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15Y1 -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 Google Patents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15Y1
KR200389315Y1 KR20-2005-0011986U KR20050011986U KR200389315Y1 KR 200389315 Y1 KR200389315 Y1 KR 200389315Y1 KR 20050011986 U KR20050011986 U KR 20050011986U KR 200389315 Y1 KR200389315 Y1 KR 200389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e
opening
inner diameter
pene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휘
오세은
장용철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고안은 집수를 위해 집수를 위해 측면부, 바닥부 및 공동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가지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걸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용 구멍 및 특정 크기 이상의 물질이동을 차단하는 망사부 및 외압에 따라 상기 망사부 바깥쪽으로부터 중심축방향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탄성체 재질의 날개부를 갖고 상기 통수용 구멍에 삽입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유공침투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의 압력에도 유공침투통에 삽입된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필터의 내구성에 따라 정기적인 유지보수만 하면 되므로 유공침투통의 유지에 소요되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A infiltration bucket with filter}
본 고안은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시키거나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표 층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빗물의 지구 유출량을 최대한 자연사이클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유공침투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개발과 함께 지표면의 포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지표면의 포장화는 빗물의 하천 유출량을 증가시키고 지하 침투수를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 지반의 침하, 바닷물의 역침투에 의한 염수화 현상 등 다양한 지하수 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이 감소되어 수질을 더럽히며 강우시에는 하천유량이 증가하여 홍수를 일으킨다.
종래에는 빗물의 하천 유출량을 줄이고 빗물을 최대한 자연싸이클로 복원시키기 위해 다공성 침투통을 이용하거나 필터가 삽입된 침투통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다공성 침투통의 경우 생산단가가 높고 사용환경에 따라 빗물의 침투량을 조절하기가 곤란하고 침투기능이 훼손된 경우 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필터가 삽입된 침투통의 경우 다공성 침투통에 비해 여러 장점이 있으나 종래의 침투통(10)들은 도1에서와 같이 필터를 삽입하는 부분(110)의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로서 어느 한 방향의 물흐름에 대해서만 침투통에 고정될 수 있었다. 그러나 침투통은 사용환경에 따라 지중의 수분을 집수하거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침투통을 기준으로 양 방향의 물흐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필터를 침투통에 삽입하는 종래의 침투통(10)들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필터가 침투통(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하고 이를 보수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압에도 유공침투통에 삽입된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침투 기능을 유지하고, 필터의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한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집수를 위해 측면부, 바닥부 및 공동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가지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걸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용 구멍; 및
특정 크기 이상의 물질이동을 차단하는 망사부 및 외압에 따라 상기 망사부 바깥쪽으로부터 중심축방향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탄성체 재질의 날개부를 갖고 상기 통수용 구멍에 삽입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결합할 수 있는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필터를 결합한 유공침투통의 단면도이며, 도7 내지 도9은 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이고, 도10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결합할 수 있는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필터를 결합한 유공침투통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2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측면부(312)와 바닥부(314)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집수를 위해 공동부(316)가 형성된 몸체(310)를 가지고 있다. 몸체(310)의 측면부(312)는 유량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개구부(322)와 제2개구부(324)를 가진 관통부(326)를 가지고 있다. 관통부(326) 내부에는 필터(330)를 고정하는 필터걸림부(328)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330)는 유공침투통(320)에 삽입되어 운용되며, 망사부(332)와 날개부(334)를 갖고 있다.
유공침투통은 집수 된 빗물 등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빗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집수 된 빗물을 빠르게 하천으로 배수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빗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빗물의 일부를 지층으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해야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몸체(310)는 도2에서와 같이 측면부(312)에만 통수용 구멍(320)이 형성되고 바닥부(314)에는 통수용 구멍(32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통수용 구멍(320)이 갖는 관통부(32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물이 유공침투통(30)의 안과 밖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측면부(312)에 형성되는 통수용 구멍(320)은 바닥부(314)로부터 일정높이 위에 형성된다.
