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114Y1 -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 Google Patents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114Y1
KR200393114Y1 KR20-2005-0015785U KR20050015785U KR200393114Y1 KR 200393114 Y1 KR200393114 Y1 KR 200393114Y1 KR 20050015785 U KR20050015785 U KR 20050015785U KR 200393114 Y1 KR200393114 Y1 KR 200393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frame
take
automatic
vertica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7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수룡
조현주
오민환
신오철
손기환
조경구
김동옥
정동준
김현택
황영란
이석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Priority to KR20-2005-0015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1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11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랭킹 프레스의 금형에 설치되어 상하운동하는 램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운동하는 링크구조의 푸셔암에 의해 가공품이 취출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의 자동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ake-out apparatus for fine blank workpieces, in which a workpiece is taken out by a pusher arm of a link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in a mold of a blanking press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ssociation with a ram moving up and down.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는, 하부테이블(2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테이블(200)과 함께 상하운동하는 서포트프레임(300)과;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램(360)과;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푸셔암(400)과;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에 따라 접철되어 가공품을 취출하는 취출암(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생산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utomatic fine blan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200, the support frame 300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lower table 200; An up and down sliding ram 360 provided inside the support frame 300 to selectivel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300; A pusher arm (4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ble (100) to selectively re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ake-out arm 700 is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o take out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is improv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Description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 {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Fine blanking machine for automatic extraction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본 고안은 파인블랭킹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랭킹 프레스의 금형에 설치되어 상하운동하는 램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운동하는 링크구조의 푸셔암에 의해 가공품이 취출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의 자동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blanking press, and more particularly, the automatic blanking of a fine blank processed product in which a workpiece is taken out by a pusher arm of a link structure installed in a mold of the blanking press and interlocked with a ram moving up and down.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파인블랭킹은 한번의 블랭킹 공정에서 제품의 전체 두께에 걸쳐 필요로 하는 고운전단면과 양호한 제품 정밀도를 얻는 프레스 가공 공정이다.In general, fine blanking is a press working process that obtains high operating cross sections and good product precision required over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oduct in one blanking process.

여기서 파인(FINE)이라는 말은 정밀하고 양호한 표면을 얻는다는 뜻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블랭킹(BLANKING)공정은 제품을 얻기 위한 전단 공정이므로 프레스 전단면은 더 이상의 기계 가공이 필요 없는 완성 전단면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Here, the word FINE should be regarded as obtaining a good and good surface. Since the blanking process is a shearing process for obtaining a product, the press shearing surface is obtained with a finished shearing surface that does not require any further machining. Can lose.

파인블랭킹 공정은 다음과 같은 작동원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우선, 전단이 시작되기 전에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브이(V)링으로 가이드플레이트와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재료에 전단선 바깥쪽 윤곽을 따라 '∨'홈을 내려찍어 횡 방향으로 재료의 이동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펀치 아래쪽에 있는 이젝터가 전단되는 제품 밑면을 받쳐 종방향의 변형을 차단하면서 전단이 수행된다.The fine blank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operation principle. First of all, before the shearing starts, the V-ring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moves down the '재료' groove along the outer contour of the shear line to the material between the guide plate and the die plat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prevented. At the same time, shearing is performed while the ejector at the bottom of the punch supports the bottom of the product being sheared and blocks longitudinal deformation.

이와 같이 재료를 고정 클램핑(Clamping)한 상태에서 전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한 치수와 매끄러운 전단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shear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material is clamped, thus obtaining precise dimensions and a smooth shear surface.

또한, 일반 블랭킹에서는 펀치가 다이구멍을 통과하면서 전단이 된 제품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파인블랭킹에서는 펀치가 다이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재료 두께만큼만 내려가 전단이 되며 전단된 제품은 이젝터에 의해 다이플레이트상면으로 복귀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블로워(Air blower)나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금형 밖으로 제거된다.In addition, in general blanking, the punch passes down the sheared product while passing through the die hole, but in fine blanking, the punch does not pass through the die hole but is sheared down only by the material thickness, and the sheared product is ejected by the ejector. It is removed out of the mold by an air blower or a mechanical device that returns to the die plate top surface and blows compressed ai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기계적인 장치에 의한 가공 제품의 취출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동력(예컨데, 공압이나 유압실린더 또는 DC모터 등)과 이를 이용한 기구들을 조합한 별도의 시스템으로 상기 블랭킹 프레스에서 가공되는 가공품을 취출하게 된다.Extraction of the processed product by the mechanical device generally takes out the processed product from the blanking press as a separate system combining a separate power (for example,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or DC motor) and the mechanism using the same.

이러한 기계장치는 별도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기도 하며, 상기 프레스 금형의 상하운동에 연동하여 작동하기도 한다.Such a mechanism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circuit,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 die.

따라서, 비교적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게 되어 제작비용이 증가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교적 고속으로 작동하는 프레스에 있어서는 정확한 제어가 어려워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power source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lfunction is difficult to precise control in the press operating at a relatively high speed.

그리고, 에어블로워에 의한 가공 제품의 취출은 프레스의 상하 운동에 따라 완성된 제품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n, taking out the processed product by the air blower is made by the method of spraying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to the finished product according to the vertical motion of the press.

이러한 에어블로워를 이용한 방법 또한 공기의 압축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과 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한 소음(약 200dB)에 의해 작업환경이 열악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using the air blower also requires a separate system and power for the compression of th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due to the noise (about 200dB) caus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losing.

또한, 에어블로워를 가공품에 분사할 경우 가공품이 일정한 위치로 취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가공품 및 가공후의 스크랩(Scrap) 등이 비산하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blower is sprayed on the workpiece, the workpiece is not taken ou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ut the processed article and scrap after processing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by impai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뿐만 아니라 에어블로워에서 분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공품은 불특정 방향으로 비산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먼저 가공되어 분리된 가공품은 물론 스크랩을 비롯한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 가공 제품의 일부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pressed air dispersed in the air blower, the workpiece is scattered in an unspecified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workpiece may be damaged by hitting other processed and separated structures as well as scrap or other structures. There is a problem.

