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607Y1 -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 Google Patents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607Y1
KR200389607Y1 KR20-2005-0010882U KR20050010882U KR200389607Y1 KR 200389607 Y1 KR200389607 Y1 KR 200389607Y1 KR 20050010882 U KR20050010882 U KR 20050010882U KR 200389607 Y1 KR200389607 Y1 KR 200389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letal
block
concrete
frame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8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갑
강경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중
강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중, 강경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중
Priority to KR20-2005-0010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6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60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복합형 경사어초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해조류의 착생이 용이한 다공성 콘크리트와 복잡한 형상의 어초 제작이 가능한 강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어류의 위집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composite slanted reef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further improve the counterfeiting effect of fish by using a combination of porous concrete,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easy to grow algae, and a steel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a complicated shape of the reef.

상기한 목적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해조류의 생장촉진을 목적으로 한 제1 콘크리트 블록과 어패류의 유영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한 제2 콘크리트 블록이 마련되고; 해저면에 안착되는 바닥 골격강제빔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이 형성되고, 해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보다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된 상부 골격강제빔에 의해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가 경사 골격강제빔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터널형을 이루는 어초틀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 사이에 배치된 바닥 내부강제빔 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 사이에 배치된 상부 블록고정대와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 상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2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된다. Composite slop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urpos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crete block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growth of algae and a second concrete block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wimming space of fish and shellfish with porous concrete; The square bottom frame is formed by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 seated on the sea bottom, and the top frame is square by the top skeletal forcing beam provided to be narrower than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ea bottom. Formed,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ttom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to form a tunnel which is formed entirely as a tunnel; A plurality of the first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so as to be seated on the bottom inner forced beam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keletal forced beams, and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and the inclined skeletal arranged between the upper skeletal forced beams.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on the forced beam.

Description

복합형 경사어초{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본 고안은 복합형 경사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어초의 재료 중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해조류의 착생이 용이한 다공성 콘크리트와 복잡한 형상의 어초 제작이 가능한 강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어류의 위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inclined reef, and 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e material of artificial reefs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easy to grow algae, porous concrete and complex shaped reefs can be used in combination to produce fish It relates to an artificial reef prepared to improve.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 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로서,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면 많은 어획고를 올릴 수 있다는 경험칙에서 착안되었으며, 최근에는 어류의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Artificial reefs are artificial structures that are installed on the coast or near the sea in order to secure marine resources for coastal fisheries and to provide spawning and habitat for marine life and to provide shelter for fry. It has been conceived from the rule of thumb that dropping in the sea can raise a lot of catches, and in recent years,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those designed as hexahedral, cylindrical, and uneven structures in order to create a more efficient habitat for fish.

또한,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도 콘크리트, 폐타이어, 강재 등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각 재료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장단점이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내구성은 우수하나 콘크리트 자체의 독성이 있고 다양한 구조로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폐타이어의 경우에는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비중이 1.1 전후로 해저에 시설할 경우 약한 외력에도 이동, 전도의 우려가 높아 어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미흡하며, 강재의 경우에는 복잡한 형상의 어초를 만들 수 있으나 부식 등으로 인해 산화철에 부착 서식하고 있는 부착생물의 탈락으로 그 효과가 경감되며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 variety of materials used to make artificial reefs, such as concrete, waste tires, steel, etc., each material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use. In the case of concrete, the durability is excellen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rete itself is toxic and it cannot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In the case of waste tires, it has the advantage of recycling waste resources, but when it is installed on the sea floor with a specific gravity of 1.1, it moves to weak external force In case of steel materials, it is possible to make a complex shape of the reef, but the effect is reduced by the removal of adherent organisms attached to iron oxide due to corrosion, etc. This shortcoming has the disadvantage.

콘크리트의 경우 상기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어초의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고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어초 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표면의 공극률을 증가시켜 해조류 등이 보다 쉽게 착생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공성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새로운 어초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In the case of concrete, in spite of the above disadvantages, the production of fish reefs is relatively easy and in particular, due to the advantages of excellent durability is currently the most used as a fish material. In addition, recently, porous concrete has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porosity of the surface so that algae and the like can be more easily engulfed and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fish material.

