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28Y1 - 일체형 단열컵 - Google Patents

일체형 단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128Y1
KR200391128Y1 KR20-2005-0011840U KR20050011840U KR200391128Y1 KR 200391128 Y1 KR200391128 Y1 KR 200391128Y1 KR 20050011840 U KR20050011840 U KR 20050011840U KR 200391128 Y1 KR200391128 Y1 KR 200391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up
contents
predetermined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순
Original Assignee
임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순 filed Critical 임선순
Priority to KR20-2005-0011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의 내벽과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외벽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하며, 그 사이에 파손 방지를 위해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내용물의 열이 외벽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작 공정이 간결하고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며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서 내용물의 온도에 제약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단열컵에 관한 것으로서,
컵의 쓰러짐을 막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진 바닥면(10)과, 이 바닥면(10)과 일체되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수용부가 형성된 내벽(20), 이 내벽(20)의 상단부(21)에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외곽으로 둘러싸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하향 연장되는 외벽(30)과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내벽(20)과 외벽(30) 사이의 격리된 공간에는 파손 방지를 위해 다수의 지지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단열컵 {single body heat interception cup}
본 고안은 일체형 단열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에 담긴 내용물이 뜨겁거나 차가울 때, 컵을 파지(把持)한 손을 통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됨으로 인해 피해를 입히거나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내벽과 외벽을 가지는 이중 구조를 가지면서 단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열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내용물의 열이나 냉기가 파지한 손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작된 컵들이 있었는데, 이러한 컵들은 별도로 성형된 내컵체와 외컵체를 서로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유지되게 조립시켜서 되는 것이므로 그 구조 및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등은 물론 그 구조상 내컵체와 외컵체가 상단부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력이 약해 내용물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조립되어진 내컵체와 외컵체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띄워진 공간에는 내컵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가 없어서 컵을 기울였을때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내컵체가 이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게 중심이 하단에 위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컵이 빈번히 쓰러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며 내구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단열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피나 차 등의 뜨거운 음료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콜라나 얼음물 등의 차가운 음료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컵을 파지한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일체형 단열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서 담긴 내용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원형을 그대로 유지함은 물론 내용물의 열이나 냉기가 이를 파지한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일체형 단열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일체형 단열컵은 컵의 쓰러짐을 막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닥면과, 이 바닥면과 일체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내벽과, 이 내벽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면서 그 상단부에서부터 외곽으로 둘러싸여 하향 연장되는 외벽이 내벽과 단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따라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제조비용의 절감과, 특히 내벽과 외벽의 소정의 간격에는 양쪽벽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된 것으로서 내용물에 의해 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열이 컵을 파지한 손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단열컵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단열컵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일체형 단열컵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동 일체형 단열컵의 지지대의 위치를 보인 수평 단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단열컵은 합성수지로 제조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열이나 냉기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컵의 안정감을 확보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닥면(10)과, 이 바닥면(10)과 일체되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수용부가 형성된 내벽(20), 및 이 내벽(20)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상단부(21)로부터 외곽으로 둘러싸여 하향 연장되면서 내벽(20)과 외벽(30)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는 공간(a)에 내벽(20) 및 외벽(30)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40)로 구성된다.
바닥면(10)은 내용물이 담기지 않은 상태에서 빨대 등을 꽂았을 때 무게를 이기지 못하거나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무게 중심이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컵이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내벽(20)은 바닥면(10)으로부터 상단부(21)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함이 제작하는데 있어 바람직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벽(2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내벽(20)과 외벽(30)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는 다수의 지지대(40)를 형성함으로서 내용물의 무게로 인해 상단부(2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대(4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컵이 금형을 이용하여 단일체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탈형이 용이해야 함은 물론 내벽(20)과 외벽(30)을 일체로 이어주는 상단부(21)는 가급적 그 두께가 얇으면서도 모서리를 둥글게 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컵의 내벽(20)과 외벽(30)은 상단부(21)로 갈수록 그 간격이 짧아지도록 적절히 형성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대(40)들은 그 두께가 얇도록 하여 다수개를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수량을 변경하는 것이 컵을 사용하는데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외벽(30)의 하향 연장되는 길이는 바닥면(10)의 하단까지 그 길이가 연장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띄워지게 제작함으로서 컵을 탁자등에 놓았을 때, 상기 내ㆍ외벽 사이의 공간(a)으로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게 함으로서 미미하지만 내용물의 열이 내벽(20)과 외벽(30) 사이의 공간내의 공기를 통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단열컵은, 사용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이 담겨 있어도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외벽(30)은 내용물이 담겨 있는 내벽(20)과 소정의 간격으로 외곽으로 둘러싸여 격리되어 있어 내용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에 따라 컵의 파손을 막기 위하여 내벽(20)과 외벽(30) 사이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대(40)가 내벽(20)과 외벽(30)의 소정의 공간에 8개소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ㆍ외벽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지지대(40)의 크기, 수량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단열컵은, 커피나 차 등의 뜨거운 내용물이나 콜라 또는 얼음물 등과 같은 차가운 내용물을 담아도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외벽(30)이, 내용물이 담겨 있는 내벽(20)의 외곽으로 둘러싸여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어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공간(a)은 외부와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용물의 무게에 따른 컵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40)를 설치함으로서 컵의 파손을 막고, 컵에 사용되는 물품이나 외부의 충격에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 중심을 바닥면(10)인 하부로 이동시키며, 제조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온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구조 예를 보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구조 예를 보인 수평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면 20 : 내벽
21 : 상단부 30 : 외벽
40 : 지지대 a : 공간

