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25Y1 -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 Google Patents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25Y1
KR200387725Y1 KR20-2005-0009072U KR20050009072U KR200387725Y1 KR 200387725 Y1 KR200387725 Y1 KR 200387725Y1 KR 20050009072 U KR20050009072 U KR 20050009072U KR 200387725 Y1 KR200387725 Y1 KR 200387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lange
fastening
pip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완기
안순영
Original Assignee
백완기
안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완기, 안순영 filed Critical 백완기
Priority to KR20-2005-0009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오수받이(배수조)에 뚫어진 집수공과 배수공에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열설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연결관의 단부에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연접시키되,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장치부에 의해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조에 고정되는 연결관에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상하좌우의 방향(각도)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 하므로서 설치되는 집수관 또는 배수관에 부합되도록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고,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의 구조를 다양하게 하여 설치조건에 따라 가장 부합되는 것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를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조립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더불어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A IN Outlet Direction Settle Connecter Of Dirt Water Tank}
본 고안은 하수 및 오수를 수집하는 집수(유입)관이 연결되는 집수변과 배수(유출)관이 연결되어지는 배수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해 줄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오수받이(배수조)에 뚫어지는 집수공과 배수공에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연결관의 단부에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연접시키되,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장치부(30)에 의해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우,오수받이(배수조)는 집수관을 통하여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면 배수구의 높이까지 충진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슬러지 등이 침전되도록 하고, 충진량이 증가하여 배수구까지 상승하게 되면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배출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대체로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우,오수가 원활하게 유입(집수)되고 배수(배출)되도록 집수공이 배수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뚫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우,오수받이(배수조)는 배수조를 생산할 때에 집수공과 배수공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공을 실시할 때에 집수관과 배수관의 위치와 유입 및 배출 각도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 접속구(또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집수관과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이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집수관과 배수관을 강제로 설치하게 되면 집수관과 배수관이 깨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집수관과 배수관을 집수공과 배수공에 일치되도록 설치하기 위해 집수공과 배수공을 강제적으로 확개시키기도 하며, 상기와 같이 집수공과 배수공 또는 집수관과 배수관 등이 파손되면 누수형상이 발생하여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집수공 및 배수공과 집수관 및 배수관을 연결시켜 주는 접속구(또는 연결구)의 높낮이 및 각도를 가변시켜 주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허등록 제2594373호와 특허등록 제2735166호의 "배수변"이 알려져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322595호의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와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2002- 70418호의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허등록 제2594373호와 일본국 특허등록 제2735166호의 "배수변"은, 양단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관의 외면에 유입관을 유입구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하여 집수관을 결합시키되, 유입관과 집수관의 대응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입관과 집수관의 경사진 선단에 환상돌부와 계합부를 형성하여 환상돌부를 계합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각도 조절이 시공 현장에서 신속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환상돌부와 계합부를 강제적으로 결합시키므로 계합부가 확개되어 밀폐력과 결속력이 떨어져 누수 되는 문제가 있고, 결합후 체결조임 기능이 전혀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각도가 변경되거나 결속력이 느슨해지므로 누수의 문제도 우려된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의 등록용신안 제 322595호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는, 배수조본체에 통공된 유입구(유출구)에 고정테를 끼워 결합시키고, 고정테에는 장공이 중앙에 통공된 조정부재를 삽입하여 장입시키며, 조정부재의 장공에는 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를 외측에서 삽입시켜 내측에서 커버를 끼운 후에 커넥터로 결합시키며, 외측의 커넥터에 유입관(유출관)을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서, 조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커넥터를 장공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하의 높낮이와 좌우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유입관과 유출관이 경사지게 유입 유출될 때에는 이에 맞춰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2002- 70418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은, 배수조에 유입공과 유출공을 상하로 긴 장공으로 통공하여 내측관의 외측에 외벽판이 결합되는 배수유입관과 내벽판이 형성된 내축관을 장공의 내외측에서 서로 나사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분해/결합은 다소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나사 결합되는 배수유입관과 내축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낮이는 