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74Y1 -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 Google Patents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74Y1
KR200394774Y1 KR20-2005-0007833U KR20050007833U KR200394774Y1 KR 200394774 Y1 KR200394774 Y1 KR 200394774Y1 KR 20050007833 U KR20050007833 U KR 20050007833U KR 200394774 Y1 KR200394774 Y1 KR 200394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rail
ruler
sheath
cut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문
Original Assignee
곽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문 filed Critical 곽영문
Priority to KR20-2005-0007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74Y1/ko
Priority to PCT/KR2006/001017 priority patent/WO2006101332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27Plural non-adjustable straightedges fixed at right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8Straightedges with arrangements for attaching additional drawing equipment, e.g. for hatching, do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26D7/02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acting upon plana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Abstract

본 고안은 자와 칼과 천공기의 기능을 결합한 문구의 일종으로, 자르고자 하는 종이를 누르는 기능과 칼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칼집부와, 칼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고 바르게 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레일부가 자에 결합된 형태를 취하여, 평소엔 자의 기능을 사용하다가 종이를 일정하게 원하는 만큼 자르고자 할때 지금까지의 어느 문구류보다 안전하고 쉽고 빠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절단선용 칼을 사용할 경우 절단선을 만드는 천공기의 기능도 가진다

Description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The ruler for cut and punch}
본 고안은 자의 기능과, 종이등을 자르는 기능과, 우표나 쿠폰등에 사용자가 쉽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절단선을 만들어 놓은 것과 같은 천공기의 기능을 가진 문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문구는 자는 자로서의 기능, 칼과 가위는 자르는 기능, 이렇게 확연히 다른 기능으로 인해 분리되어 저마다의 독립된 문구로서 사용되어 오고있다
필요에 따라 종이등을 자르려 할때면 기존의 칼은 종이를 접어서 자르거나, 펜으로 자를 부분을 표시한 뒤 자를 대고 잘라, 자르고자 하는 원본 종이를 손상시키고, 결과적으로도 원하는 만큼 반듯하고 정확하게는 잘려지지 않게 된다
게다가 사용하고 난 후에 칼과 종이를 받쳤던 책상등 바닥은 칼자국으로 인해 흉물스럽게 되는 일이 보통이다
가위도 원하는 부분을 정확히 자르기에는 한계가 있어, 정확히 자르려 할수록 자르려 하는 종이에 표시를 해야되고, 자르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종이를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절단선을 만들 수 있는 문구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문구는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며 각각 분리되어 있고, 칼과 가위는 종이를 자르는데 있어서 정확하고 반듯이 자르기 어려우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용후 다른 부분들을 손상시키고, 칼날이 노출되어 있어서 베이는 등 다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자의 기능과 함께, 기존의 문구보다 빠르고 안전하고 정확하고 쉽게 사용하고 사용 후 다른 부분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칼이나 가위의 기능과, 문구등이 없어도 언제 어디서나 종이등을 쉽게 잘라 사용할 수 있는 절단선을 만들수 있는 천공기로서의 기능이 하나의 문구로 통합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는, 외형은 대표도면인 도 1의 모습과 같고, 그 구성은 자(1)와 칼집부(2)와 레일부(3)와 칼(4,5)로 구성되어 있다
