치 영역(250)에 반경방향으로 가깝게 위치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 결과, 클리닝 장치(100)를 편평하게 눕힐 때(도 18 참조), 역류 방지 구조(230)가 닫혀져 제2 홀 그룹(210)의 낮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를 통해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리닝 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17을 참조하여 클리닝 장치(100)의 다양한 사용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제1 사용 상황의 클리닝 장치(100)를 도시한다. 제1 사용 상황은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직립 위치에서 사용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직립 위치에서 사용할 때, 모터(34)가 회전하고, 물 분무 시스템(예: 이전 개시물의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이 활성화되면, 깨끗한 물이 세정 유체 박스로부터 바닥으로 분무된다. 바닥의 오물은 바닥 브러시(2)에 의해 흡입된 후 제1 채널(6)과 제2 채널(202)을 통해 박스 본체(201)의 상부 공간(204)으로 유입된다. 오물은 제1 홀 그룹(231)(및 역류 방지 밸브(232)) 및/또는 격벽 플레이트(203)의 제2 홀 그룹(210)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오물 중의 고형 쓰레기는 격벽 플레이트(203)에 의해 여과되어 상부 공간(204)에 남게 된다. 제1 탐침 그룹(241)은 박스 본체(201) 내의 오물 수위가 임계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때, 모터(34)가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예컨대, 제1 탐침 그룹(241)은 사용자에게 박스 본체(201)에 있는 오물을 즉시 버리도록 경고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클리닝 장치(100)의 제2 사용 상황을 도시한다. 제2 사용 상황은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눕혀서(또는 기울여서) 사용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100)를 편평하게 눕혀 사용하게 되면, 격벽 플레이트(203) 상의 역류 방지 구조(230)의 작용으로 하부 공간(205)의 오물이 상부 공간(204)에 도달하지 못하고 하부 공간(205)에 잔류하게 된다. 모터(34)가 회전하여 분무 시스템이 작동하여 깨끗한 물 박스에서 바닥으로 깨끗한 물이 분무되고, 오물은 다시 제2 채널(202)을 통해 박스 본체(201)의 상부 공간(204)으로 흡입된다. 이때, 상부 공간(204)에는 오물이 임시 저장되고, 모터(34)는 정상적으로 회전하여 클리닝 장치(100)는 정상적으로 사용된다. 제2 탐침 그룹(242)이 상부 공간(204)에 임시 저장된 오물의 수위가 임계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모터(34)가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클리닝 장치(100)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부 공간(2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오물은 제1 홀 그룹(231)(및 역류 방지 밸브(232)) 및/또는 제2 홀 그룹(210)을 통해 하부 공간(2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I)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의 단면(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100)의 오물 저장 박스(4)는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300)일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300)는 박스 본체(301)와 오물 파이프(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 파이프(302)는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 내 제2 채널(202)일 수 있거나, 오물 파이프(302)는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에 적어도 제2 채널(202)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 본체(301)는 바닥면(303)을 포함하고, 바닥면(303)에는 오물 입구(304)가 배열되며, 오물 파이프(302)는 오물 입구(30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오물 파이프(302)의 상부 부분에는 오물 출구(3021)가 배열되고, 오물 파이프(302)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M)는 오물 출구(3021)에서 혼합 액체(a)와 혼합 기체(c)로 분리되고, 오물 출구(3021)에서 분리된 혼합 액체(a)는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유동하여 박스 본체(301)의 바닥 위치에 저장됨으로써, 오물 저장 박스(300)의 제1 유형의 여과 즉, 혼합 액체와 혼합 기체(c)의 분리를 실현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본체(301) 측면에 오물 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박스 본체(301) 내부에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제공되어, 상기 오물 입구(304)로부터 유입되는 먼지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통해 먼지-가스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혼합 액체와 혼합 기체(c)가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오물 저장 박스(300)는 커버 본체(306)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도 8에 도시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이거나 또는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와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도 8에 도시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의 일부일 수도 있다. 커버 본체(306)는 주요 본체(3061)를 포함할 수 있고, 주요 본체(3061)는 박스 본체(301)의 상단부에 끼워지며, 주요 본체(3061)에는 공기 입구(3062)가 제공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주요 본체(3061)에 제공되어 공기 입구(3062)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입구(3062)는 오물 출구(3021)의 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입구(3062)는 도 8에 도시된 입구(219)이거나, 공기 입구(219)와 유사한 구조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오물 출구(3021)에서 분리된 혼합 기체(c)는 질량이 가벼워 입구(3062)로 계속 상승하여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 유입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혼합 기체(c)를 여과할 수 있다.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는 혼합 기체(c) 내의 먼지(d)가 잔류하고, 진공 환경의 작용에 의해 여과된 세정 가스(e)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되며, 클리닝 장치(100)의 모터[예: 휴대형 진공 청소기(3) 내의 모터(34)나 모터(33)]를 통해 클리닝 장치(100)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먼지(d)가 많은 모터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환경의 청결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조작자가 너무 많은 먼지(d)를 흡입하여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의 문제를 방지하여 조작자의 신체적 건강을 보장함으로써, 오물 저장 박스(300)의 제 2 여과 공정인 세정 가스(e)와 먼지(d)의 분리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입구(3062)를 오물 출구(3021)에 가깝게 배열할 수도 있으나, 이로 인해 오물 파이프(302)에서 분무되는 혼합 액체의 일부가 공기 입구(3062) 내로 분무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수분을 여과할 수 없으므로, 공기 입구(3062)로 유입된 수분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 헤파, 모터로 차례로 유입될 수 있다. 수분을 함유한 가스는 헤파의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습한 환경은 헤파에 박테리아를 번식시키는 경향이 있다. 헤파는 클리닝 장치에 흔히 사용되는 고효율 필터(여과지)로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99% 걸러내므로, 클리닝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 및 제거할 수 있으며, 2차 오염물질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함유된 가스가 모터 내부로 흡입되어 모터의 단락이 발생하여 클리닝 유닛(100)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와 공기 입구(3062)를 박스 본체(301)의 중심축(3012)의 양측에 위치시키고, 오물 출구(3021)와 공기 입구(306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두어, 혼합 액체(a)가 오물 출구(3021)에서 공기 입구(3062)로 직접 분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혼합 기체(c)는 오물 출구(3021)에서 배출된 후, 공기 입구(3062)로 진입하기 전, 긴 경로를 통과하게 되고, 혼합 기체(c)의 수분이 긴 경로의 유동에서 혼합 기체(c)와 분리될 수 있어, 수분이 헤파나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헤파 내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의 단락을 방지하고, 클리닝 장치(1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는 입구(3062)에서 뒤쪽으로 오물 파이프(302)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와 오물 출구(3021) 정반대의 박스 본체(301) 내벽 사이의 수평 방향을 따른 거리가 L4이고, 오물 출구(3021)에서 배출된 혼합 기체(c)는 먼저 수평 방향을 따라 오물 출구(3021) 정반대의 박스 본체(301) 내벽을 향하여 길이(L4)만큼 이동하고, 혼합 기체(c)는 먼저 오물 출구(3021) 정반대의 박스 본체(301)의 내벽을 향하여 길이(L4) 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물 출구(3021) 정반대의 박스 본체(301)의 내벽을 향해 도달하고, 혼합 기체(c)는 박스 본체(301)의 내벽과 충돌한 후 휘어지고, 혼합 기체(c)는 공기 입구(3062)의 방향을 향해 박스 본체(301)의 내벽으로부터 이동한다. 오물 출구(3021)에서 직접 공기 입구(3062)를 향하여 나오는 혼합 기체(c)에 비해, 본 실시예의 배열에 의하면, 오물 출구(3021)로부터 공기 입구(3062)으로의 혼합 기체(c)의 이동 경로가 연장된다. 예컨대, 이동 경로의 연장 길이는 혼합 기체(c)가 물 출구(3021)와 물 출구(3021) 정반대의 박스 본체(301)의 내벽 사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라운드-트립 이동(round-trip movement)함으로써 발생한다. 예컨대, 연장 길이는 2*L4이고, 오물 출구(3021)에서 공기 입구(3062)까지의 혼합 기체(c)의 이동 경로의 길이는 2*L4이다. 혼합 기체(c)가 오물 출구(3021)에서 공기 입구(3062)까지 통과하는 경로가 길고, 혼합 기체(c)에 혼합된 수분과 먼지(d)가 중력에 의해 혼합 기체(c)와 잘 분리되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세정도를 향상시키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습도를 더욱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배플(3063)을 더 포함한다. 배플(3063)은 주요 본체(306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오물 출구(3021) 주변을 둘러싼다. 배플(3063)은 바닥면(303)으로 혼합 기체(c)가 통과하는 채널을 형성하며 배플(3063) 양측에 오물 출구(3021)와 공기 입구 포트(3062)가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3063)의 역할에 대하여 첫째, 배플 플레이트(3063)는 오물 출구(3021)에서 분무되는 혼합 액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혼합 액체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의 입구 포트(3062)를 통해 직접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의 단락 위험을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및 도 22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로부터 흐르는 혼합 기체(c)의 제1 부분은 상향 분율 속도(upward fractional velocity)를 가질 수 있고,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은 먼저 상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고,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은 역으로 휘어져 주요 본체(3061) 바닥면으로 이동한 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역으로 구부러진 후의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은 채널을 통과하여 채널로부터 공기 입구(3062)로 상향으로 이동한다. 오물 출구(3021)에서 공기 입구(3062)로 통과하는 혼합 기체는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을 수직 방향을 따라 여러번 휘어지게 되어 증가하고,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에 혼합된 수분과 먼지가 중력에 의해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에서 분리되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서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세정도가 더욱 향상되고, 세정 가스(e)의 세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습도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및 도 22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로부터 유입되는 혼합 기체(c)의 제2 부분은 하향 분율 속도를 가질 수 있고, 혼합 기체(c)의 제2 부분은 먼저 상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고, 혼합 기체의 제2 부분은 채널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채널에서 공기 입구(3062)로 상향으로 이동한다. 오물 출구(3021)에서 공기 입구(3062)까지 통과하는 혼합 기체의 제2 부분의 경로가 혼합 기체의 제1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여러번 구부림으로써 증가하고, 혼합 기체에 혼합된 수분과 먼지가 혼합 기체의 제2 부분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의 혼합 기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서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세정도가 더욱 향상되고, 상기 세정 가스(e)의 세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가스의 습도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2에 오물 파이프(302)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오물 파이프(302)는 파이프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본체(3022)는 오물 입구(304)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어댑터 튜브(3023)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라인(30231), 전이 파이프(30232), 제2 파이프라인(30233)을 포함한다. 제1 파이프(30231)는 파이프 본체(3022)에 동축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파이프(30231)는 제2 파이프(30233)와 수직하며, 제2 파이프(30233) 위에 오물 출구(3021)가 제공된다. 파이프 본체(3022)가 길기 때문에, 파이프 본체(3022)가 어댑터 튜브(3023)와 일체로 성형되면, 오물 파이프(302)의 금형이 매우 복잡해져서 금형 개방 성공률이 낮고 금형 개방 비용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물 파이프(302)를 분리될 수 있는 파이프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의 2개 부분으로 착탈 가능하게 분해하고, 파이프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에 대응되는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여, 각 부품을 독립적으로 제조하면 금형 개방 성공률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금형 개방 비용이 효과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어댑터 튜브(3023) 내부가 구부러져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 튜브(3023)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일 수 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오물 출구(3021)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의 유량이 영향을 받고 오물 출구(3021)의 여과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자는 튜브 본체(3022)에서 어댑터 튜브(3023)를 제거하여 어댑터 튜브(3023) 내부를 양호하고 빠르게 세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3023)는 도 8에 도시된 어댑터 튜브(217)일 수도 있거나 또는 어댑터 튜브(217)와 유사한 구조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조 또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중심선과 공기 입구(3062) 사이의 수직 방향을 따른 거리가 L1이고,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중심선과 배플 플레이트(3063)의 바닥 단부 사이의 거리가 L2이다. 기존 오물 출구(3021)가 위쪽을 향하도록 배열된다면, 기존 혼합 기체(c)가 사이클론 필터조립체(305)로 유입되기 전에 통과하는 경로는 L1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플(3063)의 배열을 통해 혼합 기체(c)가 적어도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 진입하기 전에 통과하는 경로가 2*L2+L1이 되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 진입하기 전에 혼합 기체(c)가 통과하는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당연히, 혼합 기체(c)가 통과하는 경로는 혼합 기체(c)가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을 따른 오물 저장 박스(300)의 길이를 적당하게 하고, 오물 저장 박스(300)가 수직 방향으로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물 저장 박스(300)의 L2/L1 비율을 0.9 내지 3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본체(301)의 내벽의 최대 폭은 W1이며, 수평 방향을 따른 오물 출구(3021)로부터 멀어지는 입구 포트(3062) 측과 오물 출구(3021) 사이의 거리가 W2이고, W2/W1 비율은 3/4 내지 7/8이다. 