이는 파인블랭킹의 특성상 가공제품이 별도의 후가공 없이 가공을 완료하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불량이 발생되어 생산성을 저해 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This i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fine blanking process because the processed product is completed without a separate post-processing,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lower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s well as a failure occurs to inhibit the productivity.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랭킹 프레스의 금형에 설치되어 상하운동하는 램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운동하는 링크구조의 푸셔암에 의해 가공품이 취출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의 자동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ine product is removed by the pusher arm of the link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in the mold of the blanking press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the ram moving up and dow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take-out device for blanking workpiec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는, 위치가 고정된 상부테이블 및 상부금형과, 상하운동하여 제품을 블랭킹 가공하는 하부테이블 및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테이블과 함께 상하운동하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과 함께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램과; 상기 상부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푸셔암과;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에 따라 접철되어 가공품을 취출하는 취출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utomatic blank blanking product take-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ress consisting of the upper table and the upper mold is fixed position, and the lower table and the lower mold for blanking the product by moving up and down A support fram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to vertically move together with the lower table; An up and down sliding ram provided inside the support frame to selectivel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A pusher arm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ble to selectively re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ke-out arm is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to take out the workpiece.

상기 서포트프레임은 상기 하부테이블과 결합되어 안정적인 장착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table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a stable mounting; It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the vertical sliding of the vertical sliding ram.

상기 안내부의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을 제한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스토퍼가 더 구비된다.The upper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art further include an upper stopper and a lower stopper selectively conta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liding ram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일측에는 상기 푸셔암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구속포켓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is formed with a constrained pocket recessed to be selectively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pusher arm.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일측에는 다수의 치형이 상하로 형성되는 렉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is formed with a rack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up and down.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렉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피니언이 구비된다.One side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inion formed to engage the rack.

상기 푸셔암의 일측에는 상기 상하슬라이드램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며, 상기 구속포켓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링크롤러가 더 구비된다.One side of the pusher arm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nk roller for roll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e rams, which is selectively received into the restraint pocket.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피니언의 양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볼스크류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nion, further provided with a ball screw assembly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inion into a horizontal movement.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와 연동하여 상기 취출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Guide assemblies for guiding the take-out arm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ball screw assembly.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의 좌우 수평운동을 상기 취출암에 전달하도록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와 취출암을 연결하는 전달커넥터가 더 구비된다.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ball screw assembly and the takeout arm so as to transfer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ll screw assembly to the takeout arm.

상기 취출암은 다수개의 로드가 좌우측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반복적으로 연결되며, 교차 및 연결되는 부분이 연결핀에 의해 핀결합되는 링크구조로 형성된다.The extraction arm is repeatedly connected such that a plurality of rods cross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cross-connected portion is formed in a link structure in which a pin is coupled by a connecting pin.

상기 취출암의 선단부에는 충격흡수소재로 형성되어 가공품과 직접 접촉시 가공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푸쉬핸드가 더 구비된다.The front end of the blowout arm is formed of a shock absorb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sh hand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when in direct contact with the workpiec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생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is improv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후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전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 state of a take-out ar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 blanking product take-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 blanks workpie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advanced state of phosphorus extraction arm.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파인블랭킹 프레스는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파인블랭킹 프레스와는 달리 재료가 안착되는 하부금형(2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전단가공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ine blanking pres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unlike the general fine blanking press, the lower mold 220 is placed on the material ) Is sheared as it moves up and down.

상기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은 각각 상기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의 장착을 지지하는 상부테이블(100)과 하부테이블(200)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은 가공되는 제품에 따라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are mounted to the upper table 100 and the lower table 200 supporting the mounting of 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respectively, and the upper mold ( 120 and the lower mold 220 is detachably mounted according to the product to be processed.

상기 하부테이블(200)과 하부금형(220)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로 운동하며, 상기 하부테이블(200)의 일측에는 서포트프레임(300)이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하슬라이딩램(360)과 취출암(700)을 비롯한 다수의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테이블(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테이블(200)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함께 상하운동하게 된다.The lower table 200 and the lower mold 220 are integrally formed to move up and down, and a support frame 3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200. The support frame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200 to be mounted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ing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nd the extraction arm 700 to be described below, the lower table 200 Will move up and down together.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320)와 안내부(340)로 구성된다. The support frame 3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composed of a support 320 and the guide 340.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테이블(200)과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0)의 저면은 상기 하부테이블(200)과 밀착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을 상기 하부테이블(2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부(320)의 상면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취출암(700)의 작동을 위한 구성품들의 장착을 지지하게 된다.The support part 320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300 so as to be horizontal to the lower table 20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table 200 to fix the support frame 300 to the lower tabl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Supports the mounting of components for operation of 700.

상기 안내부(340)는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이 원활하게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을 수용하는 통상으로 형성된다.The guide part 340 is formed to exten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by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can move up and down smoothly. It is usually formed to accommodate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so that.

그리고, 상기 안내부(34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부스토퍼(342)와 하부스토퍼(34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스토퍼(342)와 하부스토퍼(344)는 상기 안내부(340)의 내측에서 상하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part 340 are provided with an upper stopper 342 and a lower stopper 344, respectively. The upper stopper 342 and the lower stopper 344 regulat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at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guide part 34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t is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with.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대략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안내부(340) 내측에서 선택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340)의 내측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된 상부스토퍼(342)와 하부스토퍼(344) 사이의 거리 보다는 다소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the guide part 340 of the guide part 340 to selectively slide up and down inside the guide part 340 of the support frame 300.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slightly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oppers 342 and 344 respectively mounted on the inner and lower ends.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스토퍼(342) 및 하부스토퍼(344)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protrude vertically in a flange shape,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ilitate contact with the upper stopper 342 and the lower stopper 344.

