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735Y1 -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735Y1
KR200367735Y1 KR20040024688U KR20040024688U KR200367735Y1 KR 200367735 Y1 KR200367735 Y1 KR 200367735Y1 KR 20040024688 U KR20040024688 U KR 20040024688U KR 20040024688 U KR20040024688 U KR 20040024688U KR 200367735 Y1 KR200367735 Y1 KR 200367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late
suction
contact
vacuum cleane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4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박관선
최성옥
채인창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와이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와이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와이하이테크
Priority to KR20040024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균용 자외선 LED를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에 부착하여 살균력을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살균 진공청소기를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용 자외선 LED를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에 부착하고 흡입판의 바닥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살균용 자외선 LED를 점등시킴으로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UV LED STERILIZATING VECUUM CLEANER}
본 고안은 자외선 LED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으로 해충 및 유해균을 안전하게 박멸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수집, 저장하는 오물수거통과 오물수거통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팬부가 구비된 본체와 연결관을 매개로 오물수거통과 연통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흡입파이프와 이 흡입파이프의 자유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면에 맞닿아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팬부의 흡기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어지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청소기용 흡입판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파이프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통상의 흡입판에는 청소대상물에 따라 흡입판의 이동 및 이물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롤러와 솔 형태의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바닥, 특히 카페트와 같은 섬유성 깔개에는 진드기와 같은 수많은 해충 및 유해균 들이 번식하고 있는데, 이들 중 바닥의 먼지와 함께 진공청소기로 흡입되는 수는 그리 많지 않고, 일단 흡입된 해충 및 유해균이라도 완전히 박멸되지 않은채 상기 오물수거통 내에서 계속 서식하게 되므로 종래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능 이외엔 살충이나 살균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진공청소기에 살균기능을 이용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진공청소기의 살균기능은 스팀청소기와 같이 열을 이용해서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작용을 이용하고 있다. 진공청소기의 살균기능은 그 사용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첫째로 청소기 몸체 내부, 오물수거통 또는 흡입 통로에 자외선램프를 사용 하여 살균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몸체 내부의 오물수거통이나 흡입통로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는 경우 흡입된 진드기나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흡입된 진드기나 세균에 대해서는 살균을 하지만 바닥이나 카페트 등에 남아있는 진드기나 세균에 대해서는 살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카펫 혹은 침대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나 각종 세균을 살균하면서 이물질과 함께 흡입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흡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진드기나 세균까지도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조명용 형광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자외선램프는 점등 시에 매우 인체에 유해하여 직접 육안으로 보거나 피부에 닿지 않아야한다. 그리고 안정기, Glow starter 등의 부수적인 회로가 필요하여 제품의 복잡성을 높이게 되고 램프의 수명도 제한적이어서 사용 시에 살균효과를 지니는 자외선이 방사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램프를 교환해 주어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판 바닥에 자외선 LED를 설치하고, 흡입판 바닥에 형성된 흡입노즐이가 청소대상물에 닿을 때만 자외선 LED에 통전되어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하여 청소대상물을 살균하며 사용자가 살균용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체에 무해한 살균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흡입판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제어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대상물에 닿아 이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노즐이 형성된 흡입판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 바닥에 상기 흡입노즐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일 또는 이 이상의 자외선 LED, 상기 흡입판 일측에 위치하여 청소대상물과 흡입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접촉감지부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외선 LED에 전류를 인가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자외선 LED는 260nm ± 1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감지부는 상기 흡입판 바닥면의 흡입노즐 일측해 위치하여 상기 흡입노즐과 청소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검출되면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판 바닥에 결합되어 흡입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감지부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해당하는 흡입판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가 청소대상물에 닿아 소정 거리 이상 흡입판 바닥에 근접하면 이를 검출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살균 진공청소기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청소대상물에 서식하는 해충이나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살균 진공 청소기의 흡입판 저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 사용시 청소대상물에 닿는 흡입판은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20)과, 흡입판이 청소대상물 위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30, 40)를 포함한다. 롤러는 전방롤러(40)와 후방롤러(30)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칭함)(10)는 흡입판 저면에 설치되어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20)을 제외한 흡입판 일측에 다수개 배열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진드기와 같은 해충과 유해균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고, 자외선은 자외선 LED(10)를 이용한다. 자외선 LED는 수명이 거의 반 영구적인 100만 시간에 육박하여 교환이나 적절한 자외선 방출 여부에 대한 검출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제작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를 자유롭게 배열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진다. 즉, 종래의 자외선램프를 사용한 진공청소기는 흡입판을 가로 지르는 I자 형태를 취하거나 흡입노즐(20)을 가운데에 둔 U자 형태의 자외선램프를 사용했지만 살균용 자외선 LED(10)는 여러 개의 LED를 사용 목적에 맞게 자유로이 배치할 수 있다.
