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74Y1 -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74Y1
KR200387074Y1 KR20-2005-0008180U KR20050008180U KR200387074Y1 KR 200387074 Y1 KR200387074 Y1 KR 200387074Y1 KR 20050008180 U KR20050008180 U KR 20050008180U KR 200387074 Y1 KR200387074 Y1 KR 200387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head
livestock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균
Original Assignee
오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천균 filed Critical 오천균
Priority to KR20-2005-0008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3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head or neck restr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6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leg or foot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축산농가에서 병에 걸린 가축에게 혼자서도 손쉽게 고정시키고 수액 할 수 있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는 방형의 베이스판위에 다리고정부, 머리고정부, 몸통고정부, 목고정부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다리고정부는 베이스판의 하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바아가 장착되고, 고정바아의 상부면상에는 가축의 다리를 묶을 수 있도록 네 개의 다리고정밴드가 형성된다. 머리고정부는 베이스판의 전면부에 가축의 주둥이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주둥이고정밴드와, 주둥이고정밴드와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주둥이고정밴드의 후방에 길게 연장되는 머리고정밴드와, 주둥이고정밴드의 하측에 링형상으로 장착되는 머리매듭밴드로 이루어지며, 머리고정밴드가 가축의 머리를 상측으로 감싸면서 휘감아 주둥이고정밴드를 경유하여 머리매듭밴드에 묶여진다. 한편, 몸통고정부는 베이스판의 중앙부에 길다란 몸통고정밴드가 고정되어 가축의 배부위에서부터 등쪽으로 휘감은 후 묶여진다. 그리고 목고정부는 머리고정부와 몸통고정부의 사이에 길다란 목고정밴드가 고정되어 가축의 가슴에서부터 뒷목을 경유하여 앞목부위에서 묶여져 가축의 목부위에 꽂힌 수액용 주사바늘의 이탈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정맥주사장치{Intravenous injection device for livestock}
본 고안은 가축용 정맥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농가에서 병에 걸린 가축에게 혼자서 손쉽게 고정시키고 수액 할 수 있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에서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 폐사율이 가장 높은 것이 젖먹이 어린 송아지의 설사병이다. 설사는 어린 송아지가 각종 세균,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거나 이물질을 섭취하여 위장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 것으로 체내에 수분이나 영양소의 공급이 차단되어 결과적으로 폐사하는 질병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탈수 보상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치료약이라도 탈진된 상태에서는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위장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 또는 저하되었을 때 혈관을 통하여 수액을 하는 것이다.
수액은 혈관을 통하여 송아지가 필요로 하는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 등 영양물질을 혈관을 통하여 직접 넣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수액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명의 인원이 필요하며 수액이 끝날 때까지 사람이 송아지를 붙잡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알면서도 시행하기가 번거롭고 힘든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72825호(가축정맥주사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가축정맥주사장치는 너무 복잡하고 무겁고 고가이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가축 특히나, 어린 송아지의 신체적 구조와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쉽게 고정을 풀 수 있으며 가벼워서 어디든지 들고 다니면서 송아지를 치료할 수 있는 정맥주사장치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즉, 사람이 수레에 올라탄 상태에서 수레를 아무리 밀거나 끌어도 수레를 움질일 수 없는 원리와 비슷한 형식을 갖는다.