본 고안자는 이러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어초만을 제작할 수 밖에 없어 와류 및 음영 형성, 음향 효과와 같이 복잡한 형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어류 위집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콘크리트 재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공성 콘크리트와 강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양 재료의 장점을 십분 활용함으로써 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더욱 우수한 어류 위집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인공어초를 개발하게 되었다. The inventors can make the best use of the advantages of porous concrete,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only produce a relatively simple type of reef, so that they cannot exert various fish counterfeiting effects such as vortex, shading, and sound effect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the artificial reefs have been developed that combines porous concrete and steel to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s of both materials, and through this synergy effect, it can show better fish catching ability.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는 상기한 개발 동기에 기해 제작된 것으로서, 다공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2가지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고 이들 콘크리트 블록을 강재로 만든 터널형의 어초틀 속에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의 재료로서 다공성 콘크리트와 강재가 가지는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공어초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manufactured based on the above motivations for development, and made of two types of concrete blocks using porous concrete and installed in a tunnel-type sheath made of steel, Its purpose is to develop artificial reefs that can utilize both the advantages of porous concrete and steel as a material of gras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된 사각 플레이트와 그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공이 형성된 단위 프레임이 마련되고, 3개 이상의 상기 단위 프레임은 일측이 세워진 상태로 상호 결합되고 타측은 각각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방사상을 이루도록 제1 콘크리트 블록이 구성되며;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사각 플레이트로 된 하부 프레임 상에 삼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의 상부 프레임이 안착되어 내부에 관통 터널이 형성되도록 제2 콘크리트 블록이 구성되며; 해저면에 안착되는 바닥 골격강제빔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이 형성되고, 해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보다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된 상부 골격강제빔에 의해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가 경사 골격강제빔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터널형을 이루는 어초틀이 마련되고; 이 어초틀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 사이에 배치된 바닥 내부강제빔 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 사이에 배치된 상부 블록고정대와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 상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2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e sloped reef re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made of porous concrete and a unit frame having one or more flow holes formed therein, and at least three of the unit frames are erected on one side thereof. The first concrete block is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in a state and the other side extends outwardly so as to be radially overall; A second concrete block is made of porous concrete,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is configured such that a hollow upper frame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seated on a lower frame made of a square plate to form a through tunnel therein; The square bottom frame is formed by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 seated on the sea bottom, and the top frame is square by the top skeletal forcing beam provided to be narrower than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ea bottom. Formed,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ttom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to form a tunnel which is formed entirely as a tunnel; Inside the abutment, a plurality of the first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so as to be seated on a bottom internal forcing beam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s, and the upper block fixing base and the inclined skeleton that are arranged between the top skeletal forcing beams.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on the forced bea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 사용된 재료인 다공성 콘크리트는 함유되는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필요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에 산업폐기물인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혼합한 후 입자 크기가 8~25mm인 골재를 넣어서 만든다. 표면의 공극률이 높아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해조류의 착생 및 번식에 매우 유리하므로 기호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높은 표면 공극률로 인해 생기는 좁고 불규칙한 구멍들은 갯지렁이, 따게비, 게, 불가사리와 같은 저서생물들의 산란장, 휴식장, 도피장으로 제공되어 어초 주변 해양 생태계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콘크리트에 포함된 고로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다량의 철 성분은 무기영양염으로서 해양생물의 생장에도 도움을 준다. Porous concrete, a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ightly different type and content depending on the needs, but basically, after mixing industrial blast furnace slag cement with general portland cement, the particle size is 8 ~. It is made by adding 25mm aggregate. Since the surface porosity is high, it is very advantageous for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algae compared to general concrete, and thus can serve as a sign habitat. In addition, the narrow and irregular holes caused by the high surface porosity are provided as spawning grounds, resting places, and shelters for benthic creatures such as worms, crabs, crabs, and starfish, which can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arine ecosystems around the reefs. In addition, the large amount of iron eluted from the blast furnace slag contained in the porous concrete, as inorganic nutrients, also helps the growth of marine life.

