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56Y1 -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56Y1
KR200390456Y1 KR20-2005-0011041U KR20050011041U KR200390456Y1 KR 200390456 Y1 KR200390456 Y1 KR 200390456Y1 KR 20050011041 U KR20050011041 U KR 20050011041U KR 200390456 Y1 KR200390456 Y1 KR 200390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late
guide
plate member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규
Original Assignee
이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규 filed Critical 이세규
Priority to KR20-2005-0011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멍(11)이 뚫려져 있으며,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관통구멍(21)이 뚫려지고,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와, 파형의 주름이 반복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신축작용을 하는 벨로우즈부재(30)와,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작용 시 이를 안내하는 신축가이드바부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신축가이드바부재(40)는 그 일단에 몸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51)를 가지며, 단부의 외주면에 일정부분 나사산(52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관통되어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볼트부(52)로 이루어진 가이드볼트(5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6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해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될 경우 걸려 그 압축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압축량제한수단(70)으로 구성되어 신축관(1)을 펌프와 배관 파이프에 연결하여 설치하면 이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량제한수단(70)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압축되고, 배관 파이프의 시공을 완료한 후 압축량제한수단(70)을 해제하면 간단히 신축관(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즉, 설치 전 신축관(1)의 벨로우즈부재(30)를 일정부분 압축하는 준비공정 없이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간단히 바로 설치할 수 있고, 이 상기 압축량제한수단(70)은 시공 완료 후 간단히 해제가 가능하여 설치 시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벨로우즈부재(30)가 압축량제한수단(70)에 의해 신축작용에 필요한 최적의 길이로 압축됨은 물론, 신축가이드바부재(40)에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와의 사이의 소음과 추력을 흡수하는 지지스프링(83)이 설치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축관(1)을 설치하는 작업공정 수가 적어지고, 그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 수명이 늘어나 경제적 효율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Guide Structure of Bellows Expansion Joint for Pump}
본 고안은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펌프의 토출구 측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설치시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설치후 펌프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냉, 온수용송수배관, 폐수배출배관 등의 각종 파이프가 배관되며, 이 배관된 파이프는 기계실의 펌프와 연결되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파이프 내부로 유체가 각 층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의 각종 배관 파이프와 펌프의 토출구 사이의 연결부분은 펌프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그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 다층 건물의 경우 각 층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그 유체를 배출하도록 수직으로 입상관이 세워져 그 하단부가 펌프의 토출구 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이 입상관은 설치 후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와 기온 변화에 따른 열변형으로 신축되고, 건물의 높이가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낮아지면서 길이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관 파이프와 펌프 사이의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펌프의 진동이나 입상관의 길이 변형에 따른 신축변형에 따른 그 연결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와 펌프 토출구 사이에는 신축변형하여 이를 방지하는 신축관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신축관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멍(11)이 뚫려져 있으며, 펌프의 토출구 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1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관통구멍(21)이 뚫려지고, 건물의 각 배관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와;
파형의 주름이 반복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신축작용을 하는 벨로우즈부재(30)와;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작용 시 이를 안내하는 신축가이드바부재(40)로 구성된다.