또한, 소가 약간의 경사지에서 발이 높은 곳으로 위치하여 옆으로 쓰러졌을 때 쉽게 일어나기 힘든 소의 신체적 특징과 아무리 큰 소라도 머리를 비틀면 넘어뜨릴 수 있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판의 하단부에 송아지의 다리가 상측으로 올라가 묶여지도록 다리고정부를 장착하고, 베이스판의 전면부에 송아지의 머리와 주둥이를 감싸면서 묶을 수 있는 머리고정부를 장착하고, 베이스판의 중앙부에 배와 목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몸통고정부 및 목고정부를 장착함으로써, 병들은 송아지에게 혼자서도 수액을 투여할 수 있어 폐사를 막을 수 있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형의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하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바아가 장착되고, 고정바아의 상부면상에는 가축의 다리를 묶을 수 있도록 네 개의 다리고정밴드가 형성되는 다리고정부;
베이스판의 전면부에는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측으로 둥글게 말려 가축의 주둥이가 삽입되는 주둥이고정밴드와, 주둥이고정밴드와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주둥이고정밴드의 후방에서 베이스판의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머리고정밴드와, 주둥이고정밴드의 하측에 링형상으로 장착되는 머리매듭밴드로 이루어지며, 머리고정밴드가 가축의 머리를 상측으로 감싸면서 휘감아 주둥이고정밴드를 경유하여 머리매듭밴드에 묶여지는 머리고정부;
베이스판의 중앙부에는 길다란 몸통고정밴드가 가축의 배부위에서부터 등쪽으로 휘감은 후 묶여지는 몸통고정부;
머리고정부와 몸통고정부의 사이에는 길다란 목고정밴드가 가축의 가슴에서부터 뒷목을 경유하여 앞목부위에서 묶여져 가축의 목부위에 꽂힌 수액용 주사바늘의 이탈을 방지하는 목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다리고정밴드와, 머리고정밴드와, 몸통고정밴드와, 목고정밴드의 타단부에는 서로 부착되는 암, 수의 매직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둥이고정밴드에 인접한 하측에는 머리매듭밴드와 동일한 형상의 머리연결밴드가 더 형성되어 머리고정밴드가 머리연결밴드를 경유하여 머리매듭밴드에 묶여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리고정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과, 다리고정부(120)와, 머리고정부(130)와, 몸통고정부(140) 및 목고정부(15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판(110)은 가축의 누울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FRP나 목재 등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110)의 크기는 어린송아지 기준의 적당한 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판(110)을 관통하는 넓은 배출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10)의 하단부에 다리고정부(120)가 설치된다.
다리고정부(120)는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바아(122)와, 다수개의 다리고정밴드(126)를 갖는다. 고정바아(122)는 어린 송아지의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베이스판(110)에서 상측으로 높게 설치되면서 베이스판(110)과 고정바아(122)의 사이에 빈공간(123)이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고정바아(122)에는 두개가 한 쌍으로 서로 근접하게 이웃하면서 상, 하로 관통되는 요홈(124)이 송아지의 다리수에 맞게 네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요홈(124)에 다리고정밴드(126)가 장착된다. 다리고정밴드(126)는 서로 이웃한 요홈(124)중 일측의 요홈(124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단부가 고정된 요홈(124a)의 상측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타단은 고정바아(122)의 하측으로 빠져 이웃한 타측의 요홈(124b)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송아지의 다리가 둥글게 말린 다리고정밴드(126)에 삽입되면, 다리고정밴드(126)의 타단부가 다리고정밴드(126)의 중앙에 부착된다. 이때, 다리고정밴드(126)의 타단부에는 암, 수 부착되는 매직테이프(12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리고정은 송아지의 발굽관절과 무릎관절 사이를 묶는 것으로 관절부위가 묶이는 부위보다 훨씬 굵기 때문에 너무 세게 조이지 않아도되며 묶이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송아지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110)의 전면부측에는 송아지의 머리와 주둥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부(130)가 장착된다. 머리고정부(130)는 주둥이고정밴드(132)와, 머리고정밴드(134)와, 머리연결밴드(136)와, 머리매듭밴드(138)를 갖는다. 먼저, 주둥이고정밴드(132)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판(110)의 상측으로 링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베이스판(11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머리고정밴드(134)는 주둥이고정밴드(132)에 연장되는 것으로 주둥이고정밴드(132)의 후방에서 베이스판(110)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머리연결밴드(136)와 머리매듭밴드(138)는 주둥이고정밴드(132)의 아래쪽으로 링형상을 가지면서 장착된다. 이러한 머리고정부(130)는 송아지를 옆으로 누였을 때, 먼저 주둥이고정밴드(132)에 송아지의 주둥이를 끼우고 후방에 일체로된 머리고정밴드(134)를 송아지의 머리를 상측으로 감싸면서 주둥이고정밴드(132)를 경유하여 하측의 머리연결밴드(136)에 다시 걸쳐지고 마지막으로 머리매듭밴드(138)를 돌아 묶여진다. 이때, 머리고정밴드(134)의 타단부에는 서로 부착되는 암, 수의 매직테이프(13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10)의 후방측에는 송아지의 배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한 몸통고정부(140)가 형성된다. 몸통고정부(140)는 송아지의 아랫배부분에 길게 고정되는 몸통고정밴드(142)와 송아지의 등쪽에 둥글게 고정되는 몸통매듭밴드(144)가 형성되어 몸통고정밴드(142)가 송아지의 배와 등을 감싸면서 등쪽의 몸통매듭밴드(144)에 감기면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몸통고정밴드(142)의 타단부에는 서로 부착되는 암, 수 매직테이프(142a)가 형성된다.
