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85Y1 -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85Y1
KR200387085Y1 KR20-2005-0008359U KR20050008359U KR200387085Y1 KR 200387085 Y1 KR200387085 Y1 KR 200387085Y1 KR 20050008359 U KR20050008359 U KR 20050008359U KR 200387085 Y1 KR200387085 Y1 KR 200387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ion screen
projection
wind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20-2005-0008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투사를 위한 투영스크린과 배경영상이 전사된 배경스크린이 병합적으로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투영스크린은 수납위치로의 권취 및 투사위치로의 인출이 이루어지며 투영스크린의 권취시 배경스크린상의 배경영상(얘컨대 그림이나 사진 등)이 외부적으로 노출되도록 한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는 프레임부에는 투영스크린이 권취/인출되는 투영스크린과 고정위치의 배경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스크린수납하우징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인출을 위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영스크린의 상측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원통형의 스크린권취부가 배치되고, 상기 투영스크린의 하측에는 권취/인출시 탄성작용을 위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내부에 스크린탄성보강부가 배치되고, 상기 투영스크린이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수납위치로 권취되면 상기 배경스크린이 외부적으로 노출되어 배경영상에 의한 장식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투사 스크린장치{IMAGE PROJECTING SCREEN APPARATUS}
본 고안은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스크린과 특정한 배경영상(예컨대, 그림, 사진 등)이 전사된 배경스크린이 액자형 프레임부에 일체로 설계된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의 시각적 표시를 위한 예에는 일체로 영상스크린이 구비되고 자체적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스크린상에 표시해주는 직접영상표시방식과, 소위 '프로젝터'로 칭해지는 영상투사기로부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비임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투영스크린상에 조사하여 그 투영스크린상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간접영상표시방식으로 대별된다.
그러한 영상표시에 관련해서는 대화면 영상의 구현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 예컨대 PDP장치라든지 LCD장치가 개발되고 실용에 적용되는 상황이지만, 그러한 PDP장치나 LCD장치는 상당히 고가이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면, 프로젝터(즉, 영상투사기)와 투영스크린의 조합은 상기한 PDP장치라든지 LCD장치에 비해 상당히 저가로 대화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프로젝터로부터의 영상비임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스크린은 대개 상측에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권취되는 구조가 적용되고 하측에 스크린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한 봉(棒)형상의 중량체가 결합된 권취형과, 장방형의 프레임에 의해 4-면이 지지되는 액자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권취형 및 액자형 투영스크린은 단지 프로젝터로부터의 영상비임이 조사되면 대응하는 영상이 투영되는 고유의 기능만을 가질 뿐이어서 영상이 투영되지 않는 동안에는 권취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그러한 투영스크린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기능의 추가도 고려될 만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프레임에 배경스크린과 투영스크린이 병합적으로 배치되고 투영스크린이 권취된 상태에서는 배경스크린의 영상(예컨대 그림이나 사진 등)이 외부적으로 노출되도록 한 영상투사 스크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에는 투영스크린이 권취/인출되는 투영스크린과 고정위치의 배경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스크린수납하우징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인출을 위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영스크린의 상측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원통형의 스크린권취부가 배치되고, 상기 투영스크린의 하측에는 권취/인출시 탄성작용을 위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내부에 스크린탄성보강부가 배치된 영상투사 스크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대응하는 측단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투영스크린의 각 측단이 개재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제 1 및 제 2탄성부재가 배치된다.
또,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동모터가 고정브라켓을 매개하여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그 선단의 회동기어가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내면에 형성된 기어형상부에 치합뙤고,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타측은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의 타측면에 정의된 요부에 제공된 베어링부재에 대해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연결된다.