상기 크기에 따르면, 박스 본체(301)의 제한된 공간에서, 입구 포트(3062)와 오물 출구(3021)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크게 함으로써, 혼합 기체(c)가 오물 출구(3021)부터 입구(3062)까지의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는 거리를 최대한 길게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단부면과 파이프 본체(3022)의 외주면 사이의 수평 방향을 따른 거리가 L3이고, 수평방향을 따른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단부면과 박스 본체(301)의 내벽은 L4이고, L3/L4의 비율은 1/2 내지 1의 범위에 있어 오물 출구(3021)로부터 박스 본체(301)의 내벽까지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오물 출구(3021)에서 분무되는 혼합 액체(a)가 다량으로 유입되어 박스 본체(301)의 내벽과 걸림벽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혼합 액체(a)에 있는 다량의 마른 쓰레기(또는 고형 쓰레기라 함)를 박스 본체(301)의 내벽에 걸게 하고, 혼합 액체(a)에 있는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의 양호한 분리 효과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3063)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러그 홈(30631)이 제공되고, 플러그 홈(30631)은 배플 플레이트(3063)의 하단 단부에 플러그-인 포트(30632)를 형성하고, 제2 파이프라인(30233)은 플러그-인 포트(30632)에 의해 플러그 홈(30631)으로 꽂고 플러그 홈(30631)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플러그 홈(30631)은 제2 파이프라인(30233)과 호환 가능하여, 커버 본체(306)를 박스 본체(301)에 설치할 때 안내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제2 파이프라인(30233)은 플러그 홈(30631)과 호환되어 커버 본체(306)와 박스 본체(301)를 안정적으로 만들고, 오물 저장 박스(300)는 사용 과정에서 커버 본체(306)와 박스 본체(301)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4 및 도 25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튜브(3023)는 차단 플레이트(30234)를 추가로 포함한다. 차단 플레이트(30234)는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주변에 제공되고 상향 방향 및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단 플레이트(30234)는 제2 파이프라인(30234)이 플러그 홈(30631)에 꽂힐 때 배플 플레이트(3063) 일측에 제공된다. 차단 플레이트(30234)는 플러그 홈(30631)을 차단하고, 차단 플레이트(30234) 및 배플 플레이트(3063)는 완전한 차폐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혼합 기체(c)의 일부가 플러그 홈(30631)을 직접 통과하여 공기 입구(306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혼합 기체(c)가 채널을 통과한 후 공기 입구(3062)로 유입되고, 혼합 기체(c)는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통과하여 수분과 먼지의 자동 분리가 향상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개체의 표면을 따라 혼합 액체의 궤적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혼합 액체(a)의 마른 쓰레기(f)가 개체의 표면에 많이 남게 되어, 혼합 액체(a)에 있는 마른 쓰레기(f) 및 젖은 쓰레기(b)의 일정한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3 및 도 24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홈(30631)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세그먼트(30633) 및 안내 세그먼트(30634)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포트(30632)는 플러그 세그먼트(30633)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플러그 세그먼트(30633)의 폭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감소하고, 플러그 세그먼트(30633)의 상단부의 폭은 안내 세그먼트(30634)의 폭과 동일하며, 안내 세그먼트(30633)의 폭은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직경과 동일하다. 플러그 세그먼트(30633)의 배열을 통해 제2 파이프라인(30233)이 점차적으로 플러그 세그먼트(30633)로부터 안내 세그먼트(30634) 내로 활주함에 따라, 플러그 홈(30631)과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정렬에 특정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원주 방향을 따라 플러그 세그먼트(30633)와 제2 파이프라인(30233)의 정확한 정렬을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라인(30231)에는 제1 관통 홀(302311)과 바닥에서 상단으로 연결되는 제2 관통 홀(302312)이 제공되고, 제2 관통 홀(302312)은 전이 파이프(30232)에 연결된다. 제1 관통 홀(302311)의 단면적은 제2 관통 홀(302312)의 단면적보다 크고, 맞닿음 면(302313)은 제1 관통 홀(302311)과 제2 관통 홀(302312)의 접합 위치에 형성된다. 튜브 본체(3022)는 제1 관통 홀(302311)에 꽂혀 있고 맞닿음 면(302313)에 맞닿아 있는데, 이는 튜브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가 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튜브 본체(3022)와 어댑터 튜브(3023)를 함께 조립하는 효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도 19, 도 20, 도 22 및 도 27을 결합하여, 사이클론 필터조립체(305)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요 본체(3061)에는 공기 입구(3062)와 연결되는 수용 공동(3064)이 제공되고, 주요 본체(3061)에는 수용 공동(3064)이 제공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수용 공동(3064)에 제공되어 주요 본체(3061)와 연결된다. 주요 본체(3061)에는 혼합 기체(c)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혼합 기체(c)가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공기 입구(3062), 수용 공동(3064), 및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통과하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세정 가스(e)가 배출되고, 사이클론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혼합 기체(c) 중의 먼지(d)가 사이클론의 작용과 중력의 작용을 받아 주요 본체(3061)에 잔류함으로써, 세정 가스(e)와 먼지(d)의 우수한 분리 효과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3061)는 주요 본체(30611)의 상단부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주요 본체(30611)의 상단부에는 수용 공동(3064)과 연결된 플러그 계면(30612)이 제공되고, 싸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플러그 계면(30612)을 통해 수용 공동(3064)에 삽입되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와 주요 본체(3061) 사이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와 커버 본체(306)의 신속한 조립 및 분리를 실현하고, 조작자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의 불순물을 세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미래의 먼지에 대한 상대적으로 큰 여과 효과를 갖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박스 본체(301)에서 커버 본체(306)를 분리한 후, 커버 본체(306)로부터 사이클론 필터조립체(305)를 여과함으로써, 사이클론 필터조립체(305) 및 커버 본체(306) 사이의 사이클론 채널을 막고 있는 불순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사이클론 채널을 세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7, 도 28, 도 29 및 도 30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연통 튜브(3051) 및 제1 클램핑 부분(3052)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튜브(3051)에는 연통 튜브 채널이 제공되고, 연통 튜브 채널은 상부 개방 단부와 하부 개방 단부를 갖는다. 상부 개방 단부는 공기 출구 포트(30511)이고, 제1 클램핑 부분(3052)은 연통 튜브(3051)의 주변에 배열되고,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주변은 수용 공동(3064)의 측벽에 맞닿고, 제1 클램핑 부분(3052)은 연통 튜브(3051)에 연결된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를 포함하고,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는 연통 튜브(3051)의 주변 주위에 나선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 연통 튜브(3051) 및 주요 본체(3061)는 함께 사이클론 채널을 형성한다. 공기 입구(3062)는 사이클론 채널과 연통되며, 혼합 기체는 공기 입구(3062), 사이클론 채널, 연통 튜브(305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사이클론 먼지와 가스 분리를 실현한 후 세정 가스(e)가 연통 튜브(3051)의 상단부에 있는 출구(30511)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7, 도 28 및 도 29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052)은 주변 측면 플레이트(30522), 차단 배플(30523) 및 상단 플레이트(30524)를 추가로 포함한다. 주변 측면 플레이트(30522)는 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펼쳐진 주변 측면 플레이트(30522)의 폭이 점차 넓어진다. 주변 측면 플레이트(30522)는 연통 튜브(3051)의 주변에 배치되어 연통 튜브(3051)의 주변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주변 측면 플레이트(30522)의 하단선은 연통 튜브(3051)의 주변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을 이룬다. 폭이 큰 일 단부(자유 단부)가 연통 튜브(3051)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하단선은 연결 파이프(3051)의 주변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자유 단부는 차단 플레이트(30523)를 통해 연결 파이프(3051)의 주변에 차단되어 연결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상단부는 차단 플레이트(30523)를 통해 연결 파이프(3051)의 주변에 연결된다. 연결 파이프(3051)의 외주면은 상단 플레이트(30524)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하단부는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를 통해 연결 파이프(3051)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는 연결 파이프(3051)를 원주방향 360도 초과의 각도로 감싸고 있으며,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 중 하부에 배치된 부분이 상부 부분(30521)의 아래에 그리고 정반대에 배치된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의 부분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정반대의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30521)의 위의 두 부분은 오목한 공간을 형성한다. 오목한 공간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입구(306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052)은 플러그 포트(30612)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포트(30612)로부터 유입된 혼합 기체(c)가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차단으로 하향으로 이동한다. 도 19, 도 27,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기체(c)가 나선형 베이스 플레이트(30521)의 안내작용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차단 효과와 나선형 베이스 플레이트(30521)의 안내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혼합 기체(c)가 나선형 하강 운동을 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큰 사이클론 분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분리 작용에 의해 얻은 세정 가스는 연통 튜브(3051)의 하부 개방 단부로부터 유입되어 공기 출구(30511)로 상향으로 이동하여 사이클론 필터조립체(305)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19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30524)에는 공기 출구(30511)와 연결되는 상단 플레이트 개구(305241)가 제공되고, 공기 출구(30511)에서 배출되는 세정 가스가 상단 플레이트 개구(30524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단면의 외부 윤곽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동(3064)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연결된 제1 공동과 제2 공동을 포함하며, 제1 공동의 크기 및 형상은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것과 정합하며, 제2 공동의 단면적은 제1 공동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이로 인해 제1 클램핑 부분(3052)이 제1 공동의 위치에서 클램핑된다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 및 커버 본체(306)의 양호한 클램핑 고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핑 부분(3052)의 단면의 외부 윤곽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차 감소하므로, 사용자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수용 공동(3064)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예: 도 8에 도시된 사이클론 분리 구조(260))와 연성 고무(305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는 수용 공동(3064) 내에 배치되고, 연성 고무(3054)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에 연결되고 연성 고무(3054)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주변 밖으로 돌출되며,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주변 밖으로 돌출된 연성 고무(3054)는 커버 본체의 상단부(30611)에 연결된다. 커버 본체의 상단부(30611)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 대한 큰 지지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더욱이 연성 고무(3054)의 부드러운 질감으로 인해 연성 고무(3054)가 장기간 동안 커버 본체 상단부에 접촉되더라도, 연성 고무(3054)나 커버 본체 상단부(306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9,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고무(3054)는 제2 상단부면(30541) 및 제2 상단부면(30541)과 연결되는 연결 부분(30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단부면(30541)은 상단 플레이트(30524)의 상면에 배치되고, 연결 부분(30542)는 상단 플레이트(30524)의 주변에 클램핑되며, 제2 상단부면(30541)에 인접한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위치에는 환형 스냅핑 홈(305243)이 제공된다. 연결 부분(30542)의 일부는 클램핑 홈(305243)에 수용되고, 연결 부분(30542)의 일부는 원주 측면 플레이트(30522)의 주변 밖으로 돌출되어, 연성 고무(3054) 및 상단 플레이트(30524) 사이에 고정을 실현한다. 도 19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부면(30541)에는 상부 개구(30544)가 제공되고, 상단 플레이트 개구(305241)에서 배출되는 세정 가스가 상부 개구(30544)를 통해 배출되고 그 후에 클리닝 장치(100)의 모터로 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고무(3054)는 그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러그(30543)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30524)는 2개의 러그 클램핑 부분(305242)을 포함한다. 2개의 러그 클램핑 부분(305242)의 각각은 대응하는 2개의 러그 클램핑 부분(305242)의 주변에 클램핑 및 슬리브되어, 2개의 러그(30543)와 러그 클램핑 부분(305242) 사이의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조작자는 2개의 러그(30543)를 당겨 커버 본체(306)에서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제거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 힘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상단 커버(3065)를 더 포함한다. 상단 커버(3065)는 주요 본체(3061)의 상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주요 본체(3061)의 로킹 구조 및 요철 구조를 차폐하는 효과를 실현하며, 오물 저장 박스(300)의 미적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커버(3065)에는 러그(305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30651)이 제공되고,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커버 본체(306)에 설치될 때, 러그(30543)는 대응 홈(30651)에 위치되고, 홈(30651)의 배열은 러그(30543)에 대한 양호한 회피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커버 본체(306)에 설치되면, 러그(30543)의 상면이 상단 커버(3065)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오물 저장 박스(300)의 상단부가 평탄하고, 매력적인 외모를 갖도록 실현한다. 또한, 러그(30543)의 측면은 수평 방향을 따라 홈(30651)의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러그(30543)의 바닥면은 홈(3065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이는 조작자가 위의 간격을 통해 손을 뻗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러그(30543)를 잡을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30,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커버(3065)는 제1 상단부면(30652)을 포함한다. 