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183Y1 -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183Y1
KR200388183Y1 KR20-2005-0009203U KR20050009203U KR200388183Y1 KR 200388183 Y1 KR200388183 Y1 KR 200388183Y1 KR 20050009203 U KR20050009203 U KR 20050009203U KR 200388183 Y1 KR200388183 Y1 KR 200388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seesaw
exercise equipment
type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영
Original Assignee
양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영 filed Critical 양재영
Priority to KR20-2005-0009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단 중앙부에 장착편(2b)이 구성된 본체(2)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장착편(2b)에 장착되어 축을 이루는 받침대(3)로 구성되어져 이 받침대(3)에 의해 본체(2)가 시소와 같이 유동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3)는 역삼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엎드린 자세에서 손으로 본체를 잡거나 서있는 자세에서 본체에 올라간 후 본체를 흔들게 되면 본체가 받침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유동되어져 해당 부위를 골고루 자극하게 되어 신체의 불균형을 치료함은 물론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Seesaw type of the whole body sporting goods}
본 고안은 어깨 및 골반 등을 교정하기 위한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형상의 본체 하부 중앙에 받침대를 장착하여 본체 양끝단을 손으로 잡거나 본체상에 올라서서 온몸을 흔들게 되면 받침대를 축으로 본체가 시소와 같이 유동되어 근육을 풀어주거나 좌우 비대칭인 어깨 및 골반 등의 각 신체부위를 골고루 이완시켜 교정해줄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바쁜 일과로 시간적인 여유가 적어 건강을 위해 오전시간이나 퇴근후인 오후시간 등 시간을 쪼개어 헬스장과 같은 운동기구가 구비된 장소에서 운동을 즐기고 있으며, 이 또한 여유치 않은 사람들은 통상 다목적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가정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헬스장과 같은 장소에서 운동을 할 경우 고가인 사용료에 의해 비용부담이 적지 않아 잘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구성된 싸이클링, 가슴완력기, 다리완력기 등에 의해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전신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운동기구의 구입 비용이 고가이고, 운동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일반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가정에 배치한 후 사용하기에는 공간활용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소음으로 인한 아래 위층간 언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컴퓨터를 오래 다루는 직장인이나 학생 또는 높은 굽의 구두를 신고 다니는 여성 등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의자에 앉는 습관이 바르지 못해 척추가 휘어지거나 골반이 좌우 비대칭으로 변모하여 디스크 등 각종 질병이 유발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단 중앙부에 장착편이 구성된 본체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장착편에 장착되어 축을 이루는 받침대로 구성되어져 이 받침대에 의해 본체가 시소와 같이 유동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원형이나 역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엎드린 자세에서 손으로 본체를 잡거나 서있는 자세에서 본체에 올라간 후 본체를 흔들게 되면 본체가 받침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유동되어져 해당 부위를 골고루 자극하게 되어 신체의 불균형을 치료함은 물론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운동기구(1)는 본체(2)와, 받침대(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본체(2)는 나비 형상으로 구성된 판재(2a)가 구성되어지며 이 판재(2a) 하단 중앙부에 장착편(2b)이 일체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2a) 양쪽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4)이 부착 구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2a) 상단 일면에는 판재(2a)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5)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5)는 판재(2a)에 나사식이나 고리식 등의 어느 하나로 고정되어지게 되며, 사용자의 키에 맞게 탄성될 수 있도록 신축재질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대(3)는 상부에 본체(2)의 장착편(2b)에 장착되어지는 홈(3a)이 구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는 역삼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지게 되며, 운동의 강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높이가 다양하게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운동기구(1)를 사용하여 상체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본체(2)의 판재(2a) 양끝단을 손으로 잡거나 판재(2a)상에 손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쪽 어깨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본체(2)가 받침대(3)를 축으로 하여 시소와 같이 양끝단이 번갈아가면서 상하로 올라갔다 내려가게 되어 자연스럽게 어깨나 팔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양쪽 어깨의 바란스를 맞춰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1)로 하체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판재(2a) 상단 양쪽면에 두 발을 올려놓은 후 양쪽 발을 번갈아가면서 움직이게 되면 상기와 같이 본체(2)가 받침대(3)를 축으로 양끝단이 반복적으로 올라갔다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리와 함께 복부 및 옆구리 그리고 허리도 움직이게 되어 자연스럽게 각 부위의 근육이 수축과 이완되어져 근육을 풀어주게 되며, 척추의 휘어짐이나 골반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음과 또한 척추나 골반의 바란스를 맞춰주어 척추의 휘어짐이나 골반의 불균형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재(2a)상에 부착된 자석(4)에 의해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5)를 손으로 잡고 있을 수 있어 상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하체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판재(2a)를 손으로 잡거나 판재(2a)상에 올라서서 운동을 하는 것 외에도 판재(2a)상에 엉덩이를 올려놓고 앉아서 운동을 하여도 상기에서 처럼 운동효율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 하단 중앙부에 받침대가 장착된 운동기구를 구비하여 엎드린 자세에서 본체를 손으로 잡고 어깨를 움직이거나 본체에 올라간 상태에서 다리를 움직이게 되면 받침대에 의해 본체가 받침대를 축으로 양끝단이 시소형식으로 번갈아가면서 반복적으로 상하 유동되어지게 됨으로 공간이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의 편리성 및 간편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운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운동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운동기구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다른 일예를 보인 정면도
도 5 및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동기구 (2) : 본체
(2a) : 판재 (2b) : 장착편
(3) : 받침대 (3a) : 홈
(4) : 자석 (5) : 손잡이

