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745Y1 -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745Y1
KR200392745Y1 KR20-2005-0015486U KR20050015486U KR200392745Y1 KR 200392745 Y1 KR200392745 Y1 KR 200392745Y1 KR 20050015486 U KR20050015486 U KR 20050015486U KR 200392745 Y1 KR200392745 Y1 KR 200392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ting
aging
temperature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인수
윤정필
윤영찬
Original Assignee
차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인수 filed Critical 차인수
Priority to KR20-2005-0015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7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7Tempering units for temperature control of moulds or cores, e.g. comprising heat exchangers, controlled valves, temperature-controlled circuits for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7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ost heating elements, i.e. heating means incorporated and remaining in the form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4Latex, emulsion or disper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조 내부로 전기히터선이 유입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수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가열수가 충만된 가열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봉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가열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직접 가열수와 접촉하여 가열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선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외표면에는 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함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하부에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가열구동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 및 숙성조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전기히터를 설정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설정온도 및 시간범위내에서 제어부가 무인으로 숙성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해당 숙성시간동안 라텍스 숙성액을 숙성시키게 되므로 인건비 등의 라텍스 코팅장갑의 제조비용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 전기히터가 유입되어져 있으므로 균일하고 신속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MATURING CONTROL APPARATUS OF A LATEX}
본 고안은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가열조 내부로 전기히터선이 유입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수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용 고무장갑이나 의료용 장갑을 제조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라텍스 재질을 이용한 장갑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라텍스 코팅장갑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로 라텍스 코팅장갑은 천연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즉, 자연친화적인 재질이므로 별도의 탄성 부여를 위한 약품을 가미하지 않아도 천연적으로 탄성도가 높으므로 장갑의 착용감이 좋다.
또한, 라텍스 코팅장갑은 원활한 통풍 및 우수한 통기성을 갖는다. 또, 이러한 라텍스 코팅장갑은 그 내구성이 강하며,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서 각종 피부질환으로부터 자유스럽다. 또, 그 재질적인 측면에서 라텍스 코팅장갑은 항박테리아 및 항곰팡이 기능을 가지므로 장갑을 장시간 고습도에서 사용하여도 각종 박테리아 및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라텍스 코팅장갑은 12시간 이상의 숙성이 필요하므로 그 장치관리를 위한 인건비가 상승되고, 전체 제조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라텍스 코팅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라텍스 숙성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라텍스 숙성장치(2)는 이중 중탕 가열방식으로 일정 온도를 급격하지 않은 온도상승에 맞춰 숙성되어야 하므로 직접 라텍스 숙성액에 열이 가해져서는 안된다. 따라서, 종래의 라텍스 숙성장치(2)는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이며, 내부에 가열수(6)가 충만된 가열조(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가열조(4)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4)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10)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8)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가열조(4)는 외통을 형성하고, 그 가열조(4)의 내부에는 내통으로 형성된 라텍스 숙성조(8)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라텍스 숙성조(8)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어 라텍스 투입구(12)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라텍스 숙성조(8)의 하단 외주연 소정부로부터 연결된 유출구(14)가 상기 가열조(4)의 외부로 연통되어져 있으며, 그 유출구(14)의 종단에는 라텍스 유출밸브(1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4)의 하부에는 오일버너(22)를 통해 가열조(4)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0)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라텍스 숙성장치(2)는 그 가열조(4)의 하부만이 오일버너(22)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열되게 되므로 라텍스 숙성조(8)에 내장된 숙성액이 고른 온도분포하에서 숙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라텍스 숙성장치(2)는 오일버너(22)를 사용하므로 가열원이 고비용 연료인 오일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온도제어는 단순한 수동식 아날로그 온도제어방식이므로 상시 관리자가 해당 종래의 라텍스 숙성장치(2)를 통한 숙성 관리를 해야만 되므로 불편하고 인건비가 상승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숙성 완료시점을 개인적인 느낌이나 경험에 의존하므로 정확하고 균일한 숙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조 내부로 전기히터선이 유입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수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조의 외표면에 균일하게 전기히터선을 부착시켜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가열수가 충만된 가열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봉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가열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직접 가열수와 접촉하여 가열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선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외표면에는 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함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하부에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가열구동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 및 숙성조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전기히터를 설정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박스는 그 내부에 가열조 및 숙성조의 온도설정값을 저장하며, 숙성시간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인가된 검출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히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조 및 숙성조는 각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조는 그 중앙에 수직으로 중앙가열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가열조는 