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230Y1 - 자동차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230Y1
KR200387230Y1 KR20-2005-0008103U KR20050008103U KR200387230Y1 KR 200387230 Y1 KR200387230 Y1 KR 200387230Y1 KR 20050008103 U KR20050008103 U KR 20050008103U KR 200387230 Y1 KR200387230 Y1 KR 200387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river
rearview mirror
impossib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왕 현 빌리안
Original Assignee
덕왕 현 빌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왕 현 빌리안 filed Critical 덕왕 현 빌리안
Priority to KR20-2005-0008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개시된 하우징 내에 미러가 수용되는 자동차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운전석 내에 구비된 스위치에 의하여 점등되며,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다양한 색깔로 나타내는 인가등과 불가등이 구비되므로서, 운전자의 의사를 인가등과 불가등의 점등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교통 소통이 원활하게 되고, 교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백미러{Rear view mirror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운전 중 다른 자동차에 다양한 신호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백미러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는 항상 앞을 주시해야 하지만, 동시에 후속차에도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앞을 향한 자세로 뒤쪽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백미러이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에 장착된 백미러의 경우 자동차 운행 중 앞서가는 자동차를 추월한다거나, 또는 뒤에 오는 자동차에 의하여 추월 등을 당할 때, 상대방 운전자에게 추월을 해서는 안된다거나 또는 추월해도 무방하다는 의사 표시를 전혀 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따라, 왕복 1차선으로 된 도로에서 앞의 차에 의하여 반대편 차선의 자동차가 보이지 않을 경우, 반대 차선을 침범하여 추월 등을 하려는 뒤편 자동차에게는 무척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 운행 중 다른 차선으로의 변경 시, 다른 차선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양보 여부에 따라 차선 변경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고의 발생 빈도도 줄일 수 있는데, 종래의 자동차에는 상대방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알 수 있게 하는 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원활한 교통 소통을 방해하고, 사고 발생의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운전자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지시등을 점등시켜 차량의 차선변경을 후방이나 전방 차량의 상대방에게 알려주도록 하였지만, 이는 운전자의 차선변경에 대한 상대방 운전자의 의사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만약 상대방 운전자가 전방 차량의 차선 변경 신호를 무시하거나 방해할 경우 대형 교통사고가 유발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후방 차량의 운전자 상호간에 차량의 차선변경이나 추월에 대한 의사표시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주행으로 충돌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백미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백미러는,
미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의사표시등; 및,
운전석내에 구비되어 상기 의사표시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치;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의사표시등은,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의 의사표시를 전달시 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인가등; 및,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이 의사표시를 전달시 불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불가등;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인가등은, 녹색(Green)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불가등은, 적색(Red)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가등과 상기 불가등의 사이에는 자동차의 방향 전환을 알려주는 황색(Yellow)의 방향 지시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의사표시등은,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의 의사표시를 전달시 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인가 문자등; 및, 상기 불가등과 함께 점등되는 불가 문자등;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인가 문자등은, 청색(blue)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불가 문자등은,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인가 문자등과 불가 문자등은 미러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인가 문자등과 상기 불가 문자등의 사이에는 상기 방향 지시등과 함께 점등되는 황색의 방향 표시 화살표등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자동차 백미러의 구조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자동차 백미러의 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백미러를 자동차에 장착시킨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백미러의 표시기능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구성도 이다.
도 1,2,3을 참조하면, 자동차 백미러(10)(10')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에 수용되며 자동차 운행 중 앞을 바라본 자세에서 후방을 볼 수 있는 미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자동차 운행 중 타인에게 운전자의 의사를 알려주기 위한 의사표시등이 설치되는데, 상기 의사표시등은 인가등(13)과 불가등(14)으로 구분된다.
상기 인가등(13)과 불가등(14)은 운전석에 설치된 스위치(30)에 의하여 점등되며 그 점등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의 점등이라 함은 상기 인가등(13)과 상기 불가등(14)에 전원이 인가되어 깜빡거리는 것을 말하며, 상기 인가등(13)과 불가등(14)의 점등 색상은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상기 인가등(13)은 녹색으로, 상기 불가등(14)은 적색으로 점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인가등(13)은 하우징(11)의 일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불가등(14)은 하우징(11)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부는 운전석에서 자동차 백미러(10)(10')를 봤을때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라고 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의 타측부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일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는 자동차의 방향 전환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 지시등(21)이 마련되며, 상기 방향지시등(21)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방향전환레버(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방향 지시등(21)은 인가등(13)과 불가등(14)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의 측면 단부에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 지시등(21)은 인가등(13) 및 불가등(14)과 색깔을 구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황색으로 점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가등(13)과, 불가등(14) 및 방향 지시등(21)은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11)의 배면까지 연장되도록 마련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대방 운전자에게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미러(12)에는 스위치(30)에 의하여 점등되는 의사표시등으로서 인가 문자등(16)과 불가 문자등(17)이 구비된다.