자(1)에는 길이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참조도면 도 2, 도 5 와 같이 가운데 긴 홈(1d)이 있는데, 이것(1d)은 자(1)의 위에 올려져 있는 종이를 자르면서 자(1)의 가운데로 지나가게 되는 칼날(4J)의 통로역할을 한다
칼집(2e)이 있는 방향의 자(1)의 측면에는 두개의 약간 함몰된 부분(1e)이 있고, 반대쪽에는 칼집부(2)와 레일부(3)를 걸이구멍(15)에 걸어 장착시키는 걸이(14)가 있다
자(1)의 위에 칼집부(2)가 장착이 된다
칼집부(2)는 참조도면 3 과 같이 칼집부의 반쪽(7)이 그와 대칭을 이루는 또 다른 반쪽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며, 칼집(2e)과 누름부(2f)로 나뉘어진다
칼집(2e)은 칼이 보관되어지는 곳으로, 내부는 레일부(3)의 구조와 동일한 레일(3e)과 기어부(3f)가 있고, 기어부(3f)에는 레일의 기어(6a)와 연결되는 칼집의 기어(7a)가 있다
누름부(2f)는 자(1)의 위에 놓인 종이를 자르기 전에 먼저 칼날(4J)이 종이의 자르고자 하는 부분을 정확히 자를 수 있도록, 종이의 자를 부분과 칼날(4J)이 지나가는 부분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부(2f)에도 자(1)와 같이 길이 눈금(2i)이 표시되고, 아래에 놓이게 되는 종이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이어야 하고, 종이와 직접 닿는 바닥부분은 종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재질이어야 한다
또 누름부(2f)는 칼집부의 반쪽(7)이 대칭의 또다른 반쪽과 결합하여 칼집부(2)가 될때, 바닥이 막힌 칼집(2e)과는 달리 참조도면 6의 칼집부의 위에서 본 모습(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의 홈(1d)과 같은 폭의 틈(2J)이 있고, 이것은 자의 홈(1d)과 연결된 칼집 내부의 홈(2h)과 연결되어, 자의 홈(1d)과 같이 칼날(4J)이 지나가는 길의 역할을 한다
칼집(2e)의 하단 부분에는 2개의 약간의 돌출부(2g)가 있는데, 이는 칼집부(2)가 자(1)위에 내려져 결합되었을때, 자(1)의 측면의 2개의 함몰부(1e)와 맞물리도록 하여, 자(1)와 칼집부(2)가 저절로 위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칼집부(2)의 위에는 레일부(3)가 장착된다
레일부(3)도 레일부의 반쪽(6)이 그와 대칭을 이루는 또 다른 반쪽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며, 칼집(2e)안에 있는 것과 같은 레일(3e)과 기어부(3f)와 기어(6a)를 가진다
레일(3e)은 칼(4,5)의 레일걸이(4f,5n)가 바르게 진행하도록 하는 길이 되면서, 칼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부(3f)는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을 사용할때만 사용되는 부분으로, 기어부(3f)의 기어(6a)와 절단선용 칼(5)의 기어(5i)가 만나 맞물려 돌아가도록 하여 절단선(13)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상의 자와 칼집부와 레일부의 결합이 본 고안의 몸체(8)이며, 이 몸체(8)에 칼(4)이 장착되면 자르는 기능을 하고, 절단선용 칼(5)이 장착되면 우표나 쿠폰 등과 같이 도구가 없어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종이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천공기의 기능인 절단선을 제작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칼(4)은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과 같은 모양의 손잡이(5f)를 가지며, 같은 레일부(3)의 레일(3e)을 사용하므로 같은 레일걸이(4f,5n)을 가지는 공통점이 있다
칼의 손잡이 옆에는 현재 자르고 있는 지점을 알 수 있도록 해 주는 절단위치 표시장치(4g,4h)가 있다
참조도면 10과 같이 절단위치 표시장치의 뾰족한 부분의 방향은 칼날(4i, 4J)끝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한다
그래서 칼날(4J)끝이 자르고 있는 지점을 절단위치 표시장치(4h)를 통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의 두가지 경우 중에서 칼끝이 오른쪽에 있는 칼날(4i)은 종이를 자를때, 종이와 칼날(4i)이 직각이 되므로 종이 측면에 무리한 힘을 줄 수 있어, 칼날(4i)이 아주 예리하여야만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칼끝이 왼쪽에 있는 칼날(4J)은 종이와 비스듬한 각도를 형성하게 되어 종이를 자르는데 용이하다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은 손잡이 몸체부(5k)와 절단선 칼부(5L)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몸체부(5k)는 칼(4)과 같은 손잡이(5f)와 레일 걸이(5n)를 가지며, 천공용 칼날(5J)이 천공을 시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천공위치 표시장치(4g)를 가진다