본 고안에 따르면 이 다공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2가지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고 이를 강재로 만든 어초틀 속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였다. 도1에 도시된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해조류의 생장촉진을 주목적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그 기본 단위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된 사각 플레이트와 그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공(12)이 형성된 단위 프레임(11)이 된다. 이 단위 프레임(11)의 사각 플레이트는 직사각형일 수도 있지만 도1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각각의 상하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와류 형성에 더 효과적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concrete blocks were fabricated using this porous concrete and installed in various forms in a steel frame made of steel. The first concrete block 10 shown in FIG. 1 is a concrete block mainly designed to promote the growth of seaweed, and its basic unit is a rectangular plate made of porous concrete and one or more distribution holes 12 therein. It becomes the formed unit frame 11. The rectangular plate of the unit frame 11 may be rectangular, but the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 1 is more effective in forming the vortex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of each upper and lower surfaces.

제1 콘크리트 블록(10)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단위 프레임(11)의 결합 형태에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3개 이상의 상기 단위 프레임(11)은 그 일측이 세워진 상태로 상호 결합되고 타측은 각각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방사상을 이룬다는 것이다. 도1에는 제1 콘크리트 블록(10)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4개의 단위 프레임(11)은 그 일측이 상호 90°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측도 상호 90°를 이루도록 바깥쪽으로 뻗어나가 평면에서 볼 때 "+"자 형태를 이루는 블록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The mos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in the coupling form of the unit frame 11. In more detail, at least three of the unit frames 11 are mutually coupled in an upright state, and the other side extends outward to form a radial shape as a whole. In Fig. 1, the most preferred form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 the four unit frame 11 is coupled so that one side is formed 90 degrees to each other, and each other side extends outward to form 90 degrees to each other in a plan view When the form of the block forming the "+" character is shown.

이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각각의 단위 프레임(11)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후술하는 강재로 된 어초틀 내부에 가장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 이상의 단위 프레임(11) 사이가 각각 다른 각도를(예를 들어 4개의 단위 프레임(11) 중 인접하는 2개 사이는 120°, 다른 인접하는 2개 사이는 60°) 이루도록 설치된 것도 당연히 포함한다 할 것이다. Since the first concrete block 10 has the same distance between each unit frame 11, the first concrete block 10 can be most stably arranged in the inside of a metal frame made of steel.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ngles between the three or more unit frames 1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120 ° between two adjacent units of the four unit frames 11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will of course include the one installed between the two.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다공성 콘크리트로 만들어 해조류의 착생에 유리하다는 기본적인 효과 이외에도 그 형태상의 구성으로 인해 해조류 생장에 더욱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사상 형태로 모든 공간이 열려 있으므로 태양광이 도달하기 쉬워 광합성을 통한 해조류의 부착이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는 해조류의 착생에 유리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재질상의 특징을 배가시킨다.The first concrete block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porous concrete and is more effective in growing algae due to its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effect of being beneficial to the growth of algae.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open to all the spaces in a radial form that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so that sunlight is easily reached, and thus the algae are more easily attached through photosynthesis. This doubl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orous concrete, which is beneficial for the growth of seaweeds.

이밖에,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상호 대칭적으로 세워져 있는 단위 프레임(11)에 의해 조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이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이에 의해 형성된 와류 및 용승류는 어류의 촉각적 유인 인자가 된다. 또한, 단위 프레임(11)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좁은 유통공(12) 사이로 조류의 빠져나가면서 만들어지는 음향 효과는 어류의 청각적 유인 인자가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ncrete block 10 has an effect of blocking the algae flow in any direction by the unit frame 11 which is symmetrically erected mutually, and the vortex and molten current formed thereby is tactile attraction of the fish It becomes an argument. In addition, the sound effect produced while the algae escapes between the narrow flow holes 12 formed on the plate of the unit frame 11 is an auditory attraction factor of the fish.