또한, 머리고정부(130)와 몸통고정부(140)의 사이에는 송아지의 목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목고정부(150)가 형성된다. 목고정부(150)는 수액을 투여하기 위하여 목부분에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 송아지가 움직여서 바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송아지의 가슴부위에 길게 연장되는 목고정밴드(152)가 고정되고, 뒷목부분에는 목고정밴드(152)가 경유되면서 돌아가는 링 형상의 목연결밴드(154)가 형성되고, 앞목부분에는 목고정밴드(152)가 감기면서 묶여지는 링 형상의 목매듭밴드(15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목고정밴드(152)의 타단부에는 서로 부착되는 암, 수의 매직테이프(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통고정부(140)와 목고정부(150)의 몸통매듭밴드(144)와 목연결밴드(154)는 길고 느슨하게 하여 신속하게 밴드를 끼울 수 있고 그 결합모양이 "Y"자 형상을 이루어 3점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다리고정밴드(126)와 머리고정밴드(134)와 몸통고정밴드(142)와 목고정밴드(152)에 형성되는 매직테이프들은 그 잇수를 길게 형성하여 송아지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가축용 정맥주사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판(110)을 바닥에 놓는다. 수액할 송아지를 꺼내어 베이스판(110)위에 누인다. 누일때는 송아지의 머리와 다리가 송아지의 머리고정부(130)와 다리고정부(120)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누인다. 다음은 송아지의 주둥이를 주둥이밴드(132)에 끼우고, 뒷목부분의 머리고정밴드(134)를 송아지의 머리를 상측으로 감싸면서 휘어감아 주둥이밴드(132)에 끼우고, 하측으로 연장시켜 머리연결밴드(136) 및 매듭밴드(138)를 걸쳐 매직테이프(134a)로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머리고정밴드(134)가 머리연결밴드(136)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머리매듭밴드(138)에 고정되면 머리고정밴드(134)가 길게 늘어져 느슨하기 때문에 머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주둥이 바로 밑에 머리연결밴드(136)를 두어 머리고정밴드(134)가 느슨하면서도 머리연결밴드(136)에 짧게 고정되어 송아지가 머리를 들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주둥이고정밴드(132)와 머리고정밴드(134)가 하나로 되어있기 때문에 머리고정밴드(134)를 당기면 주둥이고정밴드(132)가 자동으로 당겨져 가축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머리가 고정되면, 몸통고정부(140)의 몸통고정밴드(142)로 송아지의 배와 등부분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송아지의 다리를 다리고정부(120)에 고정시킨다. 다리는 하나씩 각각의 다리고정밴드(126)에 묶는다.
여기까지 진행되면 송아지의 목부분에 있는 혈관에 수액용 바늘을 꽂아 수액을 투여한다. 마지막으로 송아지가 목부분을 움직여 주사바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고정부(150)의 목고정밴드(152)를 뒷목부분의 목연결밴드(154)를 거쳐 앞목부분의 목매듭밴드(156)에 매직테이프(154a)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머리고정부(130)에 인접한 베이스판(110)에 수직한 스텐드를 설치하고 스텐드의 상단에 걸쇠를 형성하여 송아지에게 수액하는 링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형태는 송아지의 좌측정맥에 수액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베이스판(110)의 반대쪽으로 각각의 밴드들을 옮겨서 조립하면 우측정맥에도 상황에 따라 수액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홈(112)의 역할은 대부분의 송아지들이 수액을 할 때, 소변을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소변이 베이스판(110)에 묻지 않도록 배출홈(112)을 형성하여 베이스판(110)의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배출홈(112)은 정맥주사장치(100)를 들고 이동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는 송아지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느슨하고 편하게 묶었으면서도 송아지가 움직일 수 없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이와 같은 간단한 보정방법으로 인해 병들은 송아지에게 수의사 없이 혼자 수액을 투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는 그 무게가 대략 5KG 내외로 제작되기 때문에 손쉽게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송아지를 짓누르고 수액을 하던가 또는, 커다란 정맥주사장치에서 수액을 행했던 기존방식에서는 병들은 송아지가 두려움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는 바닥에 편하게 누운채로 사람이 지켜보지 않고도 수액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송아지에게 스트레스를 덜 주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리고정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정맥주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110 : 베이스판
120 : 다리고정부 122 : 고정바아
124 : 요홈 126 : 다리고정밴드
130 : 머리고정부 132 : 주둥이고정밴드
134 : 머리고정밴드 136 : 머리연결밴드
138 : 머리매듭밴드 140 : 몸통고정부
142 : 몸통고정밴드 144 : 몸통매듭밴드