상기 스크린탄성보강부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하단 배면에 스크린보강부재가 접합되고, 그 스크린보강부재에는 복수의 스크린연결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고 각 스크린연결테이프의 타단은 대응하는 탄성형성부재에 연결되며, 각 탄성형성부재의 사이에는 탄성력정합을 위한 탄성력정합봉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형성부재는 태엽스프링이 적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영상투사 스크린장치는 장방형의 프레임부(10)와, 프로젝터(도시 생략)에서 조사된 영상비임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스크린(12) 및, 그 투영스크린(12)이 권취된 상태에서 외부적으로 노출되면서 배경영상(예컨대 그림이나 사진 등)이 전사된 배경스크린(14)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상측에는 스크린권취부(20)가 배치되는 바, 그 스크린권취부(2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형성된 스크린수납하우징(22)내에 수용되고, 그 스크린권취부(20)의 일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수납위치로의 권취 또는 투영위치로의 인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4)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스크린권취부(20)의 타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 또는 인출을 지지하기 위한 스크린회동지지부(26)가 배치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권취부(20)의 일측에 형성된 전동모터(24)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전동모터(24)는 고정브라켓(26)을 매개로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22)의 일측면(22a)의 내측에 복수의 나사(28)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그 선단에 결합된 회동기어(24a)가 상기 원통관의 스크린권취부(20)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기어형상부에 치합된다.
또, 도 2b에 도시된 상기 스크린회동지지부(26)는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22)의 타측면(22b)의 내면에 형성된 요부에 베어링부재(30)가 설치되고, 그 베어링부재(30)와 상기 스크린권취부(20)의 타측 내면의 사이에는 회동연결부재(32)가 결합된다.
따라서,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투영스크린(30)을 권취하기 위한 스위칭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동모터(24)가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스크린권취부(20)가 상기 회동기어(24a)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하게 되는 바, 상기 스크린권취부(20)의 회동은 그 타측에 결합된 회동연결부재(32)가 상기 베어링부재(30)에 의해 원활하게 지지된다.
또,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부(10)내에 상기 투영스크린(12)과 상기 배경스크린(14)이 수용된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부분에서 일정한 폭의 전방프레임(10a)과 그 전방프레임(10a)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일정한 폭의 후방프레임(10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분에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양측단부가 수용되고, 그 투영스크린(12)이 상기 전방프레임(10a)의 내단(10c)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방프레임(10a)과 상기 후방프레임(10b)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분에서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전면과 후면에는 제 1 및 제 2탄성부재(34a,34b)가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탄성부재(34a,34b)는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수납위치로의 권취 및 투영위치로의 인출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그 투영스크린(12)의 이동시 상기 전방프레임(10a)의 내단(10c)에 대한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예컨대 메모리폼형태의 발포재라든지 연성의 합성수지 또는 섬유재로 구성된다.
또, 상기 투영스크린(12)에 대해서는 투영위치로의 인출시의 평탄도를 보장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4a,34b)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그 하단에 스크린탄성보강부(36)가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그 스크린탄성보강부(36)에 따르면, 상기 투영스크린(12)의 하단(바람직하게는 하단 배면)에 강성강화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연설된 스크린보강부재(12a)가 접착되고, 그 스크린보강부재(12a)의 양측(즉, 투영스크린(12)의 하단 양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스크린연결테이프(38)가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바, 각 스크린테이프(38)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 내부에서 외부적으로 은폐되도록 배치되며, 그 타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원활한 인출을 지원하기 위한 탄성형성부재(40)가 제공되는 바, 그 탄성형성부재(40)로는 상기 투영스크린(12)의 권취시 탄성력의 축적이 가능한 태엽스프링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또, 각 탄성형성부재(4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하측 부분 내에서 외부적으로 은폐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탄성력정합봉(4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수납위치로의 권취 및 투영위치로의 인출시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제어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스크린탄성보강부(36)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부(10)의 하측면 내측에 형성된 탄성형성부재(40)에는 상기 탄성력정합봉(42)이 연동적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그 탄성력정합봉(42)상에 상기 스크린연결테이프(38)의 타단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는 상기 투영스크린(12)이 수납위치로 권취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경스크린(14)이 외부적으로 노출(도 5 참조)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 배경스크린(14)상에 전사된 그림이나 사진 등에 의한 장식효과가 기대된다.