그리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구속포켓(362)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포켓(362)은 아래에서 설명할 푸셔암(400)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 길이 중 대략 중앙부에서 내측을 향해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함몰 형성된다.A restraint pocket 362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e restraint pocket 362 is to allow one side of the pusher arm 400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to be described below, and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inside from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Depressions are formed.

한편, 상기 푸셔암(400)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금형(120)이 장착된 상부테이블(100)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테이블(100)과 함께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usher arm 400 is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table 100, the upper mold 120 is mounted to the upper table 100 It will maintain a fixed position with.

이때, 상기 상부테이블(100)과 상기 푸셔암(400)의 사이에는 장착프레임(42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프레임(420)은 상기 푸셔암(400)을 상기 상부금형(120)에 결합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양측 단부가 상기 푸셔암(400)과 상부테이블(100)에 결합된다.In this case, a mounting frame 42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able 100 and the pusher arm 400. The mounting frame 420 supports the pusher arm 400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mold 120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pusher arm 400 and the upper table 100.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과 인접한 상기 푸셔암(400)의 좌측단에는 회전 가능한 링크롤러(440)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롤러(440)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와 접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롤러(440)는 상기 구속포켓(362)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속포켓(362)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A rotatable link roller 440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pusher arm 400 adjacent to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nd the link roller 440 rotat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Done. The link roller 44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similar to that of the restraint pocket 362, and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side the restraint pocket 362.

그리고, 상기 링크롤러(440)가 장착된 상기 푸셔암(400)의 외주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60)가 구비되어 상기 푸셔암(400)의 링크롤러(440)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밀어줄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460,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pusher arm 400 on which the link roller 440 is mounted so that the link roller 440 of the pusher arm 400 is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hat can be continuously pushed toward).

따라서, 상기 링크롤러(440)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60)가 압축되고, 상기 링크롤러(440)가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60)가 상기 링크롤러(440)를 상기 구속포켓(362)의 내측으로 밀어주어 상기 링크롤러(440)가 완전하게 수용된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link roller 44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nd rotates, the elastic member 460 is compressed and the link roller 440 is accommodated in the restraint pocket 362. In the elastic member 460 pushes the link roller 440 to the inside of the restraint pocket 362 so that the link roller 440 is completely received.

이로 인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기 푸셔암(400)에 비해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하로 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상하로 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링크롤러(440)가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을 구속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upport frame 300 and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re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pusher arm 400 which maintains a fixed posi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300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300.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restrains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by receiving the link roller 440 in the restraint pocket 362.

한편,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측에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렉(364)과 피니언(366)이 구비되며, 이는 도 3 과 도 4 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s provided with a rack (364) and pinion (366) for conver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o the rotational movement, which is detailed in Figures 3 and 4 Is shown.

도 3 은 도 1 에서의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고, 도 4 는 도 2 에서의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반부 외주면 일측에는 렉(364)이 형성된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up and down sliding ram in FIG. 1,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up and down sliding ram in FIG. 2. A rack 36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alf of 360.

즉,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에서 상기 구속포켓(362)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반부 전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의 렉(364)이 형성된다. 상기 렉(364)은 별도의 렉(364)부재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면에 치형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a rack 36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half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which is a lower portion of the restraint pocket 362. The rack 364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rack 364 member, and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s necessary.

상기 렉(364)은 적어도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이 상하 운동하게 되는 거리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푸셔암(400)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대적인 상하운동을 효과적으로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The rack 364 is formed at least longer than a distance at which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moves vertically, thereby effectively rotating the relativ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determined by the pusher arm 400. To switch to.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전방에는 상기 렉(364)과 결합되는 피니언(366)이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366)은 상기 렉(364)과 결합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된다.A pinion 366 coupled to the rack 364 is formed in fro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e pinion 366 is coupled to the rack 364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그리고, 상기 피니언(366)은 구동축(380)에 의해 관통되어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38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은 다시 수평운동으로 전환되며, 이는 도 5 와 도 6 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The pinion 366 is penetrated by the driving shaft 380 and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ing shaft 38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is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back to horizontal motion, which is shown in detail in FIGS. 5 and 6.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후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전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reverse state of the take-out arm which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 blanking product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main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 blanks workpiece tak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advanced state of phosphorus extraction rock.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렉(364)과 피니언(366)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구동축(380)의 양측단부에는 회전커플러(38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플러(382)는 상기 구동축(380)의 회전을 볼스크류어셈블리(5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측 단부 중 일측은 상기 구동축(380)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일단과 결합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rotary couplers 382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drive shaft 380 that rotates by driving the rack 364 and the pinion 366. The rotary coupler 382 i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380 to the ball screw assembly 500, one side of the left / right end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380, the other side is the ball screw assembly 500 Combined with one end).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는 상기 구동축(380)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380)을 중심으로 양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커플러(38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지지부(320) 상면에 고정된다.The ball screw assembly 500 is provid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380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drive shaft 380 to a horizontal motion,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ry coupler 382 do. The ball screw assembly 500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of the support frame 300.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는 회전축(520)과 너트(540) 그리고, 장착블럭(5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20)은 상기 회전커플러(382)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380)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The ball screw assembly 500 is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520, a nut 540, and a mounting block 560. The rotary shaft 52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coupler 382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380, the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너트(540)는 상기 회전축(520)을 따라서 좌우로 수평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20)에 의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540)의 내주에는 다수의 볼이 구비되며, 상기 볼은 상기 회전축(520)의 나선을 따라서 순환하게 된다.The nut 540 is horizontally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rotation shaft 520 and is formed by the rotation shaft 5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lls ar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nut 540, and the balls are circulated along the spiral of the rotation shaft 520.

따라서, 상기 회전축(5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540)는 부드럽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에 의한 넓은 접촉면적이 제공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취출암(700)의 작동을 위한 충분한 힘이 전달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nut 540 may be smoothly moved from side to side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520, and a large contact area provided by a plurality of balls is provided, thereby sufficient for operation of the ejection arm 700 to be described below. Force becomes transferable.