다소 조절할 수 있으나, 좌우의 폭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특히 각도를 전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유입관과 유출관이 경사지게 유입/배출될 때에는 이를 맞춰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우,오수받이(배수조)에 뚫어지는 집수공과 배수공에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연결관의 단부에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연접시키되,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장치부에 의해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오수받이(배수조)에 고정되는 연결관에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하좌우의 방향(각도)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 하므로서 설치되는 집수관 또는 배수관에 부합되도록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의 구조를 다양하게 하여 설치조건에 따라 가장 부합되는 것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구조를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조립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으로 형성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집수공(3)과 배수공(4)을 뚫고, 그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집수관(5)과 배수관(6)을 각각 연결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뚫어지는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일체형으로 되고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의 단부에 연접되며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결합 되는 결속체(20)와,
연결관(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입각도조절변(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입각도조절변(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 내지 도2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입 각도조절변(1)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결합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고,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입각도조절변(1)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입각도조절변(1)의 또 다른 체결장치부의 실시 예들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본 고안의 기본형을 보인 것이다.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하나씩의 집수공(3)과 배수공(4)을 상하로 유지시키면서 뚫어 주고, 각 집수공(3)과 배수공(4)에는 연결관(10)을 일체로 형성하되, 연결관(10)의 외측 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였고 외주연에 경사플랜지(11)를 형성하였으며, 경사플랜지(11)의 외면에는 결속체(20)를 체결장치부(30)에 의해 조립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속체(20)는 경사플랜지(11)와 동일하게 결속플랜지(23)를 경사지게 형성하였고, 결속플랜지(23)의 외면에는 내면이 내곡면(22)으로 되고 외측단부가 일직선(평면형)으로 된 각도발생관(21)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일직선(평면형)으로 된 각도발생관(21)의 외측단부에는 삽입 결합되는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내면에 단턱(25)이 형성된 접속관(24)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각도발생관(21)의 결속플랜지(23)는 체결장치부(30)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상기 체결장치부(30)는,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에 수용돌테(12)를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용돌테(12)의 외주 면에 나사부(35)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수납된 결속플랜지(23)는 체결캡(31)에 체결시키도록 하였으며, 상기 체결캡(31)은 외주관(32)의 일단에 억류링판(33)을 내측으로 형성하고 외주관(32)의 내면에 나사부(35)를 형성하여 수용돌테(12)의 나사부(35)와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한 쌍(또는 그 이상)의 집수공(3)과 하나의 배수공(4)을 상하로 유지시키면서 뚫어 주고, 각 집수공(3)과 배수공(4)에는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관(10)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연결관(10)에 형성된 경사플랜지(11)의 외면에는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삽입 결합되는 곡형각도발생관(21)이 형성된 결속체(20)를 체결장치부(30)에 의해 조립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경사플랜지(11)는 수평선상(0)을 기준으로 하여 ∠45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경사플랜지(11)에 결합되는 결속체(20)의 곡형각도발생관(21)이 도 3a의 수직선상에서 도 3b의 수평선상의 ∠90도 범위에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한 쌍(또는 그 이상)의 집수공(3)과 하나의 배수공(4)을 상하로 유지시키면서 뚫어 주고, 각 집수공(3)과 배수공(4)에는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관(10)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연결관(10)에 형성된 경사플랜지(11)에는 결속플랜지(23)에 곡형각도발생관(21)이 형성된 결속체(20)를 체결장치부(30)에 의해 조립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5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형성함에 있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결속판(11)의 외주에 체결링테(12)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판(23)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체결링테(12)에는 복수개의 너트공(12-1)을 등 간격으로 뚫어서 선단이 원뿔(46)로 된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하였으며, 결속체(20)를 형성하는 결속판(23)의 외주 후단(모서리)에는 경사면(23-1)을 후방으로 형성하여 체결링테(12)의 너트공(12-1)에 나사 결합되는 경사볼트(45)의 원뿔(46)이 경사면(23-1)을 압착하도록 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형성함에 있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연접되어지는 연결관(10)과 결속체(2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외측에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로 된 볼트(55), 너트(56)를 이용하여 결합시켰는데, 상기 체결밴드(50)는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반원링(51)의 양단에는 체결공(54)이 통공된 체결편(53)을 외측으로 전개시켜 형성하였으며, 특히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형성함에 있어 내측의 폭(W2)을 연접되는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폭(W1)보다 작게 형성하고 외측 입구의 폭(W3)을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폭(W1)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각도(∠θ2)만큼 확개되도록 하였다.
