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860Y1 -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 Google Patents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860Y1
KR200388860Y1 KR20-2005-0011301U KR20050011301U KR200388860Y1 KR 200388860 Y1 KR200388860 Y1 KR 200388860Y1 KR 20050011301 U KR20050011301 U KR 20050011301U KR 200388860 Y1 KR200388860 Y1 KR 200388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diisocyanate
bending
weight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필
장관식
정상국
신동민
Original Assignee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9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g. ESD treated surface for rapid dissipation of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곡 후에도 헤이즈 현상이 없으면서 우수한 막 경도, 투명성과 전도성을 갖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는 기저 플라스틱 및 상기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이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계 바인더, 광 중합 개시제, 우레탄 중합체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Bendable antistatic sheet and Antistatic tray for electronic parts using it}
본 고안은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 후에도 헤이즈 현상이 없으면서 우수한 막 경도, 투명성과 전도성을 갖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 및 반도체의 고집적화에 따라 정전기 발생에 의한 제품 불량에 대한 문제가 대두하면서 정전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전자부품을 조립하거나 사용하는 데 있어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기는 작업자의 인체, 작업공간, 부품 자체, 조립 및 포장, 운반 과정에서의 작업자나 포장재료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전자부품의 불량 원인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완성된 전자부품의 보관 및 운반하는 케이스 등의 재료는 대전방지 기능이 있어야 한다.
대전방지 전자부품 케이스 또는 트레이의 제조는 절연체인 기저 플라스틱 표면에 대전방지 조성물을 코팅한 후 열 경화 또는 광 경화에 의해 건조시켜 얻어지는 대전방지 시트(sheet)를 사용하고 있다.
열 경화 코팅 방식은 기저 플라스틱 위에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 다양한 코팅 방식을 사용하여 대전방지용 필름 및 시트를 제조하므로,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 코팅액의 물성 조절에 따라 표면저항(102∼1010Ω/cm2)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액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부 기저 플라스틱에 대하여 접착력, 내용제성 및 막 경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광 경화형 코팅 방식은 저온에서 경화할 수 있고 경화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열 경화형 코팅 방식에 비해 우수한 막 경도, 내용제성, 내마모성 및 접착력 등의 성질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열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시트 제조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372,924호 및 제5,792,558호에서는 전도성 폴리티오펜(polythiophene)을 주원료로 하는 대전방지 조성물을 공개하고 있고, 또한 바이엘 기술 정보서(Bayer Technical Information, 독일 H. C. Starck사, 1996)에서는 다양한 구성의 조성물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국특허 제5,732,924호 및 제6,004,483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69253호 및 제2001-58446호에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용 하드 코팅제의 경우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 계통의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바인더, 광 개시제 및 용매 등이 포함된 조성물로서 플라스틱에 코팅하여 대전방지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 계통의 바인더로 코팅된 대전방지용 시트는 절곡 시 기판 플라스틱의 코팅층 부분이 끊어져 표면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대전 기능을 상당히 상실하게 될 뿐 아니라, 막 경도 및 내마모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곡에 의한 굽힘 작업 시 플라스틱이 흐리게 변하는 즉, 헤이즈(haze) 현상이 발생하면서 투명성을 잃게 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절곡 후에도 헤이즈 현상이 없으면서 우수한 막 경도, 투명성과 전도성을 갖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절곡 후에도 우수한 막 경도, 투명성과 전도성을 요구하는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 등을 제조함에 있어,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우레탄 중합체 수지를 첨가한 광 경화형 대전방지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곡 후에도 헤이즈 현상 없이 우수한 막 경도, 투명성과 탁월한 전도성을 겸비한 기능성 재료를 개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저 플라스틱 및 상기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은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계 바인더, 광 중합 개시제, 우레탄 중합체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대전방지 시트를 절곡 또는 진공 성형하여 제조되는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10, 20)는 기저플라스틱(11, 21)과 상기 기저 플라스틱(11, 21)의 양면 상에 형성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13, 23)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 플라스틱(11, 21)은 고분자 합성수지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A, PET G, PET G - PET A - PET G의 삼중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MPPO), 이들의 폴리머 블랜드, 이들의 공중합체,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층(21a, 2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 플라스틱(11, 21) 위에 형성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13, 23)은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계 바인더, 광 중합 개시제, 우레탄 중합체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막 경도와 함께 고연신율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 광 경화형 아크릴계 바인더, 광 개시제 및 용매로 이루어져 있는 코팅 조성물에 절곡 시 헤이즈(haze) 발생을 억제하면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우레탄 중합체 수지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광 경화형 아크릴 바인더 수지 10 내지 30중량%, 전도성 고분자 5 내지 20중량%, 우레탄 중합체 수지 10 내지 30중량%, 광 중합 개시제 0.5 내지 5중량%, 유기용매 50 내지 70중량%, 슬립제 0.1 내지 1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다양한 기저 플라스틱(11, 21)에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의 방식으로 코팅한 후 40∼70℃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10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코팅 조성물 내의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250 내지 600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시켜 경화하여 대전방지 시트(10, 2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신성을 부여하는 우레탄 중합체 수지로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촉매를 첨가하여 첨가중합 반응으로 제조한다. 