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993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993Y1
KR200391993Y1 KR20-2005-0013529U KR20050013529U KR200391993Y1 KR 200391993 Y1 KR200391993 Y1 KR 200391993Y1 KR 20050013529 U KR20050013529 U KR 20050013529U KR 200391993 Y1 KR200391993 Y1 KR 200391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tating
fixing member
fix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조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규 filed Critical 조현규
Priority to KR20-2005-0013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재 및 도어에 고정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저면에 고정기어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축이 축설된 회동부재커버를 갖고 상기 제 2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는 회동기어를 수용하며 기어를 갖는 정역모터에 의해 상기 회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시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고정커버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며 축공이 형성된 제 1회동커버와, 제 2회동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정역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수용 안내하는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케이블커버부재의 상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제 1및 제 2고정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하부케이스와; 일측이 상기 베어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어링케이스에 올려지며 상기 제 1및 제 2회동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상부케이스와;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를 상호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개방을 위해 도어록을 조작하면 도어록의 전기신호가 정역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도어가 서서히 조용하게 닫히게 하는 도어체크의 역할도 가능한 경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첩{hinge}
본 고안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설치되며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도어개방을 위해 도어록을 조작하면 도어록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체크(doorcheck)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서서히 또는 조용하게 닫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침입자에 의해 경첩이 해체될 수 없도록 구성한 해제불가능경첩과, 또는 도어개폐시 도어가 서서히 개폐될 수 있도록 완충장치를 겸한 경첩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 대분분은,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연결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데 급급한 정도였고, 그들에 부가적으로 설치된 완충장치는 유압을 이용한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제조단가의 상승과 더불어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이들 경첩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없다는 매우 큰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도어개방을 위해 도어록을 조작하면 도어록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한편 도어체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재 및 도어에 고정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저면에 고정기어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축이 축설된 회동부재커버를 갖고 상기 제 2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는 회동기어를 수용하며 기어를 갖는 정역모터에 의해 상기 회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시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고정커버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며 축공이 형성된 제 1회동커버와, 제 2회동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정역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수용 안내하는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케이블커버부재의 상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제 1및 제 2고정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하부케이스와; 일측이 상기 베어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어링케이스에 올려지며 상기 제 1및 제 2회동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상부케이스와;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를 상호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회동커버와 상기 제 1및 제 2회동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상부케이스의 사이에 보조회동커버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를 수용하는 회동기어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역모터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정역모터를 고정하는 소정 형상의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의 표면에는 그들의 축선 방향에서 관통하여 상기 핀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는 그들을 상기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각 부재를 조립하여 각각 분리하여 놓은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첩(10)은, 경첩을 도어프레임(300)에 고정하기 위한 제 1고정부재(100)와 도어(40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고정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경첩(10)은, 제 1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 및 도어(400) 측에 고정되어 정역모터(30)에 의해 회동되어 도어(400)를 개방하는 회동부재(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0)와 회동부재(40)의 상면에는 케이블을 수용 안내하는 케이블커버부재(50)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커버부재의 상부에는 도어(400)가 원할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상,하부케이스(60)(70)를 구비하되 이들은 그들에 마련된 각각의 핀공(h)(이하에서는 모든 핀공은 h로 통일함)에 각각의 핀(p)(이하에서는 모든 핀은 p로 통일함)이 삽입되어 상호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 및 회동부재(40)와 케이블커버부재(50)와 베어링상하부케이스(60)(70)는 이들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s)에는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부재(100)(200)로부터 삽입되는 나사(102)(202)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경첩(10)은, 도어(400)에 부착된 도어록(도시치 않음)과 케이블(5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는데, 여기서 도어록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전기적신호를 정역모터(30)에 보내 정역모터가 구동할 수 있는 도어록이 사용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고정부재(1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101)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102)로 도어프레임(30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한편, 일면에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103)이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500)을 쉽게 배선할 수 있다.
제 2고정부재(200)에도,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201)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202)로 도어(400)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한편, 일면에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203)이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500)을 쉽게 배선할 수 있으며, 그 일측에는 회동기어(42)를 포함한 제 1회동커버(44)의 일부를 수용하는 회동기어수용공(204)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400) 내부에서 브래킷(31)에 고정된 정역모터(30)의 기어(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 2고정부재(200)에 고정된 회동부재(40)의 축공(40a)에는, 축(41)에 축설되며 정역모터(30)의 기어(32)에 치합되어 회동하는 회동기어(42)가 설치되어지고, 회동기어는 고정부재(20)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기어(21)와 치합된다. 따라서 정역모터(30)가 도어록(도시치 않음)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기어(32)가 회동기어(42)를 회동시키고 회동기어는 고정기어(21)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하게되는 것으로서 회동부재(40)는 회동하며, 회동부재커버(43)와 이에 고정된 제 1 및 제 2회동커버(44)(45)와, 보조회동커버(46) 및 베어링상부케이스(60)도 회전하게 되어 이들에 고정된 도어(400)가 서서히 개방된다.
이때, 제 1고정부재(100)에 고정된 고정부재(20)와 제 1 및 제 2고정커버(22)(23) 및 베어링하부케이스(7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40) 및 회동부재커버(43)와 제 1및 제 2회동커버(44)(45)와, 보조회동커버(46) 및 베어링상부케이스(60)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베어링(71)은 회동부재(40)에 설치된 제 1및 제 2회동커버(44)(45)와 베어링상부케이스(60)의 원할한 회동을 도와준다.
한편, 고정부재(20)와 회동부재커버(43)가 덮혀진 회동부재(40)의 상부에 설치된 케이블커버부재(50)는 정역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500)을 도어프레임(300) 측으로부터 도어(400) 내부에 설치된 정역모터(30)에 까지 연결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및 제 2회동커버(44)(45)와, 제 1 및 제 2고정커버(22)(23)는 선로(700)(701) 및 공간부(700)를 형성함으로써 제 고정부재(100)와 제 2고정부재(200)에 형성된 케이블배선공(103)(203)으로 배선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400) 개폐시 케이블(500)의 단락을 방지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식과 모양의 경첩에 한정하여 실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 및 도어(400) 측에 고정되어 정역모터(30)에 의해 회동되어 도어(400)를 개방하는 회동부재(40)와, 케이블을 수용 안내하며 단락을 방지하는 케이블커버부재(50)와, 도어(400)가 원할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상,하부케이스(60)(70)의 형상과 모양으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가지고 변형된 요소의 구성 및 형상 변화라면, 어떠한 형상과 형식의 경첩이라도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개방을 위해 도어록을 조작하면 도어록의 전기신호가 정역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도어가 서서히 조용하게 닫히게 하는 도어체크(doorcheck)의 역할도 가능한 경첩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각 부재를 조립하여 각각 분리하여 놓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경첩 20 : 고정부재
21 : 고정기어 22 : 제 1고정커버
23 : 제 2고정커버 30 : 정역모터
31 : 브래킷 32 : 기어
40 : 회동부재 40a : 축공
41 : 축 42 : 회동기어
43 : 회동부재커버 44 : 제 1회동커버
45 : 제 2회동커버 46 : 보조회동커버
50 : 케이블커버부재 60 : 베어링상부케이스
70 : 베어링하부케이스 71 : 베어링
100 : 제 1고정부재 101 : 나사공
102 : 나사 103 : 케이블배선공
200 : 제 2고정부재 201 : 나사공
202 : 나사 203 : 케이블배선공
204 : 회동기어수용공 500 : 케이블
600 : 공간부 700, 701 : 선로

