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368B1 -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368B1
KR100898368B1 KR1020080054243A KR20080054243A KR100898368B1 KR 100898368 B1 KR100898368 B1 KR 100898368B1 KR 1020080054243 A KR1020080054243 A KR 1020080054243A KR 20080054243 A KR20080054243 A KR 20080054243A KR 100898368 B1 KR100898368 B1 KR 10089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lamp
striking
foreign matte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혁
유대영
오유식
Original Assignee
(주) 동양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네트 filed Critical (주) 동양네트
Priority to KR102008005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침구류의 세균, 진딧물 등을 살균 또는 살충하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청소기가 개시된다. 그러한 청소기는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대상물에 대해 자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자외선 방사부, 및 타격부와 자외선 방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타격에 의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이물질 흡입부를 포함함으로써, 흡입 효율이 개선되고, 대상물에서의 세균, 진딧물 등에 대한 자외선 방사부의 노출시간이 증가되어 살균 또는 살충 효율이 증가되며, 타격부의 타격력이 향상됨으로써, 침구류에 대한 살균 또는 살충 및 청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청소기, 침구, 모터, 자외선, 타격

Description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CLEANER FOR DISINFECTION AND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불, 매트리스, 카펫 등의 침구류를 살균 및 살충하고 침구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구류에는 세균이나 진드기 등이 많이 존재하고, 미세 먼지들을 포함한 크고 작은 각종 이물질들이 많이 부착된다. 침구류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드기를 살균 또는 살충(이하에서는 이들을 총괄하여 "살균" 이라고도 함)하거나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침구용 살균장치 내지 침구용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침구용 살균장치를 살펴보면, 살균 또는 살충 수단으로서 자외선 램프가 사용되고, 그러한 자외선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침구류의 세균이나 진드기 등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살균 또는 살충하고 있다.
또한, 침구용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를 살펴보면, 침구용 살균장치에 부가하여 침구용 청소기를 이루기 위한 하우징과, 침구류에 부착된 세균, 진드기, 이물질 등(이하에서는 총괄하여 "이물질" 이라고도 함)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 조립체, 이러한 이물질이 청소기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구, 그러한 흡입구로 흡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를 구비한다. 나아가, 이물질이 침구류로부터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침구류를 타격하는 타격부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는, 통상적으로는 침구류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살균 램프부, 및 흡입구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살균 램프가 청소기의 운전시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에서의 그와 같은 배치로 인해, 머리카락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은 살균 램프부에 걸리게 되어 흡입구로 제대로 흡입되지 않아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살균 램프가 청소기의 운전시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청소기의 운전시 대상물에서의 세균이나 진딧물 등에 대한 살균 램프의 자외선 노출 시간이 매우 짧아 살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의 타격부는 전자석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데, 이러한 방식은 타격력이 매우 약해 침구류를 타격하여 이물질을 침구류로부터 털어내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에서 침구류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살균 램프부, 흡입구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청소기의 작동시 이물질이 살균 램프부에 걸려서 제대로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에서 자외선 살균 램프가 청소기의 운전시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해 청소기의 운전시 대상물에서의 세균이나 진딧물 등에 대한 자외선의 노출시간이 짧아 살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의 타격부에 채용되고 있는 전자석 방식의 타격력이 매우 약해서 세균, 진드기, 이물질 등을 침구류로부터 제대로 털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청소기는,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상기 대상물에 대해 자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자외선 방사부, 및 상기 타격부와 상기 자외선 방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타격에 의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이물 질 흡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타격 모터 조립체, 상기 타격 모터 조립체 내의 모터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회전함으로써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을 전달받아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봉, 상기 타격 모터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지지부재 간에 일정 범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지지부재 간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방사부는 자외선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램프 수용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램프 수용챔버가 두 개인 경우,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 각각의 양단 중 상기 타격부와 가까운 각각의 일단은 상기 이물질 흡입부의 폭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흡입부는, 상기 타격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물질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착탈가능한 필터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소기는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램프 수용챔버를 커버링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의 방사광이 상기 대상물에 방사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흡입구의 개방을 유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소기는, 청소기의 작동시,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 내에 상기 대상물이 들어오는 경우에 상기 자외선 램프의 동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램프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 내에 삽입되는 경우,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의 내벽에 접하지 않는 상부에는 상기 필터 조립체 내의 필터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는, 상기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 내에 삽입된 필터 조립체가 외부로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조립체의 삽입 후 상기 필터 조립체를 커버링하기 위한 푸쉬버튼 타입의 불투명 개폐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의 작동시 이물질이 살균 램프부에 걸려서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아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에서 자외선 살균 램프가 청소기의 운전시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청소기의 운전시 대상물에서의 세균이나 진딧물 등에 대한 살균 램프의 자외선 노출시간이 짧아 살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침구용 청소기의 타격부에 채용되던 전자석 방식의 단점인 타격력 미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작동모드 선택버튼(102), 손잡이(104), 전원 공급라인(106), 케이스 상부(108), 케이스 하부(110) 및 불투명 개폐창(112)을 포함한다.