이 신축가이드바부재(40)는 그 일단에 머리부(51)를 가지고 타 단에 일정부분 나사산(52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관통되어 결합하여 그 나사산(52a)이 형성된 단부가 돌출되는 가이드볼트(5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60)와;
상기 너트부재(60)와 제 1 연결플레이트(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20) 사이에 장착되는 러버패드(81)와;
상기 러버패드(81)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러버패드(81)와 너트부재(60) 사이에 장착되는 패드캡(8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머리부(51)에도 고무패드(81)와 패드캡(82)을 장착하여 벨로우즈부재(30)가 신축작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통상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10, 20)는 펌프의 토출구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에 각각 플렌지 결합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펌프의 토출구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에 각각 플렌지 결합으로 체결하여 연결하면 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 사이에 장착된 벨로우즈부재(30)가 펌프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과 배관 파이프의 길이변형에 따라 신축되면서 진동과 길이변형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벨로우즈부재(30)가 신축되면서 펌프의 진동과 배관 파이프의 변형을 흡수할 경우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변형이 가이드볼트(50)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루어져 벨로우즈의 변형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신축관(1)은 펌프의 토출구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 사이에 장착될 경우 그 신축 작용을 위해 설계에 따라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가압하여 벨로우즈부재(30)를 일정부분 압축한 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현장에서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될 길이에 맞는 고정바(미도시)를 절단하고, 고정바의 양 단을 각각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설치 중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벨로우즈부재(30)가 눌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바는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의 압축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다 수개 장착 고정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바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고정된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펌프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에 각각 플렌지 결합하여 연결시킨 후 각 건물의 배관 파이프를 고정한 후 상기 고정바를 분리하여 제거하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신축관은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조된 고정바를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에 다 수개 장착하여 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는 길이로 압축시키고, 이 압축된 길이를 유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바는 제 1, 2 연결플레이트에 용접하여 고정되므로 용접장치및 벨로우즈부재를 용접 시 요구되는 길이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압축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신축관이 펌프의 토출구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 사이에 장착되어 설치가 완료된 후 고정바를 분리할 경우 이 고정바는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리 시 그 작업이 어려운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신축파이프를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장착하는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고 시공기간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축조인트의 신축가이드바부재에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의 압축 길이를 제한하는 압축량제한수단이 구비되어 신축조인트를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축관을 미리 압축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이 간단히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설치하여 작업 편의성과 작업효율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시 압축량제한수단으로 인해 벨로우즈부재가 신축작용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고, 신축가이드바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스프링이 장착되어 사용 시 소음을 감소하고, 추력을 흡수함은 물론 제품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멍(11)이 뚫려져 있으며,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관통구멍(21)이 뚫려지고,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와;
파형의 주름이 반복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신축작용을 하는 벨로우즈부재(30)와;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작용 시 이를 안내하는 신축가이드바부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신축가이드바부재(40)는 그 일단에 몸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51)를 가지며, 단부의 외주면에 일정부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관통되어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볼트부(52)로 이루어진 가이드볼트(5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6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해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될 경우 걸려 그 압축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압축량제한수단(70)으로 구성된다.
즉, 신축관(1)을 펌프와 배관 파이프에 연결하여 설치하면 이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량제한수단(70)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압축되고, 배관 파이프의 시공을 완료한 후 압축량제한수단(70)을 해제하면 간단히 신축관(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반단면도로서, 가이드볼트의 볼트부에 핀결합구멍이 뚫려지고, 이 핀결합구멍에 걸림핀이 각각 결합되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의 압축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이 펌프와 배관 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압축량제한 수단으로 제 1, 2 걸림너트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신축관(1)은 파이프에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벨로우즈부재(30)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삼각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과 이 면들이 만나는 지점은 소정의 원호로 라운딩되어 제조되고, 몸체 중앙에 유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 1 관통구멍(11)이 뚫려진다.
또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는 제 1 관통구멍(11) 주변으로 볼트체결구멍이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 수개 뚫린 플렌지부로 형성되어 펌프의 토출구 측 파이프에 플렌지 결합되어 연결된다.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에는 후술될 신축가이드바부재(4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 1 가이드구멍(12)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뚫려져 이 제 1 가이드구멍(12)에 각각 신축가이드바부재(40)가 결합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삼각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면과 이 면들이 만나는 지점은 소정의 원호로 라운딩되어 제조되고, 몸체 중앙에 유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 2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통상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는 제 2 관통구멍(21) 주변으로 볼트체결구멍이 일정각격을 가지고 다 수개 뚫린 플렌지부로 형성되어 건물의 배관 파이프에 플렌지 결합하여 연결된다.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구멍(12)에 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로 후술될 신축가이드바부재(40)가 관통되어 결합할 수 있는 제 2 가이드구멍(22)이 뚫리고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는 벨로우즈부재(30)에 의해 연결된다.
