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58B1 -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658B1
KR101930658B1 KR1020177014325A KR20177014325A KR101930658B1 KR 101930658 B1 KR101930658 B1 KR 101930658B1 KR 1020177014325 A KR1020177014325 A KR 1020177014325A KR 20177014325 A KR20177014325 A KR 20177014325A KR 101930658 B1 KR101930658 B1 KR 10193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creen
support member
bracket
rotating shaft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329A (ko
Inventor
송링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가요성 스크린 모듈은 케이싱과, 가요성 스크린과, 브래킷과,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싱은 개구부를 구비한다. 제 1 회전 샤프트는 축방향을 갖고, 케이싱 내에 수용된다.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고, 제 1 회전 샤프트로부터 풀려서,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브래킷은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되고,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다. 브래킷은 축방향으로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는 케이싱 내에서 감겨질 수 있고,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만곡 기억 특성을 갖는다. 지지 부재는 케이싱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가요성 스크린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브래킷을 지지하도록 브래킷과 결합된다. 지지 부재는 특정 강성을 갖고, 만곡되기 어려우며, 그렇게 함으로써,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브래킷과 협동할 수 있다. 상술된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FLEXIBLE SCREE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MODULE}
본 발명은 가요성 스크린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주류의 스크린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모듈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2종류의 스크린 모듈은 모두 강성의 유리 기판을 구비하므로, 절곡(bend)될 수 없다. 최근에, 가요성 OLED 스크린의 출현으로 인해, 스크린 모듈의 형태는 더이상 종래의 평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요성 스크린은 커튼과 같이 롤 업(roll up)될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이 강성이 아니기 때문에, 스크린은 늘어날 때, 가요성 스크린은 어떻게 스크린을 지지 및 고정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에 관련된다.
하나의 기존의 방식은 개구부의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회전 가능한 지지봉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 개구부를 통해, 가요성 스크린이 늘어난다. 가요성 스크린이 잡아당겨지기 전에, 2개의 지지봉은 서로 중첩된다. 가요성 스크린이 늘어난 후에, 2개의 지지봉은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평행한 위치로 가요성 스크린을 늘리는 방향을 향해 회전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에서, 가요성 스크린이 잡아당겨진 후에, 지지봉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이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불편하다. 게다가, 지지봉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가요성 스크린의 부분은 변형되기 쉽고, 이는 사용자의 작업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가요성 스크린 모듈과,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가요성 스크린 모듈은 케이싱과, 가요성 스크린과, 브래킷과,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싱은 개구부를 구비한다. 제 1 회전 샤프트는 축방향을 갖고, 케이싱 내에 수용된다.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고, 제 1 회전 샤프트로부터 풀려서(unwound),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브래킷은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되고,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으며, 브래킷은 축방향으로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는 케이싱 내에서 감겨질 수 있고,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만곡 기억 특성(curve memory characteristic)을 갖는다. 지지 부재는 케이싱 외측에 위치될 경우, 가요성 스크린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브래킷을 지지하도록 브래킷과 결합된다.