작동모드 선택버튼(102)은 청소기(100)의 작동 시작 및 작동 종료를 선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작동모드(예를 들면, 청소기(100)의 자외선 살균 램프(미도시)의 작동 개별 선택, 흡입모터의 흡입력의 다단계 조작(예, 강, 중, 약) 등)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04)는 사용자가 청소기(100)를 리프팅하여 운전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고, 전원 공급라인(106)은 청소기(100)의 작동에 요구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104)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라인(106)을 통해서는 가정용 전원(예를 들면, 110V, 220V 등)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청소기(100)의 내부에 충전기(미도시) 또는 충전지 수용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스 상부(108) 및 케이스 하부(110)는, 결합되어 청소기(100)의 타격부, 자외선 방사부, 이물질 흡입부, 및 흡입모터 조립체 등이 수용될 공간을 마련한다. 케이스(108, 110) 내의 타격부, 자외선 방사부, 이물질 흡입부, 및 흡입모터 조립체 등은 이후에 도 2a, 도 2b, 도 2c, 및 2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불투명 개폐창(112)은 이물질 흡입부의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이하의 도 2a 내지 도 2d에서 설명됨) 내에 삽입되는 필터 조립체가 외부로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불투명성 재질이고, 필터 조립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다.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불투명 개폐창(112)은 푸쉬형(푸쉬 동작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형태로서, 이러한 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는 도 1a에서 불투명 개폐창(112)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와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도 1a는 불투명 개폐창(112)이 닫힌 상태이고, 도 1b는 불투명 개폐창(112)이 열린 상태로서, 필터 조립체(22)의 상태를 모니터링(투명창(24)을 통해)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필터 조립체(22)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b와 같이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도 1a와 같이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청소기(100)에서 케이스 상부(108)를 분리하여 청소기(100)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저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에서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를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며, 도 2d는 도 2c에서 케이스 하부(110)를 더 분리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함께 참조하면, 청소기는 침구류와 같은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10), 대상물에 대해 자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자외선 방사부(30a, 30b; 30), 타격부(10)와 자외선 방사부(30) 사이에 배치되어,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타격에 의해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이물질 흡입부(20a)를 포함한다. 물론, 청소기(100)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 조립체(40)와, 흡입모터 조립체(40) 내의 흡입모터, 타격부(10) 내의 타격모터, 자외선 방사부(30) 내의 자외선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52, 5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청소기에는 이물질 흡입부(20a)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결과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마이크로필터 조립체(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청소기는 운전시 침구류 등의 대상물에서 왕복 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 롤러부(60a, 60b, 60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타격부(10)는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a 및 도 3b에 이를 상세히 나타내었다. 즉, 도 3a는 도 2a의 타격부(10)를 분리하여 나타낸 타격부(1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러한 타격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타격부(10)를 설명하면, 타격부(10)는 타격 모터 조립체(12), 진동자(11a), 진동판(18), 타격봉(14a, 14b, 14c;14), 지지부재(19), 스프링(15a, 15b)를 포함한다.