제1 상단부면(30652)은 수평면과 사전 설정된 협각으로 제공되고, 연결 부분(30542)의 바닥면은 수평면에 대해 사전 설정된 협각으로 제공되고, 주요 본체(3061)의 상단부는 수평면에 대해 사전 설정된 협각으로 제공된다. 제1 상단부면(30652)과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사전 설정된 제1 협각이고, 연결 부분(30542)의 바닥면과 연결 부분(30542)의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사전 설정된 제2 협각이고, 주요 본체(3061)의 상단부와 주요 본체(3061)의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제3 사전 설정된 협각이다. 주요 본체(3061)의 상단부가 연결 부분(30542)의 바닥면에 접촉되면, 제1 상단부면(30652)은 제2 상단부면(30541)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조의 배열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커버 본체(306)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수평방향을 따라 180도 회전시켜 커버 본체(306)에 설치하면, 먼저 제1 상단부면(30652)과 제2 상단부면(30541)은 협각으로 배열될 수 있고, 평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었음을 조작자가 쉽게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7,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3061)의 하단부에는 연통 튜브(3051) 하부에 위치된 먼지 배출 포트(30613)가 제공된다. 커버 본체(306)는 어댑터 튜브(3023)에 연결된 먼지 축적 배럴(3066)을 더 포함하고, 먼지 축적 배럴(3066)은 먼지 배출 포트(30613) 밑에 위치하며, 먼지 축적 배럴(3066)의 상단부에는 먼지 환기 입구(30661)가 제공된다. 주요 본체(3061)가 박스 본체(301)에 끼워질 때, 먼지 배출 포트(30613)와 먼지 입구 포트(30661)가 정반대로 배열되어 수용 공동(3064) 내부의 먼지(d)가 먼지 배출 포트(30613) 및 먼지 입구 포트(30661)를 거쳐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먼지 축적 배럴(3066)로 들어가고, 먼지 축적 배럴(3066)은 먼지(d)의 저장을 실현할 수 있다. 조작자가 박스 본체(301)에서 커버 본체(306)를 제거할 때, 조작자는 먼지 축적 배럴(3066)을 손으로 잡아 먼지 축적 배럴(3066)과 어댑터 튜브(3023)를 박스 본체(301)에서 함께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 의한 먼지 축적 배럴(3066), 어댑터 튜브(3023) 및 필터 기구(307)의 클리닝 및 안착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따른 먼지 축적 배럴(3066)의 상단부면과 개구(308)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20㎜ 범위 내로 되어 있고, 이는 먼지 축적 배럴의 픽업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축적 배럴(3066)과 어댑터 튜브(3023)를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먼지 축적 배럴(3066) 및 어댑터 튜브(3023)의 설치 효율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필터 그릴(3067)을 더 포함한다. 필터 그릴(3067)은 먼지 배출 포트(30613)에 배치되고, 수용 공동(3064)의 혼합 기체(c)는 필터 그릴(3067)에 접촉하고, 이는 혼합 기체(c)로부터 더 많은 먼지(d)가 분리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세정 가스(e)로부터 먼지(d)의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그릴(3067)은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와 복수의 연결 로드(30672)를 포함하며,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는 먼지 배출 포트(30613)의 중간에 위치한다. 각각의 연결 로드(30672)는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와 주요 본체(3061)에 각각 연결되며,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의 주변에는 복수의 연결 로드(3067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제공된다. 도 19에 도시된 먼지(d)는 2개의 인접한 연결 로드(3067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먼지 축적 드럼(306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본체(3061)는 또한 주요 본체(3061)의 하부 위치에 위치한 하부 플러그 단부(30614)를 포함하고,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의 하단부에는 먼지 배출 포트(30613)를 구비하고,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의 하단부는 먼지 입구(30661)를 통해 먼지 축적 배럴(3066)에 소켓결합된다.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와 먼지 입구(30661)의 조화로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공기 연도와 먼지 입구(30661)의 빠르고 정확한 정렬 플러그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와 먼지 입구(30661) 사이의 협력은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공기 연도와 먼지 입구(30661) 사이의 빠르고 정확한 정렬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소켓 단부(30614)의 단면적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하부 소켓 단부(30614)는 먼지(d)에 대한 임의의 수렴 효과를 가지며 먼지(d)를 먼지 축적 배럴(3066)에 모아, 먼지(d)가 먼지 축적 배럴(3066)로 들어갈 가능성을 높이고, 먼지 배출 포트(30613)가 먼지(d)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밀봉 구조(3068)를 더 포함한다. 밀봉 구조(3068)는 먼지 입구(30661)에 배치되고, 하부 플러그 단부(30614)가 먼지 입구(30661)에 소켓결합되면, 밀봉 구조(3068)가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의 주변에 밀봉 및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밀봉 구조(3068)의 배열은 오물 출구에서 배출된 혼합 기체(c)가 하부 플러그 단부(30614)와 먼지 축적 배럴(3066) 사이의 틈을 통해 먼지 축적 배럴(306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혼합 기체(c)가 먼지 축적 배럴(3066) 내의 먼지(d)를 휘젓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d)가 배출을 위해 들어올려져서 공기 출구(3051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 출구(30511)가 세정 가스(e)를 배출하는 것을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제2 차폐 플레이트(3069)를 더 포함한다. 제2 차폐 플레이트(3069)는 주요 본체(3061)에 연결되고, 제2 차폐 플레이트(3069)는 연결 파이프(3051)의 하단부와 먼지 배출 포트(30613) 사이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의 배열은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덕트 내부의 기류가 먼지 축적 드럼(3066) 내의 먼지(d)를 휘저어 먼지(d)가 저장 박스(300)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의 기류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덕트 내의 기류가 먼지 축적 배럴(3066) 내의 먼지(d)를 휘젓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d)가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로 유입된 후 오물 저장 박스(300)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차폐 플레이트(3069)가 중앙 배플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위치에 먼지(d)가 쌓여 먼지 배출 포트(30613)가 막힐 수 있으므로, 제2 차폐 플레이트(3069)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공기 연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와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의 연결 위치에 쌓인 먼지를 쉽게 세정할 수 있어 먼지 배출 포트(30613)의 원활함이 보장되고, 먼지(d)에 대한 먼지 축적 배럴(3066)의 우수한 재순환 효과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와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를 나사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와 중앙 배플 플레이트(30671)를 신속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는 핀, 클램핑 구조 등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의 길이방향 단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곡선형상(즉, 곡선형상이 상향으로 올라간 형상)을 이룬다. 수평 돌출 면적이 동일할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2 차폐 플레이트(3069)의 표면적이 크고,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공기 연도에 유입되는 혼합 기체(c)와 제2 차폐 플레이트(3069)가 접촉할 확률이 크다. 혼합 기체(c) 내부의 고체 입자가 혼합 기체(c)와 접촉하는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혼합 기체(c)와 세정 가스(e) 중의 많은 양의 먼지(d)의 분리가 실현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많은 양의 먼지(d)를 제거하고 먼지(d)가 공기 출구(5111)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300)는 박스(301) 내부에 배치된 필터 기구(307)를 더 포함한다. 필터 기구(307)는 오물 출구(3021)와 바닥면(303) 사이에서 수직 방향[즉, 장치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혼합 액체(a)는 필터 기구(307)를 통과하여 흐르고, 혼합 액체(a) 내의 마른 쓰레기(f)는 필터 기구(307)에 머문다. 혼합 액체(a) 내의 젖은 쓰레기(b)는 필터 기구(307)와 바닥면(30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필터 기구(307)는 혼합 액체(a)로부터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저장 박스(300)를 크게 세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저장 박스(300)의 3차 여과 공정을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기구(307)가 박스 본체(301)의 바닥면(303)과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 사이에 배치되므로, 필터 기구(307)도 필터 기구(307) 아래에 저장된 젖은 쓰레기(b)에 일정한 차단성을 가질 수 있어, 저장 박스(300)의 진동으로 인해 젖은 쓰레기(b)가 공기 입구(3062) 위치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 헤파와 모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모터의 단락을 방지한다.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도 1 내지 도 7의 클리닝 장치(100)와 같은)는 3가지 필터 공정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하나의 클리닝 장치(100)만 구입하면 다양한 환경의 세정을 실현함으로써, 진정한 다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의 클리닝 장치나 다른 클리닝 장치를 번갈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의 작동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출구(3021)는 오물 파이프(302)의 측면에 그리고 박스 본체(301)의 내측벽과의 정반대에에 제공될 수 있으며, 마른 쓰레기(f)의 일부가 오물 출구(3021)로부터 혼합 액체(a)가 박스 본체(301)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하는 동안 박스 본체(301)의 내측벽에 유지되어, 혼합 액체(a)의 마른 쓰레기(f) 및 혼합 액체(a)의 젖은 쓰레기(b) 사이의 분리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마른 쓰레기(f)가 박스 본체(301)의 내측벽에 부착되어 어느 정도 자연 건조되면, 마른 쓰레기(f)는 박스 본체(301)의 내측벽에서 필터 기구(307)로 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튜브(3023)가 필터 기구(307)에 연결되어, 조작자가 박스 본체(301)에서 커버 본체(306)를 제거할 때, 먼지 축적 배럴(3066)을 수용하는 조작자가 박스 본체(301)에서 먼지 축적 배럴(3066)과 어댑터 튜브(3023)를 함께 제거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자가 먼지 축적 배럴(3066), 어댑터 튜브(3023) 및 필터 기구(307)를 큰 세정 효과로 세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필터 기구(307)에 연결되는 긴 로드를 배열할 필요가 없어 오물 저장 박스(300)의 구조가 단순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튜브(3023)는 필터 기구(307)에 선회식으로 연결되고, 조작자는 어댑터 튜브(3023)를 손으로 잡고 필터 기구(307)를 어댑터 튜브(3023)에 대해 회전시켜서, 어댑터 튜브(3023)의 축은 필터 기구(307)의 축에 대해 90도로 배열되고, 어댑터 튜브(3023)의 일부는 필터 기구(307)의 주변 밖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어댑터 튜브(3023)는 상대적으로 깨끗하므로, 조작자가 필터 기구(307) 내부의 마른 쓰레기(f)를 세정할 때, 필터 기구(307)의 내면은 아래쪽을 향하고 조작자는 필터 기구(307)의 원주 밖으로 돌출된 어댑터 튜브(3023)의 일부를 손으로 잡아서, 수직 방향을 따라 떨어지는 필터 기구(307) 내부의 마른 쓰레기(f)가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지 않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기구(307)의 구조를 도 19, 도 25, 도 27과 함께 도시하며, 도 19, 도 25,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기구(307)는 연결 로드(3071)와 필터 바스켓(3072)을 포함한다. 연결 로드(3071)는 어댑터 튜브(302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필터 바스켓(3072)은 연결 로드(3071)에 연결된다. 필터 바스켓(3072)에는 필터 홀이 제공되고, 필터 바스켓에 유입되는 마른 쓰레기(f)는 필터 바스켓(3072)에 저장된다. 필터 바스켓(3072) 내부의 수용 공동이 상대적으로 크고, 대용량의 마른 쓰레기(f)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필터 기구(307)의 클리닝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클리닝 장치(100)의 연속적인 작동 시간과 작동 가능한 클리닝 영역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바스켓(3072)의 구조는 도 19,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바스켓(3072)은 지지 골격(30721)과 필터 메시(30722)를 포함한다. 지지 골격(30721)의 상단부에는 베어링 포트(30723)가 제공되고, 지지 골격(30721)의 원주측에는 설치 포트(30724)가 제공되며, 필터 메시(30722)에는 복수의 제1 필터 홀(30725)이 제공되고, 필터 메시(30722)는 설치 포트(30724)에서 차단된다. 파쇄된 종이 및 머리카락을 청소하는 등과 같이 대용량의 마른 쓰레기(f)를 세정하는 상황과 먼지가 많이 포함된 진흙탕을 세정하는 상황에서 클리닝 장치(100)가 적용되는 많은 환경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필터 메시(30722)의 제1 필터 홀(4221)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일치시키고 오물 저장 박스(300)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메시(30722)는 도 10에 도시된 필터 메시(213)일 수도 있고, 필터 메시(213)와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5,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메시(30722)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함으로써 필터 바스켓(3072) 내부의 저장 공간을 크게 하여 필터 바스켓(3072)에 있는 다량의 마른 쓰레기를 저장 및 재순환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메시(30722)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필터 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터 천은 작은 먼지 입자를 여과할 수 있고 금속 플레이트는 강도와 경도가 상대적으로 커서 필터 메시(30722)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 면적의 설치 포트(30724)에 설치된 볼록 필터 메시(30722)의 표면적은 크고, 볼록 필터 메시(30722)에 제1 필터 홀(30725)의 개수가 많아, 혼합 액체(a) 중의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를 분리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골격의 구조는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되고,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골격(30721)은 격벽 플레이트(30726) 및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를 포함한다. 격벽 플레이트(30726)에는 복수의 제2 필터 홀(30728)이 구비된다.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는 격벽 플레이트(30726)와 연결되어 격벽 플레이트(30726)와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제공된 복수의 설치 포트(30724)를 포함한다. 필터 메시(30722)는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어 링형 구조를 이루고, 필터 메시(30722)의 일부 외면은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내면과 접한다. 복수의 설치 포트(30724)의 차단은 단 하나의 필터 메시(30722)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한 필터 바스켓(3072)에 대한 신속한 조립을 향상시키고 필터 바스켓(3072)의 분해 및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30726)는 도 10에 도시된 격벽 플레이트(203)이거나 또는 격벽 플레이트(203)와 유사 구조이거나 또는 동일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는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212)이거나, 또는 프레임(212)과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와 프레임(212)의 조합은 배플 벽(예: 도 10에 예시된 배플 벽(21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0726)과 박스 본체(301)의 바닥면(303) 사이의 거리가 L5이고, 박스 본체(301)의 높이가 H이며, L5/H 비율이 1/3 내지 1/2이다. 