촉매로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옥토에산주석, 1,4-디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적인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4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부가 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상술한 2가 알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알코올과 아디프산, 아젤라익산, 세바틴산 등의 2가 염기산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일반적으로 저렴하고 내수성이 양호하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강도가 높다. 본 고안에서는 용도 및 목적에 따라 폴리올의 종류 및 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 반응성, 기존범용 아크릴과의 혼용성 등의 관점에서도 폴리올의 종류, 분자량 및 사용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2량체, 3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수첨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m-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량체, 3량체 및 폴리페닐메탄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3량체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뷰렛형, 알로파네이트형 등을 들 수 있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는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수용성 폴리아닐린, 수용성 폴리피롤, 수용성 폴리티오펜, 수용성 폴리(3,4-에틸렌티오펜), 이들의 유도체나 공중합체, 수용성 및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π-공액계 전기 전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 α-케톨, 2-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설포닐클로라이드,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의 광 활성 옥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우레탄 중합체를 형성할 때에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광 중합 개시제를 공존시킴으로써 우레탄 중합체 중에 광 중합 개시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때에 우레탄-아크릴의 블록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서 고연신과 막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바인더로는 기존 시판되고 있는 광 경화성 아크릴계 바인더 또는 변성 아크릴계, 아크릴 공중합체 계통의 바인더 등이 포함된다.[SK UCB Co(Up-016 등 UP series), Young's Co(UV#PL&-100 등 UV#PL& series), Samsung Chemical(UV#HD-100E 등 UV# series), CC Tech Co(CH-KP1 등 CH-KP series).]
용매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2-부탄온, 4-메틸-2-펜탄온,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메틸셀로솔브(methyl cellosolve),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벤질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N-메틸-2-피롤리돈(NMP),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셀로솔브 등이 바람직하다.
슬립제로는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polyether siloxane copolymer), 변성 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대전방지 시트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30, 40)는 상기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10, 20)를 절곡 또는 진공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진공 성형은 대전방지 시트를 가열 연화시켜 몰드(mold)와 시트와의 사이를 진공으로 하여 시트를 몰드에 밀착시켜 성형하는 방법이다.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30, 40)는 주로 전자부품을 수납하여 반송이나 검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30, 40)의 형상은 본 고안에서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전자부품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디자인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계 바인더(SK USB Co, UP-016) 15중량%, 에틸셀로솔브 3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27중량%, 디메틸설폭사이드 2.8중량%, 우레탄 바인더 15중량%, 수용성 분산액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Baytron PH) 10중량%, 슬립제(Tego glide 450) 0.1중량%, 분산제 0.1중량%를 혼합한 후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상기 우레탄 바인더 기준으로 하여 2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우레탄 바인더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4000, 한국폴리올) 20∼40중량%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2000, 한국폴리올) 30∼50중량%, 분자길이 조절제(chain extender) 1,4-부탄디올 0.5∼5중량%,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1∼20중량%을 반응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을 ABS 기저 플라스틱에 그라비아 코팅 방식에 의해 코팅한 후 50℃ 온도에서 4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코팅 조성물 내의 용매를 제거한 후 400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우수한 막 경도, 헤이즈 현상없는 투명성과 탁월한 전도성을 동시에 갖춘 대전방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대전방지 시트의 표면저항은 ASTM D257 측정방법에 의거 55% RH, 23℃, 인가전압 500V의 조건으로 측정 시 2x106Ω/cm2을 나타내었다. 막 경도는 연필경도 측정법(ASTM D3502)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5H를 나타내었고, 투명도는 UV 포토메터(Simazu Co.)를 이용하여 가시광선(550nm) 영역에서 95% 투과도로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 시트를 300% 연신하여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의 물성은 표면 저항 ASTM D257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 시 3x107Ω/cm2을 나타내었고, 막 경도는 연필경도 측정법(ASTM D3502)에 의해 측정 시 4H, 투명도는 UV 포토메터(Simazu Co.)를 이용하여 가시광선(550nm) 영역에서 93% 투과도로 측정되었고, 헤이즈 현상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비교예 1>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에 우레탄 바인더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대전방지 시트 및 트레이의 물성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연신 전 연신 후(300%) 연신 전 연신 후(300%)
표면저항(Ω/cm2) 2x106 3x107 2x106 8x1011
투명도(%) 95 93 95 70
헤이즈 현상 없음 없음 없음 있음
막경도(H) 5 4 5 1
본 고안은 절곡 시 헤이즈 현상 없이 투명성, 우수한 막 경도와 전도성을 동시에 갖춘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대전방지 시트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의 사시도.

