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28Y1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Google Patents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2328Y1 KR200392328Y1 KR20-2005-0006715U KR20050006715U KR200392328Y1 KR 200392328 Y1 KR200392328 Y1 KR 200392328Y1 KR 20050006715 U KR20050006715 U KR 20050006715U KR 200392328 Y1 KR200392328 Y1 KR 2003923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support ring
- deformed
- drilling ho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작업자의 손으로 앵커구조체를 확장시켜 천공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장착공정이 더욱 수월하고, 소일네일링뿐만 아니라 락볼트 등 연약지반에서 인장재의 정착공정 전반에 걸쳐 충분히 적용가능한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이형철근(5)의 선단에 나사부(10)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0)의 양단에 지지링(12)이 설치되며, 어느 하나 또는 양 지지링(12)은 상기 이형철근(5)의 회전에 따른 나사회전에 의한 피치이동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 지지링(12)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앵커링크(14)가 각각 마련되어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앵커링크(14)의 타단은 상기 지지링(12)의 이동으로 방사상 확장되어 천공홀에 침투압박되도록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며, 상기 나사부(10)는 그 일실시예로서 장착파이프(16)가 마련되어 그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장착파이프(16) 길이방향으로 2분할되어 지지링과 결합되면서 이형철근(5)의 외주에 압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링크(14)는 확장되어 천공홀(1)에 압박침투되는 단부에 상기 이형철근(5)의 회전시 천공홀(1)의 내벽과의 간섭과 확장진행시 상기 천공홀(1)로의 침투를 위해 쐐기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손으로 앵커구조체를 확장시켜 천공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장착공정이 더욱 수월하고, 소일네일링뿐만 아니라 락볼트 등 연약지반에서 인장재의 정착공정 전반에 걸쳐 충분히 적용가능한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보강공법은 사면의 붕괴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시공목적에 따라 활동력 감소공법 저항력 증강공법 표면보호공법 등의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이 중 저항력 증강공법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락볼트, 락앵커, 소일네일, 계단식 옹벽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소일네일링은 원지반에 네일구조체(철근콘크리트구조물)를 설치하여 복합보강지반을 형성하여, 지반의 전단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변위를 억제시키고 지반의 이완을 방지시키는 공법이다.
즉, 소일네일링 공법 등과 같은 지반보강공법의 기본 설계개념은 네일구조체에 의해 보강된 영역의 토괴가 마치 일체화된 옹벽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에 의해 보강토 벽체가 가정할 수 있는 어떠한 경사면에 대해서도 안정을 유지한다는 것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일네일링은 토반에 유용하게 고안된 것을 암반에 접목시킨 것인데, 각종 사면의 암반구조는 토반과 달라 절리가 많은 암반, 공동층이 많은 암반, 단층의 영향을 받아 열변질화 되어 취약한 암반, 발파의 영향으로 불연속면이 발달되어 모암과 분리된 암반등 많은 사면은 구조가 불안정하여 기존 네일구조체만으로 암반사면을 보강시키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간단한 공법 및 장치에 의해 네일선단이 시공시 모반에 정착되도록 하여 네일에 인장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사면보강을 향상시키는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구조체 및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링 공법(특허 제448037호)를 출원한 바 있다.
이것은 예시도면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사면보강공사용 천공홀(1)에 지지고정되는 앵커블레이드(2)가 포함된 앵커몸체(3)와 이 앵커몸체(3)에서 앵커블레이드(2)를 확장시켜 천공홀(1)에 압박시키는 테이퍼몸체(4)를 인장재인 이형철근(5:네일)에 삽입시켜 네일과 앵커몸체(3)의 나사결합시 그 결합력에 의해 테이퍼몸체(4)가 전진되면서 앵커블레이드(2)를 확장시킴으로써, 앵커몸체(3)를 통해 네일선단이 천공홀(모반)에 정착되도록 하고, 이 천공홀(1)에 정착된 네일에 그라우팅 등의 후공정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앵커몸체(3)에는 변형유도넥(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형철근(5)의 회전시 앵커몸체(3)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쐐기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네일앵커를 통해 간단한 시공으로 그라우팅 시공 전에 네일앵커가 모반에 정착되며, 앵커블레이드를 통한 정착력으로 인장력이 증가되어 사면보강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실용신안등록 제0349108호)에는 이러한 소일네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몸체의 전진을 위한 이형철근의 테이퍼가공에 따른 강성의 취약을 보완하기 위하여 불림가공처리된 네일앵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네일앵커에 있어서, 앵커블레이드(2)의 전개를 위하여는 오거드릴과 같은 별도의 회전력 구동기기가 필요하게 되어, 천공홀을 형성시키기 위한 천공기의 타격력을 앵커블레이드의 전개력으로 이용되도록 하였으며, 이것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구조체 및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링 공법(특허 제448039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일구조체는 모두 앵커블레이드(2)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기기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앵커블레이드의 확장에 있어서, 나사력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였다는 것에 근본적인 이유가 있었다.