상술된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될 때, 제 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곡 기억 특성을 갖기 때문에, 지지 부재는 제 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만곡될 수도 있고,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특정 강성 때문에, 지지 부재는 만곡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지지 부재는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브래킷과 협동할 수 있다. 다만, 지지 부재가 케이싱 외부로 연장될 때 복수의 브래킷과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를 수동으로 결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작동하기 쉽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실시예와 함께 사용된다. 도면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실제 크기 또는 비례 관계로 나타나지 않지만, 단지 명확한 도시를 위한 개략도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케이싱이 없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가요성 스크린 모듈의 구조적인 개략도,
도 3은 압착된 후의 지지 부재 부분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 2의 가요성 스크린 모듈의 구조적인 부분 분해 개략도,
도 4는 다른 관측 각도에서의 도 2의 스크린 모듈의 브래킷 및 가요성 스크린의 개략도,
도 5는 V-V선을 따른 도 2의 스크린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가요성 스크린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개략도,
도 7은 도 2의 가요성 스크린 모듈의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해결책 및 이점이 이하에서 보다 명확하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실시예 및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더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전자 장치(10)는 하우징(16)과, 이 하우징(16) 내에 수용된 회로 기판(15) 및 가요성 스크린 모듈(20)을 포함한다. 하우징(16)은 출구(18)를 구비한다. 가요성 모듈(20)의 가요성 스크린은 롤 업되거나 풀릴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이 풀릴 때, 이 가요성 스크린은 사용자가 바라보기 위한 출구(18)를 통해 하우징(16)이 외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요성 스크린 모듈(20)은 케이싱(21)과, 제 1 회전 샤프트(22)와, 제 2 회전 샤프트(23)와, 가요성 스크린(24)과,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와, 버클링 부재(buckling member)(28)를 포함한다. 케이싱(21)에는 이들의 일 측부 상에 하나의 개구부(21a)가 제공된다. 제 1 회전 샤프트(22) 및 제 2 회전 샤프트(23)는 케이싱(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24)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의 전면과, 이 전면에 반대쪽에 있는 하나의 배면(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가요성 스크린(24)의 전면의 일 측부는 제 1 회전 샤프트(22)에 고정되고, 고정된 부분은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에서 비-디스플레이 영역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스크린(24)은 제 1 회전 샤프트(22) 주위로 감겨질 수도 있고, 또한, 제 1 회전 샤프트(22)로부터 풀리고, 개구부(21a)로부터 케이싱(21)의 외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래킷(25)은 복수의 강성의 브래킷 바디(26)를 포함한다. 복수의 브래킷 바디(26)는 가요성 스크린(24)이 회전 샤프트(22)에 고정되는 일 측부에 평행하게[즉,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착력 등에 의해 간격을 두고 가요성 스크린(24)의 배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브래킷 바디(26)는 가요성 스크린(24)과 함께 감겨지거나 풀릴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브래킷 바디(26)는 가요성 스크린(24)의 배측에 고정된 하나의 메인 바디(26a)와, 이 메인 바디(26a)의 2개의 대향 측부 상에 각각 위치된 2개의 결합부(26b)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6a)는 직사각형이고, 축방향으로 가요성 스크린(24)을 지지하기 위해,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결합부(26b)는 가요성 스크린(24)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가요성 스크린의 배측의 중간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결합부(26b)는 아크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결합부는 메인 바디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브래킷 바디의 2개의 대향 측부에서, 서로를 향하는 챔퍼가 브래킷 바디(26)에 제공될 때, 인접한 브래킷 바디(26)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근접하게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챔퍼의 제공으로 인해, 근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브래킷 바디(26)는 또한, 제 1 회전 샤프트(22) 주위에 감져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27)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지지 부재(27)는 이 지지 부재(27)의 폭방향으로 만곡 기억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기억 특성은 지지 부재(27)가 외력을 받지 않을 때, 폭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이러한 만곡은 도 3에서의 우측 상의 지지 부재(2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7)가 절곡되기 어렵게 한다. 