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21Y1 - 방수 밸브 - Google Patents

방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21Y1
KR200389321Y1 KR20-2005-0012088U KR20050012088U KR200389321Y1 KR 200389321 Y1 KR200389321 Y1 KR 200389321Y1 KR 20050012088 U KR20050012088 U KR 20050012088U KR 200389321 Y1 KR200389321 Y1 KR 200389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lug
constant
ho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to KR20-2005-0012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의 상수 흐름을 단속하여 방수시키는 방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수에 가해진 압력 손실을 발생시켜 캐비테이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량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밸브의 몸체 내부에 유입구의 상수가 구멍을 통하여 배출구로 흐르게 하여 상수 속도를 감소시키는 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며 케이지의 구멍이 막혀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수 흐름을 단속하는 플러그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플러그로 케이지의 구멍을 막아주는 것을 선택함에 따라 상수의 흐름이 조절되는 한편 상수 속도가 감소되어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수 밸브{Flood valve}
본 고안은 고압의 상수 흐름을 단속하여 방수시키는 방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수에 가해진 압력 손실을 발생시켜 캐비테이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량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고압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여 저수조에 방수하거나 방류수로 방수하는 경우 유체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에서 유체는 필연적으로 개도영역을 달리하여 흐르게 되고, 특히 적은 개도 영역에서는 유속이 빨라지고 밸브 전후의 압차가 발생되어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밸브나 관로의 파손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캐비테이션은 유체 속에서 그 흐름이 빨라져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면 물속의 기체가 분리되어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면 포화증기로 가득한 공동이 발생하게 되고, 배출구 쪽에서 압력이 회복되면 기포가 액화되면서 공동이 사라지게 되나 기포가 사라질 때 기포 둘레의 물이 서로 부딪혀 급속으로 고압이 발생하게 되고, 그 충격으로 인하여 밸브나 배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캐비테이션 현상은 고압으로 흐르는 상수를 저수조에 방수하는 것을 단속하는 방수밸브에서 자주 일어나게 되며 그 이유는 고압의 상수가 방수를 조절하는 밸브를 통과한 후 그대로 방수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밸브에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유체가 증기압 이하로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에서 유입되는 상수가 밸브의 몸체 내부에서 구멍이 형성된 케이지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서 플러그의 위치를 변화시켜 케이지의 구멍을 선택하므로서 유량의 조절과 함께 상수의 속도를 감소시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밸브의 몸체 내부에 유입구의 상수가 구멍을 통하여 배출구로 흐르게 하여 상수 속도를 감소시키는 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며 케이지의 구멍이 막혀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수 흐름을 단속하는 플러그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플러그로 케이지의 구멍을 막아주는 것을 선택함에 따라 상수의 흐름이 조절되는 한편 상수 속도가 감소되어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배관사이에 설치되고, 고압의 상수가 저수조나 방류조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방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하고 유량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된 밸브 몸체(10)에 상부가 막히고 외측으로 구멍(21)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지(2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20)의 내부에 상부가 막힌 원통형의 플러그(30)를 설치한 후 상기 플러그(30)의 상부에 플러그 스템(31)을 결합한 후 상기 플러그 스템(31)에 핸들(32)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핸들(32)을 회전시키면 플러그 스템(31)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플러그 스템(31)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30)가 이동하면서 케이지(20)의 구멍(21)을 막아주는 정도를 조절하여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로 흐르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케이지(20)는 밸브 몸체(10)에 끼워지는 것으로,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케이지(20)의 구멍(21)을 통한 후 배출구(12)로 유출되게 되며, 상기 케이지(20)의 외측에는 유체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케이지(20)의 내부에는 상부가 막힌 원통형의 플러그(30)를 설치하여 플러그(30)의 외측이 구멍(21)을 많이 막아 줄수록 유체의 흐름이 적어지고, 구멍(21)을 적게 막아 줄수록 유체의 흐름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 플러그(30)가 완전히 하강하면 케이지(20)의 하부 돌출부(22)에 플러그(30)의 하단이 밀착하여 유체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핸들(32)을 회전시켜 플러그(30)를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플러그(30)에 의해 막혀지는 구멍(21)의 개수가 결정되고, 구멍(21)을 적게 막을수록 많은 량의 물이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를 향하여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30)를 상하 이동시켜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로 이동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손잡이(32)를 회전시켜 플러그(30)를 하향 이동시키면 플러그(30)의 하단이 케이지(20)의 돌출부(22)에 닿게 되어 유입구(11)의 유체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고, 이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상승시키면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는 케이지(20)의 구멍(21)을 통하여 배출구(12)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는 고압을 갖게 되나 케이지(20)의 구멍(21)을 통과하면서 마찰손실이 생겨 속도가 감소되게 되므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특히 저수조나 방류조와 같이 배출구(12) 쪽에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케이지(20)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구멍(21)이 형성된 케이지(20)를 밸브 몸체(10)에 설치한 후 상기 케이지(2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플러그(30)를 이용하여 유입구(11)의 유체가 배출구(12)로 배출하는 것을 단속하는 한편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유입구(11)의 고압 유체가 케이지(20)의 구멍(21)을 통하여 감속된 후 배출구(12)로 이동하게 되어 캐비테이션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고압의 유체를 단속하여 저수조 또는 방류조로 배출하는 방수 밸브에 있어서, 밸브 몸체에 구멍이 형성된 케이지를 설치한 후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서 플러그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유입구의 고압 유체가 케이지의 구멍을 통하여 배출구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유체 압력이 케이지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감속되어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방수 밸브의 닫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방수 밸브의 열림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방수 밸브의 유체 흐름 차단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방수 밸브의 유체 흐름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지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지와 플러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몸체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0 : 케이지
21 : 구멍 30 : 플러그
31 : 플러그 스템