그리고, 상기 장착블럭(560)은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가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지지부(3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2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너트(540)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상기 회전축(520)이 상기 지지부(3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block 560 is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0 of the support frame 300, the ball screw assembly 500,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520, The rotation shaft 520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smooth movement of the nut 540.

한편, 상기 너트(540)는 전달커넥터(580)와 결합된다. 상기 전달커넥터(580)는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좌우 수평운동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취출암(70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취출암(700)의 일부를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nut 540 is coupled to the transfer connector 580. The transfer connector 580 not only transfers the horizontal motion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to the takeout arm 7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ut also supports a part of the takeout arm 700.

상기 전달커넥터(580)의 후반부(도 5 에서 볼 때)는 상기 너트(540)의 저면과 전면에 걸쳐서 결합되고, 전반부(도 5 에서 볼 때)는 상기 취출암(700)의 후단부 하면과 결합되어 상기 취출암(7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달커넥터(580)의 수평운동을 상기 취출암(700)에 직접 전달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half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see FIG. 5) is coupled across the bottom and front of the nut 540, and the first half (see FIG. 5)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ejection arm 700. It is coupled to support the takeout arm 700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to directly transfe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to the takeout arm 700.

그리고, 상기 취출암(700)과 결합된 상기 전달커넥터(580) 전반부의 하방에는 가이드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어셈블리(600)는 상기 취출암(700)의 원활한 수평운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취출암(700)이 장착되는 상기 전달커넥터(580)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guide assembly 60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half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coupled to the takeout arm 700. The guide assembly 600 is for smooth horizontal movement of the takeout arm 700 to support the transfer connector 580 on which the takeout arm 700 is mounted.

상기 가이드어셈블리(600)는 레일(620)과 슬라이드블럭(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62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지지부(320)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럭(640)이 안정적으로 수평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assembly 600 includes a rail 620 and a slide block 640. The rail 620 is fixed to the support 320 of the support frame 300 to guide the slide block 640 to stably move horizontally.

상기 레일(620)과 슬라이드블럭(640)은 서로 형합하게 되며, 내측에 구비된 베이링에 의해서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The rail 620 and the slide block 64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smooth sliding is possible by the bearing provided inside.

상기 슬라이드블럭(640)은 상기 레일(6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럭(640)의 상면은 상기 취출암(700)이 장착된 상기 전달커넥터(580) 전반부의 하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에 의해 취출암(700)으로 전달된 수평운동이 상기 슬라이드블럭(640)까지 전달되며, 이로 인해서 상기 취출암(700)의 좌/우측 단부의 거리가 조정된다.The slide block 64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620,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block 64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lf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the mounting arm 700 is mounted. Accordingly, the horizontal motion transmitted to the takeout arm 700 by the ball screw assembly 500 is transferred to the slide block 640, there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akeout arm 700. .

한편, 전술한 볼스크류어셈블리(500)를 비롯한 전달커넥터(580)와 가이드어셈블리(600)는 상기 구동축(380)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성되며,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전달커넥터(580)에는 취출암(700)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connector 580 and the guide assembly 60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ball screw assembly 50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drive shaft 380, respectively, the transmission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ejection arm 70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580.

상기 취출암(700)은 상기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에 의해서 가공된 가공품을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에 의한 좌우 수평운동을 전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가공완료된 가공품을 취출하도록 형성된다.The blowout arm 700 is for taking out the processed product by 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motions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are converted into front and rear vertical motions. It is formed to take out the workpiece.

상기 취출암(700)은 다수개의 로드(720)가 서로 연결된 링크구조로서, 일명 '자바라'라고 불리우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전달커넥터(580)의 전반부 일측에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가진 로드(720)가 각각 결합된다.The blowout arm 700 is a lin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ods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called 'Java'.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rod 720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transmission connector 580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이때, 상기 좌/우측의 로드(720)는 그 단부가 상기 좌/우측의 전달커넥터(580) 전반부에 연결핀(740)에 의해서 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측의 로드(720)는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되며, 서로 교차된 부분에는 다시 연결핀(740)에 의해서 핀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eft / right side of the rod 720 is pinned by the connecting pin 740 in the front end of the left / right side of the transmission connector 580 is freely rotatable. The left and right rods 720 cross each other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p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ins 740.

그리고, 상기 전달커넥터(580)와 결합된 좌/우측 로드(720)의 타측 단부에는 다른 로드(720)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서로 연결된 상기 로드(720)들은 서로 단부가 겹치도록 형성되며, 연결핀(740)에 의해 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The other rod 7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ft / right rod 720 coupled to the transfer connector 58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ods 720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so that their ends overlap each other, and are pin-coupled by the connecting pin 740 to be free to rotate.

추가로 연결된 좌/우 양측의 로드(720)는 다시 서로 교차하며, 이때 교차되는 중앙부는 연결핀(740)에 의해서 핀결합하게 되어 상기 추가로 결합된 로드(720)가 일정 위치에서 접철될 수 있게 된다.The left and right rods 720 connected to each other cross again with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ng center portion is pin-coupled by the connecting pin 740 so that the additionally coupled rod 720 may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ll be.

이와 같은 상기 취출암(700)의 로드(720)는 다수개가 연결되며, 좌/우측에서 서로 단부가 상기 연결핀(740)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로드(720)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연결핀(740)에 의해 핀결합되는 구조를 반복하게 된다.A plurality of rods 720 of the extraction arm 7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eft / right sides by the connecting pins 740, and each of the rods 720 crosses the connecting pins. The structure pinned by 740 is repeated.

이때, 상기 다수개의 로드(720)가 서로 교차하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연결핀(740)들의 중심은 모두 동일한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그 위치는 상기 취출암(700) 좌우폭의 대략 중앙부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centers of the connecting pins 740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rods 720 cross each other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and the positions thereof are approximately cent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takeout arm 700. Would be preferred.