즉 박스 본체(301) 용적의 1/3 내지 1/2가 젖은 쓰레기(b)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클리닝 장치(100)는 다량의 젖은 쓰레기(b)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높이는 20 ㎜ 내지 50㎜ 일 수 있다. 격벽(30726)만 있는 지지 골격(30721)에 비해, 필터 바스켓(3072)의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있어 마른 쓰레기(도 19에 도시된 마른 쓰레기(f))를 저장하는 수용 공간을 늘리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필터 바스켓(3072)은 마른 쓰레기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0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홀(30728)은 세장형 홀이고, 복수의 제2 필터 홀(30728)은 격벽 플레이트(30726)의 중심선 주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격벽 플레이트(30726)의 각 위치에서 젖은 쓰레기(도 19에 도시된 젖은 쓰레기(b))의 균일한 하향 유동을 실현할 수 있고, 제2 필터 홀(30728)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제2 필터 홀(30728)의 일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터 바스켓(3072)의 고체 액체 분리 효율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0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726)의 중앙에 관통 홀(30729)이 제공되고, 튜브 본체(3022)는 관통 홀(30729)을 통과하여 어댑터 튜브(3023)와 연결되어서, 필터 바스켓(3072)은 클리닝 장치(100)를 기울이거나 편평하게 눕힐 때 박스(301) 내에서 왜곡되지 않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홀(30729)은 도 10에 도시된 설치 홀(214)일 수도 있거나, 또는 설치 홀(214)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오물 저장 박스(4)의 설치 홀(21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오물 저장 박스(30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관통 홀(30729)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도관(30730)을 형성하고, 튜브 본체(3022)는 도관(30730)에 끼워지며, 튜브 본체(3022)의 외주면은 도관(30730)의 내벽에 압착되며, 이는 필터 바스켓(3072)과 튜브 본체(3022)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개선할 수 있고, 필터 바스켓(3072)이 박스 본체(301)에서 왜곡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관(30730)은 도 10에 도시된 환형 배플(215)일 수 있거나 또는 환형 배플(215)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거나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 도 20,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3022)의 외주면과 도관(30730)의 내벽이 억지 끼워맞춤을 이루게 되어, 필터 바스켓(3072)과 튜브 본체(3022) 사이의 우수한 고정 효과를 실현하여, 필터 바스켓(3072)이 박스 본체(301)의 바닥면(303)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른 쓰레기(f)를 걸러낸 젖은 쓰레기(b)에 필터 바스켓(3072)이 다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열되도록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튜브 본체(3022)의 직경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중간 위치에서의 튜브 본체(3022)의 외경은 도관(30730)의 내부 홀의 직경과 동일하여, 튜브 본체(3022)의 중간 위치에서 필터 바스켓(3072)을 튜브 본체(3022)와 고정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튜브 본체(3022) 상단부의 직경은 도관(30730)의 내부 보어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는 또한 조작자가 필터 바스켓(3072)을 튜브 본체(3022)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 플레이트(30726)는 관통 홀(30729)로부터 격벽 플레이트(30726)의 에지까지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데, 이는 혼합 액체가 아래쪽으로 흐르는 경향을 갖게 하여, 필터 바스켓(3072)의 고체 액체 분리 효과를 개선하고, 액체가 격벽 플레이트(30726)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격벽 플레이트(30726)의 수평면 돌출 면적이 확실한 경우, 상기 구조는 격벽 플레이트(30726)의 전체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복수의 제2 필터 홀(30728)의 총 면적이 커서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상단부의 에지가 박스 본체(301)의 내주면과 밀봉 접촉된다. 따라서, 먼저 큰 입자 또는 많은 양의 마른 쓰레기(f)가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상단부 에지와 박스 본체(301)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지 못하여, 필터 기구(307)의 분리 작용을 거친 후, 큰 입자 또는 많은 양의 마른 쓰레기(f)가 필터 기구(307)에 남게 되고, 필터 기구(307)의 젖은 쓰레기(b)에 큰 입자나 다량의 마른 쓰레기(f)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터 기구(307)와 바닥면(303) 사이의 젖은 쓰레기(b)는 환형 주변 플레이트(30727)의 상부 에지와 박스 본체(301)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지 못하여 필터 기구(307)와 바닥면(303) 사이의 젖은 쓰레기(b)가 진동으로 인해 필터 기구(307)에 유입될 가능성이 완전히 방지된다. 물론,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상단부 에지는 박스 본체(301)의 내주면과 밀봉접촉되므로, 오물 저장 박스(300)가 진동하는 경우에도, 필터 바스켓(3072)과 박스 본체(301)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측 주변 플레이트(30727)의 단면적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필터 메시(30722)와 박스 본체(301)의 내부 주변 사이에 틈이 있고, 젖은 쓰레기(b)는 필터 메시(30722) 상의 제1 여과 개구(4221)를 통해 필터 기구(307)와 바닥면(30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혼합 액체(a)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켜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세 가지의 작동조건에 따른 오물 저장 박스(300)의 작동 원리를 도 19와 연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예: 도 1 내지 도 7의 클리닝 장치(100))가 진공 청소만을 수행하는 경우, 유체(M)는 단지 먼지와 공기를 포함하고, 오물 출구(3021)에서 배출되는 유체(M)의 먼지 중 일부는 하향 이동하여 필터 바스켓(3072)에 낙하되고, 다른 일부 먼지는 공기와 혼합되어 세정 가스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공기 입구(3062)를 통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 들어가고, 먼지(d)는 먼지 축적 드럼(3066)에 남고, 세정 가스(e)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예: 도 1 내지 도 7의 클리닝 장치(100))가 물 흡인 조건만을 수행하는 경우, 유체(M)는 단지 물과 공기를 포함하며, 오물 출구(3021)에서 배출되는 유체(M) 중의 물이 하향 이동하여 박스(301) 바닥에 저장됨으로써, 오물의 회수가 가능하게 된다. 유체(M)에 혼합된 공기는 공기 입구(3062)와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를 차례로 통과한 후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예: 도 1 내지 도 7의 클리닝 장치(100))가 먼지와 물의 혼합물 작동 조건을 수행할 때, 유체(M)는 오물 출구(3021)에서 혼합 액체(a)와 혼합 기체(c)로 분리되고, 혼합 액체(a)는 대체로 하향 이동하는 경향을 갖는다. 혼합된 액체(a)는 마른 쓰레기(f)와 젖은 쓰레기(b)(또는 젖은 쓰레기(또는 액체 쓰레기라고도 함))로 분리되고, 마른 쓰레기(f)는 필터 기구(307)에 남고 젖은 쓰레기(b)는 필터 기구(307)의 바닥으로 들어간다. 혼합 기체(c)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서 세정 가스(e)와 먼지(d)로 분리되고, 먼지(d)는 먼지 축적 배럴(3066)에 남고 세정 가스(e)는 공기 출구(30511)를 통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305)에서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300)의 커버 본체(306)에는 먼지 축적 배럴(3066)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는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본체(3061)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폐 플레이트(30615)가 박스 본체(301)에 꽂히고, 튜브 본체(3022)의 상단부가 제1 차폐 플레이트와 맞닿아,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가 먼지 배출 포트(30613)를 밀봉하고, 주요 본체(3061)와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 사이에는 먼지(예: 도 19에 도시된 먼지(d))가 저장될 수 있다. 커버 본체(306)가 박스 본체(301)에서 제거되면, 제1 차단 플레이트(30615)가 사이클론 필터 기구(3053)의 덕트에 대해서 중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그에 의해서 먼지 배출 포트(30613)의 개방을 실현하고, 먼지 저장 공간의 먼지는 먼지 배출 포트(30613)를 통해 아래의 필터 바스켓(3072)으로 자동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조작자는 필터 바스켓(3072)을 청소할 때 먼지와 마른 쓰레기(예, 도 19의 마른쓰레기(f))를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는 선회 샤프트에 의해 주요 본체(3061)와 연결될 수 있다. 선회 샤프트에는 토션 스프링이 슬리브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들은 각각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와 주요 본체(3061)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어서, 커버 본체(306)를 박스 본체(301)에서 제거할 때, 토션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가 자동으로 먼지 배출 포트(30613)를 개방함으로써, 먼지가 필터 바스켓(3072)으로 많이 떨어지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이 자연상태일 때,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가 먼지 배출 포트(30613)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60도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주요 본체(3061)가 박스 본체(301)에 꽂혀질 때, 튜브 본체(3022)는 제1 차폐 플레이트(30615)를 원활하게 밀어 먼지 배출 포트(30613)를 막는 데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파이프(302)를 일체형으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오물 파이프(302)의 가공 및 성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306)에는 먼지 축적 배럴(3066)의 배열이 생략되므로, 박스 본체(301) 내부의 가용 공간이 넓어진다. 배플 플레이트(3063)는 링형으로 배열되어 오물 출구(3021)와 가까운 오물 파이프(302)의 주변원을 둘러싸도록 하여, 오물 파이프(302) 주변의 배플 플레이트(3063)의 면적이 커지도록 할 수 있으며, 혼합 액체(예: 도 19에 도시된 혼합 액체) 내의 많은 양의 마른 쓰레기가 배플 페일(3063)의 고체 표면에 남을 수 있어 혼합 액체에 있는 젖은 쓰레기(예: 도 19에 도시된 젖은 쓰레기(b))로부터 마른 쓰레기를 분리하는 우수한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4에 도시된 필터 기구(307)의 구조는 본 개시물의 다른 실시예의 필터 기구(307)(예: 도 19에 도시된 필터 기구(307))의 필터 기구(307)와 약간 다를 수 있고, 둘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기구(307)는 리프팅 핸들(3073) 및 필터 바스켓(307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필터 바스켓(3072)은 리프팅 핸들(3073)에 연결되어, 핸들(3073)의 상단부면과 개구(308) 사이의 수직 방향을 따른 거리는 10㎜ 내지 20㎜ 범위 내에 있다. 커버 본체(306)를 박스 본체(301)에서 제거할 때, 사용자는 핸들(3073)을 수용하여 필터 바스켓(3072)을 박스 본체(301)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 기구(307)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073)은 연결 로드(30731)와 핸들 부분(30732)을 포함한다. 연결 로드(30731)의 일 단부는 필터 바스켓(3072)에 연결된다. 핸들 부분(30732)은 연결 로드(3073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핸들(3073)의 폭은 연결 로드(30731)의 폭보다 크고, 핸들 부분(30732)은 조작자의 수용 및 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핸들(3073)은 연결 플레이트(30733),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를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30733)는 연결 로드(3073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은 모두 연결 플레이트(30733), 제1 측면 플레이트(30735),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에 수직하여 일측에 위치한다.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와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는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의 양측에 연결된다.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와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 사이의 간격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며, 반전된 사다리꼴 핸들(3073)은 조작자가 파지하기에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기구(307)는 보강 플레이트 보강재(30739)를 더 포함한다. 보강 플레이트 보강재(30739)는 연결 로드(30731)와 핸들(3073) 사이에 연결되어, 필터 기구(307)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경도화하여, 필터 기구(307)의 반복 픽업시에 발생하는 변형문제를 방지하고, 필터 기구(307)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작자의 핸들 부분(30732)에 대한 파지 효과를 향상시키고 손과 핸들 부분(30732) 사이의 미끄러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패턴이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 및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의 외면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 및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에는 복수의 통기성 홀(30737)이 간격을 두고 제공되고, 통기성 홀들(30737) 사이에는 미끄럼방지 패턴이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분(30732)은 공기 입구(3062) 아래에 위치하고 공기 입구(3062)의 정반대에 위치한다. 혼합 기체(예: 도 19에 도시된 혼합 기체(c))는 통기성 홀(30737)을 통해 공기 입구(3062)로 진입한 후 사이클론 채널로 진입하여 사이클론 효과를 발휘하며, 혼합 기체는 공기 입구(3062)에 진입하기 전에 제1 측면 플레이트(30734), 제2 측면 플레이트(30735), 제3 측면 플레이트(30736)에 충돌한다. 혼합 기체 중 고체 입자의 일부는 충돌과정에서 필터 기구(307)로 자유낙하 이동하여, 세정 가스(예: 도 19에 도시된 세정 가스(e))를 만들 수 있고, 이는 후속적으로 공기 입구(3062)로부터 깨끗하게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0726)에는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설치하여 오물 파이프(302)에서 박스 본체(301)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물이 저장을 위해 적어도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하부 공간으로 진입하여, 하부 공간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30738)는 위에서 설명한 역류 방지 구조(230)(예: 도 8)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예: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100))의 경우, 장치 본체(1)(또는 오물 저장 박스(300))가 실질적으로 직립 자세(예: 수평면에 대해 60도 내지 90도 각도, 이하 "직립"이라 함)일 때, 오물은 오물 파이프(302) 내부로 흡입되어 오물 파이프(302)에서 상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하부 공간에 저장된다. 장치 본체(1)(또는 오물 저장 박스(300))가 크게(예: 수평면을 기준으로 30도 이하, 심지어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도 정도의 각도로, 이하 '평탄화'라 함) 기울어진 경우, 역류 방지 구조(30738)는 하부 공간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역류하여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 방지 구조(30738)는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하부 공간의 오물이 역류하여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 방지 구조(30738)는 오물이 클리닝 장치(100)의 모터(예: 모터(33) 또는 모터(34))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부 공간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30738)를 통해 뒤로 흘러서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클리닝 장치(100)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세정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오물 저장 박스(300)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100)는 장치 본체(1)를 직립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1)를 급격하게 기울이거나 평평하게 눕혀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을 크게 촉진한다.