도 7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형성함에 있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결속체(20)를 형성하는 결속플랜지(23)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경사플랜지(11)를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장착하여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를 억류시키도록 하였는데, 상기 체결클립(60)은 체결캡(61)을 ■■ㄷ■■으로 형성하고, 체결캡(61)의 내면에서 상측과 일측에 지지덧살부(62)를 일체로 형성하며, 지지덧살부(62)가 형성된 외측면에는 너트공(63)을 형성하여 클립볼트(64)를 나사 결합시켰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형성함에 있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에는 복수 개의 (타원형) 체결공(67)(68)을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동심원상에 뚫어서 통상의 관통볼트(65)와 너트(66)로 체결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도 9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형성함에 있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10)과 결속체(20)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수용돌테(12)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되 수용돌테(12)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8)를 형성하고, 결속체(20)를 형성하는 결속플랜지(23)의 외측에서 수용돌테(12)의 나사부(38)에 외측체결조임캡(31-1)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외측체결조임캡(31-1)은 내주관(35)의 외측 단부에 억류링테(36)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주관(35)의 선단이 결속플랜지(23)를 밀어주도록 하였고 내주관(35)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37)를 형성하여 수용돌테(12)의 나사부(38)에 나사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다음과 같이 설치(사용)하게 된다.
우,오수받이(배수조)(2)의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각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는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삽입(유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캡(31)의 나사부(35)를 수용돌테(12)의 나사부(34)에 다소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켜 주고, 결속체(20)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결속체(20)를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며, 결속체(20)의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되 선단이 단턱(25)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완전히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느슨하게 조여진 체결캡(31)을 완전히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의 설치(장착)를 완료하게 된다.
체결캡(31)을 완전히 조여(나사 결합하여)주면, 결속플랜지(23)는 경사플랜지(11)에 완전히 당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체결캡(31)의 억류링판(33)이 결속플랜지(23)의 후면을 강력하게 밀어 받쳐 주게 되며, 당접된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각 오링홈(13)(26)에 매설된 오링(14)(27)이 타측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수관(5)과 배수관(6)을 설치하여 주면, 집수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오수는 집수관(5)을 향하여 설치된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2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집수공(3)을 통하여 배수조(2)로 유입되고, 배수조(2)로 유입된 우오수는 배수공(4)을 통하여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21)을 거쳐 배수관(6)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우오수는 각도발생관(2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배수관(6)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한 쌍의 집수공(3)과 하나의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각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는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삽입(유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캡(31)의 나사부(35)를 수용돌테(12)의 나사부(34)에 다소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키고, 결속체(20)를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며, 결속체(20)의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선단이 단턱(25)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느슨하게 조여진 체결캡(31)을 완전히 조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의 설치(장착)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수관(5)과 배수관(6)을 설치하여 주면, 집수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오수는 집수관(5)을 향하여 설치된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2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집수공(3)을 통하여 배수조(2)로 유입되고, 배수조(2)로 유입된 우오수는 배수공(4)을 통하여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21)을 거쳐 배수관(6)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우오수는 각도발생관(2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배수관(6)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특히, 집수공(3)에 형성된 각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가 수평선상(0)을 기준으로 하여 ∠45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 경사플랜지(11)에 결합되는 결속체(20)의 곡형각도발생관(21)은 도 3a의 수직선상에서 도 3b의 수평선상인 ∠90도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면서 입수관(5)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한 쌍의 집수공(3)과 하나의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각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는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삽입(유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캡(31)의 나사부(35)를 수용돌테(12)의 나사부(34)에 다소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키고, 결속체(20)를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곡형각도발생관(21-1)을 배수공(4)과는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완전히 전개시켜 줄 수 있으므로 상기 곡형각도발생관(21-1)이 형성된 결속체(20)를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며, 결속체(20)의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선단이 단턱(25)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느슨하게 조여진 체결캡(31)을 완전히 조여 줌으로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의 설치(장착)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수관(5)과 배수관(6)을 설치하여 주면, 집수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오수는 집수관(5)을 향하여 설치된 결속체(20)의 곡형각도발생관(21-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집수공(3)을 통하여 배수조(2)로 유입되고, 배수조(2)로 유입된 우오수는 배수공(4)을 통하여 결속체(20)의 곡형각도발생관(21-1)을 거쳐 배수관(6)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우오수는 곡형각도발생관(21-1)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배수관(6)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집수공(3)과 하나의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는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삽입(유입)시킨 상태에서 연결관(10)의 수용돌테(12)에 뚫어진 각 너트공(12-1)에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시키되 다소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켜 주고, 결속체(20)를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 상태에서 결속체(20)의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선단이 단턱(25)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결합시켜 주며, 이 상태에서 느슨하게 조여진 경사볼트(45)를 완전히 조여 주게 되면 경사볼트(45)의 원뿔(46)이 경사면(23-1)을 압착하여 억류시켜 줌으로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의 설치(장착)를 완료하게 되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오수가 유입(집수)되고 배출(배수)된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다음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우,오수받이(배수조)(2)의 집수공(3) 또는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그 외측에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결합시켜 대응되게 유지되는 체결편(53)의 체결공(54)에 볼트(55), 너트(56)를 다소 느슨하게 체결시키고, 결속체(20)를 회전시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주며, 결속체(20)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준 후에 볼트(55), 너트(56)를 완전히 체결시켜 주면 (∠θ2)만큼 경사진 결속링(52)의 내면이 각 결속판(10)(20)의 외면 모서리를 서로 밀어주게 되므로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는 밀접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당접된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사이는 각 전면의 환상홈(13)(26)에 매설된 오링(14)(27)이 타측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20)의 접속관(24)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오수가 유입(집수)되고 배출(배수)되는 것이다.