한편, 상기 취출암(700)의 로드(720) 중 좌/우측에서 가장 마지막에 결합된 로드(720)는 그 길이가 다른 로드(720)에 비해 다소 짧게 되며, 이때 상기 좌/우측 로드(720)의 단부는 서로 교차하여 연결핀(740)에 의해 핀결합된다. 상기 연결핀(740)의 위치는 상기 취출암(7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다른 연결핀(740)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d 720 coupled to the last left / right of the rod 720 of the take-out arm 700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other rod 720, the length of the left / right rod 720 ) Ends are pinned by the connecting pin 740 to cross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in 740 is locat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other connecting pin 740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extraction arm 700.

그리고, 가장 마지막에 결합된 좌/우측의 로드(720)에는 푸쉬핸드(760)가 장착된다. 상기 푸쉬핸드(760)는 상기 하부금형(220)에 위치한 가공품을 취출할 때 상기 가공품과 접촉하여 상기 가공품을 밀어주는 것으로, 비교적 고속으로 움직이는 취출암(700)의 운동특성에 의해 상기 가공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And, the push hand 760 is mounted on the left / right rod 720 coupled to the last. The push hand 760 is to push the workpiec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when taking out the workpiece located in the lower mold 220, the workpiece is damaged by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ion arm 700 moving at a relatively high speed It will be desi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the impact so as not to.

상기 푸쉬핸드(760)의 형상은 가공품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푸쉬핸드(760)의 후단부에는 상기 푸쉬핸드(760)와 상기 로드(72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플레이트(780)가 형성된다.The shape of the push hand 760 may be different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the push hand 760 to the rod 720 may b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push hand 760. 780 is formed.

상기 연결플레이트(780)는 상기 푸쉬핸드(760)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780)의 대략 중앙부는 서로 교차하는 상기 좌/우측의 로드(720) 단부와 함께 연결핀(740)에 의해 관통된다.The connection plate 780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push hand 760 i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late 780 crosses the left and right rods 720. It is penetrated by the connecting pin 740 with the end.

그리고, 상기 연결핀(740)을 기준으로 후반부 좌우 양측에는 일정각도의 원호형상으로 안내홈(78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782)에는 상기 로드(720)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784)가 삽입된다.In addition, guide grooves 782 are formed in an arc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half based on the connecting pin 740, and the guide grooves 782 protrude downward from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d 720. The formed guide protrusion 784 is inserted.

따라서, 상기 취출암(7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로드(720)의 접철에도 상기 안내돌기(784)가 상기 안내홈(782)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푸쉬핸드(760)가 일측으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ush hand 760 is not rotated or inclined to one side even when the guide protrusion 784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782 even when the plurality of rods 720 of the take-out arm 700 are folded. It can be kept in place.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의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레스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이며,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7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press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ing apparatus for fine bla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and show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lank blanking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1 to 7 as follows.

상기 하부금형(22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금형(120)과 서로 접하면서 가공품을 전단가공할 경우 상기 하부금형(220)과 상부금형(120)이 서로 접하는 순간에는 상기 취출암(700)이 완전하게 접혀서 상기 푸쉬핸드(760)가 상기 금형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lower mold 220 moves upward to shear the workpiece while contacting 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the ejection arm 700 is instantaneously contacted with the lower mold 220 and the upper mold 120. It is completely folded so that the push hand 760 is located outside of the mold.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2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취출암(7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금형(220)의 상면에 위치한 가공품을 취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mold 220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takeout arm 700 is moved forward to take out the workpiec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20).

이때의 작동 상태를 도 3 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부금형(220)이 완전하게 상승하여 상기 상부금형(120)과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스토퍼(344)와 접촉하고, 상기 구속포켓(362)에는 상기 푸셔암(400)의 링크롤러(440)가 수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lower mold 220 is completely rai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mold 1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s lower than the lower stopper 344. And a link roller 440 of the pusher arm 400 is received in the restraint pocket 362.

그리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반부에 형성된 상기 렉(364)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상기 피니언(366)은 상기 렉(364)의 상반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pinion 366 coupled to the rack 364 formed at the lower half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s positioned at the upper half of the rack 364.

한편, 상기 하부금형(220) 및 하부테이블(200)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하부테이블(200)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서포트프레임(300)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속포켓(362)에는 상기 링크롤러(440)가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푸셔암(400)은 상기 상부금형(120)과 함께 위치가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lower mold 220 and the lower table 200 moves downward, the support frame 3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200 also moves downward. In this case, the link roller 440 is accommodated in the restraint pocket 362, and the pusher arm 400 is fixed together with the upper mold 120.

따라서, 상기 하부금형(22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는 별도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푸셔암(400)에 의해 특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are maintained at a specific position by the pusher arm 400 apart from the support frame 300 moving downward with the lower mold 220.

이로 인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피니언(366)은 상기 렉(364)의 치형과 맞물린 상태로 시계방향(도 3 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된다. Due to this, the pinion 366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and moving downward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300 is clockwise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rack 364 (see FIG. 3). When rotated).

상기 하부금형(220)의 지속적인 하방이동으로 상기 상부스토퍼(342)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단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된다.Wh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opper 342 and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continuous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r mold 220,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are lowered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300. You will have no choice but to move to.

이때 발생하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규제력에 의해서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된 링크롤러(440)는 회전하면서 상기 구속포켓(362)을 이탈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푸셔암(400)을 누르는 탄성부재(460)는 압축된다. At this time, the link roller 440 accommodated in the restraint pocket 362 is rotated to leave the restraint pocket 362 by the regulat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and at the same time, the pusher arm 400 is removed. The pressing elastic member 460 is compressed.

상기 구속포켓(362)을 이탈한 상기 링크롤러(440)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link roller 440 is separated from the restraint pocket 36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s continuously downward with the support frame 300. Will move.