도2에는 어패류의 유영공간 제공을 주목적으로 하는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콘크리트 블록(20)의 형태 상의 특징은 소정의 길이를 가진 사각 플레이트로 된 하부 프레임(23) 상에 삼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의 상부 프레임(21)이 안착되어 내부에 관통 터널(22)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관통 터널(22)은 조류의 소통이 탁월하고 소형 어류 및 패조류의 유영공간, 다시 말해 훌륭한 도피처와 서식처 등을 제공한다. 이밖에, 이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상부 프레임(21)의 양쪽 경사면을 따라 용승류를 발생시키고, 경사면은 조류의 흐름이 강할 때에 그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세굴 형성을 억제시켜준다.FIG. 2 shows a second concrete block 20 whose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a swimming space for fish and shellfish. The shape characteristic of this concrete block 20 is that the hollow upper frame 21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seated on the lower frame 23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through tunnel 22 therein. Is that it is. The through tunnel 22 is excellent for the communication of birds and provides a swimming space for small fish and shellfish, that is, an excellent refuge and habitat. In addition,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generates a melt flow along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upper frame 21, and the inclined surfaces effectively reduce the resistance when the flow of algae is strong to suppress the scour form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1 실시예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되어 있다.A first embodiment of the composite warp re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orous concrete blo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S.

먼저, 강재로 된 어초틀(30)의 형태를 살펴보면, 해저면에 안착되는 바닥 골격강제빔(31)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이 형성되고, 해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보다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된 상부 골격강제빔(33)에 의해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가 경사 골격강제빔(35)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터널형의 어초틀(30)이 마련된다. 이 터널형 어초틀(30)은 양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조류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세굴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어구의 걸림을 감소시켜준다.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직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바닥 프레임을 기준으로 긴 쪽을 어초틀의 길이방향, 짧은 쪽을 어초틀의 폭방향이라 명명한다. First, looking at the shape of the steel frame 30, a square bottom frame is formed by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seated on the sea bottom,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A rectangular upper frame is formed by the upper skeletal force beam 33 provid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at of 31, and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ttom frame are connected by an inclined skeletal force beam 35 so as to be trapezoidal in shape. The tunnel type frame 30 having a cross section is provided. The tunnel-type housing 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algae to prevent scouring, as well as the top of the plane to reduce the catch of the fishing gear. In order to clarif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the long side is calle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and the short side is called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on the basis of the bottom frame forming a rectangle.

인공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 사이에는 다수개의 바닥 내부강제빔(32)이 어초틀(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사이에는 다수개의 경사 내부강제빔(36)이 어초틀(30)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In order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artificial reefs, a plurality of bottom internal forcing beams 3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utment frame 30 between the bottom skeletal forcing beams 31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s 35 ), A plurality of inclined internal forcing beams 36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30.

다음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 형태를 살펴본다. 먼저, 해조류의 생장촉진을 목적으로 한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어초틀(3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4개의 단위프레임(11)이 어초틀(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평행 또는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그 단위 프레임(11)의 바깥쪽 끝에 설치된 수직 블록강제빔(37)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과 바닥 내부강제빔(32), 상부 골격강제빔(33)과 상부 블록고정대(34)에 각각 설치 고정된다. 이 수직 블록강제빔(37)은 제1 콘크리트 블록(10)을 어초틀(30) 내부에 고정시킬뿐만 아니라, 어초틀(30)의 내부 지지력을 보강해준다. Next, we look at the coupling form of the concrete block. First, the first concrete block 10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growth of alga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0, four unit frame 11 is parallel or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0 Installed at right angles. Further, the vertical block forced beam 37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unit frame 11 has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the bottom internal forced beam 32, the upper skeleton forced beam 33, and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 34) are fixed to each installation. The vertical block forcing beam 37 not only fixes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n the housing 30, but also reinforces the internal supporting force of the housing 30.

