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193Y1 - 침구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침구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193Y1
KR200392193Y1 KR20-2005-0013453U KR20050013453U KR200392193Y1 KR 200392193 Y1 KR200392193 Y1 KR 200392193Y1 KR 20050013453 U KR20050013453 U KR 20050013453U KR 200392193 Y1 KR200392193 Y1 KR 200392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ltraviolet
bedding
light emitting
ultraviol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만
Original Assignee
조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만 filed Critical 조영만
Priority to KR20-2005-0013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3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불이나 카페트등과 같이 접촉면의 변형이 심하고 부드러우며, 섬유 오염물이 많은 청소 대상물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의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 및 진드기등의 해충을 살균 및 살충하고, 살균 및 살충된 세균 및 진드기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구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저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자외선조사공간과,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와,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서 저면이 함몰되어 측면으로 연장된 흡착방지통로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자외선 조사공간으로 자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1자외선발광수단과,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을 출력하기 위한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 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구용 살균장치{STERILIZER FOR BED CLOTHES}
본 고안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불이나 카페트등과 같이 접촉면의 변형이 심하고 부드러우며, 섬유 오염물이 많은 청소 대상물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의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 및 진드기등의 해충을 살균 및 살충하고, 살균 및 살충된 세균 및 진드기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구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침구와 같은 청소대상물에서 상기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구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는 자외선 램프(Ultraviolet Lamp)를 점등시켜 자외선에서 나오는 파장을 이용하여 세균의 표피와 DNA가 파괴되도록 하여 주는 장치로서, 종래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청소기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100409에 개시된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청소기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부가 개방된 흡착판(1)의 본체(1a) 내부에는 자외선 램프(1c)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본체(1a) 내부의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카페트 등의 섬유부재에서 카페트 털의 하단부까지 접촉하기 위한 돌기(1d)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는 실내 바닥이나 구석에 산재한 이물질을 흡입할 이불이나 침대시트 상의 먼지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청소기를 접근시키면, 그 흡입력에 의해 이불 또는 침대시트의 겉면을 이루는 섬유부재가 상기 청소기의 흡착판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섬유부재가 상기 흡착판에 달라붙음으로서, 섬유부재와 흡착판의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청소기의 전진 및 후진등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침구류등의 섬유부재의 낱실 사이에 서식하는 세균 및 해충은 살균 및 살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역시 침구류 등의 섬유부재의 낱실 사이에 달라 붙어 있거나 묻어 있는 먼지등의 이물질은 모터의 흡입력으로도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청소기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어린아이의 조작으로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이 사람에게 조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드기등의 해충은 자외선을 조사하여도 쉽게 죽지않아서,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어 필터에 걸러진 해충이 다시 청소기의 외부로 기어나와 침구류등에 서식하게 되어, 해충제거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불이나 침대시트, 카페트등과 같은 접촉면의 변형이 심하고 섬유 오염물이 많은 대상물에서 흡입력 발생시 섬유부재가 달라 붙어도 진공이 발생하지 않아, 청소 대상물에서 이동이 용이한 침구용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침구류등의 청소 대상물을 타격하여 섬유부재의 낱실 사이에 달라 붙어 있거나 서식하는 세균 및 해충, 먼지등을 청소대상물에서 탈락시켜 제거할 수 있는 침구용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살균장치의 내부 필터와, 배출구에 해충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여 해충 및 세균의 살충, 살균 효율이 높은 침구용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저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자외선조사공간과,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와,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서 저면이 함몰되어 측면으로 연장된 흡착방지통로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자외선 조사공간으로 자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1자외선발광수단과, 흡입구측의 공기를 배출구측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된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흡입구를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을 출력하기 위한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 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일측 저면과 상기 저면에 인접한 측면까지 연장되게 흡착방지통로가 연장되어 상기 저면측 흡착방지통로가 섬유부재에 의해 막히더라도, 상기 측면측 흡착방지통로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살균대상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자외선발광수단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근접센서, 즉 적외선 센서를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하여, 발광단에서 발광된 적외선을 수광단에서 감지하지 못하면 발광단의 정면으로 감지되는 물체, 즉 대상물이 없다고 판단하고, 수광단에서 감지하면 대상물이 있다고 판단하여 대상물이 없을때는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살균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인접하도록 설치된 전자석과, 일측은 힌지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전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의 극성이 변화함에 따라 상하로 요동하는 요동바와, 상기 요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바가 요동함에 따라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봉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봉은 하우징의 