도 3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2)는 구체적으로 도 35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400)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400)는 작업 부분(410)과 연결 부분(4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400)는 폭방향(예: 도 35에 도시된 W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전후 부분을 갖는다. 작업 부분(410)의 후방에는 연결 부분(420)이 제공되고, 연결 부분(420)은 장치 본체(1)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0)과 연결 부분(420)은 한 구조이거나 서로 독립적인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0)은 바닥 브러시 본체(430)와, 바닥 브러시 본체(4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정 유체 박스(440)(즉, 전술한 세정 유체 박스(50))를 포함한다. 바닥 브러시 본체(430)는 세정할 표면에 있는 쓰레기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할 표면(예: 바닥)과 직접 접촉한다. 바닥 브러시 본체(430)에는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434)가 제공된다. 세정 유체 박스(440)는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의 일부로서, 물, 세정제, 컨디셔너 등의 세정 유체를 저장한다. 세정할 표면에 물기를 뿌려야 하는 사용 상황에서, 세정 유체는 세정 유체 박스(440)에서 세정할 표면으로 펌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사용자가 세정 유체 박스(440) 내의 세정 유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 또는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일체형 성형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명 재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ABS 플라스틱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또한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박스 본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는 상단에서 바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과 제2 하우징의 상단이 연결되어 내부에 공동을 갖는 세정 유체 박스(440)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접착 연결, 클램핑 연결, 용접 연결 등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자외선 경화 접착제(UV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현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를 증가시켜 세정 표면에 대한 바닥 브러시(1)의 압력을 더욱 증가시키고 청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ABS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2 하우징은 유리, 세라믹, 금속(예: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형상은 직사각형 구조, 사다리꼴 구조 등으로 근사화된다.
세정 유체 박스(440)에 세정 유체가 채워지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방향을 따른 무게 중심의 돌출부가 세정 유체 박스(44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은 세정 유체의 양에 따라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가 규칙적인 구조(예: 대략 직사각형 구조)인 경우,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은 세정 유체 박스(440)에 있는 세정 유체의 양이 최대일 때(즉, 세정 유체 박스(440)가 세정 유체로 채워졌을 때), 세정 유체 박스(440)의 기하학적 중심이 된다. 다른 예로서, 세정 유체 박스(440) 내의 세정 유체의 양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보다 적은 경우,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은 세정 유체 박스(440)의 기하학적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에 출구가 제공되면, 세정 유체가 중력에 의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세정 유체 박스(440)가 불규칙적인 구조인 경우,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는 그 측벽에 비해 오목하거나 돌출된 영역을 가지게 되면,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중심의 돌출부가 세정 유체 박스(440)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세정 유체가 담긴 세정 유체 박스(440)를 꺼낼 때,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이 과도하게 오프셋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는 세정 유체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다른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측면에 위치하여 파이프(예: 제1 파이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는 로드(예: 도 6의 로드(11))에서 멀어지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측면에 위치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 내의 세정 유체는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예: 도 38에 도시된 노즐(460) 및 펌프(461))를 통해 분무될 수도 있고, 펌프(461)는 세정 유체를 세정 유체 박스(440)로부터 노즐(460)로 세정 유체를 펌핑하도록 구성되고, 노즐(460)은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의 출력 단부 역할을 하여 세정할 바닥에 세정 유체를 분무하여 바닥을 청소하고 및/또는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세정 유체 또는 수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물 입구(44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 입구(4401)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단벽에 배열될 수 있고, 물 입구(4401)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단벽을 통해 연장되고 세정 유체 박스(440) 내의 공동과 연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리피스 플러그가 물 입구(440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물 입구(4401)와 정합한다. 예컨대, 2개가 나사식 연결, 억지 끼워맞춤, 플러그-인 연결 등을 통해 정합되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에는 하나 이상의 공동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공동이 세정 유체 박스(44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세정 유체는 공동 내에 위치한다. 다른 예로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제1 공동과 제2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동은 상기 제2 공동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공동은 수용액을 담는 구성이고, 상기 제2 공동은 세정제를 담는 구성으로, 상기 세정제는 수용액을 제1 공동에 주입하여 용해되거나 희석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세정 유체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제1 파지부(4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지부(4402)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단 벽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부(4402)는 패스너 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부(4402)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부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1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제1 오목부 위의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단벽과 핸들형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세정 유체 박스(440)를 픽업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제2 파지부(44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파지부(11204)는 연결 부분(420)을 마주하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측벽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2 파지부(4403)는 연결 부분(420)과 마주하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측면 측벽의 홈 영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부 4402 및/또는 제2 파지부(4403)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정 유체 박스(440)는 물로 채워질 때,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이 홈 영역으로부터 멀리 측면에 대해 오프셋되는 데, 이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홈 영역의 바닥이 펌프(461)와 정합하도록 다른 구성요소(예: 후술하는 펌프(461)를 수용하는 제1 돌출부(43141))를 필요로 하지만,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무게 중심은 여전히 제1 파지부(4402) 또는 제2 파지부(4403)의 돌출부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정 유체 박스(440)를 장치 본체(1) 부근으로 이동할 때 세정 유체 박스(440)는 실질적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정 유체 박스(440)는 대략 덤벨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제1 파지부(4402) 또는 제2 파지부(11204)로 세정 유체 박스(440)를 파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지부(4402)는 걸쇠이고, 제2 파지부(4403)는 대략 홈 영역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덤벨을 파지하면서 세정 유체 박스(44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물에서는 도 35에서 길이방향을 L 방향, 도 35에서 높이방향을 H 방향, 도 35에서 폭방향을 W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430)에 세정 유체 박스(44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장치 본체를 조작할 수 있고, 손으로 잡고 침대 밑 공간을 세정할 수 있다. 동시에, 위의 구조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긴 세정 유체 호스를 배열할 필요가 없어져 상대적으로 빠른 분무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바닥 브러시(400)의 전체 중량이 향상되어 바닥 브러시(400)가 바닥을 누르는 힘이 증가하여 클리닝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작업 부분(410)의 크기는 바닥 브러시(400)에 세정 유체 박스(440)를 배열하여 작업 부분이 청소를 위해 침대 바닥이나 모서리 등의 영역으로 끌리지 않도록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5, 도 36 및 도 37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0)은 높이 방향(도 35에 도시된 H 방향)을 따라 돌출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작업 부분(410)의 최대 크기(d1)는 길이 방향(도 35에 도시된 L 방향)을 따라 27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형상에 비해, 작업 부분(410)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는 한번의 밀고 당김에 있어서 클리닝 범위가 넓고 공간을 덜 차지하며, 동시에 연결 부분(420)과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배열이 용이하다. 또한, 작업 부분(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대 크기(d1)를 조정함으로써 작업 부분(410)의 에지 위치 클리닝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작업 부분(410)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d1)가 너무 작으면, 개방된 공간에서의 클리닝 효율이 낮아지며,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의 최대 길이는 250㎜ 내지 270㎜ 범위 내이다.
작업 부분(410)은 쓰레기를 흡입하는 상류측 구성요소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420)과 협력하여 장치 본체(또는 핸들)와 클리닝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때, 세정 유체 박스(440)를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 부분(410)의 안정화 지지 역할과 설치 캐리어 역할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작업 부분(410)은 동시에 최대한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작업 부분(410)의 길이 또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0)의 폭 방향 최대 크기(d2) 대 길이 방향 최대 크기(d1)의 비율은 0.5 내지 0.7 범위 내에 있다. 작업 부분(410)은 바닥 브러시(400)의 프레임 구조 역할을 하며, 작업 부분(410)의 크기는 바닥 브러시(400)의 크기에 근접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가 충분한 면적을 적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은 0.35L 내지 0.6L 일 수 있다. 세정 유체 박스(440)는 박스 본체 하우징을 가지므로, 박스 본체 하우징의 용적(점유해야 하는 공간)은 박스 본체의 용량보다 커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 대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적의 비율은 0.35 이상이다. 따라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을 사전 설정하면, 세정 유체 박스(440)가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고, 작업 부분(410)의 전체적인 컴팩트성을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적 대 작업 부분(410)의 용적의 비율은 0.3 내지 0.6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부분의 길이와 폭이 결정되면, 작업 부분(410)의 높이가 제한되므로 청소를 위해 침대 바닥, 소파 바닥 등과 같이 높이가 제한된 영역에 바닥 브러시(400)가 편리하게 닿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의 높이방향 최대크기(d3) 대 길이방향 최대크기(d1)의 비율은 0.25 내지 0.55 범위 내에 있어서, 작업 부분(410)의 클리닝 성능, 편리성, 편의성 및 미용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430)의 설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작업 부분(410)의 기본 형상과 일치시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방향 돌출부가 대략 직사각형이고, 세정 유체 박스(440)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d4)는 작업 부분(410)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닥 브러시(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정 유체 박스(440)의 양측 사이의 거리는 바닥 브러시 본체(430)의 양측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이해될 수 있다. 세정 유체 박스(440)의 설치 하우징의 원주방향 제한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며,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부 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작업 부분(410)의 최대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동시에, 높이방향의 세정 유체 박스(440)의 크기와 폭방향의 세정 유체 박스(440)의 크기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길이방향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설계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작업 부분(410)에 구성요소의 설치 위치를 설계하기에 용이하게 한다.