도 7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우,오수받이(배수조)(2)의 집수공(3) 또는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을 서로 연접시키되, 결속플랜지(23)의 외주에 형성된 수용돌테(28)를 경사플랜지(11)의 외측으로 결합하여 경사플랜지(11)를 수용(삽입)시키고, 경사플랜지(11)와 그 외측에 결합된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삽입 장착하여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를 억류시키도록 하되 상기 체결클립(60)의 외측면에 형성된 너트공(63)에는 클립볼트(64)를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키며, 결속체(20)를 회전시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 후에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완전히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며, 이 상태에서 느슨하게 조여진 클립볼트(64)를 완전히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오수가 유입(집수)되고 배출(배수)되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유출입 각도조절변(1)은, 우,오수받이(배수조)(2)의 집수공(3) 또는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서로 연접시키되,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 경사플랜지(11)를 삽입하여 수용시키고, 결속체(20)를 회전시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 후에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완전히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며,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67)(68)들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관통볼트(65)와 너트(66)를 체결하여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오수가 유입(집수)되고 배출(배수)되는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유출입각도조절변(1)은, 우,오수받이(배수조)(2)의 집수공(3) 또는 배수공(4)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을 서로 연접시키되,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형성된 수용돌테(12)에 결속플랜지(23)를 삽입하여 수용시키고, 결속플랜지(35)의 후면(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용돌테(12)의 나사부(38)에 외측체결조임캡(31-1)을 다소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키며, 결속체(20)를 회전시켜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시켜 준 후에 접속관(24)에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을 완전히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며, 느슨히게 조여진 외측체결조임캡(31-1)을 완전히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도 1 내지 도 2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오수가 유입(집수)되고 배출(배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출입각도조절변(1)을 설치하게 되면, 집수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오수는 집수관(5)을 향하도록 설치된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 또는 곡형각도발생관(21-1)의 곡면(22)을 따라 자연스럽게 통과하면서 우,오수받이(배수조)(2)로 집수되고,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집수된 우,오수는 배수공(4)을 통하여 결속체(20)의 각도발생관(21) 또는 곡형각도발생관(21-1)을 거쳐 배수관(6)으로 배출되는데, 각도발생관(21) 또는 곡형각도발생관(21-1)으로 배출되는 우,오수는 곡면(22)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배수관(6)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은 배수조에 뚫어진 집수공과 배수공에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연결관의 단부에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연접시키되,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장치부에 의해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우,오수받이(배수조)에 고정되는 연결관에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결합되는 결속체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상하좌우의 방향(각도)으로 회전시켜 설치되는 집수관 또는 배수관에 부합되도록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고,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와 결속체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의 구조를 다양하게 하여 설치조건에 따라 가장 부합되는 것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를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조립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설치 조립하고 분리 해체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더불어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예시된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의 결합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의 체결장치부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출입각도조절변 2: 우,오수받이(배수조) 3: 집수공
4: 배수공 5: 집수관 6: 배수관
10: 연결관 11: 경사플랜지 13: 수용돌테
20: 각도가변결속체 21: 각도발생관 22: 내곡면
23: 결속플랜지 24: 접속관 30: 체결장치부

Claims (10)

  1.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으로 형성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집수공(3)과 배수공(4)을 뚫고, 그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집수관(5)과 배수관(6)을 각각 연결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우,오수받이(배수조)(2)에 뚫어지는 집수공(3)과 배수공(4)에 일체형으로 되고 단부가 경사면으로 된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의 단부에 연접되며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결합 되는 결속체(20)와,
    연결관(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단부에 연접되고 집수관(5) 또는 배수관(6)이 결합되는 결속체(20)는,
    각도발생관(21) 또는 곡형각도발생관(21-1)의 선단면에 결속플랜지(23)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과,
    각도발생관(21) 또는 곡형각도발생관(21-1)의 후단면에는 내부에 단턱(25)이 형성된 접속관(24)을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는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용하는 수용돌테(12)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한 것과,