흡착방지통로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고, 극성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불 또는 카페트등과 같은 침구류등을 살균 및 청소할 때, 타격부를 동작하여 상기 이불 및 카페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탈락시키고, 상기 탈락된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살균 하거나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서 살균 및 청소의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에서 상기 흡착방지통로에는 하우징의 내부측에서 외부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돌출된 복수의 라운드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내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거나,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외부측으로 일정간격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방지통로에 돌기를 더 형성하여 카페트등의 털로 이루어진 침구류의 털의 하단까지 돌기가 접촉하여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침구용 살균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필터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미세해충을 살충하기 위한 제2자외선발광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배출구 근방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미세해충을 열로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자외선발광수단과 히터를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상기와 같이 자외선 램프외에 상기 필터 근방에 자외선 엘이디를 더 설치하고, 배출구 근방에 히터를 설치하여 살균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해충을 2중, 3중으로 박멸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상기 각각의 자외선 램프, 자외선 엘이디, 모터의 동작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에서 상기 흡착방지통로에는 흡착방지통로의 시작단에서 끝단까지 흡착방지통로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상기 흡착방지통로측으로 공기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흡착방지통로를 감싸도록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 또는 설치하여 흡입력에 의해 섬유부재가 흡착되더라도 상기 리브에 의해 공기의 통로가 확보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저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필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1000)는 저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자외선조사공간(52)과,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52)에 형성된 흡입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90)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90)를 연결하는 공기통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52)에서 저면이 함몰되어 측면으로 연장된 흡착방지통로(1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조작부(2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40)를 포함한다. 그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팬(81)이 설치된 모터(80)가 상기 공기통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자외선을 발광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50)와, 상기 모터(80)의 동작으로 흡착방지통로(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탈착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측으로 외부로 분리 가능한 필터부(30)가 공기통로의 팬(81)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의 필터부(30)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30)에 의해 걸러진 미세해충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엘이디(13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배출구(90) 근방에 설치되어 배출구(9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미세해충을 열로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히터(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바닥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2의 "A"부분이 도 1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살균장치(10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16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161)과, 상기 자석(161)과 인접하도록 설치된 전자석(163)과, 일측은 힌지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전자석(163)이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63)의 극성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자석(161)에 의해 상하로 요동하는 요동바(162)와, 상기 요동바(162)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바(162)가 요동함에 따라 대상물을 타격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흡착방지통로(10)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타격봉(164)을 포함한다.
상기 흡착방지통로(10)는 하우징(100)의 내부측에서 하방으로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돌출된 라운드형 돌기(1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11)는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내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측으로 일정간격 더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는 상기 흡착방지통로(10)측과 상기 필터부(30) 및 자외선 엘이디(130)가 설치된 부분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80)의 동작으로 흡착방지통로(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흡착방지통로(10)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필터 안착부(150)에는 일방향으로만 열리는 체크밸브(140)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근접한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7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자외선 램프(50), 자외선 엘이디(130), 모터(80)의 동작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엘이디(24~28)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미설명 부호 120은 모터 안착부이고, 140은 히터 안착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장치(1000)는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자외선 램프(50)와 히터(110) 및 모터(80)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7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자외선 램프(50), 자외선 엘이디(130) 및 모터(80)에 정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조작부(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24~28)의 점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석(163)에 전원을 인가하고, 극성이 변화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측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 본체(31)와, 필터(33), 그리고 뚜껑(32)을 구비하여, 필터(33)의 교체 또는 필터부(30)의 청소시에는 상기 뚜껑(32)부분을 취부하여 탈락시켜 필터(33)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필터부(3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살균장치(1000)는 이불과 같은 침구류에 서식하는 미세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외선 램프(50)를 점등하여 미세해충을 살균하고, 모터(80)를 동작시켜 먼지나 미세해충을 빨아들여 필터(33)에 의해 걸러지게 한다. 