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748Y1 - 분리형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748Y1
KR200391748Y1 KR20-2005-0014329U KR20050014329U KR200391748Y1 KR 200391748 Y1 KR200391748 Y1 KR 200391748Y1 KR 20050014329 U KR20050014329 U KR 20050014329U KR 200391748 Y1 KR200391748 Y1 KR 200391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llast
lamp
psi
opera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배수호
문일평
최성일
박은권
Original Assignee
김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정 filed Critical 김기정
Priority to KR20-2005-0014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high-pressur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 ,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점/소등하는 램프; 제 1 커넥터를 구비고, 램프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 1 커넥터를 통해 일정한 전압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 제 1 커넥터와 연결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여 제 2 커넥터를 통해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되, 제 2 커넥터를 통해 안정기에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고압 펄스 전압을 발생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고 무부하시나 램프 출력선 단락시 전원을 차단하는 PSI로 구성되어 안정기 및 PSI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안정기와 PSI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즉, 등기구 내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장소에 PSI가 안정기 케이스 외부로 나옴으로 인한 작아진 부피의 안정기 및 PSI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고, 공간 활용이 좋으며, PSI 또는 램프의 고장 시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분리형 점등장치{A separation-type lighting system}
본 고안은 분리형 점등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정기 및 PSI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안정기와 PSI를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안정기 및 PSI(이그나이터 및 보호회로)가 설치되는 특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명 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으며, 안정기 또는 PSI(Power Saving Ignitor)의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분리형 안정기 및 PSI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등에 사용되는 고압 방전등용 램프를 구동하는 회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안정기와 이그나이터가 하나의 케이스 안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AC-IN, AC-IN') 입력단에는 캐패시터(10)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전원(AC)의 일측에는 전류제한용 트랜스인 안정기(20)가 연결되며, 안정기(20)의 출력단과 전원단 사이에는 방전램프(40)가 연결되고, 방전램프(40)와 안정기(20) 사이에는 이그나이터(30)가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캐패시터(10)는 입력전원(AC)의 역률 개선용으로 사용된 것이며, 이그나이터(30)는 고압펄스를 발생하여 입력전압의 피크치에 중첩시킴으로써 얻은 고압을 초기 점등을 위하여 램프에 인가하는 회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안정기와 점등기(즉, 이그나이터 및 구동회로)는 하나의 케이스 안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어 안정기 또는 점등기의 고장 시 교체가 어렵고, 부피가 큰 안정기를 등기구내의 특정 공간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조명등기구의 외관에 영향을 끼쳤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PSI 및 안정기를 분리하여 PSI 및 안정기에 커넥터를 설치함으로써 안정기 내장형 등기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는 분리형 PSI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따른 목적은 안정기 및 PSI를 커넥터로 연결함으로써 안정기 또는 PSI의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분리형 PSI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인 수단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점/소등하는 램프; 제 1 커넥터를 구비고, 램프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 1 커넥터를 통해 일정한 전압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 제 1 커넥터와 연결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여 제 2 커넥터를 통해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되, 제 2 커넥터를 통해 안정기에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고압 펄스 전압을 발생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고 무부하시나 램프 출력선 단락시 전원을 차단하는 PSI를 더 구비한 점등 및 보호회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정기 및 PSI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안정기와 PSI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즉, 등기구 내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장소에 PSI가 안정기 케이스 외부로 나옴으로써 분리된 구조로 인해 작아진 부피의 안정기 및 PSI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고, 공간 활용이 좋으며, PSI 또는 램프의 고장 시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PSI의 사시도로서, 안정기(100), 제 1 커넥터(110), PSI(200) 및 제 2 커넥터(210)로 구성된다.
안정기(100)는 철심에 코일을 감은 초크코일로 램프와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는 장치로 즉, 방전등용 램프는 전류가 흐르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떨어지므로, 일정한 전압을 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게 하며 이 때 전류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를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램프와 안정기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에 형성된 제 1 커넥터(110)의 안정기 연결부(111) 및 램프연결부(112)를 통해 램프 및 램프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PSI(Power Saving Ignitor)(200)는 제 2 커넥터(210), 이그나이터와 무부하및 단락보호회로(미도시)를 포함하되, 외부에 장착된 캐패시터(230) 및 이그나이터와 무부하 및 단락보호회로의 크기에 의해 PSI 케이스가 돌출된 것으로 내부에 회로와 연결 접속된 이그나이터와 무부하 및 단락 보호회로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안정기 출력 전압을 감지하는 무부하 및 단락 감지회로와 무부하 및 단락시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로 구성되고 또한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이그나이터로 구성 된다.
제 1 커넥터(110)와 연결 접속된 안정기 연결부(111) 및 램프연결부(112)는 PSI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삽입 연결됨으로써 PSI 내부 구동회로 및 안정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즉, 안정기 연결부(111)의 단자1은 PSI 제 2 커넥터의 단자V1과 연결되고, 안정기 연결부(111)의 단자2는 PSI의 제 2 커넥터의 단자V2와 연결되며, 안정기 램프연결부(112)의 단자 3은 제 2 커넥터의 단자 L1과 연결되고, 램프연결부(112)의 단자 4는 램프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 2 커넥터의 단자 L2는 램프의 다른 한 단자와 직렬로 연결되어 PSI의 이그나이터에서 발생된 고압 펄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커넥터의 단자 C1 및 단자 C2는 외부 캐패시터(230)와 연결되며, 제 2 커넥터의 단자 S1 및 단자 S2는 입력 전원에 연결된다.
아울러, 제 2 커넥터의 캐패시터(230) 및 입력 전원(미도시)에 연결되는 단자는 제 1 커넥터가 삽입됨에 따라 연결되고, 외부에 장착된 캐패시터 및 입력 전원과 연결 가능하도록 제 1 커넥터는 전선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정기에 설치된 제 1 커넥터는 사용자 임의에 따라 정해진 일정 길이의 전선(120)에 장착되고, 제 1 커넥터가 장착된 전선의 타측은 안정기와 일체로 고정 장착되어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안정기 및 PSI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안정기와 PSI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등기구내에 용이하게 설치 할수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안정기에 고정 장착된 전선 또한 분리 가능한 커넥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사용자 임의의 특정 장소에 안정기를 설치할 수 있어 조명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고,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안정기의 제 1 커넥터에 연결된 안정기 또는 PSI의 고장 시 교체할 때는 PSI 및 안정기에 장착된 커넥터만 분리해서 교체하기 때문에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정기 및 PSI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안정기와 PSI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즉, 등기구 내에 사용자 임의의 특정 장소에 PSI가 안정기 케이스 외부로 나와 분리 가능함으로 인해 작아진 부피의 안정기 및 PSI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의 외관을 중시할 수 있고, 공간 활용이 좋으며, PSI 또는 램프의 고장 시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 점등 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PSI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정기 110: 제 1 커넥터
120: 전선 111: 안정기 연결부
112: 램프 연결부 200: PSI(이그나이터 및 보호회로)
210: 제 2 커넥터 220: 캐패시터