지지 부재(27)가 외력에 의해 절곡된 후에 외력이 제거될 때, 절곡된 지지 부재(27)의 부분은 평평하게 되고, 도 3에서의 좌측 상의 지지 부재(27)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되고 자동적으로 감긴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절곡되지 않은 부분은 특정 각도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만곡 상태에서, 지지 부재(27)의 폭방향에서의 2개의 측부 사이의 거리(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6a)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부에서의 브래킷 바디(26)의 2개의 대향 결합부(26b) 사이의 거리(B)보다 크다. 이렇게 하여, 만곡되지만 절곡되진 않은 지지 부재(27)의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바디(26)와 결합되고, 즉,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에서의 지지 부재(27)의 2개의 측부는, 가요성 스크린(24)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케이싱(21)의 외부로 늘어나는 브래킷 바디(26)를 지지하기 위해서, 아크 결합부(26b)와 메인 바디(26a)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서 결합 또는 수용된다. 절곡된 지지 부재(27)의 부분은 제 2 회전 샤프트(23) 주위로 감긴다. 지지 부재(27)는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기억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버클링 부재(28)는 베이스부(28a)와, 2개의 대향 배치된 압착부(28b)와, 이러한 2개의 대향 배치된 압착부(28b)에 각각 위치된 실질적으로 U자형 가압부(28c) 및 분리부(28d)를 포함한다. 압착부(28b)는, 지지 부재(27)를 압착하기 위해, 베이스(28a)에 고정되고, 메인 바디(26a)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부에서의 브래킷 바디(26)의 2개의 대향 결합부(26b) 사이의 거리(B)보다 작은 최소 피치(C)를 갖고, 서로 연장된다. 베이스(28a)와 가압부(28c)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베이스(28a)와 분리부(28d)는 다른 프레임을 형성한다. 지지 부재(27)는 가압부(28c) 및 분리부(28d)를 통과하고, 압착부(28b)에 의해 압착된다. 가요성 스크린(24)과 브래킷(25)은 가압부(28c)를 함께 통과한다. 브래킷(25)은 가압부(28c)에서의 지지 부재(27)와 결합된다. 가요성 스크린(24)과 브래킷(25)은 지지 부재(27)에 대향하는 분리부(28d)의 일 측부에 위치된다.
조립 동안에, 종방향에서의 지지 부재(27)의 일단부는 분리부(28d)를 통과하고, 압착부(28b)에 의해 압착되며, 나머지 부분은 제 2 회전 샤프트(23) 주위로 감긴다. 브래킷(25)과 함께 가요성 스크린(24)은 제 1 회전 샤프트(22) 주위로 감기고, 가요성 스크린의 일단부에서의 브래킷 바디(26)는 압착된 지지 부재(27)에 슬리브 연결되고, 그 다음에, 브래킷(25)과 함께 가요성 스크린(24)과 지지 부재(27)의 조합물은 가압부(28c)를 통과한다. 제 1 및 제 2 회전 샤프트(22, 23)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20)의 조립을 완성하도록, 케이싱(2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가요성 스크린 모듈(20)은 전자 장치(10)의 하우징(16) 내에서 조립되고, 회로 기판(15)과 관련된 신호 연결부가 완성된다. 출구(18)는 개구부(21a)와 정렬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24)이 하우징(16)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작업 동안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가요성 스크린(24)이 요구될 때, 가요성 스크린(24)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출구(18)에 인접한 지지 부재(27) 및 가요성 스크린(24)의 일 측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는, 출구(1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잡아당기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가요성 스크린(24)은 전자식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고, 제 2 회전 샤프트(23)는 지지 부재(27)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가요성 스크린(24)을 구동시키게 하도록, 케이싱(21)에 고정된 모터(31)(도 1에 도시됨)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출구(18)의 일 측부에 근접한 지지 부재(27)는 브래킷 바디(26)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요구된다. 물론, 제 1 회전 샤프트(22)가 다른 모터(32)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는 경우에, 지지 부재(27)가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24)과 지지 부재(27)가 외측으로 연장될 때, 압착부(28b)로 이동되는 지지 부재(27)의 부분은 압착되고, 메인 바디(26a)로부터 멀리 떨어진 결합부의 측부에서 2개의 대향 결합부(26b) 사이의 거리보다 폭이 좁아진다.