이때, 상기 흡착방지통로(10)에는 복수개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서 연장되어 측면(12)까지 흡착방지통로(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섬유재질이 모터(80)의 흡입력에 의해 달라붙어도 상기 측면(12)으로 공기 통로가 확보되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방지통로(10)에 복수개의 돌기(11)를 형성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저면까지 흡착방지통로(10')를 감싸도록 복수개의 리브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살균장치(1000)는 살균 및 청소 대상물을 타격하여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표면으로부터 탈락시키도록 하는 타격부(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격부(16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161)과, 상기 자석(161)과 인접하도록 설치된 전자석(163)과, 일측은 상기 전자석(163)이 설치되고, 타측은 힌지되어 상기 전자석(163)의 극성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자석(161)의 자기장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바(162)와, 상기 요동바(162)의 설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봉(164)을 포함한다. 상기 타격봉(164)은 상기 하우징(100)의 흡착방지통로(10)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타격봉(164)에 의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 대상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미세한 먼지 및 해충을 탈락시키고, 자외선 램프(50)로 살균하고, 모터(80)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필터 안착부(150)는 외부와 차단을 위해 구획되게 형성하고, 모터(80)의 동작으로 인해 공기가 흡입할 때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흡착방지통로(10)측으로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체크밸브(14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필터(33)에 의해 걸러진 미세해충을 살균하기 위한 별도의 자외선 엘이디(130)가 설치되어 있어, 미세해충에 대한 살균효과가 더 높다. 더불어, 하우징(100)의 배출구(90)측에는 히터(110)가 설치되어 배출구(90)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해충을 열로 가열하여 없앰으로서, 3중의 미세해충 살균의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60) 대신 돌기(61) 또는 볼(62)이 설치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부 및 센서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0)는 조작부(20) 및 센서부(70)의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80), 자외선 램프 및 엘이디(50,130), 히터(1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즉, 복수개의 엘이디(24~28)의 점등을 제어하는데, 사용자가 조작부(20)의 버튼(21,22,23)을 조작하면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엘이디(24~28)의 점등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버튼(22)이 조작되면(S1), 제어부(200)는 전원버튼 온신호를 입력받아 전원 엘이디(27)를 온시키고, 보호잠금 표시엘이디(28)를 온시키는(S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기능버튼(21)과 보호잠금버튼(23)이 동시에 조작되는지 판단(S3)하여 조작되면 기능버튼(21)이 온상태에서 설정시간 이상 보호잠금버튼(23)이 온(S4)되면 보호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보호잠금 표시엘이디(28)를 오프(S5)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기능버튼(21)이 조작되는지 판단(S6)하여, 조작되면 버튼(21)이 눌러지는 횟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인지 판단한다. 기능버튼(21)이 조작되지 않으면 전원버튼(22)이 조작되는지 판단(S15)하여, 조작되면 디스플레이(24~28)의 엘이디 및 자외선 램프(50), 모터(80), 히터(110), 전자석(163)을 오프시키고, 기능버튼(21)이 조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6)로 리턴한다.
기능버튼(21)이 한번만 조작되면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살균모드(Mode 1)로 판단(S7)하고, 상기 센서부(70)로부터 감지신호의 유무를 제공(S8)받아, 복수개의 IR센서 중 둘 이상의 IR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자외선 램프(50) 및 자외선 엘이디(130) 및 살균 엘이디(24)를 온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S9)한다.
상기 센서부(70)에 대한 회로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IR 센서의 출력측(B)에서 출력신호에 임의의 캐리어 성분을 삽입하여 부호화 시키고, 수광부측(C)에서 저역통과필터(R5,C1)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어 성분이 삽입된 출력신호를 복호화 하여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및 외란에 대해 출력신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기능버튼(21)이 두번 조작되면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살균 및 청소모드(Mode2)로 판단(S10)하고, 상기 센서부(70)로부터 감지신호의 유무를 제공받아, 복수개의 IR센서 중 둘 이상의 IR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S11)되면 자외선 램프(50) 및 자외선 엘이디(130), 모터(80), 그리고 전자석(163)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타격봉(164)이 청소 대상물을 타격하여 미세해충 및 먼지등이 청소대상물의 표면에서 탈락케 하여 살균하고, 모터(80)의 흡입력으로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흡입하여 살균 및 청소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버튼(21)이 세번 조작되면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청소모드(Mode3)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부(70)로부터 감지신호의 유무를 제공받아 복수개의 IR센서 중 둘 이상의 IR센서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모터(80)에 온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70)는 복수개의 IR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근접한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즉, 살균장치(1000)가 사용자에 의해 취부되어 살균 및 청소대상물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에 조작부(20)의 기능버튼(21)이 조작되어도 동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일측 저면과 상기 저면에 인접한 측면까지 연장되게 흡착방지통로가 연장되어 상기 저면측 흡착방지통로가 플렉시블한 청소 대상물에 의해 막히더라도, 상기 측면측 흡착방지통로로 흡입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 흡착방지통로가 막혀 살균 또는 청소를 위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해소한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자외선 램프외에 상기 필터 근방에 자외선 엘이디를 더 설치하고, 배출구 근방에 히터를 설치하여 살균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해충을 2중, 3중으로 살균하여, 진드기 등의 미세해충에 대하여 높은 살균력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필터부분을 구획하고, 흡착방지통로측에서 필터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만 흡입되게 하고, 배출은 방지함으로서 살균장치에 의한 미세해충 및 먼지의 유출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복수개의 