Claims (7)

  1. 기저 플라스틱 및 상기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층이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계 바인더, 광 중합 개시제, 우레탄 중합체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플라스틱은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이들의 폴리머 블랜드, 이들의 공중합체,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에이비에스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수지 10 내지 30중량%, 전도성 고분자 5 내지 20중량%, 우레탄 중합체 수지 10 내지 30중량%, 광 중합 개시제 0.5 내지 5중량%, 유기용매 50 내지 70중량%, 슬립제 0.1 내지 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수용성 폴리아닐린, 수용성 폴리피롤, 수용성 폴리티오펜, 수용성 폴리(3,4-에틸렌티오펜), 이들의 유도체나 공중합체, 수용성 및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π-공액계 전기 전도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중합체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첨가중합 반응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으로 이루어진 2가 알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3가 알코올; 펜타에리트리톨의 4가 알코올;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부가 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올; 상기 2가 알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과 아디프산, 아젤라익산, 세바틴산의 2가 염기산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카보네이트폴리올; 에폭시폴리올;카프로락톤폴리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m-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2량체, 3량체 중에서 선택되며, 3량체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뷰렛형, 알로파네이트형이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전방지 시트를 절곡 또는 진공 성형하여 제조되는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KR20-2005-0011301U 2005-04-22 2005-04-22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KR200388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301U KR200388860Y1 (ko) 2005-04-22 2005-04-22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301U KR200388860Y1 (ko) 2005-04-22 2005-04-22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860Y1 true KR200388860Y1 (ko) 2005-07-07

Family

ID=4369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301U KR200388860Y1 (ko) 2005-04-22 2005-04-22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8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06B1 (ko) 2008-01-29 2010-06-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도전성 코팅제, 이를 이용한 무연신 도전시트 및 이로부터성형된 포장재
KR101031781B1 (ko) 2009-08-31 2011-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05063B1 (ko) 2013-11-13 2015-03-25 주식회사 엔에스엠 전지 이송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KR101516312B1 (ko) * 2013-10-11 2015-05-04 주식회사 엔에스엠 전지 이송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06B1 (ko) 2008-01-29 2010-06-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도전성 코팅제, 이를 이용한 무연신 도전시트 및 이로부터성형된 포장재
KR101031781B1 (ko) 2009-08-31 2011-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16312B1 (ko) * 2013-10-11 2015-05-04 주식회사 엔에스엠 전지 이송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KR101505063B1 (ko) 2013-11-13 2015-03-25 주식회사 엔에스엠 전지 이송용 트레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152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US20220064466A1 (en) Dielectric ink composition
KR101717405B1 (ko) 셀 포장재료 및 그 제조방법
US9375867B2 (en) Transfer film for in-mold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685733B1 (ko)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19489B1 (ko)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 방법, 마스터 배치, 잉크용 바인더, 잉크 조성물, 성형용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성형체, 복합 성형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58331B2 (ja) 自己復元特性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層形成用組成物、コーティング層およびフィルム
TW201433456A (zh) 模內成形用轉印膜、模內成形體的製造方法及成形體
KR200388860Y1 (ko) 절곡이 가능한 대전방지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대전방지 트레이
KR101723472B1 (ko) 도포 필름
KR101803865B1 (ko) 도포 필름
KR101777578B1 (ko) 도포 필름
KR101888379B1 (ko) 스크래치에 대한 자가복원능력을 갖는 인몰드 코팅 조성물
JP7391462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2321497A (ja) 帯電防止転写箔及び成型品の製造方法
EP3922657A1 (en) Uv-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vacuum forming and replica film of real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US11767390B2 (en) UV-curable resin composition enabling thermoforming and replica film of real material comprising same
KR100814751B1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
KR102426963B1 (ko) 포토 마스크 보관 케이스용 대전 방지 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대전 방지 특성의 회복 방법
KR200408371Y1 (ko) 대전방지 평판
KR101600390B1 (ko) 유연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형성방법
KR101768083B1 (ko) 광학필름코팅용 수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JP7467880B2 (ja) 積層体及びプレス成形法
KR20120082348A (ko) 아크릴 변성 우레탄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성형물
KR20230083114A (ko)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