Claims (7)

  1.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재 및 도어에 고정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저면에 고정기어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축이 축설된 회동부재커버를 갖고 상기 제 2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는 회동기어를 수용하며 기어를 갖는 정역모터에 의해 상기 회동기어를 상기 고정기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시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고정커버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며 축공이 형성된 제 1회동커버와, 제 2회동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정역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수용 안내하는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케이블커버부재의 상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제 1및 제 2고정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하부케이스와;
    일측이 상기 베어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어링케이스에 올려지며 상기 제 1및 제 2회동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상부케이스와;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를 상호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회동커버와 상기 제 1및 제 2회동커버에 고정되는 베어링상부케이스의 사이에 보조회동커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배선공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기어를 수용하는 회동기어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정역모터를 고정하는 소정 형상의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의 표면에는 그들의 축선 방향에서 관통하여 상기 핀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의 상면에 마련된 케이블커버부재와 상기 베어링상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는 그들을 상기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2005-0013529U 2005-05-13 2005-05-13 경첩 KR200391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29U KR200391993Y1 (ko) 2005-05-13 2005-05-13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529U KR200391993Y1 (ko) 2005-05-13 2005-05-13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108A Division KR100663190B1 (ko) 2005-05-13 2005-05-13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993Y1 true KR200391993Y1 (ko) 2005-08-09

Family

ID=4369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29U KR200391993Y1 (ko) 2005-05-13 2005-05-13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040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040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KR102407549B1 (ko) * 2020-07-24 2022-06-10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559B2 (ja) 防水式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96719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391993Y1 (ko) 경첩
JP2000087641A (ja) 窓の操作装置
KR101637847B1 (ko) 연료도어 구조
KR100663190B1 (ko) 경첩
KR100730642B1 (ko) 미서기창 잠금장치
JP2006255123A5 (ko)
JP2008231690A (ja) 窓開閉装置及び窓
JP7274358B2 (ja) 建具
US20060090297A1 (en) Hinge capable of being installed to interior or exterior of doorplate
JP2017227081A (ja) サッシ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100779798B1 (ko) 셀 해치 구동장치
CN219316841U (zh) 开窗驱动结构及自动开窗系统
KR200255563Y1 (ko) 자동 개폐형 노트북 컴퓨터
JP2020200692A (ja) 建具
JP2005299114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扉体取り付け構造
JP5495417B2 (ja) 折り戸
KR200313894Y1 (ko) 전선이 관통가능한 경첩
KR100410828B1 (ko) 디지털 도어록 키실린더의 플랩도어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JP3406274B2 (ja) 調整蝶番
JP4085965B2 (ja) 跳ね上げ式電動ガレージ扉
JP3469444B2 (ja) 電動天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