또한, 세정 유체 박스(440)는 필요한 제한 구조로 설치되고 및/또는 기타 다른 구성요소(예: 연결 부분(420))를 피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에서 바라볼 때 정사각형 형태가 아닐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라는 것은 양쪽 마주하는 측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410)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세정 유체 박스(440)의 후단부는 적어도 부분 작업 부분(410)의 후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 유체 박스(440)는 부품이 바닥 브러시 본체(43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후방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 본체(430)는 설치 하우징(431), 상부 배플 커버(432) 및 롤러 브러시(433)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브러시(433)는 세정할 표면을 굴리고 문지르는 설치 하우징(431)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롤러 브러시(433)의 상부 부분에 상부 배플 커버(432)가 배치되어 롤러 브러시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설치 캐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세정 유체 박스(440)는 상부 배플 커버(432)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한 위치 배열에 따라, 작업 부분(410)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가 높고 미려하며 실용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세정 유체 투입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상부 리테이닝 캡(432)과 함께 제거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는 별도로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는 상호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세정 유체를 보충하기 위해 세정 유체 박스(440)를 별도로 꺼내는 것이 편리하므로,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를 일체형으로 설치할 때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작업 부분(410)이 침대 밑면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작업 부분(410)의 상단은 대략 평면형 구조로 하여, 작업 부분(410)의 상단에 돌기 부분이 가능한 한 많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단부면과 상부 배플 커버(432)의 상단부면은 대략 수평을 이루며, 전술한 상단부면은 모두 단차를 방지하기 위해 대략 평탄해야 한다.
청소 공정 시에, 작업 부분(4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이 장애물과 충돌하기 쉬운 점을 고려하여,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410)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상부 배플 커버(432)와 세정 유체 박스(440)는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 양측을 따라 에지가 둥글거나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된다.
도 35 내지 도 42와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배플 커버(432)가 설치 하우징(4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롤러 브러시(433)의 클리닝,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를 일체형으로 배열한 방식과 비교할 때, 상부 배플 커버는 세정 유체 박스(440)와 상부 배플 커버(432)를 별도로 배열하여 설치 하우징(4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부분(410)의 구조는 더욱 최적화되어 사용자의 사용 습관을 밀접하게 만족시킨다.
또한, 상부 배플 커버(432)의 폭이 너무 작을 경우, 롤러 브러시의 클리닝 및 제거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폭 방향 최대 크기(d5) 대 작업 부분(410)의 폭 방향 최대 크기(d2)의 비율은 0.5 내지 0.7일 수 있다. 상부 배플 커버(432)는 폭 방향을 따라 세정 유체 박스(440)의 최대 크기(예: 최대 폭)를 제한함으로써 충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도 35, 도 38, 도 39에 연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하우징(431)은 바닥 하우징(4311)과 상단 커버(43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하우징(4311)과 상단 커버(4312) 사이에는 롤러 브러시(433)를 수용하기 위한 브러시 설치 공동(450)이 형성된다. 바닥 브러시 본체(430)의 설치 하우징(431)은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434)로 구성되며, 흡입 포트(434)는 바닥 하우징(4311)의 전방측과 브러시(433)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바닥 브러시 채널(451)(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채널(6))이 흡입 포트(434)와 유체 연통되도록 브러시 설치 공동(450)에 제공된다. 클리닝 공정 동안, 세정할 표면의 쓰레기는 롤러 브러시(433)에 의해 촉촉해진 후 흡입 포트(434)에 의해 흡입되어 바닥 브러시 채널(451)에 의해 계속해서 안내된다. 흡입 포트(434)에서 떨어진 바닥 브러시 채널(451)의 단부는 장치 본체(1)의 제2 채널(202)과 연결되어, 쓰레기를 오물 저장 박스(4)로 전달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5에 도시).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450) 내에서 바닥 브러시 채널(451)이 일정 높이를 점유하므로,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450)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제한이 필요하므로, 작업 부분(410)의 과도한 높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6 및 도 43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 유체 박스(440)의 최대 크기(d6) 대 작업 부분(410)의 높이 방향 따른 최대 크기(d3)의 비율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3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단 커버(4312)의 상부 부분에 수용 박스(4313)가 형성되고, 수용 박스(4313) 내부에 세정 유체 박스(440)가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수용 박스(431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용 박스(4313)에 세정 유체 박스(440)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넣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도 41 및 도 42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방향 최대 크기(d6)는 수용 박스(4313)의 높이 방향 크기(d8)(또는 수용 박스(4313)의 깊이라고도 함)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수용 홈(4313)의 구조에 기초하여, 바닥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 커버(4312)의 양측면에 돌기(4314)가 구성됨과 동시에 세정 유체 박스(440)의 양측면이 돌기(4314)를 수용할 수 있는 홈(4315)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세정 유체 박스(440)는 돌기(4314)보다 상부가 약간 길고 하부가 약간 짧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정 유체 박스(440)의 하부 부분은 제한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약간 길기 때문에,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을 연장하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상부 부분의 약간 긴 부분은 홈(4315)에 대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양측으로 세정 유체 박스(44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부분(4404)이다. 돌기 부분(1126)은 홈(4315)과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계단 구조는 돌기(4314)와 정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물 입구(4401)의 바닥은 계단 구조보다 높다. 즉,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물 입구(4401)는 홈(4315)과 돌기 부분(4404) 사이의 연결 위치보다 높다. 또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돌기 부분(4404)은 세정 유체 박스(440)와 연통되는 공동을 갖는다. 즉, 돌기 부분(4404)은 내부가 중공형 구조이므로, 세정 유체 박스(440)에 세정 유체가 채워졌을 때, 세정 유체 박스(440)의 돌기 부분(4404)은 홈(4315) 위쪽에 세정 유체가 들어가는 공간을 가지며, 그에 의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물 입구(4401)는 돌기 부분(4404)과 홈(4315)에 의해 형성된 계단 구조보다 높고, 이는 돌기 부분(4404)의 내부가 세정 유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세정 유체 박스(440)의 저장 공간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높이 방향을 따른 돌기 부분(4404)의 내부 공간의 최대 크기(d11)는 10 내지 20 ㎜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돌기 부분(4404)의 높이 방향을 따른 내부 공간의 최대 크기(d11)는 14㎜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4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돌기 부분(4404)의 내부 공간의 크기(d12)는 8 내지 15㎜일 수 있다. 예컨대, 돌기 부분(4404)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d12)는 11㎜일 수 있다.
높이 방향을 따른 홈(4315)의 크기가 작을 경우, 돌기(4314)는 홈(4315)에 대한 제한을 덜 받게 되어 세정 유체 박스(440)가 흔들리기 쉽다. 홈(4315)의 높이 방향 깊이의 크기가 너무 크면, 홈(4315)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공간 연장이 제한되어, 이러한 방식의 공간 연장의 의미가 거의 없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9 및 도 42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높이 방향을 따른 홈(4315)의 크기(d10) 대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 유체 박스(440)의 최대 크기(d6)의 비율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
돌기(4314)가 상대적으로 얇고, 돌기(4314)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에, 세정 유체 박스(440)를 효과적으로 한정하기 어렵다. 돌기(4314)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홈(4315)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세정 유체 박스는 특정 용량을 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2를 참조하면, 바닥 브러시(400)의 길이를 따라 돌기(4314)의 크기(d7)는 7㎜ 내지 10㎜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 유체 박스(440)는 로킹 구조, 클램핑 구조 등의 연결 구조에 의해 설치 하우징(43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 구조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눈에 띄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세정 유체 박스(440)는 자기 흡입 구조를 통해 설치 하우징(43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8, 도 39,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에 제1 철체(441)가 고정될 수 있고, 제1 철체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자석(442)이 롤러 브러시 설치공동(45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 구조의 공간 점유가 낮아지고, 연결 구조가 숨겨지므로, 작업 부분(410)의 구조가 콤팩트하고 미려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철체(441)와 제1 자성 본체(442)의 위치를 서로 바꾸고, 2개의 자기 흡인용 자석을 배열함으로써 위와 같은 자기 흡인 구조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에도 제1 유체 배출구(443) 및 위치결정 블록(444)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체 배출구(443)는 설치 하우징(431)에 제1 유체 플러그(4319)가 배치된 밸브 조립체를 형성한다. 둘이 함께 막히면 세정 유체가 세정 유체 박스(440)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다. 위치결정 블록(444)은 설치 하우징(431)의 플러그(4318)에 꽂힐 수 있어서, 위치결정 기능을 수행한다. 게다가, 밸브 조립체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4405)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4401)에 제공될 수 있고, 밸브 조립체(4405)의 적어도 일부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4405)는 조립체 출구(44051),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 및 플러그 부재 스프링(440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체 출구(44051)는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적 본체일 수 있다. 즉, 조립체 출구(44051)에는 내부 채널이 있다. 구성요소 출구(44051)는 나사형 캡(44054)을 통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4401)에 설치된다.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와셔(예: O-링)를 통해 구성요소 출구(44051)에 정합되고,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구성요소 출구(44501)의 내부 채널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부 채널의 개방 및 폐쇄 상태는 로드 해제 플러그(4405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단지 예시적인 예시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원통형 구조이고,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적어도 상단으로부터 바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원통형 구조 및 제2 원통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형 구조의 반경은 제2 원통형 구조의 반경보다 크고, 제1 원통형 구조의 반경은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제2 원통형 구조는 제2 원통형 구조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고, 제2 원통형 본체의 반경은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경보다 작다. 플러그 부재 스프링(44053)은 밸브 조립체(4405)를 스프링 하우징(44056) 내의 폐쇄 위치로 편향시킨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부재 스프링(44053)의 작용으로,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제1 원통형 구조 본체가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부에 끼워지고 연결되며, 이 지점에서 밸브 조립체(4405)가 닫히고 세정 유체 박스(112)의 세정 유체가 세정 유체 박스(440) 밖으로 흘러나와 외부 세계로 흐를 수 없다. 밸브 조립체(1130)가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에 연결될 때,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파이프라인 계면의 압력 작용 하에서 플러그 부재 스프링(1138)을 변형시키고,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제1 원통형 구조 본체는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부 채널에 대해 이동하며, 이때 제2 원통형 구조 본체는 구성요소 출구(44051)의 내부 채널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원통형 구조 본체는 제2 원통형 구조와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에 대응하는 측벽 사이의 틈을 갖고, 밸브 조립체(4405)는 유체를 유체 전달 채널(예: 제1 파이프, 제2 파이프 및 제3 파이프)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 상태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는 축소형 로드 구조일 수 있으며, 즉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반경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에 관한 원리는 축소형 로드 구조일 수 있으며 조립체 출구(44051)와 정합할 수 있으며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4405)는 또한 필터 메시 플러그 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 메시 플러그 부재는 미립자가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메시 플러그 부재는 세정 유체 박스 출구(4401)와 밸브 조립체(4405)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메시 플러그 부재는 밸브 조립체(4405)로부터 멀리 떨어져 세정 유체 박스(440)의 출구(4401) 일측에도 제공될 수 있다.