상기 숙성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열조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통로가 구비되어져 그 유통로를 통해 가열조의 내부 가열수가 상기 중앙가열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가열조에는 본 전기히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별도의 전기히터선이 삽입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제어박스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가열조 내부로 전기히터선이 유입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수의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장치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열조의 외표면에 균일하게 전기히터선을 부착시켜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중탕 방식으로 구동되는 숙성조의 중앙부에 가열조의 가열수와 연통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전기히터선을 장착시킴으로써 더욱 균일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숙성시간 및 온도설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하고 제어함으로써 무인 온도 및 시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이중 중탕 가열방식으로 일정 온도를 급격하지 않은 온도상승에 맞춰 숙성되어야 하므로 직접 라텍스 숙성액에 열이 가해져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이며, 내부에 가열수(108)가 충만된 가열조(10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가열조(104)의 내부로 유입되게 복수개의 봉형태의 전기히터선(126)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져 있다.
물론, 본 고안의 목적은 도 2a의 구성이나, 도 2b의 구성이 공히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이중 중탕 가열방식으로 일정 온도를 급격하지 않은 온도상승에 맞춰 숙성되어야 하므로 직접 라텍스 숙성액에 열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가열조(104)를 가열함에 있는 바, 도 2a 및 도 2b의 구성은 단지 상기 전기히터선(126)의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2a의 구성에서는 가열조(104)의 내부에 전기히터선(126)이 일정높이 유입되어져 있으므로 도 2b의 구성보다는 효율적이지만, 도 2b의 구성 역시도 종래의 숙성장치에 비해 효과적인 숙성을 행할 수 있다.
먼저, 도 2a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가열조(104)의 내부로 유입되게 복수개의 봉형태의 전기히터선(126)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 그 전기히터선(126)이 내부로 유입된 상기 가열조(104)의 외표면에는 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함체(102)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 외부함체(102)는 재질이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FR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104)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104)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112)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110)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가열조(104)는 외통을 형성하고, 그 가열조(104)의 내부에는 내통으로 형성된 라텍스 숙성조(11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라텍스 숙성조(110)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어 라텍스 투입구(112)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라텍스 숙성조(110)의 하단 외주연 소정부로부터 연결된 유출구(114)가 상기 가열조(104)의 외부로 연통되어져 있으며, 그 유출구(114)의 종단에는 라텍스 유출밸브(12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104)의 하부에는 가열구동부(12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가열구동부(122)에는 외부 A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히터선(126)에 적정 전압으로 변압하여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124)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106)(114)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104)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이루어진 제어박스(13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제어박스(130)의 내부에는 전체 온도 및 숙성시간에 대한 전기히터선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CPU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2b의 구성도 도 2a와 대동 소이하나, 상기 전기히터선(126)이 상기 가열조(104)의 외표면에 전면적이나 일정 면적으로 구성되어 그 가열조(104)의 하면 및 측면에 대해 고르게 부착되어져 있다.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도 2a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박스(130)는 그 전면에 세븐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32a)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라텍스 숙성조(110)에 대한 설정온도 입력과, 과부하 온도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34a)와, 입력버튼(134b)이 각각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각 설정입력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2b)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그 제어박스(130)를 통해 라텍스 숙성조(110)의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숙성시간을 미리 설정하게 되며, 상기 제어박스(130)에 구비된 CPU(도 4의 제어부)는 온도센서(106)(114)와 연동하여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의 온도를 검출한 상태에서 해당 숙성완료시간(통상 12시간이상)이 도래되기 전까지 해당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상기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106)(114)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104)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2a,132b)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표시부(132a,132b)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14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104)의 외표면 소정부에 부착된 전기히터(12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전기히터(126)를 구동시키기 위한 히터구동부(142)가 제공되며, 그 히터구동부(142)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140)가 구비되며, 스위칭부(140)로 전원을 적정 전압으로 변압하여 제공하는 전원공급부(12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키입력부(134a,134b)를 통해 입력한 온도설정값과, 시간설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4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14, 106)로부터 인가된 온도검출값과, 상기 데이터저장부(146)에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히터(126)를 구동 제어하며,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148a)를 통해 숙성설정시간이 도래하는 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 도래시 전기히터(126)로 구동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48)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장치의 전원투입을 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134a,134b)를 통해 숙성조 및 가열조의 온도설정값을 입력하고, 소망하는 숙성시간을 입력하면 데이터저장부(146)는 해당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 등록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제어부(148)는 상기 전기히터(126)로 인가되는 스위칭부(140)를 스위칭 턴온하여 전기히터(126)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열조(104)가 먼저 전기히터(126)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어 내부 가열수(108)가 가열되게 된다.