한편,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스토퍼(342)와 접하기 전까지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에 구비된 렉(364)이 상기 피니언(36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피니언(366)의 회전으로 상기 피니언(366)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구동축(380)이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the rack 364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rotates the pinion 366 clockwise until an upp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topper 342. As the pinion 366 rotates, the drive shaft 380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nion 366 rotates.

그리고, 상기 구동축(380)의 회전력은 상기 회전커플러(382)에 의해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회전축(520)으로 전달된다. 구동축(380)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너트(540)는 서서히 좌우 양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The rotation force of the drive shaft 38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520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by the rotation coupler 382. The nut 540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gradually moves horizontally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e shaft 380 to narrow the gap.

상기 좌우 너트(540)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서, 상기 너트(540)와 연결된 좌/우측의 전달커넥터(580)는 상기 취출암(700)의 가장 후단부 사이를 오므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달커넥터(580)와 상기 취출암(700)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어셈블리(600)의 슬라이드블럭(640)이 상기 레일(620)의 따라서 좌우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6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As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nuts 540 is narrowed, the left / right transmission connector 580 connected to the nut 540 is pinched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ejection arms 700. At the same time, the slide block 640 of the guide assembly 600 supporting the end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and the takeout arm 700 is horizontally moved from side to side along the rail 620 to allow the slide block 580 to move. The gap between the 640 becomes narrow.

상기 취출암(700) 후단 양측의 로드(720)가 오므려 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로드(720)로 구성된 상기 다수개의 로드(720)는 좌우간격이 서로 좁아지게 되며, 이는 교차되는 로드(720)마다 같은 간격만큼 전후로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전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The rods 720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akeout arm 700 are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rods 720 including the plurality of rods 720 are narrowed to each other, and the rods 720 intersect each other. The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are widened by the same interval every time, and are spread out forward.

즉, 이와 같은 링크구조는 자바라 형상으로 교차된 링크구조의 일반적인 특성상 좌우간격을 상대적으로 적게 좁히는 작업으로 상대적으로 훨씬더 긴 거리만큼 상기 링크구조를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uch a link structure is a work of narrowing the left and right spacing relatively less du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nk structure intersected in a bellows shape, so that the link structure can be extended by a much longer distance.

상기 취출암(700)이 펼쳐지는 때에는 상기 하부금형(220)은 충분히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이로 인해서 상기 취출암(700)이 전방으로 늘어나는데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120)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When the ejection arm 700 is unfolded, the lower mold 220 is sufficiently moved downward, and thus the ejection arm 700 is not restricted by the upper mold 120 in extending forward. .

상기 취출암(700)은 펼쳐지면서 상기 하부금형(220)의 상면을 스치듯이 지나가게 되며, 상기 취출암(700)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푸쉬핸드(760)는 상기 하부금형(220) 상면의 가공품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하부금형(220) 상면의 가공품을 취출하게 된다.The blowout arm 700 extends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20, and the push hand 76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arm 220 is a workpie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20. By pushing forward to take out the workpie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20).

상기 가공품과 접촉하는 상기 취출암(700)의 선단부에 장착된 푸쉬핸드(760)는 빠른 속도로 펼쳐지면서 가공품과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되며, 충격의 흡수로 가공품을 일정한 위치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The push hand 760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take-out arm 700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is expanded at a high speed to mitig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workpiece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taking out the workpiece to a certain position by the absorption of the impact. It becomes possible.

한편, 상기 하부금형(220)이 완전하게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상기 취출암(700) 또한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품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가공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금형(22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mold 220 is completely moved downward, the blowout arm 700 is also in a completely unfolded state. In addition, after the processing of the workpiece is completed, the lower mold 220 is moved upward to process again.

이때의 작동상태를 도 4 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부금형(220)이 하방으로 완전하게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스토퍼(34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푸셔암(400)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상반부에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4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ng state, the lower mold 220 is completely lowered downward state i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topper 342, The pusher arm 400 is positioned at the upper half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그리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반부에 형성된 상기 렉(364)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상기 피니언(366)은 상기 렉(364)의 하반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pinion 366 coupled to the rack 364 formed at the lower half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s positioned at the lower half of the rack 364.

상기 하부금형(220)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하부금형(220)이 장착된 상기 하부테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서포트프레임(300)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the lower mold 220 moves upward, the support frame 3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200 on which the lower mold 220 is mounted also moves upward.

이때, 상기 푸셔암(400)의 링크롤러(440)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로 구름운동하게 되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링크롤러(440)는 상기 구속포켓(362)과 인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nk roller 440 of the pusher arm 400 is clou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and the link relative to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moves upward The roller 440 is adjacent to the restraint pocket 362.

한편, 상기 링크롤러(440)가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되기 전까지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에 구성된 렉(364)과 피니언(366)의 상호작용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취출암 또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ack 364 and the pinion 366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does not occur until the link roller 440 is accommodated in the constraining pocket 362. The blowout arm also remains in an extended state.

상기 하부금형(220)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푸셔암(400)의 링크롤러(440)는 지속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구속포켓(362)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푸셔암(400)에 구비된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링크롤러(440)가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된다.When the lower mold 220 is continuously raised, the link roller 440 of the pusher arm 400 is continuously rotated, and when it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restraint pocket 362, the pusher arm 400 The link roller 440 is accommodated in the restriction pocket 36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60 provided in the.

이로 인해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상방이동과는 관계없이 상기 푸셔암(400)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30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피니언(366)은 상기 렉(364)의 치형과 맞물린 상태로 반시계방향( 도 4 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된다.Thus, the vertical sliding ram 360 is fixed by the pusher arm 400 regardless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300. Therefore, the pinion 366,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and moves upward with the support frame 300, is counterclockwise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rack 364 (see FIG. 4). When rotated).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은 상기 푸셔암(400)의 링크롤러(440)가 상기 구속포켓(36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00)은 상기 하부금형(220)의 상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단부가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단부와 접할 때 까지 상승하게 된다.The vertical sliding ram 360 maintains the link roller 440 of the pusher arm 400 accommodated in the restriction pocket 362. The support frame 300 moves upward as the lower mold 220 rises, and ascends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do.