상기 인가 문자등(16)은 인가등(13)에 인접한 미러(12)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인가등(13)의 점등시 함께 점등되며 그 점등에 따른 색상은 청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불가 문자등(17)은 불가등(14)에 인접한 미러(12)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불가등(14)의 점등시 함께 점등되도록 하였으며 그 점등색상은 불가등(14)과 동일한 색상 즉 적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인가 문자등(16)은 점등시 청색의 "YES"라는 문자가 깜빡거리게 할 수 있고, 상기 불가 문자등(17)은 점등시 불가등(14)과 동일한 적색으로 "NO"라는 문자가 깜빡거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가 문자등(16)과 불가 문자등(17)의 사이에는 황색으로 점등되는 방향 표시 화살표등(22)이 마련되며, 이는 상기 방향지시등(21)과 함께 그 점등이 연동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 방향지시등(21)과 함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방향전환레버에 의해 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방향 표시 화살표등(22)은 방향 지시등(21)에 인접하여 상기 방향 지시등(21)이 점등될 때 함께 점등되어 자동차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한편, 상기 스위치(30)는 운전석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우측과 좌측의 백미러(10)(10')에 각각 설치된 의사표시등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로터리 타입이나 버튼 타입으로도 그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1,S2,S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치(S1)는 좌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인가등(13)을 나타내는 L/G,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인가등(13)을 나타내는 R/G의 방향으로 중립위치(N)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위치(S2)는 좌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불가등(14)과 불가 문자등(17)을 나타내는 L/R,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불가등(14)과 불가 문자등(17)을 나타내는 R/R의 방향으로 중립위치(N)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스위치(S3)는 좌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인가 문자등(16)을 나타내는 L/Yes,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인가 문자등(16)을 나타내는 R/Yes의 방향으로 중립위치(N)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도 1에서와 좌측 또는 우측 백미러(10)(10')에 설치된 인가등(13), 불가등(14), 인가 문자등(16), 불가 문자등(17), 방향지시등(12)은 물론 방향표시 화살표등(22)에는 전선이 연결되는데 그 전선의 배선은,
인가등(13)과 연결되는 G전선, 불가등(14) 및 불가 문자등(17)과 연결되는 R/N전선, 방향지시등(21) 및 방향표시 화살표등(22)과 연결되는 Y/→전선은 물론, 인가 문자등(16)과 연결되는 Yes전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그 설명의 편의상, 제 1 운전자는 전방의 자동차 운전자, 제 2 운전자는 상기 제 1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운전자, 제 3 운전자는 상기 제 2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먼저,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차선변경을 위해 방향지시등을 온 동작시키고, 상기의 차선변경을 인지한 후방의 제 2 운전자가 차선변경을 승인하고자 하는 경우,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운전자는 운전석내에 구비된 스위치(30)의 제 1 스위치(S1)를 도 4에서와 같이 중립위치(N)에서 L/G의 방향 또는 R/G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스위치(S1)의 슬라이드 이동으로부터 좌측 백미러(10)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녹색의 인가등(13)이 점등되고, 상기 인가등(13)의 점등으로부터 전방의 제 1 운전자는 후방의 제 2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차선변경에 대한 승인의 의사표시를 확인한 후 바로 차선변경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후방의 제 2 운전자가 전방 자동차의 차선변경을 승인하지 않고자 운전석내에 구비된 스위치(30)의 제 2 스위치(S2)를 도 4에서와 같이 중립위치(N)에서 L/R의 방향 또는 R/R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스위치(S2)의 슬라이드 이동으로부터 좌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적색의 불가등(14)과 "NO"라는 불가 문자등(17)이 동시에 점등되고, 상기 불가등(14) 및 불가 문자등(17)의 점등으로부터 전방의 제 1 운전자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차선변경에 대한 제 2 운전자의 불승인 의사표시를 확인한 후 자동차의 차선변경을 실시하지 않아 후방 자동차와의 불필요한 마찰은 물론, 강제적인 차선변경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가등(14)과 함께 불가 문자등(17)이 동시에 점등될 때, 상기 불가 문자등(17)은 스위치(30)를 조작하는 제 2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제 3 운전자도 볼 수 있는 바, 상기 제 3 운전자는 전방 자동차들의 주행상태를 주시하면서 원하는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3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지시등을 점등시키면서 추월 의사를 전방의 제 2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제 2 운전자가 상기의 추월을 승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운전자는 운전석내에 구비된 스위치(30)의 제 3 스위치(S3)를 도 4에서와 같이 중립위치(N)에서 L/Yes 또는 R/Yes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3 스위치(S3)의 슬라이드 이동으로부터 좌측 백미러(10)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청색의 인가 문자등(16)이 점등되고, 상기 인가 문자등(16)의 점등으로부터 후방의 제 3 운전자는 전방의 제 2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을 통해 추월에 대한 승인의 의사표시를 확인한 후 바로 전방의 제 2 운전자가 탑승한 자동차를 안전하게 추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전방의 