바닥부(314)로부터 통수용 구멍(320)까지의 높이는 설치장소에 따라 필요 배수량 및 주변 지층의 투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절된다. 유공침투통의 몸체(310)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관통부(326)는 유공침투통(30)을 통한 물질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도2에서와 같이 필터(33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필터(330)를 유공침투통(30)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 집수 된 물의 이동 또는 침투통이 매설된 곳의 토사 등에 의해 필터(330)에 높은 압력이 발생한다. 필터(330)에 작용하는 압력은 유공침투통(30)으로부터 필터(330)를 이탈하게 하는 주요인이므로, 장기간 지층으로의 침투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터(330)를 유공침투통(30)에 고정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통수용 구멍(320)은 필터걸림부(328)를 갖음으로써 필터(330)를 유공침투통(30)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필터걸림부(328)는 관통부(326) 안쪽에 위치하며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던 내부직경이 중심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되어 형성된다. 관통부(326)의 내부직경이 수직하게 축소됨으로써 필터걸림부(328)의 내부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물체가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된 필터(330)를 유공침투통(3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통수용 구멍(320)은 필터걸림부(328)를 중심으로 관통부(326) 안쪽의 구조에 따라 5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통수용 구멍(320)의 관통부(326)는 제1개구부(322)로부터 필터걸림부(328)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된다. 확대된 관통부(326)는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관통부(326) 안쪽으로 내부직경이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된다. 필터걸림부(328)의 내부직경이 제1개구부(322)쪽의 내부직경에 비해 작으므로 필터가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된다. 필터걸림부(328)에서 제2개구부(324)까지는 내부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제1개구부(322)에서 필터걸림부(328)까지의 관통부(326)형상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 필터걸림부(328)에서 제2개구부(324)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됨으로써 제2개구부(324)로부터 필터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통수용 구멍(320)의 관통부(326)는 제1개구부(322)로부터 필터걸림부(328)까지 내부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일정한 내부직경을 갖는 관통부(326)는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관통부(326)의 내부직경이 중심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된다. 필터걸림부(328)의 내부직경이 제1개구부(322)쪽의 내부직경에 비해 작으므로 필터가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된다. 필터걸림부(328)에서 제2개구부(324)까지는 내부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제1개구부(322)에서 필터걸림부(328)까지의 형상은 제3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단, 필터걸림부(328)에서 제2개구부(324)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된다.
도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제1개구부(322)에서 필터걸림부(328)까지의 형상은 제3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단, 도9에서와 같이 제1개구부(322) 부분과 제2개구부(324)부분의 형상이 유공침투통(30)의 측면부(312)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개구부(322)쪽만 아니라 제2개구부(322)쪽에도 필터걸림부(328)가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제1개구부(322)로부터 필터걸림부(328)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다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내부직경이 축소된다. 따라서,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한 내부직경의 차이에 의해 필터가 걸릴 수 있는 턱을 형성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3에서와 같이 필터걸림부(328)로부터 제2개구부(324)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기 때문에 필터(330)를 삽입할 때, 필터걸림부(328)로부터 제2개구부(324)를 따라 형성된 관통부(326) 내부의 경사에 의해 날개부(334)가 손쉽게 오므라들 수 있다. 제1개구부(322)와 제2개구부(324)는 필터(330)의 삽입방향에 따라 측면부(312)에 자유롭게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되는 필터(320)는 도6에서와 같이 제2개구부(324)에 망사부(332)를 앞쪽으로 하여 삽입된다. 삽입된 필터(330)는 통수용 구멍(320)을 관통하므로 망사부(332)의 직경은 필터걸림부(328)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아야 한다. 삽입된 필터(330)의 날개부(334)는 제2개구부(324)에서 필터걸림부(328)로 가면서 오므라든 뒤 필터걸림부(328)를 지나면서 펼쳐진다. 펼쳐진 필터(330)의 날개부(334)가 관통부(326) 안쪽에 수직으로 형성된 필터걸림부(328)에 걸림으로써 필터(330)는 통수용 구멍(320)에 고정된다.