지금까지의 콘크리트 어초는 내부 공간이 폐쇄되어 있어 어초 내부까지 태양광이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어초틀(30)의 골격이 강재로 되어 있어 그 사이 공간이 개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어초틀(3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콘크리트 블록(10)도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방사형으로 이루어져 태양광이 어초틀(30)의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어초틀의 내부에서도 해조류의 생장에 필요한 광합성 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Until now, the concrete reef was closed in the interior space, the sunlight did not reach the inside of the reef.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of the upper frame 30 is made of steel, and the space therebetween is opened, and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nstalled inside the upper frame 30 is also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is open radially to allow sunlight to reac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synthetic ac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algae can be made sufficiently even inside the aquatic plant.

한편, 어패류의 유영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각각 어초틀(30)의 상부 골격강제빔(33) 및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33) 사이에는 어초틀(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상부 블록고정대(34)가 설치되고, 이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사이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경사 골격강제빔(35) 사이에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사 내부강제빔(36)에 고정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wimming space for fish and shellfish is provided on the upper skeletal force beam 33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e beam 35 of the aquatic frame 30, respectively. To this end, an upper block fixing stand 34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keletal forcing beams 33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30, and a second concrete block 20 is disposed on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provided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d beam 35 is fixed to the inclined internal forced beam 36 dispos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d beam (35).

이와 같이,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상부 골격강제빔(33)과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것은 조류의 흐름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관통 터널(22)을 통하여 조류를 빠르게 소통시켜 어패류를 촉각적으로 유인하므로, 본 고안과 같이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서로 직각으로 설치하게 되면 조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상기한 유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사어초는 조류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는 해저 환경에 더욱 효과적이다. As such,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on the upper skeletal force beam 33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e beam 35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algae. In other words, since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tactilely attracts fish and shellfish by quickly communicating algae through the through tunnel 22, when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ich direction flows through, the above attracting effect can be exerted. Therefore, the inclined ree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in the seabed environment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algae from time to time.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20)은 3개가 연결되어 한쌍을 이루고, 상기 경사 내부강제빔(36) 상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20)은 2개가 연결되어 한쌍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블록(20)이 2개 이상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내부 공간의 길이를 연장시켜 상기한 조류의 소통 효과를 높여주고, 더 많은 어패류의 유영공간을 제공해준다. 물론, 상기한 효과는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필요한 길이만큼 일체로 제작하여도 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2 콘크리트 블록(20)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휨 강성이 약해지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일정한 단위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한 후 이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ree concrete blocks 20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fixing unit 34 are connected to form a pair, and two concrete blocks 20 installed on the inclined internal forced beam 36 are connected to form a pair.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or more concrete blocks 20 are installed in a connected form, which extends the length of the inner space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effect of the algae, and provides more swimming space for fish and shellfish. Of course, the above effec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the required length, but in this case,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creased, so that the bending rigidity is weaken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unit length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2 실시예가 도6 내지 도8에 도시되어 있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composite warp re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본 실시예에 따른 어초틀(30)은 해저면에 안착되는 바닥 골격강제빔(31)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이 형성되고, 해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보다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된 상부 골격강제빔(33)에 의해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가 경사 골격강제빔(35)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터널형의 어초틀(30)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33) 사이에는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고정되는 상부 블록고정대(34)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사이에는 경사 내부강제빔(36)이 설치되어 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도 동일하다. 다만,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어초틀(30)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The fram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bottom frame formed by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seated on the bottom of the sea,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A rectangular upper frame is formed by the upper skeletal forcing beam 33 provided so that the width thereof is narrow, and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and the bottom frame are connected by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so that the tunnel structure is overall.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30 is provided. In addition, an upper block fixing stand 34 to which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fixe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keletal forced beams 33, and an inclined internal forced beam 36 is disposed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d beams 35. The same is true in that it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efs.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is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cho frame 30.