타격 모터 조립체(12)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c), 발생된 회전력을 진동자(11a)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11b), 내부에 모터(11c)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케이스(11d, 11e)를 포함한다.
진동자(11a)는 타격 모터 조립체(12)를 구성하는 회전축(11b)에 편심지게 결합되어, 회전축(11b)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모터(11c)의 작동시 진동자(11a)가 편심져 회전하므로 진동자(11a)의 원심력으로 인해 모터 조립체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진동판(18)은 진동자(11a)의 편심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타격 모터 조립체(12)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 진동판(18)은 타격 모터 조립체(12)로부터 분리가능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타격 모터 조립체(12)(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 하부(11e))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진동판(18)의 하부에는 타격봉 결합부(13a, 13b, 13c)가 형성된다. 타격봉 결합부(13a, 13b, 13c)는 진동판(1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봉(14)은 진동판(18)의 하부에 형성된 그러한 타격봉 결합부(13a, 13b, 13c)에 결합되어 진동판(18)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대상물을 타격한다. 타격봉(14)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그 형상도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재(19a, 19b)는 타격 모터 조립체(12)를 지지하며,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청소기의 케이스 하부(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부재(19a)는 타격 모터 조립체(12)를 지지하며,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청소기의 케이스 하부(110)에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19b)는 타격봉(14)이 타격봉 결합부(13a, 13b, 13c)에 결합되어 안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지지부재(19a)와 타격봉(14) 간에 개재된다.
스프링(15a, 15b)은 진동판(18)과 지지부재(19a, 19b) 간에 일정 범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진동판(18)과 지지부재(19a, 19b) 간에 삽입되어, 타격봉(14)이 대상물을 원활하게(예를 들면, 타격봉(14)이 일정한 싸이클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대상물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자외선 방사부(30)는 자외선 램프(32a, 32b)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를 포함한다. 즉, 램프 수용챔버(30a, 30b)는 자외선 램프(32a, 32b)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램프 수용챔버(30a, 30b) 내에는 자외선 램프(32a, 32b)가 체결되어 점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램프 소켓을 구비한다. 따라서, 자외선 방사부(30)는 램프 수용챔버(30a, 30b), 자외선 램프(32a, 32b) 및 자외선 램프(32a, 32b)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가 케이스 하부(1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램프 수용챔버(30a, 30b) 내에는 자외선 램프(32a, 32b)가 수용된다. 또한, 자외선 램프(32a, 32b)가 대상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자외선 램프(32a, 32b)를 보호하기 위해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가 더 구비된다. 결과적으로는, 케이스 하부(110)와 커버링부재(114a, 114b)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이 공간이 램프 수용챔버(30a, 30b)임) 내에 자외선 램프(32a, 32b)가 수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 각각의 일단은 서로 붙어 있고, 각각의 타단은 서로 떨어져 있어, 타격부(10)를 기준으로 보면 ∧자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 각각의 양단 중 타격부(10)에 가까운 부분의 폭은 이물질 흡입부(20)의 폭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이물질 흡입부(20)와 함께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배치되는 램프 수용챔버(30a, 30b) 및 이에 수용되는 자외선 램프(32a, 32b)는, 종래와 같은 구조, 즉 청소기의 운전시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자형인 구조와 비교하면, 청소기의 운전속도(전, 후진 진행 속도)를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운전하더라도 대상물에서의 세균이나 진딧물 등에 대한 자외선 램프(32a, 32b)의 노출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살균 또는 살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소기의 운전 방향(또는 운전시 진행 방향)은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겠으나, 여기서의 청소기의 운전 방향은 통상적인 청소기의 운전 방향인 전, 후진 방향으로 정의한다.