또한, 그 가열수(108)의 열을 중탕방식으로 전달받아 상기 숙성조(110)가 가열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 내벽면에 각각 부착된 온도센서(106)(114)는 해당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 이때, 중탕방식에서는 가열조(104)와 숙성조(110)의 온도가 직접 동일하지 않으며 그 온도 증가속도도 차이가 있으므로 각 가열조(104) 및 숙성조(110)의 온도를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48)는 상기 온도센서(106)(114)로부터 인가된 검출값을 데이터저장부(146)에 기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숙성조(11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지를 판단한다. 만약, 숙성조(11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전기히터(126)를 정지시키고 숙성조(11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기히터(126)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열조(104)의 온도가 과부하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라면 상기 전기히터(126)를 정지시키고, 숙성설정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숙성설정시간이 도래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숙성조(110) 및 가열조(104)의 온도검출단계로 복귀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전기히터(126)의 구동과 구동정지를 반복하여 해당 온도범위내에서 숙성조(110)의 온도가 유지되면서 라텍스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숙성설정시간이 도래된 경우라면 장치의 구동을 모두 정지시킨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100)는 설정온도 및 시간범위내에서 제어부(148)가 무인으로 숙성조(1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해당 숙성시간동안 라텍스 숙성액을 숙성시키게 되므로 인건비 등의 라텍스 코팅장갑의 제조비용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104)의 외표면에 균일하게 전기히터(126)가 부착되어져 있으므로 균일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투시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200)는 숙성조(210)의 숙성액 온도를 그 위치와 무관하게 보다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숙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200)는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이며, 내부에 가열수(208)가 충만된 가열조(20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가열조(204)의 외표면에는 전면적이나 일정 면적으로 구성되어 그 가열조(204)의 하면 및 측면에 대해 고르게 부착된 전기히터선(226)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그 전기히터선(226)이 부착된 상기 가열조(204)의 외표면에는 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고, 전기히터선(226)의 절연을 위한 외부함체(202)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 외부함체(202)는 재질이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FR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204)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204)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212)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210)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가열조(204)는 외통을 형성하고, 그 가열조(204)의 내부에는 내통으로 형성된 라텍스 숙성조(21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라텍스 숙성조(210)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어 라텍스 투입구(212)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라텍스 숙성조(210)의 하단 외주연 소정부로부터 연결된 유출구(214)가 상기 가열조(204)의 외부로 연통되어져 있으며, 그 유출구(214)의 종단에는 라텍스 유출밸브(220)가 구비되어져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200)는 상기 숙성조(2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중앙가열조(24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가열조(240)는 상기 숙성조(2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열조(204)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통로(241)가 구비되는 바, 그 유통로(241)를 통해 가열조(204)의 내부 가열수가 상기 중앙가열조(240)의 내부로 유입되어 동일한 높이로 가열수가 충만되게 된다.