무릇, 나사력은 일회전이 일피치(나사골과 나사골의 단위거리)의 이동을 발생시키고, 이때 움직인 거리의 비율이 힘의 비율로써 나타난다.
즉, 나사의 피치 이동은 지렛대의 원리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일피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거리에 따라, 작은 회전력으로도 큰힘(이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나사력으로 테이퍼몸체(4)를 이동시키는 구조는 나사력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며, 이것은 이형철근(5)의 나사력이 테이퍼 몸체(4)를 이동시키고 이 테이퍼 몸체가 다시 앵커블레이드를 확경시킬때, 그 힘의 상당부분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또한, 테이퍼몸체(4)가 이동되면서 회전력의 작용점 역시 이동되며, 회전축인 변형유도넥과 회전력 작용점과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L1:L2), 앵커블레이드의 최초 확장시보다 확장될 수록 더욱 많은 회전력을 요구하게 되며, 회전력 작용점과 변형유도낵과의 거리가 회전력 작용점과 앵커블레이드 선단 까지의 거리보다 짧게되어 지렛대 힘을 기대하기 어렵되므로, 결국 오거드릴과 같은 회전력 구동기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편, 천공기의 타격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향식의 소일네일에 적합한 것이고, 이 역시 앵커블레이드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기기가 사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존의 소일네일링 구조체는 다른 연약지반 보강공사용 구조체로의 적용을 불편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터널의 내벽면 보강을 위한 락볼트에 소일네일링 구조체를 바로 적용시키기 곤란하였던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락볼트는 터널굴삭의 경우 굴삭면의 암반이 붕괴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굴삭면에 굴삭공을 형성하고 이형철근 등의 인장재를 삽입한 다음 특수 접착제를 이용하여 인장재를 굴삭공 단부에 강하게 정착시키고,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굴삭면을 고정시키는 것에 사용된다.
이러한 락볼트의 굴삭공 정착에 상기 앵커구조체가 응용될 수 있으나, 별도의 기기를 사용하여 앵커구조체를 확장시키는 것은, 정착공정을 불편하게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의 손으로 앵커구조체를 확장시켜 천공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장착공정이 더욱 수월하고, 소일네일링뿐만 아니라 락볼트 등 연약지반에서 인장재의 정착공정 전반에 걸쳐 충분히 적용가능한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나사의 피치이동에 의해 회전축의 수직방향인 방사상으로 바로 확장되도록, 링크에 의해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앵커구조체를 마련하여 소일네일이나 락볼크의 인장재에 장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도 천공홀의 내벽을 뚫고 침투되어 정착되는 앵커구조체가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작동상태를 사시설명도이다.
그리고, 예시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6 및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변형례 및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모반에 형성된 천공홀(1)에 네일 또는 인장재로서 이형철근(5)이 삽입되고, 이 이형철근의 선단에 천공홀(1)인 모반을 지점으로 인장저항력을 제공하는 앵커몸체가 결합된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이형철근(5)의 선단에 나사부(10)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0)의 양단에 지지링(12)이 설치되며, 어느 하나 또는 양 지지링(12)은 상기 이형철근(5)과 나사부(10)의 회전에 따른 나사회전에 의한 피치이동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 지지링(12)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앵커링크(14)가 각각 마련되어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앵커링크(14)의 타단은 상기 지지링(12)의 이동으로 방사상 확장되어 천공홀에 침투압박되도록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10)는 그 일실시예로서 장착파이프(16)가 마련되어 그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장착파이프(16) 길이방향으로 2분할되어 지지링과 결합되면서 이형철근(5)의 외주에 압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나사부(10) 다른 실시예로서 이형철근(5)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앵커링크(14)는 확장되어 천공홀(1)에 압박침투되는 단부에 상기 이형철근(5)의 회전시 천공홀(1)의 내벽과의 간섭과 확장진행시 상기 천공홀(1)로의 침투를 위해 쐐기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천공홀(1)의 단부와 접촉되는 이형철근(5)의 단부에는 이형철근(5)과 천공홀(1)과의 마찰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접촉면을 감소시키는 접촉돌기(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선단부의 지지링(12)이 고정된 위치로 이형철근(5)이 공회전되게 결합될 경우, 지지링(12)의 선단부에는 천공홀(1)의 단부에 압입되어 지지링(12)의 회전을 방해하는 쐐기(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사력의 회전력을 바로 앵커구조체의 확장력으로 전환시켜, 별도의 회전력 구동기기가 없더라도 작업자의 수조작으로도 앵커구조체를 천공홀에 압박침투시키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소일네일링뿐만 아니라 락볼트 등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앵커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인장재인 이형철근(5)에 나사부(10)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10)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력이 지지링(12)을 통해 앵커링크(14)의 확장력으로 바로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앵커구조체는 나사부(10)의 장착방식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되며, 앵커링크(14)의 확장방식에 따라 다시 구분된다.