제 2 운전자가 후방의 제 3 운전자가 요청하는 추월을 승인하지 않고자 운전석내에 구비된 스위치(30)의 제 2 스위치(S2)를 도 4에서와 같이 중립위치(N)에서 L/R 또는 R/R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스위치(S2)의 슬라이드 이동으로부터 좌측 백미러(10) 또는 우측 백미러(10')에 설치된 의사표시등인 적색의 불가등(14)과 함께 "NO"라는 불가 문자등(17)이 동시에 점등되고, 상기 불가등(14) 및 불가 문자등(17)의 점등으로부터 후방의 제 3 운전자는 좌측방향으로의 차선변경에 대한 제 2 운전자의 불승인 의사표시를 확인한 후 자동차의 추월을 실시하지 않아 전방 자동차와의 불필요한 마찰은 물론, 강제적인 추월로 인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승용 자동차에 대하여 그 설명의 이루어졌지만, 만약 승용 자동차의 백미러가 적용되지 않은 차량 즉, 트럭 종류나, 대형 버스 등의 차량에서는 백미러에 의사표시등을 설치하지 않고, 차량의 외관 프레임 즉, 차체에 바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백미러에 의하면, 다양한 색깔로 점등되는 인가등(13), 불가등(14), 인가 문자등(16) 및 불가 문자등(17)에 의하여 운전자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교통 소통이 원활하게 되고, 교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자동차 백미러의 구조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자동차 백미러의 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백미러를 자동차에 장착시킨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의사 표시가 가능한 백미러의 표시기능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차 백미러 11... 하우징
12... 미러 13... 인가등
14... 불가등 16... 인가 문자등
17... 불가 문자등 21... 방향 지시등
22... 방향 표시 화살표등 30; 스위치

Claims (9)

  1. 미러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의사표시등; 및,
    운전석내에 구비되어 상기 의사표시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치;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표시등은,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의 의사표시를 전달시 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인가등; 및,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이 의사표시를 전달시 불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불가등;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등은, 녹색(Green)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등은, 적색(Red)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표시등은,
    상대방 운전자가 추월 및 차선변경의 의사표시를 전달시 승인 목적으로 점등되는 인가 문자등; 및, 상기 불가등과 함께 점등되는 불가 문자등;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문자등은, 청색(blue)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 문자등은,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문자등과 불가 문자등은 미러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문자등과 상기 불가 문자등의 사이에는 상기 방향 지시등과 함께 점등되는 황색의 방향 표시 화살표등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백미러.
KR20-2005-0008103U 2005-03-24 2005-03-24 자동차 백미러 KR200387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03U KR200387230Y1 (ko) 2005-03-24 2005-03-24 자동차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03U KR200387230Y1 (ko) 2005-03-24 2005-03-24 자동차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230Y1 true KR200387230Y1 (ko) 2005-06-17

Family

ID=4368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103U KR200387230Y1 (ko) 2005-03-24 2005-03-24 자동차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55B1 (ko) * 2010-06-25 2011-05-06 홍동유 자동차의 양보 요청 및 양보 의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55B1 (ko) * 2010-06-25 2011-05-06 홍동유 자동차의 양보 요청 및 양보 의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533B1 (en) Signal U-turn
US5510763A (en) Rear truck strobe light controller for backing or parking
US11015778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from a vehicle
CN111169370B (zh) 一种行车信号指示系统、方法及车辆
KR200387230Y1 (ko) 자동차 백미러
KR200312981Y1 (ko) 차량의 신호 표시 장치
JPH11235950A (ja) 自動車用進路変更表示装置
JP3224121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KR20170142291A (ko) 자동 폴딩 가능한 자동차 백미러
US20030016127A1 (en) Directional display lamp for a vehicle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200178756Y1 (ko) 차량용 유턴 표시등
KR200273371Y1 (ko) 자동차의 운행방향 표시장치
KR20230076990A (ko) 차량용 좌우회전 및 유턴 방향표시등 장치
KR200305407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Seiser Dynamic Ground Projection Using DLP® Technology for Automotive Exterior Lighting
JP3224312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JP2764448B2 (ja) 自動車の方向指示点滅装置
JP3398847B2 (ja) 自動車用方向指示器及び非常点滅表示灯スイッチ
RU2149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нешней светов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12933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KR200215223Y1 (ko) 자동차의 방향전환표시장치
KR200337313Y1 (ko) 자동차등 원격작동장치
KR200190377Y1 (ko) 오토 백 미러
KR200170783Y1 (ko)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