절단선 칼부(5L)는 양쪽에 천공칼 기어(5i)가 있고, 그 가운데에 천공용 칼날(5J)을 장착한 형태이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천공칼 기어(5i)가 회전을 하게되면, 천공용 칼날(5J)도 같은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제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함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참조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칼(4)이나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이 칼집(2e)에 장착된 상태의 본 고안(14a)에서 칼집을 들어올리면 레일부도 같이 들어올려진다(14b)
자(1)위에 종이를 놓은(14c) 다음 칼집부(2)를 내려서 자르고자 하는 부분을 누름부(2f)에 맞추고 칼집(2e)을 눌러서 누름부(2f)가 종이를 누르도록 한다 (14d)
레일부(3)를 내린다 (14e)
이때까지 칼(4)이나 천공용 칼(5)은 칼집(2e)안에 갇혀 있어서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아 그만큼 안전하게 사용을 할 수 있다
칼의 손잡이(5f)를 잡고 움직여 종이를 절단한다
이때의 절단과정을 단면의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이 참조도면 12이다
이 단면을 보면, 칼집부(2)와 레일부(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부분(칼집부(2)와 레일부(3))의 레일(3e)이 이어지게 되고, 칼은 칼 몸체에 있는 레일걸이(4f,5n)가 칼집(2e)안의 레일에 끼인 채 대기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칼의 손잡이를 움직이면 레일부(3)의 레일(3e)을 통해 레일걸이(4f,5n)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칼날(4J)의 끝은 칼집(2e)안에서 부터 자의 홈(1d)에 들어갈 정도로 내려와 있다가 칼집(2e)을 벗어나 레일부(3)에 들어서서 종이를 만나게 되면 자르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처음부터 종이를 자르는 방식이었다
종이의 중간부위에서 부터 일부분을 자르고자 한다면 기존 방법에 1개의 과정이 추가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도면 15를 참조한다
먼저 설명한 방법과 같이 칼(4)이나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이 칼집(2e)에 장착된 상태의 본 고안(15a)에서 칼집을 들어올리면 레일부도 같이 들어올려진다(15b)
자(1)위에 종이를 놓은(15c) 다음 칼집부(2)를 내리기 전에 칼을 레일부(3)로 이동시킨다 (15d)
그 다음 칼집부(2)를 내려서 자르고자 하는 부분을 누름부(2f)에 맞추고 칼집(2e)을 눌러서 누름부(2f)가 종이를 누르도록 한다 (15e)
절단위치 표시장치(4g,4h)를 통하여 자르고자 하는 부분에 칼끝을 맞추며 레일부(3)를 내린다 (15f)
칼의 손잡이(5f)를 잡고 원하는 지점까지 절단한다 (15g)
이렇게 종이의 중간지점을 자르고자 할때 만약 누름부(2f)가 없다면 레일부(3)가 칼집부(2)와 결합하려고 내려올때, 레일부(3)에 있는 칼날(4J) 끝이 종이의 중간지점에 닿으면서 종이를 뚫지 못하고, 종이를 자의 홈(1d) 속으로 같이 밀고 들어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누름부(2f)는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줌과 동시에 자의 홈(1d)의 양쪽에서 종이를 잡고 지탱하여 칼날끝이 종이를 뚫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의 자와 칼의 기능과 함께 본 고안의 아주 중요한 세번째 기능이 천공기능이다
천공기능은 본고안의 몸체(8)에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5)을 장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장착은 칼(4)과 동일하게 칼집부(2)의 칼집(2e)에 넣기만 하면 되며, 사용방법도 칼(4)과 동일하다
하지만 작동원리는 차이가 있어 이에 대한 것을 도 13을 참조하며 설명하고자 한다
자르는 기능을 하는 칼(4)은 칼집(2e)과 레일부(3)에서 레일(3e)만을 사용한다
하지만 절단선용 칼(5)은 일정한 높이 유지와 바른 진행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레일(3e)을 사용하면서, 천공기능을 위하여 기어부(3f)를 사용한다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절단선용 칼(5)은 손잡이 몸체부(5k)와 절단선 칼부(5L)로 구성되어져 있다
자르는 기능의 칼(4)의 몸체부가, 칼날(4J)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진행하는 것과 같이, 절단선용 칼(5)의 손잡이 몸체부(5k)도 같은 기능을 한다
자르는 기능의 칼(4)과 천공 기능의 칼(5)의 차이는 칼날의 작동방식이 다르다는데 있다
자르는 기능의 칼(4)은 단순히 몸체에 칼날이 고정되어 장착된 것이다