    수용돌테(12)의 나사부(34)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체결조임캡(31)은 외주관(32)의 내측 단부에는 결속플랜지(23)에 걸리는 억류링판(33)을 일체로 형성하고 외주관(32)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5)를 형성하여 수용돌테(12)의 나사부(34)에 나사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결속판(11)의 외주에 체결링테(12)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판(2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체결링테(12)에는 복수개의 너트공(12-1)을 등 간격으로 뚫어 선단이 원뿔(46)로 된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시킨 것과,
    결속체(20)를 형성하는 결속판(23)의 외주 후단에 경사면(23-1)을 형성하여 체결링테(12)의 너트공(12-1)에 나사 결합되는 경사볼트(45)의 원뿔(46)이 압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연접되는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외측에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씌우고 볼트(55) 너트(56)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과,
    상기 체결밴드(50)는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일체로 형성하고 반원링(51)의 양단에는 체결공(54)이 통공된 체결편(53)을 외측으로 전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결속체(20)를 형성하는 결속플랜지(23)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경사플랜지(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장착하여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를 억류시키도록 한 것과,
    상기 체결클립(60)은, 체결캡(61)을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체결캡(61)의 내면에서 상측과 일측에 지지덧살부(62)를 형성하며 지지덧살부(62)가 형성된 측면에는 너트공(63)을 형성하여 클립볼트(64)를 나사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에는 타원형으로 된 복수 개의 체결공(67)(68)을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동심원상에 뚫어준 것과,
    체결공(67)(68)에 통상의 관통볼트(65)와 너트(66)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경사플랜지(11)와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부(30)는,
    연결관(10)을 형성하는 경사플랜지(11)의 외주에 수용돌테(12)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결속체(20)의 결속플랜지(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수용돌테(12)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8)를 형성하여 결속플랜지(23)의 외측에서 외측체결조임캡(31-1)을 나사 결합시킨 것과,
    외측체결조임캡(31-1)은 내주관(35)의 외측 단부에 억류링테(36)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주관(35)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37)를 형성하여 수용돌테(12)의 나사부(38)에 나사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9. 청구항 6에 있어서,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외측에 한 쌍의 체결밴드(50)는,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결속링판(52)의 내측 폭(W2)을 연접되는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폭(W1)보다 작게 형성하고, 외측 입구의 폭(W3)을 경사플랜지(11)와 결속플랜지(23)의 폭(W1)보다 다소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관(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경사플랜지(11)는 수평선상(0)을 기준으로 하여 ∠45 각도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KR20-2005-0009072U 2005-04-01 2005-04-01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KR200387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72U KR200387725Y1 (ko) 2005-04-01 2005-04-01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72U KR200387725Y1 (ko) 2005-04-01 2005-04-01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25Y1 true KR200387725Y1 (ko) 2005-06-21

Family

ID=4368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72U KR200387725Y1 (ko) 2005-04-01 2005-04-01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78B1 (ko) 2007-10-30 2010-04-30 두리화학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KR100971231B1 (ko) 2008-07-17 2010-07-20 백완기 가변 풍량 조절 장치
KR101721206B1 (ko) * 2016-10-27 2017-03-30 나유진 올인원 빗물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78B1 (ko) 2007-10-30 2010-04-30 두리화학 주식회사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KR100971231B1 (ko) 2008-07-17 2010-07-20 백완기 가변 풍량 조절 장치
KR101721206B1 (ko) * 2016-10-27 2017-03-30 나유진 올인원 빗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538B1 (en) Hydration system for animals
US7625488B2 (en) Waste water strainer
US20030024568A1 (en) Reject water drain line install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under sink reverse osmosis filter system
RU2010143664A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RU2010112644A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смонтированных 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м кране фильтрующих систем
KR20038772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US20070180602A1 (en) Drain assembly
WO2016185375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US20130025046A1 (en) Drain assembly
KR200409569Y1 (ko)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395202Y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200387800Y1 (ko) 가변각도 이음관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387724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 조절변
KR20160003586U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100955478B1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CN213038534U (zh) 一种便于拆装的组合式排水管道
CN216007190U (zh) 一种方便拆卸带过滤装置的给排水管道
KR200306387Y1 (ko) 가변형 배출구를 갖는 집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