본 실시예의 가장 큰 구조상의 특징은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33)과 경사 골격강제빔(35)이 직접 연결되지 아니하고, 그 사이에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고정되는 경사 블록고정대(39)가 어초틀(3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 경사 블록고정대(39)는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어초틀(30)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진다. 이는 어초틀(30)의 단면이 제1 실시예와 같이 사다리꼴인 경우보다 조류에 대한 저항을 더욱 감소시켜준다. 한편, 상기 경사 블록고정대(39)가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경사 골격강제빔(35)과의 사이에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수직 보조강제빔(38)이 설치된다.The biggest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upper skeletal forcing beam 33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are not directly connected, and the inclined block fixing table 39 in which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fixed therebetween.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utment 30. The inclined block fixing stand 39 is provided to have a gentle inclination angle than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whereby the cross section of the abutment 30 becomes close to a circle. This further reduces the resistance to algae tha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frame 30 is trapezoid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Meanwhile, as the inclined block fixing stand 39 is separately installed, a vertical auxiliary forcing beam 38 is installed to reinforce the support force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위 프레임(11)의 안착 방향이 상이하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위 프레임(11)이 어초틀(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평행 또는 직각이 되게 되도록 안착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초틀(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콘크리트 블록(10)의 바깥쪽 끝에 설치된 수직 블록강제빔(37)은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 바닥 내부강제빔(32) 및 상부 골격강제빔(33)에 설치 고정된다. 제1 콘크리트 블록(10)의 단위 프레임(11)이 어초틀(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경사지게 설치되면, 평행 또는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어초틀(30)의 길이방향으로 흐르는 조류를 차단하여 와류를 형성시키는 효과가 향상된다. In the combined form of the concrete block,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unit frame 11 is different.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four unit frames 11 are seated so as to be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utment 30, but in the present example, the four unit frames 11 are seated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utment 30. It is installed at an angle of 45 °. Accordingly, the vertical block forced beam 37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fixed to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the bottom internal forced beam 32 and the upper skeleton forced beam 33. do. When the unit frame 11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of 45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30, the unit frame 11 may be installed to be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30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ffect of blocking the flow of alga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vortex is improved.

한편,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상부 골격강제빔(33) 상에 설치된 상부 블록고정대(34)와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 설치된 경사 블록고정대(34)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다만,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서로 이격된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경사 블록고정대(39)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서로 연결된 3개가 한쌍을 이루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fixed to the upper block fixing table 34 provided on the upper skeleton forced beam 33 and the inclined block fixing table 34 provided on the inclined skeletal forced beam 35, respectively. However, the second concrete blocks 20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air of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inclined block fixing stand 39. )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air of three connected to each other.

단위길이로 제작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 터널(22)의 길이가 길어져 조류 소통효과는 높아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터널 안쪽으로 태양광이 완전히 차단되어 어패류의 위집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을 단위길이로 이격되게 설치할지 연결하여 설치할지는 선택적인 것인바, 본 실시예서는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경사 블록고정대(36) 상에는 서로 연결되게 설치하여 양자의 형태를 모두 취하였다. If the second concrete blocks 20 are made of unit length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through tunnel 22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ird communication effect is increased, while sunlight is completely blocked inside the tunnel.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e counterfeiting of fish and shellfish. Therefore, whether to install or connect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spaced apart by a unit length is optional, in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holder 3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 the inclined block holder 36 It wa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ake both forms.

마지막으로,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과 그 내부에 배치된 경사 내부강제빔(36) 사이에는 금속망체(40)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 금속망체(40)는 주로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로 제작되고, 조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와류 형성 및 음향 효과를 발생시키며 어초틀(30)의 내부에 음영을 만드는 효과를 나타낸다. Finally, the metal mesh 4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d beam 35 and the inclined internal forced beam 36 disposed therein. The metal mesh 40 is mainly made of expanded metal, and blocks the flow of algae to generate vortex formation and sound effects, and to shade the inside of the housing 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에 따르면 어초틀을 강재를 제작하여 복잡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그 내부에 해조류의 생장에 유리한 다공성 콘크리트로 된 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양 재료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어류의 위집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준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posite slant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ducing a steel material to have a complex shape and by installing a block of porous concrete,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growth of seaweed inside, synergy of both materials The effect further enhances the counterfeiting effect of fish.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콘크리트 블록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irst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콘크리트 블록을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mposite inclined reef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mposite inclined ree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형 경사어초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mposite warp re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제1 콘크리트 블록 11: 단위 프레임10: first concrete block 11: unit frame