가요성 스크린(24)과 지지 부재(27)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이어지고, 가요성 스크린(24)과 브래킷 바디(26)는 가압부(28c)의 동작하에서 지지 부재(27)에 접근하고, 그에 따라 압착된 지지 부재(27)는 브래킷 바디(26)에 의해 절반이 둘러싸인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가요성 스크린(24)과 지지 부재(27)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이어질 때, 지지 부재(27)는 원래의 곡선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압착부(28b)로부터 점진적으로 멀리 이동되고, 브래킷 바디(26)와 결합되고 출구(18)의 외부로 연장되기 위해, 아크 결합부(26b)와 메인 바디(26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결합 또는 수용된다. 가요성 스크린(24)이 요구되지 않을 때, 가요성 스크린(24)은 또한, 수동으로 또는 전자식으로 하우징(16) 내로 후퇴될 수 있다. 이 공정은 상기 언급된 잡아당김 공정과 반대이고,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27)는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에서의 만곡 기억 특성을 갖는다. 지지 부재(27)가 가요성 스크린(24)과 함께 케이싱(21)의 외측으로 연장될 때, 지지 부재(27)는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으로 만곡되고,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27)는 특정 강성을 가지므로, 이 지지 부재(27)는 가요성 스크린(24)을 지지하도록 브래킷(25)과 협동하기 위해 만곡되기 어렵다. 다만, 지지 부재(27)가 케이싱(21)의 외부로 연장될 때 브래킷(25)과 결합되기 때문에, 이 지지 부재(27)를 수동으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 부재(27)를 작동하기 쉽다. 또한, 브래킷(25)의 배치는 가요성 스크린(2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24)은 지지 부재(27)를 향해 변형되기 쉽지 않다.
분리부(28d)는 브래킷(25)이 지지 부재(27)와 결합되기 전에,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스크린(24)과 브래킷(25)은, 이들이 제 1 회전 샤프트(22)로부터 풀릴 때, 압착된 지지 부재(27)에 실질적으로 도달하고, 뿐만 아니라, 브래킷(25)은 또한, 지지 부재(27)와 부드럽게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리부(28d)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압부(28c)는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의 상대 위치가 결합을 위한 영역 내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 사이의 성공적인 결합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가요성 스크린 모듈의 케이싱의 개구부(21a) 또는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출구(18)가 또한, 적절한 폭을 갖는 한, 가압부(28c)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28c)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7)는 특정 문턱 값보다 큰 힘을 받을 때, 절곡되고 자동적으로 감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회전 샤프트(23)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고, 지지 부재(27)는 가요성 스크린(24)이 후퇴될 때, 케이싱(21) 또는 하우징(16) 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접촉에 의해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7)는 브래킷(25)의 2개의 측부에 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5)의 중간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7)는 가요성 스크린(24)이 절곡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 가요성 스크린(24)으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만곡된다. 그러나, 상기 효과는 지지 부재(27)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스크린(24)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될 때에도 또한 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격된 복수의 브래킷 바디(26)로 구성되는 대신에, 브래킷은 도 7에 도시된 브래킷(25')과 같이,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브래킷(25')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고무(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rubber; TPU)와 같은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브래킷(25')의 양측부 상의 결합부(25b)는 메인 바디(25a)의 중간을 향해 만곡된다. 결합부(25b)의 기능은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결합부(26b)의 기능과 동일하다. 결합부(25b)가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감기는 경우, 결합부(25b)는 변형되고 메인 바디(25a)에 부착되고, 따라서, 권취 후의 전체 두께는 저감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부재(27)가 브래킷(25')과 결합될 때, 지지 부재(27)는 바람직하게, 제 1 회전 샤프트(22)의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메인 바디(25a)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킨다. 물론, 지지 부재(27)가 압축되는 상황이 또한, 상술된 브래킷 바디(26)에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7)는 결합에 의해 브래킷(25)과 조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 중 어느 하나가 자성 재료로서 제공되고, 다른 하나가 투자성 재료(permeability magnetic material)로서 제공될 때, 브래킷(25)과 지지 부재(27)는 자력에 의해 직접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술된 실시예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브래킷(25)에는 결합부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케이싱(21)의 배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이 모듈형 구조를 형성하게 하고, 따라서, 전자 장치 내의 차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케이싱(21)을 제외한 가요성 스크린 모듈 내의 구성요소는 하우징(16) 내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고, 케이싱(21)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브래킷(25)이 가요성 스크린(24)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요성 스크린(24)이 또한 제 1 회전 샤프트(22) 주위로 감기게 하는 브래킷(25)이 제 1 회전 샤프트(22)에 고정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 내의 임의의 변경예, 동등한 대체예 및 개선예 등은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가요성 스크린 모듈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싱과,
    축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제 1 회전 샤프트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로부터 풀려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가요성 스크린과,
