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990Y1 - 실내형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실내형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990Y1
KR200388990Y1 KR20-2005-0011481U KR20050011481U KR200388990Y1 KR 200388990 Y1 KR200388990 Y1 KR 200388990Y1 KR 20050011481 U KR20050011481 U KR 20050011481U KR 200388990 Y1 KR200388990 Y1 KR 200388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und absorbing
duct
air purifier
absorb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섭
Original Assignee
씨에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씨에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5-0011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2) 내부에 송풍기(4)와, 흡음덕트(6)와, 필터부(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음덕트(6)는 내부에 다수개의 정류판(8)이 설치되고, 내측 방향전환부위에 만곡부(6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흡음덕트의 떨림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공기량을 균일하게 분배해 줄 수 있어 공기 흐름의 편중 및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향전환부위의 만곡부에 의해 완만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소음발생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형 공기정화기 { room's air filter }
본 고안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의 덕트 내에 다수의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균등하게 분할시킬 수 있고, 덕트의 떨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형 공기정화기는 팬 필터 유닛(fan filter unit)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병원의 수술실이나 무균시스템의 연구소, 실험실 등과 같이 청정상태와 정숙상태를 요하는 장소에 설치된다.
즉, 대기(大氣)는 먼지, 꽃가루, 유해균, 황사, 담배연기와 같은 각종 부유물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중에 신체 일부를 절개한 환자, 수술 후 회복 중인 환자와 같이 면역력이 극도로 약화된 환자가 그대로 들여 마시게 되면, 인체에 치명적이며, 반도체 생산공장, 정밀화학 실험실, 유전공학 실험실 등과 같이 먼지보다도 작은 나노미터에서 미크론 단위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크기의 먼지도 돌덩이와 같은 존재여서 제품의 생산과 실험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청정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부유물을 걸러낸 다음 실내로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청정장치는 주로 천정에 설치되고, 때에 따라서 벽이나 바닥 등에 매설되기도 하며, 특히 정숙을 요하는 병원의 각 호실, 연구소, 실험실 등에 설치되는 공기 청정장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소음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공기 청정장치(A')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단부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유입구(22')측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4')와, 이 송풍기(4')의 후단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기가 이송될 수 있으면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흡음덕트(6')와, 이 흡음덕트(6')의 후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킨 후 유출구(24')로 이송시키는 필터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는 송풍기의 토출구로부터 흡음덕트 사이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갑작스런 단면적의 변화에 의해 공기의 이송시 폭발음과 같은 소음성분이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흡음덕트가 송풍압력에 의해 떨리게되면서 오히려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음덕트의 방향전환구조가 너무 급격하여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완만하게 안내하지 못하므로 공기가 덕트 내벽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아울러 흡음덕트 내부의 구석부분에서 와류가 발생되면서 먼지가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흡음덕트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덕트의 떨림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공기량을 균일하게 분배해 줄 수 있어 공기 흐름의 편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실내형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송풍기와, 흡음덕트와, 필터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음덕트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정류판이 설치되고, 흡음덕트의 내측 방향전환부위에 공기의 흐름을 완만하게 유도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평단면도, 도 3a는 종래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측단면, 도 3b는 도 3a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A)는, 전단부에 유입구(22)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유출구(24)가 형성된 일정 형상의 본체(2)와, 이 본체(2)의 유입구(22)측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기(4)와, 이 송풍기(4)의 후단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기가 이송될 수 있으면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흡음덕트(6)와, 이 흡음덕트(6)의 후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킨 후 유출구(24)로 이송시키는 필터부(9);를 포함하는 통상의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따른다.
이러한 구성 외에 본 고안은 상기 흡음덕트(6) 내에 다수개의 정류판(8)을 설치하고, 흡음덕트(6)에서 공기의 흐름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전환부위에 완만한 경사도를 갖는 만곡부(66)를 형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정류판(8)은 흡음덕트(6)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그 상단과 하단이 흡음덕트(6)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흡음덕트(6)의 떨림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판(8)을 등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량을 균등하게 분할시킬 수 있어, 공기의 편중현상을 제거하여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편중된 공기가 흡음덕트(6)의 내벽면에 부딪힘에 의해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정류판(8)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분산됨으로써 흡음덕트(6)의 내벽에 부딪히지 않고 원만하게 흐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정류판(8)의 두께를 약 1cm ~ 1.6cm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시키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만곡부(66)는 흡음덕트(6) 내측의 방향전환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이 원만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소음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덕트(6)의 흡입구(62)는 수평방향이나 토출구(64)는 직각방향으로 전환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흡입된 공기가 상기 만곡부(66)를 따라 자연스럽게 방향전환이 유도될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공기가 방향전환부위의 벽면을 타격하지 않게 되므로 소음발생이 현저히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공기정화기(A)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송풍기(4)가 구동되면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2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음덕트(6)의 흡입구(62)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정류판(8)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위에 형성된 만곡부(66)에 의해 완만하게 방향전환이 유도된 채 토출구(64)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이송된다.
이후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9)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미세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다음 유출구(2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는 흡음덕트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음덕트의 떨림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공기량을 균일하게 분배해 줄 수 있어 공기 흐름의 편중 및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향전환부위의 만곡부에 의해 완만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소음발생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평단면도
도 3a는 종래 실내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측단면
도 3b는 도 3a에 대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본체 4 : 송풍기
6 : 흡음덕트 8 : 정류판
9 : 필터부 22 : 유입구
24 : 유출구 62 : 흡입구
64 : 토출구 66 : 만곡부

Claims (1)

  1. 본체(2) 내부에 송풍기(4)와, 흡음덕트(6)와, 필터부(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음덕트(6)는 내부에 다수개의 정류판(8)이 설치되고, 내측의 방향전환부위에 만곡부(6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형 공기정화기.
KR20-2005-0011481U 2005-04-25 2005-04-25 실내형 공기정화기 KR200388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81U KR200388990Y1 (ko) 2005-04-25 2005-04-25 실내형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81U KR200388990Y1 (ko) 2005-04-25 2005-04-25 실내형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990Y1 true KR200388990Y1 (ko) 2005-07-07

Family

ID=4369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81U KR200388990Y1 (ko) 2005-04-25 2005-04-25 실내형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71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и воздушног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путем перемешивания с приточным и вытяжным потоками, настилающимися за счет эффекта коанды
JPH0761300B2 (ja) 空気清浄機能付つい立て
JP2015098028A (ja) 壁掛け式の空気清浄機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4533411B2 (ja) 空気調和機
JP2007296524A (ja) 空気調和機
KR200427321Y1 (ko) 개인대응형 테이블 고정 베큠 장치
RU26058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увания очищенного воздуха
JPH0833227B2 (ja) 流体処理装置
KR200388990Y1 (ko) 실내형 공기정화기
KR200337123Y1 (ko) 실내형 공기정화기
JP2006317048A (ja) クリーンルーム
KR20050033250A (ko) 실내형 공기정화기
JP2022117409A (ja) 気流環境システム
KR200296823Y1 (ko)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JP3208642B2 (ja) 吸引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空気清浄機
JP2000018657A (ja) 局所清浄型空気清浄機
KR100480944B1 (ko)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KR200427322Y1 (ko) 베큠 장치의 노즐
CN114543324A (zh) 气流控制系统
JP2003014266A (ja) 空気清浄器及び部屋
JP3099234B2 (ja) エアーカーテン付空気清浄装置
US20230075567A1 (en) Microbial ventilation device
JP2000070633A (ja) 空気清浄機
KR101299505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