Claims (7)

  1. 일정 형상의 판재(2a)가 구성되어지며 이 판재(2a) 하단 중앙부에 장착편(2b)이 일체로 구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장착편(2b)에 결합되어지게 상부에 홈(3a)이 구성된 받침대(3);
    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2a) 양쪽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4)이 부착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2a)가 나비 형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2a) 상단 일면에는 판재(2a)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5)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는 사용자의 키에 맞게 탄성될 수 있도록 신축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는 원형이나 역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는 운동의 강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높이가 다양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KR20-2005-0009203U 2005-04-04 2005-04-04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KR200388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03U KR200388183Y1 (ko) 2005-04-04 2005-04-04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03U KR200388183Y1 (ko) 2005-04-04 2005-04-04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183Y1 true KR200388183Y1 (ko) 2005-06-29

Family

ID=4368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03U KR200388183Y1 (ko) 2005-04-04 2005-04-04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1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09B1 (ko) * 2012-12-27 2014-11-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밸런스 보드 및 이를 구비한 밸런스 체어
WO2019022513A1 (ko) * 2017-07-26 2019-01-31 김대승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KR20210114658A (ko) * 2020-03-11 2021-09-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09B1 (ko) * 2012-12-27 2014-11-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밸런스 보드 및 이를 구비한 밸런스 체어
WO2019022513A1 (ko) * 2017-07-26 2019-01-31 김대승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KR20210114658A (ko) * 2020-03-11 2021-09-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KR102305699B1 (ko) * 2020-03-11 2021-09-27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958Y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7637855B2 (en)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US7357766B2 (en) Adaptable body conditioning apparatus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JP5843119B2 (ja) ストレッチ器具
GB2383759A (en) Compliant body pressing exerciser
JP3012203U (ja) 健康器具
CA2841823A1 (en)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US8668633B2 (en) Waist and hip developer
KR200388183Y1 (ko) 시소형 전신 운동기구
KR20110014907A (ko) 상하체 운동이 가능한 헬스 자전거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WO2009042255A1 (en)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US6663541B1 (en) Exercise machine provided with means to enable a user thereof to assume interchangeably a seated position and an inverted position
KR102180349B1 (ko) 시소 작용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AU2013100198A4 (en) Waist and hip developer
KR100983293B1 (ko) 상체운동기구
KR200438233Y1 (ko)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기구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KR20180093846A (ko) 하지운동기구
JP2020006125A (ja) 体幹リラックスマシーン
CN217660666U (zh) 手脚按摩器
JP3218127U (ja) 足首運動器具
KR20090037265A (ko) 다기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