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03Y1 - 카트 - Google Patents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03Y1
KR200391403Y1 KR20-2005-0007296U KR20050007296U KR200391403Y1 KR 200391403 Y1 KR200391403 Y1 KR 200391403Y1 KR 20050007296 U KR20050007296 U KR 20050007296U KR 200391403 Y1 KR200391403 Y1 KR 20039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support
article
pres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전자
Priority to KR20-2005-0007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Abstract

본 고안은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선반이 구획 설치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반에 놓이며 물품이 종류별로 수납되는 물품 분리함을 포함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한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일부 잘려 평탄한 안착부를 형성하며 바깥 어느 한쪽 면에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마주하며 수직으로 배열하여 쌍으로 구비한 다수의 걸림부; 및 다른 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연장하여 지지테두리를 구비하며 바깥 다른 쪽 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응하여 배열하고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안쪽에 끼워져 지지가 하는 지지돌기가 쌍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종류별로 다양한 물품을 분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한다.

Description

카트 {Cart}
본 고안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류별로 다양한 물품을 분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사용처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다수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즉, 카트는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예를 들어 병원이나 식당 등에서 약제나 음식물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
한편, 도 1에는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카트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트 본체(10)는 골격의 기능을 하는 다수의 지지기둥(20)이 사방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각 지지기둥(20)의 사이에는 일정한 높이를 두고 선반(30)이 구획 설치된다.
또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운반을 위한 손잡이(40)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선반(30)에 이송에 필요한 물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잡이(40)를 잡고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 예를 들어 병원 등에서 증상별로 다양하게 조제된 약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는 약이 뒤섞이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하므로 별도로 구획된 용기에 약을 분리한 후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병원뿐만 아니라 사용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물품이 섞이지 않고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카트의 선반구조로서는 이동하고자 하는 물품을 충분히 분리한 후 이동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트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류별로 다양한 물품을 분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카트의 물품 분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처에 따라 다수의 물품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의 물품 분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선반이 구획 설치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반에 놓이며 물품이 종류별로 수납되는 물품 분리함을 포함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한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일부 잘려 평탄한 안착부를 형성하며 한쪽 바깥면에는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마주하며 수직으로 배열하여 쌍으로 형성한 다수의 걸림부; 및 다른 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연장하여 지지테두리를 형성하며 다른 쪽 바깥쪽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응하며 배열하고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내측에 끼워져 지지가 하는 지지돌기가 쌍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은 어느 하나의 분리함의 다른 쪽에 구비한 지지돌기를 다른 분리함의 한쪽에 구비된 걸림부에 끼우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 중 어느 하나의 분리함과 다른 분리함을 결합했을 때 상기 지지테두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 되며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의 안쪽 양측 면에는 마주하며 다수의 지지홈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칸막이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카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의 a 내지 b에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카트의 본체(10)는 다수의 지지기둥(13) 사이에 선반(12)이 구획 설치하고 상방 한쪽에는 손잡이(11)가 구비한 것이다.
삭제
또 본체(10)의 하측에는 이동용 바퀴(50)가 구비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카트의 구성요소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특징부는 선반(12)의 상측에 놓이는 물품 분리함(60)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요소를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분리함(60)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한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일부 절골되어 평탄한 안착부(61)를 형성하며 바깥 한쪽 면에는 걸림홈(62a)과 걸림돌기(62b)가 마주하며 수직으로 배열하여 쌍으로 형성한 다수의 걸림부(62)가 마련된다.
또 물품 분리함(60)의 다른 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연장하여 지지테두리(63)를 형성하고, 다른 바깥쪽 면에는 상기 걸림부(62)와 상응하여 배열하며 상기 걸림홈(62a)과 걸림돌기(62b)의 안쪽에 끼워져 지지하는 지지돌기(64)가 쌍으로 배열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60)은 어느 하나의 분리함의 다른 쪽에 구비된 지지돌기(64)를 다른 분리함의 한쪽에 구비된 걸림부(62)에 끼우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참조)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60) 중 어느 하나의 분리함과 다른 분리함을 결합했을 때 상기 지지테두리(63)는 상기 안착부(61)에 안착 되며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 참조)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물품 분리함(60)의 안쪽 양측 면에는 마주하며 다수의 지지홈(65)이 배열하고, 상기 지지홈(65)에는 칸막이(66)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3과 같이, 물품 분리함(60)의 한쪽에 구비된 걸림부(62)에 다른 물품 분리함(60)의 다른 쪽에 구비된 지지돌기(64)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사용한다.
즉 다수의 물품 분리함(60)은 용도와 사용처의 특성에 따라 도 4의 a와 같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단독적으로 사용한다.
또 물품 분리함(60)을 도 4의 a와 같이 결합할 경우 상기한 지지테두리(63)는 안착부(61)에 안착하고, 윗면에 어떠한 단도 형성하지 않은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물품 분리함(60)의 내측에 배열된 지지홈(65)에는 다수의 칸막이(66)를 선택적으로 끼우며 물품 분리함(60)의 내부를 다수의 칸으로 구획하고 칸막이(66)에 의해 구획된 각 칸 사이에 종류별로 물품을 분리한 후 이동할 때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류별로 다양한 물품을 분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사용처에 따라 다수의 물품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물품 분리함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물품 분리함이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4의 b는 물품 분리함이 결합한 상태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트의 본체 20; 지지기둥
30; 선반 40; 손잡이
50; 바퀴 60; 물품 분리함
61; 안착부 62; 걸림부
62a; 걸림홈 62b; 걸림돌기
63; 지지테두리 64; 지지돌기
65; 지지홈 66; 칸막이