살균 또는 살충 효과를 더 강화하고자 자외선 램프를 늘릴 수 있도록, 램프 수용챔버의 개수가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늘어나는 램프 수용챔버들은 기존의 램프 수용챔버(30a, 30b)의 배치와는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는 자외선 램프(32a, 32b)를 보호하도록 램프 수용챔버(30a, 30b)의 개구부를 커버링하며, 자외선 램프(32a, 32b)의 방사광이 대 상물에 방사될 수 있도록 방사구(116)가 형성된다. 방사구(116)의 개수 및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이물질 흡입부(20)의 이물질 흡입구(20b)가 대상물측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물질 흡입구 커버링부재(115)가 더 구비된다. 이물질 흡입구(20b)는 타격부(10) 방향으로만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대상물과 닿는 부분으로는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상물에 의한 이물질 흡입구(20b)의 막힘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청소기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도 2a에서의 참조부호 20b는 도 2c 또는 도 2d에서의 참조부호 20b와 동일한 대상으로서, 도 2a 상에서 이물질 흡입부(20)의 수용챔버(20a)의 바닥부분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된 이물질 흡입구를 나타낸다.
이물질 흡입구 커버링부재(115)는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자외선 램프(32a, 32b)의 교체나 청소기 자체의 클리닝 작업 등의 관리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흡입부(20)는 타격부(1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길게 이물질 흡입구(20b)가 형성된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를 포함한다. 타격부(10)의 길이 방향은 청소기의 운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이물질 흡입부(20)에는 이물질 흡입구(20b)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로부터 자유롭게 장착 또는 탈착가능한 필터 조립체(22)가 수용된다.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에 수용되는 필터 조립체(22)의 일 예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2a에서 이물질 흡입부(20)의 필터 조립체(22)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a는 필터 조립체(22)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필터 조립체(22)의 필터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c는 필터 조립체(2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22)는 케이스(26) 및 필터(29)를 포함한다. 케이스(26)는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 내에 삽입되는 경우,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의 내벽에 접하지 않는 상부, 즉 불투명 개폐창(도 1b의 112)을 오픈 한 경우 노출되는 부분에는 필터 조립체(22) 내의 필터(29)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24)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필터 조립체(22)를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20a)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더라도 적절한 사용 시간의 경과 이후에 투명창(24)을 통해 필터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2)에는 케이스(26) 내에 필터(29)가 조립된 이후, 흡입 모터 조립체(도 2a의 40)의 일단에 형성된 밀착판(이후에 설명될 도 6의 46)과 밀착되기 위한 부분(28)이 마련되어, 흡입 모터 조립체(40) 내의 흡입 모터의 동작시 흡입 모터 조립체(40)와 필터 조립체(22) 간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a의 마이크로필터 조립체(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마이크로필터 조립체(7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마이크로필터 조립체(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필터 조립체(70)는, 내측 케이스(74), 마이크로필터(76) 및 외측 케이스(78)를 포함하며, 마이크로필터(76)는 내측 케이스(74) 및 외측 케이스(78) 사이에 개재되어 필터 조립체(22)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된 결과물에 대해 필터링함으로써, 더 미세한 이물질들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게 된다. 미 설명된 참조 부호 72a 및 72b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홀들이다.
도 6은 도 2a의 흡입 모터 조립체(4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입 모터 조립체(40)는 모터부(42) 및 흡입관(44)을 포함한다. 모터부(42)는 전원 공급라인(106)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이물질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며, 흡입관(44)은 그러한 모터부(42)에서 연장되어 필터 조립체(22)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로를 이룬다.
또한, 청소기에는 센서(80a, 8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서(80a, 80b)는, 청소기의 작동시, 소정의 기준위치(예를 들면, 램프 커버링부재(114a, 114b), 또는 자외선 램프(32a, 32b))로부터 소정의 범위 이내에 대상물이 들어오는 경우에 자외선 램프(32a, 32b)의 동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자외선 램프(32a, 32b)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물이 그러한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일정한 범위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이를 센싱한다. 센서(80a, 80b)는 근접 센서가 바람직하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만 한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다.