이 벨로우즈부재(30)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이동로(31)가 형성된 금속재 벨로우즈관으로 외주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어 연속된 파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벨로우즈부재(30)는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의 제 1 관통구멍(11) 내측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의 제 2 관통구멍(21) 내측에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연결한다.
또, 상기 제 1, 2 가이드구멍(12, 22)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형상의 신축가이드바부재(40)가 결합되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펌프의 진동이 가해질 경우 벨로우즈부재(30)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신축변형되도록 안내하여 그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는 각각 펌프 토출구 측 파이프와 건물의 배관 파이프에 플렌지 결합하여 설치되고, 설치된 후 펌프의 진동이나 열변형이나 건물의 하중에 의해 배관 파이프의 길이변형을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변형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벨로우즈부재(30)가 상기 신축가이드바부재(40)에 의해 안내되어 신축변형됨으로, 벨로우즈부재(30)에 굽힘하중으로 인한 급격한 수평방향의 신축변형이 발생하여 벨로우즈부재(30)가 변형되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축 변형 시 신축변형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신축가이드바부재(40)를 그 일단에 몸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51)를 가지며, 단부의 외주면에 일정부분 나사산(52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관통되어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볼트부(52)로 이루어진 가이드볼트(5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6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해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될 경우 걸려 그 압축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압축량제한수단(7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인 신축관(1)은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될 경우에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변형을 위해 벨로우즈부재(30)가 일정부분 압축되어 설치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를 펌프 토출구 측 파이프에 플렌지 결합하여 연결하고,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를 수직으로 배관된 배관 파이프의 하부에 플렌지 결합하여 연결하면 이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량제한수단(70)에 걸릴 때 까지 가압되어 벨로우즈부재(30)가 압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설계에 맞게 압축된 상태에서 배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배관 파이프 시공을 완료한 후 압축량제한수단(70)을 해제하면 신축관(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축관(1) 설치작업 전에 미리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압축할 필요가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그 신축관(1) 설치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량제한수단(70)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되는 간격을 두고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을 뚫고 이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 각각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더 이상 가압되어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제 1, 2 걸림핀(73, 74)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펌프 토출구 측 파이프와 배관 파이프에 각각 플렌지 결합하여 설치하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고, 이 이동은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 결합된 제 1, 2 걸림핀(73, 74)에 걸려 멈추게 되어 벨로우즈부재(30)가 신축작용을 위해 적당한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배관 파이프의 고정작업을 포함한 배관 파이프의 시공을 완료하여 배관 파이프에서 신축관(1)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걸림핀(73, 74)을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서 분리하면 벨로우즈부재(30)가 펌프의 진동과 배관 파이프의 길이변형을 신축작용을 통해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량제한수단(7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볼트(50)부재의 볼트부(52)를 외주면 전체에 연속된 나사산(52a)을 형성하여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의 사이의 볼트부(52)에 제 1, 2 걸림너트(75, 76)를 체결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제 1, 2 걸림너트(75, 76)를 회전시켜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의 압축을 제한 할 위치에 위치시킨 후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펌프 토출구 측 파이프와 배관 파이프에 각각 플렌지 결합하여 설치하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배관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고, 이 이동은 상기 제 1, 2 걸림너트(75, 76)에 걸려 멈추게 되어 벨로우즈부재(30)가 신축작용을 위해 적당한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배관 파이프의 고정작업을 포함한 배관 파이프의 시공을 완료하여 배관 파이프에서 신축관(1)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걸림너트(75, 76)를 회전시켜 볼트부(52)의 중앙에 모아 놓으면 벨로우즈부재(30)가 펌프의 진동과 배관 파이프의 길이변형을 신축작용을 통해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단부에는 지지스프링(83)이 가이드볼트(50)가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60)와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 지지스프링은(83)은 금속재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 외 너트부재(60)와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고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이 지지스프링(83)은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작용 시 이 너트부재(60)가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 반복적으로 부딪쳐 소음이 발생하거나 내압에 의한 추력이 너트부재(6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80)에 포함된다.