그 경우, 상기 투영스크린(12)이 상기 전동모터(24)에 의해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22)내에서 상기 스크린권취부(20)의 외주면에 권취되면 상기 스크린연결테이프(38)가 상기 투영스크린(12)의 권취에 따라 풀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탄성형성부재(40)를 이루는 태엽스프링은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투영스크린(12)을 투영위치로 인출시키기 위한 제어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24)는 스크린권취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전동모터(24)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권취부(20)는 그 타측에 제공된 회동연결부재(32)가 상기 베어링부재(30)에 의해 원활한 회동을 지원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영스크린(12)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양측에서 탄성부재(34a,34b)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10a)의 내단(10c)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전동모터(24)에 의해 인출되기 시작하는 바, 상기 투영스크린(12)의 원활한 인출작용은 상기 탄성형성부재(40)를 이루는 태엽스프링이 상기 탄성력정합봉(42)에 의해 상호 정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연결테이프(38)가 권취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투영스크린(14)은 상기 탄성형성부재(40)의 축적된 탄성력이 방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34a,34b)에 의해 다소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도 원활하게 투영위치로의 인출이 실행(도 6 참조)되고, 투영위치로의 완전한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형성부재(40)에 연결된 탄성력정합봉(42)에 의해 양호한 평탄도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에서는 상기 스크린권취부에 의해 권취/인출되는 스크린으로서는 투영스크린이 상정된 상태로 설명되었지만, 투영스크린은 고정되고 배경스크린이 스크린권취부에 의해 권취/인출되도록 변경하는 구성의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 의하면 영상투사가 실행되는 투영스크린과 배경영상이 전사된 배경스크린이 프레임부에 병합적으로 설치되어 투영스크린이 수납위치로 권취되면 배경스크린상의 영상이 외부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장식효과가 양호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도,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서 스크린권취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서 투영스크린의 탄성가이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 갖추어지는 스크린탄성보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서 투영스크린이 스크린권취부에 의해 권취되어 배경스크린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투사 스크린장치에서 투영스크린이 스크린보강부의 지원하에 투영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부, 12: 투영스크린,
14: 배경스크린, 20: 스크린권취부,
24: 전동모터, 32a,32b: 탄성부재,
36: 스크린탄성보강부, 38: 스크린연결테이프,
40: 탄성형성부재, 42: 탄성력정합봉.

Claims (5)

  1. 프레임부에는 투영스크린이 권취/인출되는 투영스크린과 고정위치의 배경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를 위한 스크린수납하우징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권취/인출을 위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영스크린의 상측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원통형의 스크린권취부가 배치되고,
    상기 투영스크린의 하측에는 권취/인출시 탄성작용을 위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 내부에 스크린탄성보강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대응하는 측단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투영스크린의 각 측단이 개재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제 1 및 제 2탄성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동모터가 고정브라켓을 매개하여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그 선단의 회동기어가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내면에 형성된 기어형상부에 치합뙤고,
    상기 스크린권취부의 타측은 상기 스크린수납하우징의 타측면에 정의된 요부에 제공된 베어링부재에 대해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탄성보강부는 상기 투영스크린의 하단 배면에 스크린보강부재가 접합되고, 그 스크린보강부재에는 복수의 스크린연결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고 각 스크린연결테이프의 타단은 대응하는 탄성형성부재에 연결되며, 각 탄성형성부재의 사이에는 탄성력정합을 위한 탄성력정합봉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형성부재는 태엽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KR20-2005-0008359U 2005-03-28 2005-03-28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KR200387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59U KR200387085Y1 (ko) 2005-03-28 2005-03-28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59U KR200387085Y1 (ko) 2005-03-28 2005-03-28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85Y1 true KR200387085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359U KR200387085Y1 (ko) 2005-03-28 2005-03-28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8264B (zh) 显示装置
US2021005687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CN107369382B (zh) 可卷曲显示设备
US1103292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1930658B1 (ko)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7864418B2 (en) Screen
CN108829187B (zh) 显示系统
CN112769982B (zh) 电子装置
JP2008522897A (ja) 収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CN212873896U (zh) 显示装置
US10936016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11132019B1 (en) Display apparatus
CN112995364A (zh) 移动终端
US20070209895A1 (en) Cord reel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20050270644A1 (en) Projection screen unit with projection surfaces optimized for different ambient light levels
KR101168964B1 (ko)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CN111292619A (zh) 背板和包括该背板的可卷曲显示装置
KR200387085Y1 (ko) 영상투사 스크린장치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CN216901313U (zh) 投影屏幕以及投影设备
CN210052011U (zh) 一种纱幕投影装置
JPH06123919A (ja) 映像システムのスクリーンユニット
JPH10221780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04952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커버 장치
CN216053798U (zh) 一种便于收纳的易拉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