필터걸림부(328)는 관통부(326) 안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삽입된 필터(330)의 날개부(334)는 모든 방향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유공침투통(30)에 삽입된 필터(330)는 어느 방향의 물 흐름에 대해서도 유공침투통(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유공침투통(30)에 고정된다.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는 도7 내지 도9에서와 같이 제1개구부(322)로부터 필터걸림부(328)까지 내부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관통부(326) 안쪽의 내부직경이 중심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된다. 따라서, 필터걸림부(328)를 기준으로 한 내부직경의 차이에 의해 필터가 걸릴 수 있는 턱을 형성한다.
제4실시예는 도8에서와 같이 필터걸림부(328)로부터 제2개구부(324)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기 때문에 필터(330)를 통수용 구멍(320) 삽입할 때, 필터걸림부(328)로부터 제2개구부(324)를 따라 형성된 관통부(326) 내부의 경사에 의해 날개부(334)가 손쉽게 오므라들 수 있다.
제5실시예는 필터걸림부가 관통부(326)의 양끝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터(330)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춰 통수용 구멍(320)의 제1개구부(322) 또는 제2개구부(324)에 삽입한다. 어느 쪽으로 필터(320)를 삽입할 지 여부는 유공침투통(30)을 기준으로한 물의 이동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제1개구부(322)와 제2개구부(324)는 필터(330)의 삽입방향에 따라 측면부(312)에 자유롭게 형성된다.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되는 필터(320)는 도11에서와 같이 제2개구부(324)에 망사부(332)를 뒤쪽으로 하여 삽입된다. 삽입된 필터(330)는 통수용 구멍(320)을 관통하므로 외주면(336)의 직경은 필터걸림부(328)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아야 한다. 삽입된 필터(330)의 날개부(334)가 제2개구부(324)에서 필터걸림부(328)로 가면서 오므라든 뒤 필터걸림부(328)를 지나면서 펼쳐진다. 펼쳐진 필터(330)의 날개부(334)가 관통부(326) 안쪽에 수직으로 형성된 필터걸림부(328)에 걸림으로써 필터(330)는 통수용 구멍(320)에 고정된다.
필터걸림부(328)는 제1개구부(322)에 접하고 있어 필터(330)의 날개부(336)는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필터(330)를 고정하나,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사용되는 필터(330)는 망사부(332)의 직경이 외주면(33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다른 쪽 방향에 대해서도 필터(330)를 고정한다. 따라서, 유공침투통(30)에 삽입된 필터(330)는 어느 방향의 물 흐름에 대해서도 유공침투통(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필터(330)는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하여 고정되므로 필터걸림부(328)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통수용 구멍(320)에 적합한 필터의 형상은 도6과 같다. 날개부(334)는 망사부(332) 둘레를 따라 망사부(332) 중심축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펼쳐진 모양으로 형성되고 망사부(332)의 둘레를 따라 날개부(334)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틈(336)이 형성된다.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통수용 구멍(320)에 적합한 필터의 형상은 도10과 같다. 도10의 필터(330)는 도6의 필터과 비교하여 외주면(33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주면(338)은 외주면(33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망사부(332)에 결합되며 필터걸림부(328)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날개부(334)는 망사부(332)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외주면(338)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주면(338)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날개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틈이 형성된다.
망사부(332)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환경(자갈, 진흙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된다. 망사부(332)의 망사는 사각형 또는 원형 등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망사부(332)는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을 가진 합성수지가 선호된다.
날개부(334)는 망사부(332) 둘레를 따라 방사선형으로 형성되며,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됨에 따라 망사부(332)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므라든 뒤 필터걸림부(328)에서 펼쳐짐으로써 필터(330)를 통수용 구멍(320)에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필터걸림부(328)에서 펼쳐진 날개부(334)는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된 필터(330)가 물의 이동 또는 주변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통수용 구멍(3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날개부(334)에는 외주면(338)의 둘레를 따라 날개부(334)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틈(336)이 형성된다. 날개부(334)가 외주면(338)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시 오므라들은 날개부(334)가 서로 겹쳐 원활하게 오므라들수 없다. 날개부(33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틈(336)은 날개부(334)가 오므라들더라도 서로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원활하게 오므라들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날개부(334)는 오므라들었다 펴질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조한다.