먼저, 예시도면 도 2 및 도 3 은 나사부의 장착방식에 따라 구분된 것을 나타내며, 도 2 는 별도의 장착파이프(16)를 마련하여 여기에 나사선을 형성시키고, 이 장착파이프(16)가 길이방향으로 2분할된다.
이 장착파이프(16)는 이형철근(5)의 외주와 접촉된 다음, 그 양단으로 지지링이 장착되면서, 나사결합에 의한 외주 압박으로 이형철근(5)과 압박되면서 결합되며, 별도의 용접가공 등의 장착공정은 필요없게 된다.
한편, 도 3 은 이형철근(5)의 단부에 일체로 나사선이 가공되어 나사부(1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불림가공을 통해 성형된다.
다만, 양 지지링(12)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나사선이 중앙을 경계로 반대로 형성될 경우, 어느 일방으로 형성된 나사선을 갖는 지지링은 중앙의 경계를 통과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하여 상부의 지지링은 절반되어 장착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나사부(10)에 따른 실시예의 구분은 앵커구조체의 현장작업 조립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장착파이프(16)에 의한 작업일 경우, 현장의 조립작업이 수월하며 이것은 규격화된 이형철근(5)을 절단시키고 장착파이프(16)와 지지링(12) 및 앵커링크(14)를 조립하여 바로 투입할 수 있는 반면, 나사부(1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가공을 위한 별도의 작업장과 공정이 소요되며 현장에서의 바로 작업은 곤란하다.
그러나, 나사부(1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보다 소형이고 간단화된 구조체로서 마련이 가능하며, 특히 도 7 에 의해 후술되는 하나의 지지링만이 이동되는 것이 채택될 경우, 그 구조는 더욱 간단해 진다.
따라서, 현장의 작업상황에 따라 융통적으로 채택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나사선의 반대형성은 양지지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이형철근(5)의 회전에 따른 앵커링크(14)의 확장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링(12)은 회전에 따른 피치이동으로 이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지지링(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앵커링크(14)는 상기 이동력을 앵커구조체의 확장력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앵커링크(14)는 지지링(12)의 외주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지지링(12)에 브라켓(22)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제공하는 핀(24)으로 결합되어 달성되며, 앵커링크(14) 사이에도 핀(24)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4 와 같이 이형철근(5)이 회전되면, 지지링(12)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에 따른 압축은 앵커링크(14)를 방사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며, 종래와 같은 여러부재의 전달에 따른 힘의 분산이나 손실이 없게 되어, 작업자의 손으로도 충분히 앵커구조체를 확장시키고 또한 천공홀에 침투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앵커링크의 확장을 통한 작업공정을 도 5 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나사부(10)에 지지링(12)과 앵커링크(14)를 결합시킨 다음, 앵커링크(14)를 천공홀(1)에 근접된 직경으로 확경시키며,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으로 돌려 수행한다.