한편,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스토퍼(344)와 접하기 전까지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램(360)에 구비된 렉(364)이 상기 피니언(36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피니언(366)의 회전으로 상기 피니언(366)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구동축(380)이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the rack 364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rotates the pinion 366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until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3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topper 344. As the pinion 366 rotates, the drive shaft 380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nion 366 rotates.

상기 구동축(380)의 회전력은 상기 회전커플러(382)에 의해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회전축(520)으로 전달된다. 구동축(380)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500)의 너트(540)는 서서히 좌우 양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38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520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by the rotary coupler 382. The nut 540 of the ball screw assembly 500 gradually moves horizontally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ing shaft 380 to widen the interval.

상기 좌우 너트(540)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서, 상기 너트(540)와 연결된 좌/우측의 전달커넥터(580)는 상기 취출암(700)의 가장 후단부 사이를 벌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달커넥터(580)와 상기 취출암(700)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어셈블리(600)의 슬라이드블럭(640)이 상기 레일(620)의 따라서 좌우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64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nuts 540 is widened, the left / right transmission connector 580 connected to the nut 54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most end of the takeout arm 700. At the same time, the slide block 640 of the guide assembly 600 supporting the end of the transfer connector 580 and the takeout arm 700 is horizontally moved from side to side along the rail 620 to allow the slide block 580 to move. The spacing between 640 is widened.

상기 취출암(700) 후단 양측의 로드(720)가 벌려 짐과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로드(720)는 좌우간격이 서로 넓어지게 되며, 이때 넓어지는 간격만큼 전후로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는 교차되는 로드(720)마다 같은 간격만큼 전후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접히게 된다.As the rods 720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blowout arm 700 are opened, the plurality of rods 720 are widened at right and left intervals, and the intervals at the front and rear are narrowed by the intervals at which they are widened. Each of the rods 720 is folded while being narrowed back and forth by the same interval.

즉, 이와 같은 링크구조는 자바라 형상으로 교차된 링크구조의 일반적인 특성상 좌우간격을 상대적으로 적게 넓히는 작업으로 상대적으로 훨씬더 긴 거리만큼 상기 링크구조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uch a link structure can be folded by a relatively much longer distance by a relatively wider left and right spacing operation du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nk structure crossed in a bellows shape.

상기 하부금형(22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220)이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취출암(700)은 완전하게 접혀지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1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lower mold 220 is moved upward and the upper mold 120 and the lower mold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xtraction arm 700 is completely folded, and as shown in FIG. It becomes state and completes one cycle.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에서는, 하부금형의 상하이동을 렉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회전운동은 볼스크류어셈블리와 가이드어셉블리에 의해 수평운동으로 전환되며, 이들의 수평운동은 링크구조의 취출암이 전후로 펼쳐지거나 접히면서 가공품을 취출하도록 한다.In the automatic blank blanking machine take-off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shanghai-dong of the lower mold is converted to the rotational motion by using the rack and pinion, and the converted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the horizontal motion by the ball screw assembly and the guide assembly. Horizontal movement of the linkage allows the ejection arm of the link structure to be unfolded or folded back and forth to take out the workpiece.

따라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하이동을 기계적인 구동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별도 동력원의 제작 또는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r maintenance cost of a separate power source by changing the mechanical driving method of the shangdong of the lower mol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ower.

그리고, 별도 동력원이 없이 기계적인 구동방식으로 가공품을 취출함으로써 압축공기를 사용한 가공품의 취출에 비해 현저하게 소음이 감소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taking out the workpiece by a mechanical driving method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the noise i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extraction of the workpiece using compressed air,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상기 취출암이 특정방향으로 가공품을 밀어주게 됨으로써 가공품의 비산에 의한 충돌 등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제품의 찍힘 이나 스크레치발생을 줄임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arm pushes the workpiece in a specific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collisions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workpiec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s stamping or scratching, and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and productivity. .

뿐만 아니라 단순한 기계적인 구동방식으로 별도의 제어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보다 확실한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여 에러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imple mechanical drive method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control system, which ensures more reliable operation and minimizes errors.

그리고, 기존의 상기 하부금형의 상하 스트로크 중 일부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상기 하부금형의 작동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작동가능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작동속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trokes of the existing lower mold,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affecting the existing operating speed of the lower mold, and activ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peed of the lower mol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You can expect.

또한, 상기 하부금형이나 상부금형이 장착된 하부테이블과 상부테이블의 일측에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적용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금형에 사용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기존의 프레스장비에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mold or the upper mold is mounted and applied to one side of the lower table and the upper table, it can be used in various molds,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xisting press equipment as needed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You can expect the effect.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후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 state of the ejection ar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ne blanking machine automatic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전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vanced state of the ejection ar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fine blanking product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1 에서의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in FIG. 1; FIG.

도 4 는 도 2 에서의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4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in FIG.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후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reverse state of the ejection ar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ne blanking apparatus automatic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취출암의 전진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dvanced state of the ejection ar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lank blanking product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인블랭킹 가공품의 자동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레스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 is adopt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take-out device of the fine blank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상부테이블 120. 상부금형100. Upper table 120. Upper mold

200. 하부테이블 220. 하부금형200. Lower table 220. Lower mold

300. 서포트프레임 320. 지지부300. Support frame 320. Support

340. 안내부 342. 상부스토퍼340. Guide section 342. Upper stopper

344. 하부스토퍼 360. 상하슬라이딩램344. Lower stopper 360. Up and down sliding ram

362. 구속포켓 364. 렉362. Redemption Pockets 364.