이 탄성지지부(80)는 가이드볼트(5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와 너트부재(60) 사이에 안착되는 고무패드(81)와;
상기 고무패드(81)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트부(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무패드(81)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패드캡(82)과;
상기 너트부재(60)와 패드캡(82) 사이에 위치하도록 볼트부(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너트부재(60)에 지지되고, 단부는 패드캡(82)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스프링(8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60)와 지지스프링(83)의 사이에는 지지스프링(8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지지와셔(84)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스프링(83)이 패드캡(82)과, 너트부재(60) 사이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머리부(51)에도 고무패드(81)와 패드캡(82)을 장착하여 벨로우즈부재(30)가 신축작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무패드(81)와 지지스프링(83)이 너트부재(60)와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 작용 시 내압에 의해 발생하여 너트부재(60)로 전달되는 추력을 일정부분 흡수하여 본 고안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프링(83)이 가이드볼트(50)의 결합방향에 따라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벨로우즈부재(10)가 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면서 발생되는 소음과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의 성능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신축관을 신축가이드바부재에 벨로우즈부재를 일정부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는 압축량제한수단이 구비되어 설치 전 신축관의 벨로우즈부재를 일정부분 압축하는 준비공정 없이 펌프와 배관 파이프 사이에 간단히 바로 설치할 수 있고, 이 상기 압축량제한수단은 시공 완료 후 간단히 해제가 가능하여 설치 시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벨로우즈부재가 압축량제한수단에 의해 신축작용에 필요한 최적의 길이로 압축됨은 물론, 신축가이드바부재에 연결플레이트부재와의 사이의 소음과 추력을 흡수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축관을 설치하는 작업공정 수가 적어지고, 그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 수명이 늘어나 경제적 효율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벨로우즈 신축관의 구성을 도시한 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신축관 10 :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
20 :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 30 : 벨로우즈부재
40 : 신축가이드바부재 50 : 가이드볼트
51 : 머리부 52 : 볼트부
60 : 너트부재 70 : 압축량제한수단
71 : 제 1 핀결합구멍 72 : 제 2 핀결합구멍
73 : 제 1 걸림핀 74 : 제 2 걸림핀
75 : 제 1 걸림너트 76 : 제 2 걸림너트
80 : 탄성지지부 81 : 고무패드
82 : 패드캡 83 : 지지스프링
84 : 스프링지지와셔

Claims (4)

  1.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멍(11)이 뚫려져 있으며,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몸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관통구멍(21)이 뚫려지고, 파이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와;
    파형의 주름이 반복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에 고정되어 신축작용을 하는 벨로우즈부재(30)와;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벨로우즈부재(30)의 신축작용 시 이를 안내하는 신축가이드바부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신축가이드바부재(40)는 그 일단에 몸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51)를 가지며, 단부의 외주면에 일정부분 나사산(52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에 관통되어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볼트부(52)로 이루어진 가이드볼트(5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60)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해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될 경우 걸려 그 압축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압축량제한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량제한수단(70)은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볼트부(52)에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압축되는 간격을 두고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을 뚫고 이 제 1, 2 핀결합구멍(71, 72)에 각각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가 더 이상 가압되어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제 1, 2 걸림핀(73, 74)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량제한수단(70)은 가이드볼트(50)부재의 볼트부(52)를 외주면 전체에 연속된 나사산(52a)을 형성하여 제 1, 2 연결플레이트부재(10, 20)의 사이의 볼트부(52)에 제 1, 2 걸림너트(75, 76)를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트(50)의 단부에는 지지스프링(83)이 가이드볼트(50)가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60)와 제 1 연결플레이트부재(10) 또는 제 2 연결플레이트부재(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KR20-2005-0011041U 2005-04-20 2005-04-20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KR200390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41U KR200390456Y1 (ko) 2005-04-20 2005-04-20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041U KR200390456Y1 (ko) 2005-04-20 2005-04-20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56Y1 true KR200390456Y1 (ko) 2005-07-22