Claims (1)

  1.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의 배출구(12)이동을 단속하는 밸브에 있어서,
    밸브 몸체(10)에 상부가 막히고 측면으로 구멍(21)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지(2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20)의 내부에 상부가 막힌 원통형의 플러그(30)를 설치하며, 상기 플러그(30)는 플러그 스템(31)에 결합되어 핸들(32)로 상하 이동되게 하고, 유입구(11)의 유체는 케이지(20)의 구멍(21)을 통하여 배출구(12)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밸브.
KR20-2005-0012088U 2005-04-29 2005-04-29 방수 밸브 KR200389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88U KR200389321Y1 (ko) 2005-04-29 2005-04-29 방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88U KR200389321Y1 (ko) 2005-04-29 2005-04-29 방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21Y1 true KR200389321Y1 (ko) 2005-07-07

Family

ID=4369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88U KR200389321Y1 (ko) 2005-04-29 2005-04-29 방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78B1 (ko) * 2015-11-03 2017-03-30 한국가스공사 용량 가변형 가스용 정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78B1 (ko) * 2015-11-03 2017-03-30 한국가스공사 용량 가변형 가스용 정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43784A3 (en) Apparatus for autonomously controlling the inflow of production fluids from a subterranean well
WO2018089585A2 (en) Precise choke systems and methods
KR200389321Y1 (ko) 방수 밸브
RU2530527C1 (ru) Регулятор уровня грунтовых вод
KR200398004Y1 (ko) 다공형 회전 밸브
JP4685469B2 (ja) ウオータハンマ防止用閉止弁及びそれを用いた放水設備
KR200400797Y1 (ko) 방수밸브
KR100891102B1 (ko) 유량조절카트리지
KR200385593Y1 (ko) 급수제어밸브
KR102631300B1 (ko) 온도 감응형 유체 흐름 단속 장치
JP2008020073A (ja) 自動弁
KR20180002051U (ko) 볼플로트식 스커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46052A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200297329Y1 (ko) 급속 공기배출식 에어벤트
RU200105U1 (ru) Клапан-отсекатель
CN204900859U (zh) 一种调节式蝶阀
KR100545038B1 (ko) 콘트롤 밸브
KR20160081057A (ko) 타원형 프리 플로우트를 구비한 스팀 트랩밸브
JP5112916B2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RU2019142585A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контуром
CN209195494U (zh) 一种用于循环水系统控制水流量的调节阀
KR200382012Y1 (ko) 콘트롤 밸브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100764133B1 (ko) 다공 가변형 오리피스 밸브
KR200337366Y1 (ko) 보일러용 감압 수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