노즐(460)에서 세정할 바닥까지의 세정 유체가 바닥을 적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의 물 출구 면적은 3㎟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의 물 출구 면적은 4㎟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의 물 출구 면적은 5㎟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의 물 출구 면적은 6㎟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밸브 조립체 외부로 나오는 물의 양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조립체 출구(44051)의 내경을 조정하거나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를 조정함으로써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 또는 밸브 조립체 출구(44051)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 조립체의 물 출구 면적은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제2 원통형 구조의 반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 방향(도 35에 도시된 H 방향)을 따라, 세정 유체 박스(440)로부터 멀어지는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단부와 세정 유체 박스(440) 사이의 거리는 세정 유체 박스(440) 및 세정 유체 박스(440)로부터 멀리 떨어져 나사식 캡(44054)의 일 단부으로부터의 거리(d11)보다 작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스태프가 밸브 조립체(4405)를 검증하는 데 편리하며, 스태프는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를 눌러 밸브 조립체(4405)가 정상인지 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d11)는 0.2㎜ 내지 0.8㎜의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치(d11)는 0.3㎜ 내지 0.6㎜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치(d11)는 0.4㎜ 내지 0.5㎜ 일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전술한 제1 액체 배출구(443)와 위치결정 블록(444)으로 구성된 밸브 조립체와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4405)에 국한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하고, 밸브 조립체는 당김 및 삽입 동작에 의해 액체 전도/차단을 실현하는 모든 종류의 조립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더 이상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형상은 다른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 본체 구조, 사다리꼴 본체 구조, 원형 테이블 구조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내부 채널의 형상은 로드 해제 플러그 구성요소(44052)의 형상에 맞춰져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밸브 조립체는 당김 및 삽입 동작에 의해 액체 전도/차단을 실현하는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세정 유체 박스(440)의 높이방향 최대크기, 폭방향 최대크기, 길이방향 최대크기는 세정 유체 박스(440)의 크기(예: 높이, 폭, 길이)를 지칭하고 제1 유체배출구(443), 위치결정 블록(444) 등의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는 노즐(460)과 펌프(461)를 더 포함한다. 펌프(461)는 세정 유체 박스(440)로부터 노즐(460)로 세정 유체를 펌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노즐(460)은 세정할 바닥에 세정 유체를 분무하여 바닥을 클리닝 및/또는 조절하는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의 출력 단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461)는 바닥 브러시 채널(451)의 일측에 바닥 브러시(400)의 길이를 따라 구성된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450)에 배치될 수 있고, 노즐(460)은 상부 배플 커버(43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이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461)의 상단은 수용 박스(4313) 내부의 가장 낮은 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펌프(46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1 돌기 부분(43141)이 수용 박스(4313)의 바닥면에 제공된다. 도 38 및 도 40과 대응적으로,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에는 제1 홈(도면에는 미도시)의 제1돌기 부분(43141)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 부분(도면에는 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 채널(451)의 상단은 수용 박스(4313) 내부의 가장 낮은 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수용 박스(4313)의 바닥면에는 바닥 브러시 채널(45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 돌기 부분(4316)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세정 유체 박스(440)의 바닥에는 제2 돌기 부분(4316)을 회피하기 위해 제2 오목 부분(도면에는 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정 유체의 펌핑 용적과 쓰레기의 이송량을 고려하면, 펌프(461)와 바닥 브러시 채널(451)은 각각 일정한 높이에 도달해야 하며, 수용 박스(4313)의 바닥면이 기본적으로 평면으로 배열된다면, 평면의 높이는 펌프(461)와 바닥 브러시 채널(451)의 상단이 높은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심할 바 없이 세정 유체 박스의 용량을 연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부 공간이 희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세정 유체 박스(440)와 바닥 브러시 본체(430)의 높이를 정의할 수 있어, 세정 유체 박스(440)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부분(410)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고 실용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침대 바닥 등 높이가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용 박스(4313) 내의 가장 낮은 표면은 제1 돌기 부분(43141) 및 제2 돌기 부분(4316)과 연결되는 수용 박스(4313)의 실질적으로 평면 바닥을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하우징(431)에는 제2 액체 배출구(4317)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 배플 커버(432)에는 제2 액체 배출구(4317)와 밸브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액체 플러그(4321)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461)는 펌프 입구와 펌프 출구를 갖고, 펌프 입구는 제1 도관을 통해 제1 액체 플러그(4319)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펌프 출구는 제2 도관을 통해 제2 액체 플러그(4317)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제2 액체 플러그(4321)는 제3 도관(4322)을 통해 노즐(460)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제1 도관과 제2 도관은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450)에 구성되고, 제3 도관(4322)은 상부 배플 커버(432)에 구성되고, 노즐(460)은 롤러 브러시(433) 위의 상부 배플 커버(432)에 위치한다. 세정할 표면이 젖을 필요가 있을 때, 세정 유체 박스(440) 내의 세정 유체는 펌프(461)의 작용으 영향으로 작동하고, 세정 유체는 제1 유체 배출구(443)와 제1 유체 플러그(4319)(도 42 참조), 제1 도관, 펌프(461), 제2 도관, 제2 유체 배출구(4314)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와, 제2 유체 플러그(4321), 제3 도관(4322) 및 노즐(460)로 구성된 제2 밸브 조립체를 통해 순차적으로 흐르고, 외부 환경으로 흘러나와 롤러 브러시(433) 앞의 세정할 표면을 적시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즐(46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노즐(460)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하나 이상의 노즐(460)은 상부 배플 커버(432)의 길이방향을 따라[도 38에 도시된 롤러 브러시(433)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n)]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노즐(460)의 젖음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2개의 밸브 조립체를 구성하고 3개의 도관을 배열함으로써 세정 유체 공급 조립체의 복수의 부품들 사이의 효과적인 주입 및 분리 탈착을 실현할 수 있다.
클리닝 동작을 수행할 때, 모터(4331)의 구동에 의해 롤러 브러시(433)가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터(4331)는 상기 롤러 브러시 설치 공동(450)에 제공되어 바닥 브러시 채널(451)의 다른 측 상의 바닥 브러시의 길이를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터(4331)는 롤러 브러시(433)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 부분(410)의 크기를 더욱 최적화하고 작업 부분(410)의 소형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롤러 브러시(433)의 내부에 모터(4331)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는, 모터(4331)를 고정하기 위한 바닥 하우징(4311)의 일측에 제1 브러시 지지부가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암(4333)이 바닥 브러시 폭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브러시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4331)의 일 단부는 결합 슬리브(4334)에 의해 지지암(4333)에 고정되고, 모터(4331)의 다른 단부는 기어박스 본체(4332)에 연결되어, 롤러 브러시(433)에 직접 작용하여 롤러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롤러 브러시(433)는 브러시 배럴(4335)과, 브러시 배럴(4335)의 둘레에 고정되는 브러시모(433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배럴(4335)은 내부에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격벽 플레이트(4337)에 고정되고, 격벽 플레이트(4337)에는 복수의 연결 홈(43371)이 균일하게 제공되고, 기어박스 본체(4332)의 출력 샤프트에는 해당 연결 홈(43371)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연결 기둥(43372)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기어박스 본체(4332)의 출력 샤프트에는 연결 홈(43371)에 대응하게 꽂힐 수 있는 복수의 연결 포스트(43372)가 제공된다. 모터(4331)가 활성화되면, 연결 포스트(43372)는 연결 홈(43371)에 힘을 가하여 롤러 브러시의 회전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포스트(43372)는 기어박스 본체의 출력 샤프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개수가 많을수록 롤러 브러시(433)와 기어박스 본체(4332)의 전달 안정성이 양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포스트(43372)와 연결 홈(43371)의 개수는 둘 다 3개일 수 있다. 연결 포스트(43372)와 연결 홈(43371)의 개수는 3개로 제한되지 않고,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개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클리닝이 완료되면, 롤러 브러시(433)를 별도로 분해하여 클리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모터(4331)와 기어박스 본체(4332)가 브러시 실린더(4335) 내부에 제공되므로, 롤러 브러시(433)는 그 길이를 따라 바닥 하우징(4311)에 대해서만 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롤러 브러시(433)를 다시 장착할 경우, 연결 포스트(43372)와 연결 홈(43371)이 쉽게 정렬되지 않아 사용자 경험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포스트(4337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는 반면, 연결 홈(43371)의 외부 에지는 동시에 둥근 모서리 또는 모따기된 모서리(43373)로 성형된다. 상기 구조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연결 포스트(43372)는 롤러 브러시(433)를 꽂는 공정에서 둥글거나 모따기된 모서리를 따라 연결 홈(43371)에 원활하게 매립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하우징(4311)은 회전 지지를 위한 지지암(43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바닥 하우징(4311)의 다른 측부에 브러시(433)의 단부 제한으로 제2 브러시 지지 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70)는 제2 롤러 브러시 지지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5, 도 48,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70)는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는 자기 인력 구조에 의해 설치 하우징(43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에는 바닥 하우징(4311)과 마주보는 측에 제2철체(4711)가 제공되고, 바닥 하우징(4311)에는 측면 플레이트(43111)가 제공되며, 측면 플레이트(43111)에는 제2자석(4311)(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된다. 지지 조립체(470)의 연결 구조가 숨겨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부분(410)의 길이를 따라 최대 크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70)의 자기적 고정은 제2 철체(4711)와 제2 자석을 배열하거나 2개의 자석을 배열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지지 조립체(470)를 자석 구조에 따라 고정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와 바닥 하우징(4311)의 길이방향에 따른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작업 부분(410)의 롤러 브러시(400)의 길이 비율이 최적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롤러 브러시(400)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 대 작업 부분(410)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d1)의 비율은 0.9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푸시-풀 세정(push-pull cleaning)할 경우, 롤러 브러시는 세정할 표면을 최대한 문지르게 되어, 문지르는 길이(롤러 브러시의 길이방향 최대 크기) 및 길이 방향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고, 이로 인해 클리닝 효과가 향상되고 클리닝 효율성이 향상된다.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와 측면 플레이트(43111)의 결합 관계를 강화하고 지지 조립체(470)가 측면 플레이트(4311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의 일부가 측면 플레이트(43111)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본체플레이트 부재(471)가 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 하우징(4311)과 마주보는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의 측면에는 제한 홈(4712)이 제공되고, 측면 플레이트(43111)에는 제한 홈(4712)과 일치하여 꽂힐 수 있는 제한 블록(4713)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하우징(4311)과 마주보는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의 측면에 지지 슬리브(472)가 고정되고, 지지 슬리브(472) 내부에는 클램핑 스프링(4731)을 통해 제1 베어링 부재(473)가 설치된다. 연결 로드(474)는 제1 베어링 부재(473)의 내부 링에 고정적으로 꽂히고, 연결 로드(474)의 다른 단부는 회전 슬리브(475)에 강제 꽂아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5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슬리브(4334)에 제2 베어링 부재(476)가 추가로 설치되며, 사용 상태에서는 회전 슬리브(475)에 브러시 배럴(4335)이 배치된다. 회전 슬리브(475)와 제2 베어링 부재(476)는 각각 롤러 브러시(433)의 우측과 좌측을 지지한다. 2개의 베어링 부재(제1 베어링 부재(473)와 제2 베어링 부재(476))의 작용하에, 롤러 브러시(433)의 회전 저항이 감소된다.
도 48 및 도 49를 결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브러시(433)와 회전 슬리브(475)의 회전 속도 불일치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슬리브(475)에는 플랜지(4751)가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노치(4750)가 플랜지(4751)에 제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브러시 배럴(4335)은 복수의 플러그 블록(43351)으로 구성된다. 사용 상태에서, 플러그 블록(43351)은 노치(4750)에 대응하게 플러그되어 원주방향 회전 동안 롤러 브러시(433)와 회전 슬리브(475)의 완벽한 페이싱 동기화를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4751)의 길이 방향 크기는 브러시 실린더(4335)의 두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는 브러시 실린더(4335)의 일 단부를 회전 슬리브(475)에 의해 차단하여 쓰레기가 브러시 실린더(433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과 동일하다. 회전 슬리브(47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 홈이 제공되며, 환형 홈에 밀봉 링(477)이 구성되어 브러시 실린더(4335)의 내벽에 접하여 쓰레기에 대한 차단 효과를 더욱 강화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의 바닥 하우징(4311)으로 돌아가는 측면에 오목 부분(4714)이 제공되고, 오목 부분(4714)에 당김 블록(4715)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지지 조립체(470)를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해 당김 블록(4715)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김 블록(4715)은 오목 부분(4714) 내에 완전히 배치되어, 당김 블록(4715)이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의 등쪽 평면 외부로 돌출하지 않게 하고, 그에 의해 작업 부분(4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최대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애물에 쉽게 부딪히지 않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김 블록(4715)과 지지 슬리브(472)는 볼트, 나사 등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탈착을 위한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구성요소의 후속 클리닝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에는 제한 슬리브(4716)가 제공될 수 있고, 지지 슬리브(472)는 제한 슬리브(4716)에 억지 꽂혀진다. 이에 따라, 지지 슬리브(472)의 설치 안정성이 향상되어 지지 슬리브(472)가 커버 본체 플레이트 부재(471)에 대한 흔들림을 방지하여 롤러 브러시(433)의 회전 동적 균형 성능을 보장한다.