외주면(338)의 한쪽 끝단에는 망사부(332)가 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날개부(334)가 결합되므로, 외주면(338)은 망사부(332)와 날개부(334)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외주면(338)은 통수용 구멍(320)을 관통하기 때문에 필터(330)를 관통하는 중심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필터(330)를 통수용 구멍(320)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외주면(338)의 말단에 형성된 망사부(332)는 외주면(338)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외주면(338)은 관통부(326)의 내부직경과 유사하기 때문에 망사부(332)의 직경 역시 관통부(326)의 내부직경보다 크게 된다. 직경의 차이로 망사부(332)는 관통부(326)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외주면(338)과 망사부(332)의 직경차이는 통수용 구멍(320)에 삽입된 필터(330)를 망사부(332) 바깥쪽으로부터의 외부압력에 대해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을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외압에도 유공침투통에 삽입된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침투 기능을 유지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게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은 필터를 유공침투통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외압에도 유공침투통에 삽입된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침투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필터의 내구성에 따라 정기적인 유지보수만 하면 되므로 유공침투통의 유지에 소요되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하천 유출량을 억제하고 최대한 자연 싸이클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 지반의 침하, 지하수 염수화 등의 지하수 장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침투통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결합할 수 있는 필터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필터를 결합한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9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10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결합할 수 있는 필터의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필터를 결합한 유공침투통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10 : 몸체, 312 : 측면부, 314 : 바닥부, 320 : 통수용 구멍, 322 : 제1개구부, 324 : 제2개구부, 326 : 관통부, 328 : 필터걸림부, 330 : 필터, 332 : 망사부, 334 : 날개부, 336 : 틈, 338 : 외주면

Claims (9)

  1. 집수를 위해 측면부, 바닥부 및 공동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고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가지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필터걸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용 구멍; 및
    특정 크기 이상의 물질이동을 차단하는 망사부 및 외압에 따라 상기 망사부 바깥쪽으로부터 중심축방향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탄성체 재질의 날개부를 갖고 상기 통수용 구멍에 삽입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용 구멍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필터걸림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다 상기 필터걸림부에서 관통부의 내부직경이 중심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망사부는 상기 필터걸림부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직경 또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용 구멍은 상기 필터걸림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로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날개부는 상기 필터의 망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망사부의 중심축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펼쳐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가 원활히 오므라들 수 있도록 상기 망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날개부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용 구멍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필터걸림부까지 내부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필터걸림부에게서 관통부의 내부직경이 중심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용 구멍은 상기 필터걸림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갈수록 내부직경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걸림부가 제2개구부 쪽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망사부는 상기 외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망사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걸림부의 내부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날개부는 상기 망사부 쪽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상기 외주면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원활히 오므라들 수 있도록 상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날개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KR20-2005-0011986U 2005-04-29 2005-04-29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KR200389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86U KR200389315Y1 (ko) 2005-04-29 2005-04-29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86U KR200389315Y1 (ko) 2005-04-29 2005-04-29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15Y1 true KR200389315Y1 (ko) 2005-07-07

Family

ID=4369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86U KR200389315Y1 (ko) 2005-04-29 2005-04-29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23B1 (ko) 2009-02-02 2009-12-09 배석동 유입수를 지하수화 하는 맨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23B1 (ko) 2009-02-02 2009-12-09 배석동 유입수를 지하수화 하는 맨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US7300574B1 (en)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US7074326B2 (en) Curb-and-grate inlet filter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7455766B1 (en)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09052366A (ja) 地下水槽
KR200389315Y1 (ko) 필터가 포함된 유공침투통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20100079623A (ko) 배수용 주름유공관
KR101024375B1 (ko) 경사면 배수 유도장치
JP6037770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JP2012219591A (ja) 浸透構造体、及び浸透構造体付き集水施設並びに浸透構造体の設置方法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200393019Y1 (ko) 필터가 포함된 트렌치용 유공침투관
CN108043084B (zh) 一种水井用dkpe双壁波纹滤水管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US9139971B2 (en) Aggregate replacement
CN213965418U (zh) 一种泥水分离管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6783473B2 (ja) 管状ブロック、及び、管状ブロック構造体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KR200414298Y1 (ko) 평탄부를 갖는 원통형 유공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