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893Y1 - 드릴 - Google Patents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893Y1
KR200393893Y1 KR20-2005-0016870U KR20050016870U KR200393893Y1 KR 200393893 Y1 KR200393893 Y1 KR 200393893Y1 KR 20050016870 U KR20050016870 U KR 20050016870U KR 200393893 Y1 KR200393893 Y1 KR 200393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drill
cutting edge
work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백
Original Assignee
예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상백 filed Critical 예상백
Priority to KR20-2005-0016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드릴은 선단부에 복수의 선단날이 선단각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둘레면에 절삭날이 형성되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드릴에 있어서, 선단부에 형성되는 선단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 절삭날의 접촉부위에 1mm ~ 5mm의 직경으로 라운딩 처리하여 선단각가변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단날과 절삭날 사이의 접촉 부위에 선단각가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각을 점차적으로 줄여서 공작물의 구멍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소성 변형 시기를 최대로 늦추어서 공작물을 관통할 때에 발생되는 버(BURR)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드릴{DRILL}
본 고안은 구멍을 뚫기 위한 공구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관통할 때에 발생되는 버(BURR)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은 트위스트 드릴, 평 드릴 등이 있으며, 주로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선단부에 선단각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절삭날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101)이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공작물(102)에 삽입 관통되는 바, 상기 드릴(101)의 선단부에는 선단각(a)을 형성한 복수의 선단날(10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날(101a)이 공작물(102)에 형성되는 구멍(102a)의 센터에 맞추어서 공작물(102)을 절삭하면서 전진하게 하며, 상기 드릴(101)의 둘레면에는 나선 형상의 절삭날(10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삭날(101b)이 공작물(102)의 구멍(102a) 내경을 일정하게 형성하게 한다.
그래서 종래의 드릴(101)을 드릴링머신에 설치한 뒤, 드릴(101)을 동력 회전시키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공작물(102)에 구멍(102a)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드릴(101)의 선단부가 공작물(102)을 관통하는 순간에 상기 선단날(101a)과 절삭날(101b) 사이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작물(102)의 구멍(102a)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선단날(101a)에 의하여 미처 절삭되기 전에 절삭날(101b)이 순식간에 공작물(102)의 구멍(102a)을 관통하여 공작물(102)의 구멍(102a)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소성 변형되어 버(BURR)(102b)가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드릴(101)의 선단날(101a)과 절삭날(101b)의 접촉 부위가 뽀쪽하게 형성되어 있어, 공작물(102)의 구멍(102a)을 관통할 때에 구멍(102a)의 하측 가장자리부에서 가공 각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버(BURR)가 발생되어, 공작물의 용도에 따라 공작물의 구멍을 반드시 후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릴의 선단날과 절삭날 사이의 접촉 부위의 개선함으로써 공작물을 관통할 때에 발생되는 버(BURR)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단부에 복수의 선단날이 선단각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둘레면에 절삭날이 형성되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드릴에 있어서, 선단부에 형성되는 선단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 절삭날의 접촉부위에 1mm ~ 5mm의 직경으로 라운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릴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드릴(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드릴(1)의 선단부에서는 복수의 선단날(1a)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절삭날(1b)가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드릴링머신(미도시)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c)가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드릴(1)은 상기 선단날(1a)과 절삭날(1b)의 접촉 부위를 라운딩 처리하여 선단각가변부(1d)를 형성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각가변부(1d)는 1mm ~ 5mm의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단각가변부(1d)의 직경은 드릴(1)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나, 선단각가변부(1d)를 형성하지 못할 정도로 드릴(1)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것이고, 드릴(1)의 직경이 매우 크더라도 선단각가변부(1d)의 직경을 5mm보다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선단각가변부(1d)의 직경이 1mm보다 작을 경우에는 공작물(2)의 구멍 뚫기 작업에서 발생되는 버(BURR)를 줄이는 데에 미흡하기 때문이며, 5mm보다 큰 직경일 경우에는 드릴(1)의 선단각가변부(1d)의 가공 시간에 대한 버(BURR) 줄임의 효과가 크게 달라지기 않기 때문이다.
아무튼 본 고안의 드릴(1)은 복수의 선단날(1a)에 의하여 형성된 선단각(a)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공작물(2)에 구멍(2a)이 형성되는 순간 즉 드릴(1)의 선단날(1a)이 구멍(2a)의 하측으로 관통되는 순간에는 선단각이 선단날(1a)에 형성되는 선단각(a)이 아니라 선단각가변부(1d)의 접선의 연장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선단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릴(1)을 이용하여 공작물(2)에 구멍(2a)을 형성할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기에 선단날(1a)에 의하여 공작물(2)에 구멍(2a)이 형성되다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1)의 선단날(1a)이 구멍(2a)의 하측으로 관통하는 순간에 구멍(2a)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선단각가변부(1d)에 의하여 절삭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작물(2)의 구멍(2a)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소성 변형되는 시기를 최대로 늦추며, 또한 상기 선단각가변부(1d)에 의하여 공작물(2)의 구멍(2a)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발생되는 버(BURR)를 최대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드릴은 선단날과 절삭날 사이의 접촉 부위에 선단각가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각을 점차적으로 줄여서 공작물의 구멍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소성 변형 시기를 최대로 늦추어서 공작물을 관통할 때에 발생되는 버(BURR)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드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에 관련하는 드릴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릴
1a : 선단날
1b : 절삭날
1d : 선단각가변부