자외선은 260nm에서 강한 살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살균과정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살균 자외선LED는 우수한 살균력을 가지는 253.7nm정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흡입판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판 저면에는 전방롤러(40)와, 후방롤러(30)이 포함되어 청소대상물 위에서 흡입판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흡입판 중앙 부에는 흡입노즐(20)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고 그 전방에 자외선 LED(10)를 다수개 설치하여 청소시 진드기와 같은 해충과 유해균을 죽이면 흡입노즐(20)을 통해 그 사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60은 방출되는 자외선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감지부(50)를 후방롤러(30)의 상측에 위치시켜 후방롤러가 청소대상물에 닿으면 소정 거리를 흡입판 쪽으로 근접하는 것을 이용하여 흡입판이 청소대상물에 닿아 있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50)는 후방롤러(30)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통해 흡입판이 청소대상물에 닿아 있으므로 자외선LED(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부(50)는 흡입노즐(20)에 근접한 위치의 흡입판 저면에 설치되어 청소대상물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부(50)는 근접감지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살균 진공청소기의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마이콤(100)은 진공청소기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원이 입력되었을때 진공청소기의 구동 상태 및 키 입력상태를 나타낸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 구동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자외선LED(10)를 구동하여 살균 청소를 설정하거나 일반청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130)는 전원이 입력되는 장치를 말한다. 구동부(140)는 청소기의 흡입 기능을 위한 흡입팬 등의 구동을 위한 구성이다.
접촉감지부(5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판이 청소대상물에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마이콤(100)에 입력하거나 마이콤(100)과 자외선LED(10)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판이 청소대상물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자외선LED(10)가 즉시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0)과 자외선LED(10)를 직접 연결하고, 접촉감지부(50) 역시 마이콤(100)에 연결되어 접촉감지부(5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자외선LED(10)를 마이콤(100)이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0)과 자외선LED(10)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접촉감지부(50)를 거쳐서 연결하여 흡입판이 청소 대상과 접촉하지 않았을 때에는 접촉 감지부(50)가 자외선LED(10)를 비활성화 시키고 흡입판이 청소 대상과 접촉하였을 때만 자외선LED(10)를 활성화 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부(130)와 자외선LED(10) 사이에 접촉감지부(50)를 위치하여 접촉감지에 따라 스위칭 되도록 하여 접촉되지 않으면 자외선LED(1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이콤(100)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청소기능 살균기능을 각각 선택할 수 있어 청소와 살균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청소만을 하도록 설정 할 수 있으며 살균만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제어블럭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살균용 자외선 LED(10)는 안정기, Glow starter등의 외부 장치가 필요 없고 직류 전원만 공급해주는 것으로 점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히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 살균용 자외선 LED(10)를 비활성화 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살균용 자외선 LED를 진공청소기에 이용하여 청소와 동시에 각종 세균, 바이러스, 진드기 등을 살균할 수 있고, 흡입 노즐이 바닥에 닿아 있을 때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유해한 살균용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청소대상물에 닿아 이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노즐이 형성된 흡입판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 바닥에 상기 흡입노즐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일 또는 이 이상의 자외선 LED;
    상기 흡입판 일측에 위치하여 청소대상물과 흡입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외선 LED에 전류를 인가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는 260nm ± 1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는 상기 흡입판 바닥면의 흡입노즐 일측해 위치하여 상기 흡입노즐과 청소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검출되면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 바닥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감지부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해당하는 흡입판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가 청소대상물에 닿아 소정 거리 이상 흡입판 바닥에 근접하면 이를 검출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040024688U 2004-08-28 2004-08-28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67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4688U KR200367735Y1 (ko) 2004-08-28 2004-08-28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4688U KR200367735Y1 (ko) 2004-08-28 2004-08-28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276 Division 2004-08-28 2004-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735Y1 true KR200367735Y1 (ko) 2004-11-12

Family

ID=4172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4688U KR200367735Y1 (ko) 2004-08-28 2004-08-28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7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286A1 (en) * 2005-05-12 2006-11-16 Bukang Sems Co., Ltd. Sterilizer for bed clothes
KR20070066673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로봇청소기
KR20150103836A (ko) * 2014-03-04 2015-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286A1 (en) * 2005-05-12 2006-11-16 Bukang Sems Co., Ltd. Sterilizer for bed clothes
US7836548B2 (en) 2005-05-12 2010-11-23 Bukang Sems Co., Ltd. Vacuum cleaner
KR20070066673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로봇청소기
KR20150103836A (ko) * 2014-03-04 2015-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KR102145915B1 (ko) 2014-03-04 2020-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972C2 (ru) Стерилизатор для постельного белья (варианты)
KR100661619B1 (ko) 침구용 살균장치
US8302248B2 (en) Handheld vacuum attachment with ultraviolet light
KR10220408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KR200457354Y1 (ko) 다목적 uv램프모듈 및 이 uv램프모듈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로봇청소기
KR20160023203A (ko) 배기열을 이용한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지는 청소기
KR100607683B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JP2022068805A (ja) Uv-c ledを用いた室内表面及び空気殺菌浄化装置
JP5425430B2 (ja) 真空掃除機
KR200367735Y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82161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82160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 청소기
KR101929653B1 (ko) U.v. 살균 및 살충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200258304Y1 (ko) 자외선소독겸용 흡입구
KR200345278Y1 (ko) 자외선살균기능을 갖는 로보트형 청소기
KR20090017261A (ko) 진공 청소기
KR100797604B1 (ko) 청소기용 헤드의 구동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청소기용헤드
JPH08131522A (ja) 殺菌装置
KR200307001Y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의 살균램프 점등표시장치
KR101186492B1 (ko) 청소기의 램프 예열 장치
KR200342660Y1 (ko) 자외선살균기능을 가진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JP2010268941A (ja) 電気掃除機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KR200435364Y1 (ko) 청소기용 헤드
JP2002177175A (ja) 殺菌防臭式電気掃除機吸込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