Family

ID=4369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041U KR200390456Y1 (ko) 2005-04-20 2005-04-20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5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3B1 (ko) * 2005-12-26 2008-10-3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방진용 신축 이음구
KR101335923B1 (ko) 2011-12-19 2013-12-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확장제한부재를 갖는 벨로우즈형 고압 유연 배관부
WO2014011870A1 (en) * 2012-07-11 2014-01-16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to isolate vibration
KR101817474B1 (ko) * 2017-06-27 2018-01-10 정현봉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US10030660B1 (en) 2017-05-31 2018-07-24 Trane International Inc. Pulsation and vibration control device
KR20200022230A (ko) * 2018-08-22 2020-03-03 국방과학연구소 공명 주파수 가변형 헬름홀츠 공명기 및 이의 공명 주파수 가변방법
US10731648B2 (en) 2014-11-07 2020-08-04 Trane International Inc. Sound control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3B1 (ko) * 2005-12-26 2008-10-3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방진용 신축 이음구
KR101335923B1 (ko) 2011-12-19 2013-12-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확장제한부재를 갖는 벨로우즈형 고압 유연 배관부
WO2014011870A1 (en) * 2012-07-11 2014-01-16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to isolate vibration
US10228148B2 (en) 2012-07-11 2019-03-12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to isolate vibration
US10731648B2 (en) 2014-11-07 2020-08-04 Trane International Inc. Sound control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US11293441B2 (en) 2014-11-07 2022-04-05 Trane International Inc. Sound control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US11661941B2 (en) 2014-11-07 2023-05-30 Trane International Inc. Sound control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US10030660B1 (en) 2017-05-31 2018-07-24 Trane International Inc. Pulsation and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1817474B1 (ko) * 2017-06-27 2018-01-10 정현봉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KR20200022230A (ko) * 2018-08-22 2020-03-03 국방과학연구소 공명 주파수 가변형 헬름홀츠 공명기 및 이의 공명 주파수 가변방법
KR102087381B1 (ko) * 2018-08-22 2020-03-10 국방과학연구소 공명 주파수 가변형 헬름홀츠 공명기 및 이의 공명 주파수 가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456Y1 (ko)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가이드 구조
JP4288370B2 (ja) ダンパー装置
KR100779163B1 (ko)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CN109629702B (zh) 一种用于排架牛腿柱顶的易更换金属阻尼器及梁柱连接节点
CN110939233B (zh) 一种木结构柱脚耗能减震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32463B1 (ko)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
CN110005096B (zh) 一种内置形状记忆合金自复位混凝土剪力墙
CN107165275B (zh) 一种组合式抗震螺栓连接节点
CN113175116A (zh) 带摩擦耗能支撑的桁架型可更换消能连梁
CN111218998A (zh) 一种金属与复合材料层叠阻尼器
CN213452121U (zh) 一种抗震支架保护装置
CN105672117B (zh) 钢阻尼抗震装置
CN110820960B (zh) 一种房建伸缩缝结构
CN110548639B (zh) 一种玻璃钢锚杆智能流水式生产装置
CN210217197U (zh) 一种多功能工具式防护栏固定件
CN209725575U (zh) 一种带有保险栓的补偿结构
CN110685484A (zh) 黏弹性自复位支撑
KR200390457Y1 (ko) 펌프 진동 흡수용 벨로우즈 신축관의 벨로우즈 고정구조
KR101342725B1 (ko) 배관 진동 저감 장치
KR101050104B1 (ko) 절곡 결합 구조의 파이프앵커
JP2009115276A (ja) 履歴型ダンパおよび制震構造
CN207187996U (zh) 一种热胀冷缩补偿装置
CN107631312B (zh) 膜式壁清灰装置中振打梁的安装结构
CN210104545U (zh) 一种耗能防落梁装置的连接结构
CN113356383A (zh) 一种配置形状记忆线与板组的套筒式自复位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