하지만 절단선용 칼(5)의 절단선 칼부(5L)는 손잡이 몸체부(5k)의 끝에 있는 절단선 칼부 걸이(5o)에 걸려서 장착되어 있어서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사용자가 절단선용 칼(5)의 손잡이(5f)를 움직이면, 절단선 칼부(5L)도 같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선 칼부(5L)에 있는 기어(5i)가, 칼집(2e)과 레일부(3)의 기어부(3f)안에 있는 기어(7a,6a)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절단선용 칼(5)은 진행을 하는데 기어부(3f)안의 기어(7a,6a)에 걸린 절단선 칼부(5L)에 있는 기어(5i)는 기어부(3f)안의 기어(7a,6a)에 맞물려 회전을 하면서 진행을 하게 된다
이때 절단선 칼부(5L)에서 두 기어(5i)사이에 고정되어 같이 장착되어 있는 절단선용 칼날(5J)도 절단선 칼부(5L)의 기어(5i)가 회전하는 대로 같이 회전을 하면서 진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절단선용 칼날(5J)들은 밑에 있는 종이를 교대로 천공하게 되면서, 잘리는 부분(13b)과 잘리지 않은 부분(13a)이 교차하여 생성되는 절단선(13)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참조도면 13은 이렇게 절단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칼집부(2)와 레일부(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부분(칼집부(2)와 레일부(3))의 레일(3e)도 이어지지만, 그와 함께 칼집의 기어(7a)와 레일부의 기어(6a)도 이어진다
그래서 칼집(2e)에 있던 절단선용 칼의 기어(5i)가 칼집의 기어(7a)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나오다가 레일부(3)에서도 레일부의 기어(6a)에 맞물려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절단선(13)은 잘려진 부분(13b)과 잘려지지 않은 부분(13a)이 연속하여 이루어진 선이다
절단선용 칼날(5J)이 이러한 절단선(13)을 만들기 위해서는 칼날의 갯수가 적어야 한다
기어의 갯수만큼 칼날의 갯수가 많으면 한개의 칼날이 종이를 자르고 지나간 부분을 그 다음 칼날이 연속해서 자르게 되어 절단선이 만들어지지 않고 자르는 기능의 칼이 되어 버린다
칼날의 갯수는 절단선용 칼의 기어(5i)가 한바퀴 회전을 하는 동안 만들어 지는 잘려진 부분(13b)의 갯수를 의미한다
칼날(5J)이 1개이면, 절단선용 칼의 기어(5i)가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1개의 잘려진 부분(13b)이, 칼날(5J)이 2개이면 2개, 칼날(5J)이 3개이면 잘려진 부분(13b)도 3개가 만들어 지는데, 칼날(5J)의 길이가 같을 경우, 칼날(5J)의 갯수가 적을수록 종이의 잘려지지 않은 부분(13a)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하지만 칼날(5J)의 갯수가 1개일지라도 칼날(5J)이 길어서 칼날 끝이 종이 밑으로 많이 내려와 있으면 1개의 긴 잘려진 부분(13b)과 짧은 잘리지 않은 부분(13a)들이 연속된 절단선(13)을 만들 수 있다
이와같이 절단선용 칼(5)이 절단선(13)을 만들때, 칼날(5J)의 길이와 갯수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절단선용 칼(5)을 본 고안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도 14, 도 15에서 본 바와 같이 자르는 기능의 칼(4)의 사용방법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자의 기능을 수행하며, 종이등을 자르고자 할 경우, 기존의 방식처럼 종이에 표시를 하거나 접을 필요없이, 투명한 칼집부(2)에 자를 곳을 맞추고 바로 자를 수 있어서 기존의 문구들보다 훨씬 빠르게 작업을 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절단 작업을 하는 동안 칼이 거의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훨씬 안전하며, 레일(3e)에 의해 진행방향이 고정되기 때문에 흔들림없이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지며, 작업후에도 바닥에 칼자국같은 흠집을 만들지 않아 훨씬 깨끗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칼만 바꾸어 장착해 주면, 기존에는 마땅한 문구가 없어 만들기가 어려웠던 절단선을 종이에 만들 수 있어서, 칼이나 가위등의 도구가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용도에 맞게 종이를 잘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이 따로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 통합되어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주요부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
1 : 자 , 2 : 칼집부 , 3 : 레일부 , 4 : 칼
5 : 절단선 제작용 칼
도 3은 주요부품들의 내부모습과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6 : 레일부의 왼쪽 절반의 내부 모습. 레일과 기어부의 입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고, 같은 모양의 반쪽과 결합하여 레일부가 된다