    상기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으며,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감겨질 수 있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력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축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만곡 기억 특성(curve memory characteristic)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위치될 때 상기 축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가요성 스크린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제 2 회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일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상기 케이싱 내로 감겨지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제 2 회전 샤프트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되는 복수의 브래킷 바디를 포함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지지 부재는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압착부를 포함하는 버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압착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으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만곡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된 메인 바디와,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지지 부재의 2개의 대향 측부는 상기 2개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상기 2개의 결합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메인 바디의 2개의 측부 상에 위치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될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 부재는 상기 압착부의 일 측부에 위치된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후에,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압부 내에서 원래의 만곡 상태로 변형되고, 상기 2개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12. 제 6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 부재는 상기 압착부의 타 측부에 위치된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지지 부재와 브래킷은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압착부에 의해 압착되기 전에, 상기 분리부의 2개의 측부에 각각 위치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가요성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 모듈은,
    축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제 1 회전 샤프트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로부터 풀려서,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가요성 스크린과,
    상기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으며,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감겨질 수 있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력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축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만곡 기억 특성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될 때 상기 축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가요성 스크린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제 2 회전 샤프트와,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일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 주위로 감겨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로 감겨지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지지 부재는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전자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압착부를 포함하는 버클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압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요성 스크린에 고정된 메인 바디와,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지지 부재의 2개의 대향 측부가 상기 2개의 결합부와 결합될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으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만곡되는
    전자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링 부재는 상기 압착부의 일 측부에 위치된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후에, 상기 지지 부재는 원래의 만곡 상태로 되돌아가고, 상기 가압부 내에서 상기 2개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전자 장치.
KR1020177014325A 2014-10-29 2014-10-29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1930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9773 WO2016065549A1 (zh) 2014-10-29 2014-10-29 柔性屏幕模组及具有该模组的电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29A KR20170072329A (ko) 2017-06-26
KR101930658B1 true KR101930658B1 (ko) 2018-12-18

Family

ID=5585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325A KR101930658B1 (ko) 2014-10-29 2014-10-29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45448B2 (ko)
EP (1) EP3196730B1 (ko)
JP (1) JP6472880B2 (ko)
KR (1) KR101930658B1 (ko)
CN (1) CN105723295B (ko)
ES (1) ES2744861T3 (ko)
WO (1) WO2016065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527B1 (ko) * 2016-07-05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5979037B (zh) * 2016-07-08 2018-1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支撑结构、柔性显示屏模组及移动终端
KR20180025358A (ko) * 2016-08-29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06302885A (zh) * 2016-09-28 2017-01-04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EP3564818A1 (en) * 2016-12-29 2019-11-06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Smart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7423021A (zh) * 2017-07-28 2017-12-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及智能控制方法
CN108076175A (zh) * 2017-12-21 2018-05-25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519817B1 (ko) 2018-11-08 2023-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263541A (zh) * 2018-11-30 2020-06-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CN109587299A (zh) * 2018-12-05 2019-04-05 邹耿彪 一种屏幕可卷起的移动通信终端
CN109455580A (zh) * 2018-12-27 2019-03-12 重庆玮硕恒基电脑配件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收纳器