이를 통해 숙성조(210)의 중앙부의 온도도 그 외부 온도와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숙성조(210)의 중앙 가열조(240)에는 전기히터(226)가 분기되어 삽입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중앙가열조(240)에 채워진 가열수도 별도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조(204)의 하부에는 가열구동부(22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가열구동부(222)에는 외부 A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히터선(226)에 적정 전압으로 변압하여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224)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가열조(204) 및 숙성조(210)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206)(214)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204)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 이루어진 제어박스(23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제어박스(230)의 내부에는 전체 온도 및 숙성시간에 대한 전기히터선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CPU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는 설정온도 및 시간범위내에서 제어부가 무인으로 숙성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해당 숙성시간동안 라텍스 숙성액을 숙성시키게 되므로 인건비 등의 라텍스 코팅장갑의 제조비용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 전기히터가 유입되어져 있으므로 균일하고 신속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제어박스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를 도시한 투시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가열조, 106:온도센서,
108:가열수, 110:숙성조,
112:라텍스 숙성액, 114:온도센서,
116:주입구, 118:배출구,
120:배출밸브, 122:가열구동부,
124:전원공급부, 126:전기히터선.

Claims (5)

  1. 그 외부에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가열수가 충만된 가열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봉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가열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직접 가열수와 접촉하여 가열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선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외표면에는 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함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내부에는 그 가열조보다 더 작은 직경이고 내부에 다량의 라텍스 숙성액을 채운 라텍스 숙성조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가열조의 하부에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가열구동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 및 숙성조의 내벽면 소정부에는 각각 해당 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각각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조의 외벽 소정부에는 설정온도 입력 및 설정숙성시간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해당 설정온도 및 숙성시간, 각 조의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전기히터를 설정값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그 내부에 가열조 및 숙성조의 온도설정값을 저장하며, 숙성시간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인가된 검출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히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 및 숙성조는 각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조는 그 중앙에 수직으로 중앙가열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중앙가열조는 상기 숙성조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열조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통로가 구비되어져 그 유통로를 통해 가열조의 내부 가열수가 상기 중앙가열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가열조에는 본 전기히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별도의 전기히터선이 삽입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KR20-2005-0015486U 2005-05-31 2005-05-31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KR200392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486U KR200392745Y1 (ko) 2005-05-31 2005-05-31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486U KR200392745Y1 (ko) 2005-05-31 2005-05-31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745Y1 true KR200392745Y1 (ko) 2005-08-17

Family

ID=4369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486U KR200392745Y1 (ko) 2005-05-31 2005-05-31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7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695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제닉 미용 팩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695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제닉 미용 팩 제조장치
KR102409234B1 (ko) 2015-12-14 2022-06-15 주식회사 제닉 미용 팩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086B1 (ko)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US7158717B2 (en) Apparatus for altering a temperature state of a liquid within a container and method of use
CN209187158U (zh) 热皮肤处理设备
KR101523837B1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KR20180027784A (ko) 육류 숙성 장치
KR101125843B1 (ko) 발효주 제조기
KR200392745Y1 (ko) 라텍스 숙성용 탱크의 숙성제어장치
EP2674700A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WO2022090682A1 (en) A haircare apparatus
US20180016540A1 (en) Incubator
CN201683373U (zh) 一种智能杀菌除臭去湿加香鞋柜
KR101033113B1 (ko) 가정용 생막걸리 제조기
KR20090000946A (ko) 발효주 제조장치
JP2006311861A (ja) カスタマイズ熟成が可能な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206056153U (zh) 电热恒温鼓风干燥箱
CN109222621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CN201313893Y (zh) 精密恒温培养箱
CN207693965U (zh) 一种香薰缓释器
KR200399148Y1 (ko) 퍼머롯드 가열장치
KR20210104006A (ko) 향기 블랜딩 기능을 갖는 방향 시스템의 운영방법
CN103990163B (zh) 一种医院消毒供应中心用的洗涤盆
KR20200120487A (ko) 식별 방법, 항온 무균 저장 방법 및 소독 용기
CN113745034A (zh) 旋钮机构、冰箱以及防凝露方法
KR20200075660A (ko) 균일한 발효가 가능한 찐빵 발효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97548B1 (ko) 전기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