366. 피니언 380. 구동축366. Pinion 380. Drive Shaft

382. 회전커플러 400. 푸셔암382. Swivel Coupler 400. Pusher Arm

420. 장착프레임 440. 링크롤러420. Mounting frame 440. Link roller

460. 탄성부재 500. 볼스크류어셈블리460. Elastic member 500. Ball screw assembly

520. 회전축 540. 너트520. Rotating shaft 540. Nut

560. 장착블럭 580. 전달커넥터560. Mounting Block 580. Transmission Connector

600. 가이드어셈블리 620. 레일600. Guide assembly 620. Rails

640. 슬라이드블럭 700. 취출암640. Slide Block 700. Blowout Rock

720. 로드 740. 연결핀720. Load 740. Connection pin

760. 푸쉬핸드 780. 연결플레이트760. Push Hand 780. Connecting Plate

782. 안내홈 784. 안내돌기782.Guide 784.Guide

Claims (12)

위치가 고정된 상부테이블 및 상부금형과, 상하운동하여 제품을 블랭킹 가공하는 하부테이블 및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프레스에 있어서,In the press consisting of the upper table and the upper mold fixed in position, the lower table and the lower mold for blanking the product by moving up and down, 상기 하부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테이블과 함께 상하운동하는 서포트프레임과; A support fram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table and vertically moving together with the lower table;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과 함께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램과;An up and down sliding ram provided inside the support frame to selectivel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상기 상부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푸셔암과;A pusher arm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table to selectively re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에 따라 접철되어 가공품을 취출하는 취출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he fine blanking machine automatic take-o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ke-out arm which is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ing ram to take out the work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상기 하부테이블과 결합되어 안정적인 장착을 지지하는 지지부와;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lower table to support stable mounting;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It i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utomatic blanking machine automatic take-o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vertical sliding of the vertical sliding ra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내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The inner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상하운동을 제한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nd an upper stopper and a lower stopper for selectively conta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일측에는,According to claim 3, One side of the vertical sliding ram, 상기 푸셔암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구속포켓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utomatic extraction device for fine blank workpi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iction pocket is formed recessed to be selectively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pusher ar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슬라이딩램의 일측에는 다수의 치형이 상하로 형성되는 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a rack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up and dow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m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렉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피니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a pin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to be engaged with the ra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암의 일측에는,According to claim 4, One side of the pusher arm, 상기 상하슬라이드램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며, 상기 구속포켓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링크롤러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Rolling mo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e rams, the automatic automatic blank blan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ink roller that is selectively received into the restraint pocke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는,According to claim 6,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피니언의 양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볼스크류어셈블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nd a ball screw assem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nion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into a horizontal mo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와 연동하여 상기 취출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어셈블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nd a guide assembly for guiding the take-out arm in conjunction with the ball screw assemb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의 좌우 수평운동을 상기 취출암에 전달하도록 상기 볼스크류어셈블리와 취출암을 연결하는 전달커넥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nd a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ball screw assembly and the takeout arm so as to transfer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motions of the ball screw assembly to the takeout ar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암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xtraction arm, 다수개의 로드가 좌우측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반복적으로 연결되며, 교차 및 연결되는 부분이 연결핀에 의해 핀결합되는 링크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A plurality of rods are repeatedly connected to cross each other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utomatic blanking blank product take-o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connected portion is formed in a link structure is pin-connected by a connecting pi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암의 선단부에는,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lowout arm according to claim 11, 충격흡수소재로 형성되어 가공품과 직접 접촉시 가공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푸쉬핸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블랭킹 가공품 자동 취출장치.It is formed of an impact-absorbing material, automatic push-blanking device for fine blank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ush hand to prevent damage to the workpiece when in direct contact with the workpiece.
KR20-2005-0015785U 2005-06-02 2005-06-02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KR2003931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85U KR200393114Y1 (en) 2005-06-02 2005-06-02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85U KR200393114Y1 (en) 2005-06-02 2005-06-02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056A Division KR100597011B1 (en) 2005-06-02 2005-06-02 Auto take out device for fine-blanking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114Y1 true KR200393114Y1 (en) 2005-08-17

Family

ID=4369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785U KR200393114Y1 (en) 2005-06-02 2005-06-02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11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83026A (en) * 2023-09-07 2023-12-08 江阴普朗克科技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pole piece produc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83026A (en) * 2023-09-07 2023-12-08 江阴普朗克科技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pole piece produc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CN117183026B (en) * 2023-09-07 2024-03-08 江阴普朗克科技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pole piece produc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365B2 (en) Press mold
US5784916A (en) Thin sheet forming die assembly including a lower die having plural parallel rotating cylindrical members
CN113857688B (en) Split type auxiliary supporting and blanking device for laser pipe cutting machine
CN101934576A (en) Mold clamping device
KR200393114Y1 (en) Auto take out device for branking product
JP2010023371A (en) Ejector and connection method of ejector
KR100597011B1 (en) Auto take out device for fine-blanking product
JP4513995B2 (en) Turret punch press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urret punch press
CN213195323U (en) Stamping device of mould processing production usefulness
JPH0985498A (en) Cam for press die
CN211539113U (en) Buffer device for punch press
CN210964874U (en) Three-dimensional mixer for processing of tablet raw materials
CN101072649A (en) Automatic tool change device
JP4538124B2 (en) Mold lifting device for punch press
CN109624245B (en) Five-plate toggle rod type die assembly device
CN113369408A (en) Servo punch press stamping strength adjusting mechanism and using method thereof
CN205969311U (en) Insulating board punching press automatic discharge equipment
CN212577294U (en) Stamping die for upper bracket of automobile shock absorber
KR200425932Y1 (en) Ejecting device for fine-blanking product
CN217941750U (en) Impact-resistant bidirectional forging positioning system for stainless steel
CN214263632U (en) Automatic connecting rod material turning mechanism for stamping
JP2011056570A (en) Device for lubricating mold for forging press; forging press
JP2925027B2 (en) Work vertical punch press
CN211027846U (en) Nut self-locking necking machine
CN220426615U (en) Molded part lifting and blanking device for stamp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