CN109725773B (zh) * 2018-12-29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及终端
CN111090299A (zh) * 2019-04-19 2020-05-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双屏护眼平板
CN110277024B (zh) * 2019-06-25 2021-09-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2306147B (zh) * 2019-07-24 2024-03-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柔性屏幕的支撑结构、柔性屏幕结构和终端设备
CN113366558A (zh) * 2019-07-2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终端
CN110728912B (zh) * 2019-10-23 2021-12-07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柔性屏组件及电子设备
CN111157358B (zh) * 2020-01-10 2023-06-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卷轴及柔性屏体测试装置
CN114005357B (zh) * 2020-07-28 2023-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支撑装置及电子设备
CN112382200B (zh) * 2020-11-13 2023-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787898B (zh) * 2020-12-28 2023-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CN112863345B (zh) * 2021-01-13 2022-06-03 山西卓安物资贸易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工地安全作业演示设备
CN113325924B (zh) * 2021-05-24 2024-02-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30102625A (ko)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11654A (ko) * 2022-01-17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961B2 (ja) * 1993-03-01 2000-12-25 鐘紡株式会社 角質層のターンオーバー速度改善剤
JP2011022260A (ja) * 2009-07-14 2011-02-03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532Y2 (ko) * 1972-05-18 1976-09-08
JPS5240942B2 (ko) 1972-06-14 1977-10-15
JPS5877331A (ja) 1981-11-04 1983-05-10 Hitachi Ltd 論理回路
JPS5877331U (ja) * 1981-11-17 1983-05-25 株式会社キクチ科学研究所 捲上式曲面スクリ−ン装置
JP3576298B2 (ja) * 1995-12-05 2004-10-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JPH10221780A (ja) * 1997-02-05 1998-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FI103220B1 (fi) * 1997-06-24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Näyttölaite
AU2002230610A1 (en) * 2000-12-05 2002-06-18 E-Ink Corporation Portable eclectronic apparatus with additional electro-optical display
KR20070120950A (ko) * 2005-02-11 2007-12-26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유연성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1238426B (zh) 2005-05-20 2012-05-30 创造者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保护盖
JP3119961U (ja) * 2005-07-22 2006-03-23 株式会社ロケット・アイズ スクリーン
US7639237B2 (en) * 2006-03-03 2009-12-29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JP2008052040A (ja) * 2006-08-24 2008-03-06 Fujifilm Corp 表示装置
US2008024712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Retractab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2156266A2 (en) * 2007-04-25 2010-02-24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with edge protectors
CN203057227U (zh) * 2012-12-19 2013-07-10 浙江中呼科技有限公司 卷轴式智能手机
WO2015031501A1 (en) *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CN103712052B (zh) * 2013-12-31 2016-03-30 吉首大学 一种可卷曲的薄壁支撑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961B2 (ja) * 1993-03-01 2000-12-25 鐘紡株式会社 角質層のターンオーバー速度改善剤
JP2011022260A (ja) * 2009-07-14 2011-02-03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5549A1 (zh) 2016-05-06
US20170311461A1 (en) 2017-10-26
JP2017536573A (ja) 2017-12-07
CN105723295A8 (zh) 2017-07-18
US10045448B2 (en) 2018-08-07
CN105723295A (zh) 2016-06-29
CN105723295B (zh) 2020-02-07
EP3196730A1 (en) 2017-07-26
KR20170072329A (ko) 2017-06-26
JP6472880B2 (ja) 2019-02-20
EP3196730A4 (en) 2018-06-13
EP3196730B1 (en) 2019-07-17
ES2744861T3 (es)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658B1 (ko) 가요성 스크린 모듈 및 상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355328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526188B (zh) 可卷曲显示设备
US825365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extensible screen
KR101386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RU2016105816A (ru) Блок гибкого дисплея для раскладного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рминала (варианты) и раскладной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варианты)
US2016038181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2017536760A (ja)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を備える電子装置
EP3712875B1 (en) Structure of extending-type display screen
CN106254598A (zh) 一种可折叠柔性屏电子设备
KR20140101124A (ko)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136282B2 (en) Display means
CN109862250A (zh) 一种摄像头伸缩结构以及摄像设备
US2013026551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for narrow fram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CN109578776B (zh) 一种支撑及收纳装置以及电子设备
CN212484807U (zh) 柔性屏幕支架及显示装置
KR1007740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6685087A (zh) 移动终端及其折叠壳体
US20160143462A1 (en) Corner connector device
CN1984539B (zh) 显示屏遮光罩
US20110308339A1 (en) Driving apparatus with a vibration limiter for worm gear
US7694446B1 (en) Modular picture frame apparatus
CN102486680A (zh) 平板电脑模组及其键盘组件
US20170000268A1 (en) Picture frame
CN209980123U (zh) 电子装置及其柔性屏折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