회전 슬리브(475)는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에 대해 회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슬리브(475)와 커버 플레이트 부재(471)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야 한다. 머리카락, 명주 등의 필라멘트성 물질이 클리닝 과정 중에 위의 틈을 통해 회전 슬리브(475)로 유입될 수 있다. 회전 부재(제1 베어링 부재(473), 연결 로드(474) 등)에 필라멘트상 물질이 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슬리브(472)에는 회전 슬리브(475)를 향하는 측면에 플레어 부분(4721)이 제공되고, 플레어 부분(4721)은 회전 부재(예: 제1 베어링 부재(473), 연결 로드(474) 등)를 둘러싸서, 회전 부재와 외부 환경 사이의 채널이 뒤틀려 회전 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플레어 부분(4721)은 이들 회전 부재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롤러 브러시(433)의 높이 방향(m)(도 38에 도시)을 따라, 플레어 부분(4721)과 회전 슬리브(475) 사이의 최소 거리는 1.5㎜ 이하이다. 롤러 브러시(433)의 길이방향(n)(도 38에 도시)을 따라 플레어 부분(4721)과 회전 슬리브(475) 사이의 최소거리는 1.5㎜ 이하이다. 이 경우, 이러한 작은 거리로 인해 필라멘트형 재료가 회전 부재에 도달하는 것이 더욱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지지 슬리브(472)와 회전 슬리브(475)는 대략 동축으로 배치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2개의 최소거리는 각각 플레어 부분(4721)의 외측 에지와 회전 슬리브(475)의 하나의 내벽 사이의 최소거리와 플레어 부분(4721)의 우측 단부와 회전 슬리브(475)의 타측 내벽 사이의 최소거리이다.
기본 개념을 이렇게 설명했지만, 이 상세한 개시물을 읽은 후, 전술한 상세한 개시물은 단지 예로서 제시되도록 의도된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당업자에게 오히려 명백할 수 있다. 여기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변경, 개선 및 수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변경, 개선 및 수정은 본 개시물에 의해 제안되도록 의도되었으며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본 개시물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다. 예컨대, "일 실시예",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형태, 구조, 특징이 본 개시물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부분에서 "일 실시예", "하나의 실시예"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둘 이상의 언급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 형태,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적합하게 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하나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개시물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때때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으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 방법은 청구된 주제가 각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앞서 개시된 단일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게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고 청구하는 데 사용되는 양 또는 특성을 표현하는 숫자는 일부 경우에 "약",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대략", "대략적인" 또는 "실질적으로"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설명하는 값의 ±20%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서면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수치적 파라미터는 특정 실시예에 의해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치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 파라미터는 보고된 유효 자릿수의 개수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의 넓은 범위를 제시하는 수치 범위 및 파라미터는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실시예에 제시된 수치 값은 실행 가능한 한 정확하게 보고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채용될 수 있는 다른 수정은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이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확하게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45)

  1. 장치 본체와 바닥 브러시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오물 저장 박스가 제공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박스 본체는 상기 바닥 브러시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를 적어도 저장 및/또는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제1 채널을 포함하고; 및
    상기 오물 저장 박스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바닥 브러시에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박스 본체에는 제2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에 격벽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하며;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하부 공간에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제1 홀 그룹과 역류 방지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상기 제1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의 오물이 상기 하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를 통해 상기 하부 공간의 오물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에지의 제1 부분은 상기 박스 본체의 측벽과 밀봉 접촉되는, 클리닝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구조체는 상기 제1 홀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 설치된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하부 공간에 있고;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제1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되는, 클리닝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모따기형 플레이트(cambered plate)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설치 홀이 더 제공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설치 홀을 통과하는, 클리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홀의 일측에는 환형 배플이 제공되고, 상기 환형 배플은 상기 상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클리닝 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둘레에는 배플 벽이 제공되고, 상기 배플 벽은 적어도 상기 상부 공간 내로 연장되는, 클리닝 장치.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클리닝 장치.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일 단부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는 커버 본체가 제공되며,
    상기 박스 본체에는 어댑터 튜브가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 튜브의 일 단부가 상기 커버 본체에 맞닿고,
    상기 어댑터 튜브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채널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및
    상기 어댑터 튜브의 측벽에는 출구가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가스 유출 채널이 제공되며,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가 상기 상부 공간에 연결되고, 및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는 상기 어댑터 튜브의 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클리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출구에는 필터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필터 부재는 가스에 혼입된 고체 물질 및/또는 액체 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출 채널에는 사이클론 분리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사이클론 분리 구조체는 가스에 혼입된 고체 물질 및/또는 액체 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바닥면에는 오물 입구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 본체는 주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입구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오물 파이프를 형성하고,
    상기 오물 파이프의 상부 부분은 오물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주요 본체에는 공기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와 연통하고; 및
    상기 오물 파이프에서 유입된 유체가 오물 출구에서 혼합 기체와 혼합 액체로 분리되며, 및
    상기 혼합 기체는 사이클론 먼지-가스 분리를 위해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로 유입되는, 클리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에는 수용 공동이 제공되고, 상기 주요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동과 연결되는 플러그-인 포트(plug-in port)가 제공되며,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상기 플러그-인 포트를 통해 상기 수용 공동에 배치되고 상기 주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요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배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오물 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며,
    상기 혼합 기체의 통과를 위한 채널이 상기 배플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오물 출구와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배플의 양측에 위치하는, 클리닝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파이프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오물 입구에 의해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 및
    제1 파이프라인, 전이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라인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어댑터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라인은 상기 파이프 본체와 동축으로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파이프라인은 상기 제2 파이프라인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오물 출구는 상기 제2 파이프라인 상에 배치되는, 클리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기체가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로 유입되기 전에 통과하는 경로는 적어도 2XL1+L2이고, L1은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공기 입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L2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클리닝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공기 입구 사이의 거리(L1) 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중심선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L2)의 비율은 0.9 내지 3인, 클리닝 장치.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상단부가 공기 출구인 연통 튜브; 및
    상기 연통 튜브의 주변에 배치된 제1 클램핑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의 주변은 상기 수용 공동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은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연통 튜브의 주변에 의해 나선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나선형 바닥 플레이트, 상기 연통 튜브, 상기 주요 본체가 결합하여 사이클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입구는 상기 사이클론 채널과 연통하며,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사이클론 먼지-가스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 입구, 상기 사이클론 채널 및 상기 연통 튜브를 통과하는, 클리닝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섹션의 단면의 외부 윤곽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점차 감소하며,
    상기 수용 공동은 상단에서 바닥으로 배열되어 연결된 제1 공동과 제2 공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동의 크기와 형상이 상기 제1 클램핑 섹션과 정합하고,
    상기 제2 공동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공동의 최소 단면적보다 작은, 클리닝 장치.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 조립체는:
    사이클론 필터 기구로서, 상기 수용 공동 내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 및
    연성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고무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성 고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성 고무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주요 본체의 상단부와 맞닿는, 클리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를 덮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제1 상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단부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included angle)은 제1 사전 설정된 협각이고;
    상기 연성 고무는 제2 상단부면과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부면은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사이클론 필터 기구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하고, 및 상기 연결 부분의 바닥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제2 사전 설정된 협각이며;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면 사이의 협각은 제3 사전 설정된 협각이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 부분의 바닥면과 맞닿을 때, 제1 상단부면은 제2 상단부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클리닝 장치.
  26. 제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가요성 밸브 본체를 포함하고, 제2방향을 따른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의 단면의 크기는 제3방향을 따른 상기 밸브 본체의 출구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3 방향과 수직인, 클리닝 장치.
  27. 제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하면에 제공되는 탄성 밸브편을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
  28. 제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에는 제2 홀 그룹이 더 제공되고, 상기 하부 공간의 가스는 상기 제2 홀 그룹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클리닝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그룹 및/또는 상기 제2 홀 그룹은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최저점으로부터 오프셋되는, 클리닝 장치.
  30. 제1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수위 탐침 그룹이 제공되고, 상기 수위 탐침 그룹은 상기 박스 본체 내의 오물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탐침 그룹은 제1 탐침 그룹과 제2 탐침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탐침 그룹과 제2 탐침 그룹은 상기 하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탐침 그룹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홀 그룹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탐침 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 탐침 그룹의 길이보다 긴, 클리닝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침 그룹은 상기 하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클리닝 장치.
  33. 제13항 내지 제25항 및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2개의 유동 배플들이 더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은 상기 커버 본체의 주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각각의 측면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측벽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제2 채널의 출구가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사이에 배치되는, 클리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백킹 플레이트가 더 제공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유출 채널의 입구와 상기 어댑터 튜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는 2개의 유동 배플들 사이에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른 상기 백킹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를 따른 상기 2개의 유동 배플들 각각의 크기보다 작은, 클리닝 장치.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에는 착탈 가능한 세정 유체 박스가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는 상기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에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저장 박스 지지 시트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 내에 수용되는, 클리닝 장치.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상기 장치 본체의 다른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일 단부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배터리가 핸들 내측에 수용되는, 클리닝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와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 상기 모터, 및 상기 핸들은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및
    먼지 캐니스터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복수 위치들 중 한 위치까지의 거리인 각각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클리닝 장치.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및
    상기 부착 부재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강모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또는 물 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오물 저장 박스의 조합체의 형상은 기둥(column)인, 클리닝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조합체의 주요 본체부의 다양한 위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단면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1 단면들은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조합체의 주요 본체부의 단면들인, 클리닝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주요 본체부의 다양한 위치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2 단면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단면들은 상기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휴대형 진공 청소기의 주요 본체부의 단면들인, 클리닝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제1 단면적과 제2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클리닝 장치.
KR1020237044724A 2021-05-27 2022-05-13 클리닝 장치 KR20240013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86889.6A CN115399687A (zh) 2021-05-27 2021-05-27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手持杆式吸尘器
CN202110586889.6 2021-05-27
CN202110813176.9 2021-07-19
CN202110813176.9A CN115634867A (zh) 2021-07-19 2021-07-19 用于清洁装置的污水箱和清洁装置
CN202111007095.6 2021-08-30
CN202111007095.6A CN115721201A (zh) 2021-08-30 2021-08-30 一种地刷及具有其的清洁设备
CN202111209222.0A CN115989977A (zh) 2021-10-18 2021-10-18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CN202111209222.0 2021-10-18
PCT/CN2022/092723 WO2022247659A1 (zh) 2021-05-27 2022-05-13 一种清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789A true KR20240013789A (ko) 2024-01-30

Family

ID=8422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724A KR20240013789A (ko) 2021-05-27 2022-05-13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90717A1 (ko)
EP (1) EP4331457A1 (ko)
KR (1) KR20240013789A (ko)
AU (1) AU2022280813A1 (ko)
WO (1) WO2022247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4481B (zh) * 2023-12-21 2024-03-01 天鑫精工科技(威海)有限公司 一种用于打印机零部件的磁场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9328B2 (ja) * 2004-05-12 2010-03-24 花王株式会社 湿式電気掃除機
AU2010200291A1 (en) * 2009-02-05 2010-08-19 John Charles Turner A modular recycling cleaning system
CN209499621U (zh) * 2018-02-28 2019-10-18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清洗机
CN108903784B (zh) * 2018-09-30 2024-02-0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干湿两用吸尘器
CN109832998A (zh) * 2019-03-27 2019-06-04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污液回收机构、清洁头装置以及干湿两用吸尘器
CN210043932U (zh) * 2019-04-12 2020-02-11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污液回收装置以及干湿两用吸尘设备
CN112641397B (zh) * 2020-05-20 2022-04-22 安徽大汉机器人集团有限公司 一种洗地机
CN212326293U (zh) * 2020-07-02 2021-01-12 帝舍智能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
CN216060390U (zh) * 2021-05-27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立式吸尘器
CN216060387U (zh) * 2021-05-27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手持杆式吸尘器
CN216060393U (zh) * 2021-08-30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地刷及具有其的洗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80813A1 (en) 2023-12-21
EP4331457A1 (en) 2024-03-06
US20240090717A1 (en) 2024-03-21
WO2022247659A1 (zh)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606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CN100381090C (zh) 复合式清洁器
US20050198769A1 (en) Vacuum cleaner
US20060137309A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GB2420085A (en) Cyclonic dust-collecting apparatus with noise-reducing member
US20060130447A1 (en) Dust-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47055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US20240090717A1 (en) Cleaning devices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N216823274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N216823273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JP2004024887A (ja) 電気掃除機
CN216823275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TWI825605B (zh) 清掃機
EP4331462A1 (en) Cleaning apparatus
CN219661596U (zh) 一种污水箱及清洁设备
KR200353553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2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N115989977A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AU2013237669B2 (en) Handheld pet hair vacuum cleaner
KR100640831B1 (ko) 진공청소기
KR100778691B1 (ko) 홀더 파이프를 갖는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