상기 앵커링크(14)의 천공홀(1) 근접 확경은 천공홀(1)의 내벽에 앵커링크(14) 단부를 간섭시키기 위함이며, 이것은 앵커링크(14)가 회전에 대하여 지지되지 않는 경우에 이형철근(5)을 회전시키게 되면 앵커링크(14)와 이형철근(5) 모두 헛돌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어느 정도 확경된 앵커링크(14)가 장착된 이형철근(5)을 천공홀(1)에 삽입시키고 이형철근(5)을 돌리게 되면, 앵커링크(14)의 단부들 중 일부분은 천공홀(1)에 간섭되고 이에 의해 지지링(12)은 서로 압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링(12)의 피치이동력으로 앵커링크(14)가 더욱 확경되면서, 모든 앵커링크(14)가 천공홀(1)에 압박되기 시작하며, 앵커링크(14)의 회전에 대한 지지력은 더욱 확고하게 됨과 더불어, 이형철근(5)의 중앙위치는 더욱 자리를 잡게된다.
뒤이어 이형철근(5)을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앵커링크(14)는 천공홀(1)의 내벽을 침투하여 이형철근과 더불어 천공홀(1)에 정착되고, 다음 공정인 그라우팅 주입 등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앵커구조체는 이형철근의 회전과 앵커링크의 작동에 따라 더욱 발전적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예시도면 도 6 에 그 응용예가 나타나 있다.
먼저 앵커링크(14)의 단부에 갈퀴형상의 쐐기돌기(18) 형성된 것이며, 이를 통해 천공홀(1)과의 간섭 및 침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앵커링크(14)는 천공홀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홀(1)과 간섭되게 어느 정도 확경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천공홀(1)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완료시 천공홀(1)의 내벽에 찍혀 지지점을 제공하도록 앵커링크의 단부에 쐐기돌기(18)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쐐기돌기(18)는 앵커링크(14)가 확장되면서 천공홀에 내벽에 더욱 용이하게 침투되는 날카로운 단부의 역할을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천공홀(1)의 단부와 접촉되는 이형철근(5)의 단부에는 이형철근의 회전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접촉면을 감소시키는 접촉돌기(20)가 형성된 것이며, 이것은 이형철근의 회전시 그 단부와 천공홀 단부와의 마찰저항에 의한 힘의 낭비를 감소시켜 주게 된다.
한편, 예시도면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것은 선단부의 지지링(12)은 이형철근(5)이 회전될때 공회전되도록 하여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상기 나사부(10)의 나사선을 중앙을 경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은 양 지지링의 이동에 따라 앵커구조체의 정착 작업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반면, 선단부의 지지링(12)은 이형철근(5)이 회전되더라도 공회전 되어 고정위치를 확보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링만이 이동되도록 한 경우에는, 작업속도는 양 지지링이 회전되는 것 보다는 느리지만, 힘의 이득을 취할 수 있어 더욱 강한 침투력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힘이 덜 드는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사선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 3 에 도시된 상부의 지지링은 분할될 필요없이 장착이 가능하여 그 구조는 더욱 간단하게 구현된다.
한편, 단부의 지지링을 공회전 시킴과 더불어,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캡링(26)이 장착되어 달성되며, 캡링은 이탈을 방지시킬 정도의 장착력으로도 충분하므로, 핀결합으로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선단부의 지지링(12)에 쐐기(28)를 형성하는 경우, 이 쐐기(28)가 천공홀(1)의 단부에 박혀 지지링(12)의 회전을 방지시켜 줌으로써, 앵커구조체의 확장이 더욱 용이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접촉돌기는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쐐기(28)는 상기 캡링(26)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세하게로는 지지링(12)의 브라켓(22)에서 천공홀(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인장재인 이형철근의 회전에 따른 피치이동력을 링크를 통해 앵커구조체의 확장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수조작으로도 천공홀에 인장재가 용이하게 정착되어 소일네일링 또는 락볼트와 같이 인장재를 모반에 정착시키는 앵커구조체에 있어서 그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앵커구조체를 나타낸 사시설명도 및 단면설명도,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설명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작동상태를 사시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6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작동향상을 위한 응용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분해도 단면작용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천공홀, 2 - 이형철근,
10 - 나사부, 12 - 지지링,
14 - 앵커링크, 16 - 장착파이프,
18 - 쐐기돌기, 20 - 접촉돌기,
22 - 브라켓, 24 - 핀,
26 - 캡링, 28 - 쐐기,
Claims (6)