또한, 청소기에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52, 54)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 회로기판(52, 54)은, 예를 들면, 흡입모터 조립체(40) 내의 흡입모터를 구동하는 데 요구되는 회로들, 타격부(10) 내의 타격모터(11c)를 구동하는 데 요구되는 회로들, 자외선 방사부(30) 내의 자외선 램프(32a, 32b)를 구동하는 데 요구되는 회로들, 센서(80a, 80b)를 구동하는 데 요구되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일 뿐이므로, 그러한 설명 및 도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불투명 개폐창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a에서 케이스 상부를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청소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1a의 저면도,
도 2c는 도 2b에서 램프 커버링부재를 분리한 후의 사시도,
도 2d는 도 2c에서 케이스 하부를 더 분리한 후의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타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타격부의 전체 사시도,
도 3b는 타격부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필터 조립체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필터 조립체의 필터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A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c는 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마이크로필터 조립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마이크로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6은 도 2a의 흡입 모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Claims (8)

  1. 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상기 대상물에 대해 자외선을 방사하기 위한 자외선 방사부; 및
    상기 타격부와 상기 자외선 방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이물질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방사부는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램프 램프 수용챔버는 운전시 진행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타격 모터 조립체;
    상기 타격 모터 조립체 내의 모터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진동자;
    상기 진동자가 회전함으로써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을 전달받아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봉;
    상기 타격 모터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지지부재가 일정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지지부재 간에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청소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램프 수용챔버 각각의 양단 중 상기 타격부와 가까운 각각의 일단 사이는 상기 이물질 흡입부의 폭보다 더 큰 간격으로 배치되는 청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흡입부는
    상기 타격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물질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착탈가능한 필터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 수용챔버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램프 수용챔버를 커버링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의 방사광이 상기 대상물에 방사되도록 하기 위해 방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흡입구의 개방을 유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청소기의 작동시,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상기 대상물이 들어오는 경우에 상기 자외선 램프의 동작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램프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커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080054243A 2008-06-10 2008-06-10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KR10089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43A KR100898368B1 (ko) 2008-06-10 2008-06-10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43A KR100898368B1 (ko) 2008-06-10 2008-06-10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368B1 true KR100898368B1 (ko) 2009-05-21

Family

ID=4086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43A KR100898368B1 (ko) 2008-06-10 2008-06-10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3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24Y1 (ko) *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KR20150127526A (ko) 2014-05-07 2015-11-17 히트러너 주식회사 미소해충 살충장치
JP2020014875A (ja) * 2019-09-25 2020-01-3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CN111387872A (zh) * 2020-03-31 2020-07-10 湖南格兰博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除螨机器人的防卡死方法
JP2020195910A (ja) * 2020-09-16 2020-12-1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468B1 (ko) * 1998-09-02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100518620B1 (ko) * 2005-05-12 2005-10-04 조영만 침구용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468B1 (ko) * 1998-09-02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100518620B1 (ko) * 2005-05-12 2005-10-04 조영만 침구용 살균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24Y1 (ko) *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KR20150127526A (ko) 2014-05-07 2015-11-17 히트러너 주식회사 미소해충 살충장치
JP2020014875A (ja) * 2019-09-25 2020-01-3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7011634B2 (ja) 2019-09-25 2022-01-2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CN111387872A (zh) * 2020-03-31 2020-07-10 湖南格兰博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除螨机器人的防卡死方法
JP2020195910A (ja) * 2020-09-16 2020-12-1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7104430B2 (ja) 2020-09-16 2022-07-2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620B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0661619B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0898368B1 (ko) 청소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JP2008543356A5 (ko)
KR101154823B1 (ko) 타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KR200448024Y1 (ko) 침구용 청소기
KR20130019755A (ko) 열풍살균 침구청소기
KR101507922B1 (ko) 이중 살균기능을 갖는 핸디형 진공 청소기
JP2016030128A (ja) 電気掃除機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CN102188190B (zh) 真空清洁器
JP3183236U (ja) 掃除機
KR101929653B1 (ko) U.v. 살균 및 살충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100607683B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CN109152352B (zh) 送风装置
KR20120047175A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583569B1 (ko) 필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진공청소기
US20180064304A1 (en) Rotation punch brush module
KR200392193Y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1261474B1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청소기
KR19980065269U (ko) 에어커튼
KR20080097570A (ko) 진공청소기용 침구브러시
CN211704436U (zh) 清洁设备
CN215502747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吸头及清洁机
KR200305295Y1 (ko) 자외선 방출기를 갖춘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