Claims (1)

  1. 선단부에 복수의 선단날이 선단각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둘레면에 절삭날이 형성되어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드릴에 있어서,
    선단부에 형성되는 선단날(1a)과 둘레면에 형성되는 절삭날(1b)의 접촉부위에 1mm ~ 5mm의 직경으로 라운딩 처리하여 선단각가변부(1d)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릴.
KR20-2005-0016870U 2005-06-13 2005-06-13 드릴 KR200393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70U KR200393893Y1 (ko) 2005-06-13 2005-06-13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70U KR200393893Y1 (ko) 2005-06-13 2005-06-13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893Y1 true KR200393893Y1 (ko) 2005-08-25

Family

ID=4369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70U KR200393893Y1 (ko) 2005-06-13 2005-06-13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8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80A (ko) 2018-12-10 2020-06-18 이규상 드릴 연마기의 드릴 중심축 셋팅장치
KR20200070879A (ko) 2018-12-10 2020-06-18 이규상 절삭면과 시닝의 동시 연마를 위한 드릴 연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80A (ko) 2018-12-10 2020-06-18 이규상 드릴 연마기의 드릴 중심축 셋팅장치
KR20200070879A (ko) 2018-12-10 2020-06-18 이규상 절삭면과 시닝의 동시 연마를 위한 드릴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7807B2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JP2007333085A (ja) 硬質部材用リーマ付きドリルねじ
JP2006272503A (ja) インサート着脱式ドリル
CA2966173A1 (en) Blunt tip bone screw
WO2012141194A1 (ja) ドリル
US20180257151A1 (en) Cutting tool
CN1671499A (zh) 机床用的整体钻头
JP6069791B2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AU2007101166A4 (en) Multiple spur multiple spiral groove twist drill
KR200393893Y1 (ko) 드릴
US20110033257A1 (en) Hole saw with tapered pilot bit
EP3957421A1 (en) Drill
JP2009178787A (ja) ドリル及びドリル用切削インサート並びに切削方法
JP2001054810A (ja) ドリル
TWI579080B (zh) Multi - stage drilling and tapping device
CN205733159U (zh) 用于钻孔及孔口双面倒角的组合钻具
JP2007185719A (ja) 下穴加工用の切れ刃を備えたドリル
WO2007082530A3 (de) Werkzeug zum entgraten von bohrungen
CN212793210U (zh) 一种多级钻头的倒角钻
CN217370510U (zh) 非固定尺寸密封圈可转位镗刀座
CN220286160U (zh) 一种自攻螺钉
CN215698243U (zh) M型成型槽钻头
CN220218899U (zh) 一种可调节钻孔深度的三刃支罗钻
CN212945624U (zh) 一种倒角钻头
KR200382620Y1 (ko) 태핑용 천공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