Claims (4)

  1.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에 일체되며, 내용물을 담기 위한 높이를 가지는 수용부가 형성된 내벽(20)과;
    상기 내벽(20)과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그 상단부(21)으로부터 외곽으로 둘러싸여 하향 연장되는 외벽(30)이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열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0)은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열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20)과 상기 외벽(30) 사이에는 파손 방지를 위한 지지대(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열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30)의 하향 연장된 길이는 상기 바닥면(10)이 형성된 위치 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열컵.
KR20-2005-0011840U 2005-04-28 2005-04-28 일체형 단열컵 KR200391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40U KR200391128Y1 (ko) 2005-04-28 2005-04-28 일체형 단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40U KR200391128Y1 (ko) 2005-04-28 2005-04-28 일체형 단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128Y1 true KR200391128Y1 (ko) 2005-08-01

Family

ID=4369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40U KR200391128Y1 (ko) 2005-04-28 2005-04-28 일체형 단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1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7751B2 (en) 2005-09-01 2011-11-15 Aqua Doctor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igh pressure steam
KR20180000459U (ko) * 2016-08-08 2018-02-20 이건희 슬리브 일체형 일회용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7751B2 (en) 2005-09-01 2011-11-15 Aqua Doctor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igh pressure steam
KR20180000459U (ko) * 2016-08-08 2018-02-20 이건희 슬리브 일체형 일회용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603B2 (en) Ice retaining shot glass system
US5092485A (en) Thermos paper cup
US7556230B2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s
US6786062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RU2006103357A (ru) Изолированные перевозочные контейнеры
US9962025B2 (en) Stackable glass
US20150182053A1 (en) Beverage coaster
KR200391128Y1 (ko) 일체형 단열컵
US9420906B2 (en) Stackable glass set
US9051082B1 (en) Beach glass and cooperating caddy for storing or transporting
JP4406683B1 (ja) ワインクーラー
ES2369305B2 (es) Contenedor para mantener la temperatura de bebidas fr�?as en recipientes.
WO2002085714A3 (de) Flasche, insbesondere getränkeflasche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EP2796817B1 (en) Refrigerator having a bottle rack
JP2009017952A (ja) テーブル
US4323172A (en) Liquid container with cup holder
KR101935856B1 (ko) 결로방지용 물기 홀더
KR20090045485A (ko) 냉각수단을 갖는 테이블용 주류 배출기
CN217672407U (zh) 车辆地图袋、车门和车辆
KR200400901Y1 (ko) 얼음통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CN212987721U (zh) 充气冰吧
KR200402769Y1 (ko) 젖병전용 보온용기
US20110089172A1 (en) Double-lay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