12: 유통공 20: 제2 콘크리트 블록12: distributor 20: second concrete block

21: 상부 프레임 22: 관통 터널21: upper frame 22: through tunnel

23: 하부 프레임 30: 어초틀23: lower frame 30: a glass frame

31: 바닥 골격강제빔 32: 바닥 내부강제빔31: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2: bottom internal forced beam

33: 상부 골격강제빔 34: 상부 블록고정대33: upper skeletal forcing beam 34: upper block holder

35: 경사 골격강제빔 36: 경사 내부강제빔35: oblique skeletal forced beam 36: oblique internal forced beam

37: 수직 블록강제빔 38: 수직 보조강제빔37: vertical block forced beam 38: vertical auxiliary forced beam

39: 경사 블록고정대 40: 금속망체39: inclined block holder 40: metal mesh

Claims (6)

다공성 콘크리트로 된 사각 플레이트와 그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통공(12)이 형성된 단위 프레임(11)이 마련되고, 3개 이상의 상기 단위 프레임(11)은 일측이 세워진 상태로 상호 결합되고 타측은 각각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방사상을 이루도록 제1 콘크리트 블록(10)이 구성되며;A square plate made of porous concrete and a unit frame 11 having one or more flow holes 12 formed therein are provided, and the three or more unit frames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one side standing up and the other side being The first concrete blocks 10 are configured so as to extend outwardly so as to be entirely radial;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사각 플레이트로 된 하부 프레임(23) 상에 삼각형 단면을 가진 중공의 상부 프레임(21)이 안착되어 내부에 관통 터널(22)이 형성되도록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구성되며;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constructed so that the hollow upper frame 21 made of porous concrete and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seated on the lower frame 23 made of a square plate to form a through tunnel 22 therein. Become; 해저면에 안착되는 바닥 골격강제빔(31)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 프레임이 형성되고, 해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보다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된 상부 골격강제빔(33)에 의해 사각형의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 상부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가 경사 골격강제빔(35)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터널형을 이루는 어초틀(30)이 마련되고;An upper skeleton forced beam is formed by a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seated on the bottom of the seam, and a width thereof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at a predetermined heigh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abed. 33) a rectangular upper frame is formed, and the upper frame and the corner of the bottom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to form an overall tunnel 30; 이 어초틀(3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10)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 사이에 배치된 바닥 내부강제빔(32) 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골격강제빔(33) 사이에 배치된 상부 블록고정대(34)와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는 다수개의 상기 제2 콘크리트 블록(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A plurality of the first concrete blocks 10 are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30 so as to be seated on the bottom inner force beam 32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keleton force beams 31, and the upper skeleton force Composite inclined reef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holder 34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disposed between the beam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그 단위 프레임(11)의 바깥쪽 끝에 설치된 수직 블록강제빔(37)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과 바닥 내부강제빔(32), 상부 골격강제빔(33)과 상부 블록고정대(34)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어초틀(3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경사 골격강제빔(35) 사이에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사 내부강제빔(36)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a vertical block forced beam (37)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unit frame 11 is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and the bottom internal forced beam (32) Is fixed to the upper skeletal force beam 33 and the upper block holder 34,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holder 34 is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30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inclined skeletal force beam 35 is disposed between the inclined internal force beams 36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 beams 35. Combined slanted reef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 및 경사 내부강제빔(36)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2개 이상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The composite sloped reef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and the inclined inner forced beam (36)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are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블록(10)은 그 단위 프레임(11)의 바깥쪽 끝에 설치된 수직 블록강제빔(37)이 상기 바닥 골격강제빔(31), 바닥 내부강제빔(32) 및 상부 골격강제빔(33)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어초틀(30)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경사 골격강제빔(35)과 상부 골격강제빔(33) 사이에 어초틀(3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경사 블록고정대(39)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crete block 10 is a vertical block forced beam 37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unit frame 11 is the bottom skeleton forced beam 31, the bottom internal forced beam 32 And a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upper skeletal forcing beam 33 and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30, and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35 is on the inclined block fixing plate 39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30 between the inclined skeletal force beam 35 and the upper skeletal force beam 33. Composite sloped reef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고정대(34)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서로 이격된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경사 블록고정대(39) 상에 설치된 제2 콘크리트 블록(20)은 서로 연결된 3개가 한쌍을 이루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5.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nstalled on the upper block fixing stand 34 has a pair of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20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block fixing stand 39. Concrete block 20 is a composite inclined reef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 pairs connected to each oth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과 경사 블록고정대(39)의 연결 부분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보조강제빔(38)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 골격강제빔(35)과 그 내부에 배치된 경사 내부강제빔(36) 사이에는 금속망체(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경사어초.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35 and the inclined block fixing stand 39, the vertical auxiliary forcing beam 38 for supporting it is provided, the inclined skeletal forcing beam ( 35) and the inclined internal forced beam 36 disposed therein, the composite mesh reef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mesh 40 is installed.
KR20-2005-0010882U 2005-04-19 2005-04-19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KR2003896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82U KR200389607Y1 (en) 2005-04-19 2005-04-19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882U KR200389607Y1 (en) 2005-04-19 2005-04-19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607Y1 true KR200389607Y1 (en) 2005-07-18