Claims (2)

  1.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점/소등하는 램프;
    제 1 커넥터를 구비고, 상기 램프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커넥터를 통해 일정한 전압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
    상기 제 1 커넥터와 연결 접속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커넥터를 통해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되, 상기 제 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안정기에서 동작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고압 펄스 전압을 발생함으로써 램프를 점등시키고 무부하시나 램프 출력선 단락시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PS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점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일정 길이의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의 타측은 상기 안정기와 일체형으로 연결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점등장치.
KR20-2005-0014329U 2005-05-20 2005-05-20 분리형 점등장치 KR200391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29U KR200391748Y1 (ko) 2005-05-20 2005-05-20 분리형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29U KR200391748Y1 (ko) 2005-05-20 2005-05-20 분리형 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748Y1 true KR200391748Y1 (ko) 2005-08-09

Family

ID=4369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29U KR200391748Y1 (ko) 2005-05-20 2005-05-20 분리형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8557B2 (en) Electronic controller for high-power gas discharging lamp
KR101418579B1 (ko) Led 램프, led 램프를 포함한 조명 장치, 및 led 램프의 전류 제어 방법
KR20100121487A (ko) 형광등 및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결합형 밸러스트 및 발광 다이오드와 그 구동 방법
KR101844460B1 (ko) 호환형 엘이디 램프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 등기구
KR200391748Y1 (ko) 분리형 점등장치
JP5924437B1 (ja) 照明灯、照明装置、及び点灯制御回路
US7348735B2 (en) Lamp driver
US7015657B2 (en) Ballast for high intensity discharging lamp
US6879117B2 (en)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KR100687030B1 (ko) 소등지연 조명등
JPH0724518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6019042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9514158A (ja) ガス放電灯の点灯モジュール
JP2000243590A (ja) 放電灯点灯装置、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20046121A (ko) 방전램프용 안정기 보호장치
RU2197794C1 (ru) Пускорегулирующий аппарат для зажигания и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JP2007207478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6683942B2 (ja) 点灯制御装置、照明灯及び照明装置
JPH05258886A (ja) 放電灯点灯回路およびこの点灯回路を用いた照明器具
US7256548B2 (en) Electric circuit for igniting a discharge lamp, and electric component module and discharge lamp incorporating such an electric circuit
KR840002013B1 (ko)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JP2005050701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711812B1 (ko) Hid용 무접점 전자제어 고압제어 안정기
KR200303285Y1 (ko)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KR200310612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