6a : 레일부의 기어
7 : 칼집부의 왼쪽 절반의 내부 모습. 레일부와 같은 모양의 레일과
기어부를 볼 수 있고, 같은 모양의 반쪽과 결합하여 칼집부가 된다
7a : 칼집의 기어
8 : 칼이 제거된 상태의 본 고안의 몸체
14 : 걸이
15 : 걸이 구멍
도 4는 본 고안을 각 방향에서 본 모습
9 : 정면도 , 10 : 단면도 , 11 : 위에서 본 모습 , 12 : 측면도
도 5는 자를 각 방향에서 본 모습
1a : 단면도 , 1b : 위에서 본 모습 , 1c : 측면도 , 1d : 자의 홈
1e : 칼집의 돌출부와 맞물려 끼이도록 하기 위해 약간 함몰된 부분
도 6은 칼집부를 각 방향에서 본 모습
2a : 정면도 , 2b : 단면도 , 2c : 위에서 본 모습 , 2d : 측면도
2e : 칼집 , 2f : 누름부 , 2g : 돌출부
2h : 자의 홈(1d)과 연결된 칼집 내부의 홈
2i : 길이 눈금 , 2J : 누름부(2f)의 틈
도 7은 칼집의 돌출부(2g)와 이에 맞물리는 자의 오목한 부분(1e)의 사시도
도 8은 레일부를 각 방향에서 본 모습
3a : 정면도 , 3b : 단면도 , 3c : 위에서 본 모습 , 3d : 측면도
3e : 레일 , 3f : 절단선 제작용 칼을 위한 기어부
도 9는 칼을 각 방향에서 본 모습
4a : 정면도 , 4b : 측면도 , 4c : 위에서 본 모습 , 4d : 사시도
4e : 칼을 분해한 사시도 , 4f : 레일 걸이
4g : 현재 자르고 있는 지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절단위치 표시장치
도 10은 절단 위치 표시장치(4g)의 설명을 위한 그림
4g : 칼날 끝이 오른쪽에 위치(4i)하면 표시장치의 끝도 오른쪽에
오도록 한다. 이러한 칼은 칼날(4k)이 종이와 수직이므로 절단
이 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칼날(4k)이 아주 예리하여야 한다
4h : 칼날(4k) 끝이 왼쪽에 위치(4J)하면 표시장치의 끝도 왼쪽에
오도록 한다. 칼날(4L)이 종이에 비스듬하게 위치하여 종이를
자르기가 용이하다
도 11은 천공기의 역할을 하는 절단선 제작용 칼(5)을 각 방향에서 본 모습
5a : 정면도 , 5b : 측면도 , 5c : 위에서 본 모습 , 5d : 사시도
5e : 손잡이 몸체부(5k)와 절단선 칼부(5L)를 분리한 사시도
5f : 분해한 정면도 , 5g : 분해한 측면도 , 5h : 분해한 사시도
5i : 천공 칼 기어 , 5J : 절단선용 칼 , 5k : 손잡이 몸체부
5L : 절단선 칼부 , 5m : 손잡이 , 5n : 레일 걸이
5o : 절단선 칼부 걸이
도 12는 본 고안의 절단 기능을 보여주는 단면 그림
도 13은 본 고안의 절단선 제작 기능을 보여주는 단면 그림
13 : 절단선용 칼이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며 회전하여 생성되는
절단선
13a : 흰색은 잘려지지 않은 부분 , 13b : 검정색은 잘려진 부분
도 14는 본 고안으로 종이를 절단시 사용 과정을 보여주는 입체적 그림
도 15는 본 고안으로 종이의 일부분을 절단시 사용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

Claims (6)

  1. 자의 상부에 위치한 자의 걸이에 의해 칼집부가 장착이 되고, 그 칼집부 위에 동일한 자의 걸이에 의해 레일부가 장착이 된 형태의 몸체에, 자르는 칼이나 절단선용 칼이 장착이 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체인 자,칼집부,레일부,칼,절단선용 칼 중에서 상기 자는, 칼집이 있는 방향의 측면에 약간의 함몰부가 있으며, 그 반대쪽에 칼집부와 레일부를 장착시키는 걸이가 있으며, 가운데에 긴 홈이 있는데 그 홈은 칼집이 있는 방향의 끝까지 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3. 제 2 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체인 자,칼집부,레일부,칼,절단선용 칼 중에서 상기 칼집부는, 제 2 항에 있는 자의 함몰부가 있는 쪽에 칼집이 있고, 그 칼집 하단부에는 함몰부와 맞물리는 약간의 돌출부가 있으며, 칼집의 내부는 칼의 손잡이와 칼날이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하가 개방된 형태의, 레일과 기어부와 기어가 있고, 반대쪽에는 자의 걸이에 걸려 칼집부를 자에 장착시키는 칼집부의 걸이 구멍이 있고,칼집과 걸이 구멍사이에 자의 홈의 폭과 같은 틈이 있으며 길이 눈금이 있는 누름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4. 제 3 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체인 자,칼집부,레일부,칼,절단선용 칼 중에서 상기 레일부는, 제 3 항의 칼집과 동일한 내부구조의, 레일과 기어부와 기어를 가지며, 자의 걸이가 있는 방향에 걸이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5. 제 4 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체인 자,칼집부,레일부,칼,절단선용 칼 중에서 상기 자르는 칼은, 손잡이와, 칼날의 끝과 일치하는 뾰족한 부분이 있는 절단위치 표시장치와, 그 하단부에 레일에 끼이는 레일 걸이가 있는 칼의 몸체에 칼날이 고정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6. 