Family

ID=4369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882U KR200389607Y1 (en) 2005-04-19 2005-04-19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607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92B1 (en) * 2007-09-10 2009-04-20 전인숙 An artificial fish-breeding ground
KR101013222B1 (en) 2009-03-04 2011-02-10 최태봉 Artificial fish-breeding ground forming sea forest in shallow sea
KR101014848B1 (en) 2009-05-27 2011-02-15 주식회사 우미 Artifical Fishing Reef
KR101083787B1 (en) 2009-05-22 2011-11-18 나라앤텍 주식회사 Fish breeding ground blo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92B1 (en) * 2007-09-10 2009-04-20 전인숙 An artificial fish-breeding ground
KR101013222B1 (en) 2009-03-04 2011-02-10 최태봉 Artificial fish-breeding ground forming sea forest in shallow sea
KR101083787B1 (en) 2009-05-22 2011-11-18 나라앤텍 주식회사 Fish breeding ground block
KR101014848B1 (en) 2009-05-27 2011-02-15 주식회사 우미 Artifical Fishing Ree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69B1 (en) Habitat reef with radiative reef plate and connecting leg
KR100985893B1 (en) Hexagonal concrete reef
JP2009077649A (en) Structure for propagating and culturing coral
CN202425452U (en) Ecological proliferation anti-stormy wave square open pore type artificial fish reef
KR200389607Y1 (en) Complex inclined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JP4659538B2 (en) Artificial leaf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543688B1 (en) Multifunctional-high-storied reef
KR101015059B1 (en) Concrete wall type artificial reef
KR20060084838A (en) Square type artificial reef with shield plate of streamline shape
KR200428056Y1 (en) Artificial reef being able to exchange block
JP2007209262A (en) Artificial fishing reef
KR100948590B1 (en) Multi-functional triangular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KR200251140Y1 (en) Unnatural seaweeds
KR200428057Y1 (en) Artificial reef having multi-space for nurturing the living things of sea
KR200392536Y1 (en) An artificial reef of house type for submarine forest
KR200235672Y1 (en) Complex artificial reef which is constructed with steel and stone
KR200389608Y1 (en) Complex artificial reef made of steel and porous concrete
KR20090000182U (en) Steel artificial reef having with oyster shell let fly type
KR100464669B1 (en) The steel artificial reef for submarine
KR101421610B1 (en) artificial reef for sea cucumber
KR101239378B1 (en) The many functions structure that laying eggs ground of octopus and growth are possible
KR101473376B1 (en) Trapezoid type multi-function artificial reef
KR200420572Y1 (en) Square type artificial reef with shield plate of streamline shape
KR101841956B1 (en) Artificial Steel Reef of Tunnel Type
KR200448189Y1 (en) Pavilion-shaped artificial re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