Claims (4)

  1. 다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선반을 구획 설치하고 상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며,하측에는 바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반에 놓이고 물품이 종류별로 수납하는 물품 분리함을 포함하는 카트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한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일부 잘려 평탄한 안착부를 형성하며, 한쪽 바깥 면에는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마주하며 수직으로 형성하여 쌍으로 구비한 다수의 걸림부; 및
    다른 쪽 상방 모서리 부분은 연장하여 지지테두리를 형성하고, 다른 쪽 바깥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응하여 배열하며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안쪽에 끼워져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쌍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은 어느 하나의 분리함의 다른 쪽에 구비한 지지돌기를 다른 분리함의 한쪽에 구비한 걸림부에 끼우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 중 어느 하나의 분리함과 다른 분리함을 결합했을 때 상기 지지테두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고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분리함의 안쪽 양측 면에는 마주하는 다수의 지지홈이 배열하고, 상기 지지홈에는 칸막이가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
KR20-2005-0007296U 2004-11-22 2005-03-17 카트 KR20039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96U KR200391403Y1 (ko) 2004-11-22 2005-03-17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59 2004-11-22
KR20-2005-0007296U KR200391403Y1 (ko) 2004-11-22 2005-03-17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03Y1 true KR200391403Y1 (ko) 2005-08-05

Family

ID=4369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96U KR200391403Y1 (ko) 2004-11-22 2005-03-17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889B1 (ko) * 2015-05-11 2017-06-15 민명복 화물 이송 대차
US20220126899A1 (en) * 2020-10-22 2022-04-28 Js Products, Inc. Utility cart and cart accessor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889B1 (ko) * 2015-05-11 2017-06-15 민명복 화물 이송 대차
US20220126899A1 (en) * 2020-10-22 2022-04-28 Js Products, Inc. Utility cart and cart accessories
US11926358B2 (en) * 2020-10-22 2024-03-12 Js Products, Inc. Utility cart and cart accesso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68558U (zh) 多层工具手推车
US4972781A (en) Foldable tray table
CN102350960B (zh) 儿童安全座椅
CA2681682C (en) Stackable low depth tray
US8646678B2 (en) Basket
CN106716031A (zh) 应用于冰箱门或诸如此类的伸缩式型架
US20060180491A1 (en) Nesting and stacking storage crate
US8607984B2 (en) Cup and bowl carrier
US20200037759A1 (en) Hideaway storage rack
US2652702A (en) Combination picnic tray and platter
AU2006242119A1 (en) Bottle carrier
US20160288909A1 (en) Galley cart with multi-capacity support
US11206965B1 (en) Adjustable rack
CN109987031A (zh) 用于车辆货物区域中的可展开的货物整理架
KR200391403Y1 (ko) 카트
US20130153578A1 (en) Fry Caddie
JP2019516633A (ja) 折畳み箱
US11807418B2 (en) Food display, transport, storage, and serving system
EP1222877B1 (en) Serving wagon
KR101024545B1 (ko) 서랍의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식 카트
JP2013031547A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JPH0624444A (ja) パレット容器
JP2001000289A (ja) 商品陳列トレー及び商品陳列具
JPH092476A (ja) バ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