- 모반에 형성된 천공홀(1)에 네일 또는 인장재로서 이형철근(5)이 삽입되고, 이 이형철근의 선단에 천공홀(1)인 모반을 지점으로 인장저항력을 제공하는 앵커몸체가 결합된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에 있어서,상기 이형철근(5)의 선단에 나사부(10)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0)의 양단에 지지링(12)이 설치되며, 어느 하나 또는 양 지지링(12)은 상기 이형철근(5)과 상기 나사부(10)의 회전에 따른 나사회전에 의한 피치이동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 지지링(12)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앵커링크(14)가 각각 마련되어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앵커링크(14)의 타단은 상기 지지링(12)사이로의 접근이동으로 방사상 확장되어 천공홀(1)에 침투압박되도록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부(10)는 장착파이프(16)가 마련되어 그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장착파이프(16) 길이방향으로 2분할되어 지지링과 결합되면서 이형철근(5)의 외주에 압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부(10)는 이형철근(5)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앵커링크(14)는 확장되어 천공홀(1)에 압박침투되는 단부에 상기 이형철근(5)의 회전시 천공홀(1)의 내벽과의 간섭과 확장진행시 상기 천공홀(1)로의 침투를 위해 쐐기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천공홀(1)의 단부와 접촉되는 이형철근(5)의 단부에는 이형철근(5)과 천공홀(1)과의 마찰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접촉면을 감소시키는 접촉돌기(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링(12)은 선단부에 고정된 위치로 이형철근(5)이 공회전되게 결합될 경우, 상기 지지링(12)의 선단부에는 천공홀(1)의 단부에 압입되어 지지링(12)의 회전을 방해하는 쐐기(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715U KR200392328Y1 (ko) | 2005-03-14 | 2005-03-14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715U KR200392328Y1 (ko) | 2005-03-14 | 2005-03-14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0382A Division KR100715207B1 (ko) | 2005-03-11 | 2005-03-11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2328Y1 true KR200392328Y1 (ko) | 2005-08-17 |
Family
ID=4369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6715U KR200392328Y1 (ko) | 2005-03-14 | 2005-03-14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232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085B1 (ko) * | 2009-01-13 | 2009-07-16 | (주)대한지오이엔씨 |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
CN112112158A (zh) * | 2020-10-20 | 2020-12-22 | 辽宁科技学院 | 一种支护用异型孔注浆加固锚杆 |
WO2021202944A1 (en) * | 2020-04-03 | 2021-10-07 |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 Ground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
-
2005
- 2005-03-14 KR KR20-2005-0006715U patent/KR20039232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085B1 (ko) * | 2009-01-13 | 2009-07-16 | (주)대한지오이엔씨 |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
WO2021202944A1 (en) * | 2020-04-03 | 2021-10-07 |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 Ground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
EP4127324A4 (en) * | 2020-04-03 | 2024-05-01 |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 GROUND ANCHORING DEVICE AND METHOD |
CN112112158A (zh) * | 2020-10-20 | 2020-12-22 | 辽宁科技学院 | 一种支护用异型孔注浆加固锚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5207B1 (ko)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
KR200392328Y1 (ko) | 지반보강공사용 앵커구조체 | |
KR101726229B1 (ko) | 바이브레이션 해머를 이용한 파일의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 |
KR100448037B1 (ko) |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구조체 및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링 공법 | |
US20210010219A1 (en) | Hydraulic jack expansion-type rotary penetration device for circular pipe | |
KR100448039B1 (ko) |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구조체 및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링공법 | |
KR101042272B1 (ko) |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 |
KR100696309B1 (ko) |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 |
JP4451491B1 (ja) | アンカー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 |
KR102292663B1 (ko) | 정착날개의 선택적 확장방향이 가능한 지압식 락볼트 | |
JP2002038477A (ja) | 斜面の安定方法 | |
JPH11350473A (ja) | 鋼管杭の施工方法 | |
KR100524316B1 (ko) | 록볼트 | |
KR101124203B1 (ko) | 파일 구조체 | |
KR101791211B1 (ko) | 좌굴 보강용 헬릭스 강관 말뚝의 시공 방법 | |
CN213358602U (zh) | 一种自钻式深层扩充锚杆结构 | |
KR200329408Y1 (ko) |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 |
KR200349108Y1 (ko) |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 |
RU2768582C1 (ru) | Анкер для стен шахт и туннелей | |
KR20070101014A (ko) | 소일네일구조체의 앵커 | |
JP2914957B1 (ja) | 無拡幅agf工法 | |
KR100479955B1 (ko) | 록볼트 | |
JPH09203040A (ja) | 既存杭除去工法及び同工法に用いる杭破砕用ヘッド | |
KR200230744Y1 (ko) | 케이싱 압입용 함마 확대비트 | |
KR102660754B1 (ko) | 천공 장치 파일럿 로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