적외선 센서를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하여, 발광단에서 발광된 적외선을 수광단에서 감지하지 못하면 발광단의 정면으로 감지되는 물체, 즉 대상물이 없다고 판단하고, 수광단에서 감지하면 대상물이 있다고 판단하여 대상물이 없을때는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살균장치는 이불 또는 카페트등과 같은 침구류등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가 구비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해 상기 이불 및 카페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탈락시키고, 상기 탈락된 미세해충 및 먼지등을 살균 하거나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서 살균 및 청소의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저면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필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흡착방지통로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이동수단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조작부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적외선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도 2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흡착방지통로 20 조작부
30 필터부 40 손잡이
50 자외선 램프 60 바퀴
70 적외선 센서 80 모터
90 배출구 100 하우징
110 히터 120 모터 안착부
130 자외선 엘이디 140 체크밸브
150 필터 안착부 160 타격부

Claims (8)

  1. 저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자외선조사공간과,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와,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공간에서 저면이 함몰되어 측면으로 연장된 흡착방지통로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자외선 조사공간으로 자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1자외선발광수단과,
    흡입구측의 공기를 배출구측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된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흡입구를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을 출력하기 위한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와 제1자외선 발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살균대상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자외선발광수단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살균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인접하도록 설치된 전자석과, 일측은 힌지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전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의 극성이 변화함에 따라 상하로 요동하는 요동바와, 상기 요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바가 요동함에 따라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봉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봉은 하우징의 흡착방지통로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고, 극성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방지통로에는 하우징의 내부측에서 외부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돌출된 복수의 라운드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내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외부측으로 일정간격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필터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미세해충을 살충하기 위한 제2자외선발광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배출구 근방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미세해충을 열로 가열하여 제거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자외선발광수단과 히터를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외선 램프, 자외선 엘이디, 모터의 동작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의 점등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방지통로에는 흡착방지통로의 시작단에서 끝단까지 흡착방지통로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살균장치.
KR20-2005-0013453U 2005-05-13 2005-05-13 침구용 살균장치 KR200392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53U KR200392193Y1 (ko) 2005-05-13 2005-05-13 침구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53U KR200392193Y1 (ko) 2005-05-13 2005-05-13 침구용 살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53A Division KR100518620B1 (ko) 2005-05-12 2005-05-12 침구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193Y1 true KR200392193Y1 (ko) 2005-08-19

Family

ID=4369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53U KR200392193Y1 (ko) 2005-05-13 2005-05-13 침구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09773C2 (ru) * 2022-04-05 2023-12-18 Олег Леонидович Грицай Портативны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облучател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09773C2 (ru) * 2022-04-05 2023-12-18 Олег Леонидович Грицай Портативны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облучател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620B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0661619B1 (ko) 침구용 살균장치
JP2008543356A5 (ko)
US7721383B2 (en) Disinfecting device utilizing ultraviolet radiation
US7476885B2 (en) Disinfecting device utilizing ultraviolet radiation
US7507980B2 (en) Disinfecting device utilizing ultraviolet radiation
US8186004B2 (en) Disinfecting device utilizing ultraviolet radiation
KR101209632B1 (ko) 진공청소기
US8302248B2 (en) Handheld vacuum attachment with ultraviolet light
KR101604798B1 (ko) 배기열을 이용한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지는 청소기
KR20130019755A (ko) 열풍살균 침구청소기
KR100898368B1 (ko)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JP5425430B2 (ja) 真空掃除機
KR200448494Y1 (ko) 전기청소기
KR200392193Y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0607683B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82161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청소기
JP3158175U (ja) 掃除機
KR101929653B1 (ko) U.v. 살균 및 살충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200367735Y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82160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 청소기
KR19980065269U (ko) 에어커튼
KR200435364Y1 (ko) 청소기용 헤드
JP2002177175A (ja) 殺菌防臭式電気掃除機吸込口
AU2008201872A1 (en) Disinfecting device utilising ultraviolet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