150 : 목고정부 152 : 몸고정밴드
154 : 목연결밴드 156 : 목매듭밴드

Claims (4)

  1. 방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하단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바아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바아의 상부면상에는 가축의 다리를 묶을 수 있도록 네 개의 다리고정밴드가 형성되는 다리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부에는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측으로 둥글게 말려 가축의 주둥이가 삽입되는 주둥이고정밴드와, 상기 주둥이고정밴드와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주둥이고정밴드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머리고정밴드와, 상기 주둥이고정밴드의 하측에 링형상으로 장착되는 머리매듭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고정밴드가 가축의 머리를 상측으로 감싸면서 휘감아 상기 주둥이고정밴드를 경유하여 상기 머리매듭밴드에 묶여지는 머리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에는 길다란 몸통고정밴드가 가축의 배부위에서부터 등쪽으로 휘감은 후 묶여지는 몸통고정부;
    상기 머리고정부와 상기 몸통고정부의 사이에는 길다란 목고정밴드가 가축의 가슴에서부터 뒷목을 경유하여 앞목부위에서 묶여져 가축의 목부위에 꽂힌 수액용 주사바늘의 이탈을 방지하는 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밴드와, 상기 머리고정밴드와, 상기 몸통고정밴드와, 상기 목고정밴드의 타단부에는 서로 부착되는 암, 수의 매직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고정밴드에 인접한 하측에는 상기 머리매듭밴드와 동일한 형상의 머리연결밴드가 더 형성되어 상기 머리고정밴드가 상기 머리연결밴드를 경유하여 상기 머리매듭밴드에 묶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에는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정맥 주사장치.
KR20-2005-0008180U 2005-03-25 2005-03-25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KR200387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80U KR200387074Y1 (ko) 2005-03-25 2005-03-25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80U KR200387074Y1 (ko) 2005-03-25 2005-03-25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74Y1 true KR200387074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180U KR200387074Y1 (ko) 2005-03-25 2005-03-25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728A (zh) * 2019-05-20 2019-07-12 西南大学 一种可调式动物针灸保定架
CN110353922A (zh) * 2019-07-23 2019-10-22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家兔固定台
CN113288673A (zh) * 2021-06-28 2021-08-24 漯河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小动物解剖用实验装置
KR20220087786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728A (zh) * 2019-05-20 2019-07-12 西南大学 一种可调式动物针灸保定架
CN110353922A (zh) * 2019-07-23 2019-10-22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家兔固定台
KR20220087786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KR102535530B1 (ko) 2020-12-18 2023-05-24 대한민국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CN113288673A (zh) * 2021-06-28 2021-08-24 漯河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小动物解剖用实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074Y1 (ko)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US20220304788A1 (en) Therapeutic pet pillow and harness
KR200446563Y1 (ko)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CN104665952B (zh) 一种实验动物固定装置
CN105052773B (zh) 牛羊防治蜱虫、信息储存、定位和标记多功能项圈及应用
CN209595959U (zh) 一种畜牧兽医用灌药器
KR200460550Y1 (ko) 소의 자궁 내 약물 주입장치
CN204121197U (zh) 一种成猪专用保定架
CN208550100U (zh) 一种糖尿病人胰岛素注射服
CN205626182U (zh) 一种猪用安全固定开口器
CN203400221U (zh) 猪保定架
CN217244942U (zh) 一种畜牧兽医专用灌药装置
CN216363085U (zh) 一种畜牧养殖专用地插
CN214908583U (zh) 一种改进型畜牧兽医打针专用固定装置
CN211750269U (zh) 一种畜牧兽医用辅助输液器
CN213098520U (zh) 一种畜牧兽医用灌药器
KR101223867B1 (ko) 시신용 머리싸개
CN210331337U (zh) 一种短管式胃造瘘管
CN215228758U (zh) 一种畜牧兽医用固定架
CN203915154U (zh) 新生儿保护圈
JP3238630U (ja) ペット用術後服
CN103301005B (zh) 朝上牵引阴茎助长装置
CN211300497U (zh) 一种防脱落的移动式输液犬马甲
CN218900051U (zh) 一种新型动物保定台
CN209392151U (zh) 一种畜牧兽医用的家禽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