제 5 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체인 자,칼집부,레일부,칼,절단선용 칼 중에서 상기 천공기능의 절단선용 칼은, 천공위치 표시장치와, 제 5 항의 자르는 칼과 동일한 손잡이와 레일 걸이를 가지며, 가운데에 절단선용 칼날이 있고 양쪽에 천공칼 기어가 있는 절단선 칼부가 절단선용 칼의 손잡이 몸체에 고정되지 않고 손잡이 몸체의 끝에 있는 절단선 칼부 걸이에 걸려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KR20-2005-0007833U 2005-03-23 2005-03-23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KR200394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33U KR200394774Y1 (ko) 2005-03-23 2005-03-23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PCT/KR2006/001017 WO2006101332A1 (en) 2005-03-23 2006-03-21 Cutting ru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833U KR200394774Y1 (ko) 2005-03-23 2005-03-23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74Y1 true KR200394774Y1 (ko) 2005-09-07

Family

ID=3702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833U KR200394774Y1 (ko) 2005-03-23 2005-03-23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4774Y1 (ko)
WO (1) WO2006101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513A1 (zh) * 2016-03-23 2017-09-28 许长云 一种裁网推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9674B (en) * 2005-09-03 2010-07-14 Bert Leonard Edwards Device for trimming paper
GB2470021B (en) * 2009-05-06 2012-11-21 Chris Vassiliades Horizontal Guillotine
US20120085208A1 (en) * 2010-10-08 2012-04-12 Ek Success Ltd. Pattern Cutting System
CN104376805B (zh) * 2014-11-20 2018-01-09 宁波市恺丰文具礼品有限公司 旗帜制作器
CN104669884B (zh) * 2015-02-26 2016-08-24 陕西科技大学 一种可画对称图形的尺子
CN105004569A (zh) * 2015-07-17 2015-10-28 中华人民共和国潍坊出入境检验检疫局 一种恒定顶角浆板取样器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806A (en) * 1996-05-30 1999-06-29 Levee; Kevin M. Multi-function square
JP2001121884A (ja) * 1999-10-29 2001-05-08 Musashi Seimitsu Ind Co Ltd カッター付定規
JP2003246191A (ja) * 2002-02-22 2003-09-02 Kokuyo Co Ltd 定 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513A1 (zh) * 2016-03-23 2017-09-28 许长云 一种裁网推刀
CN107278180A (zh) * 2016-03-23 2017-10-20 许长云 一种裁网推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1332A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774Y1 (ko)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칼과 천공기 겸용의 자
US4711031A (en) Envelope opener
CN206576288U (zh) 雪茄切割器
TWM296121U (en) Paper cutting and folding dual purpose worktable
US20110030222A1 (en) Cakeboard with string cake cutter
CN2762977Y (zh) 一种两用打孔机
CN208697511U (zh) 热收缩膜快速裁切装置
CN205394622U (zh) 一种带兜多功能剪刀
CN200974255Y (zh) 剪切文具
CN207807899U (zh) 一种多功能纸板打孔结构
US20070209212A1 (en) Card brace forming apparatus
KR200329851Y1 (ko) 보드 절단용 자
CN201544262U (zh) 多用剪刀
WO2012121001A1 (ja) 見出し形成用器具
JP3070618U (ja) 簡易カッタ―装置
CN201295929Y (zh) 安全界纸刀
CN204136127U (zh) 一种风车的制作器
CN214724395U (zh) 一种组合式剪刀
CN217751765U (zh) 一种省力打孔钳
KR20080000364U (ko) 원흠이 가위
JPS586478Y2 (ja) 型抜おもちや
CN216099434U (zh) 一种防剪手的木棒剪
CN219968085U (zh) 一种纸张裁剪定位结构
JP2001025999A (ja) 回動型多穴多用途パンチ並びに同器の軽操作及び紙しわ防止装置。
CN202241343U (zh) 多用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