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86A -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86A
KR20220087786A KR1020200178167A KR20200178167A KR20220087786A KR 20220087786 A KR20220087786 A KR 20220087786A KR 1020200178167 A KR1020200178167 A KR 1020200178167A KR 20200178167 A KR20200178167 A KR 20200178167A KR 20220087786 A KR20220087786 A KR 20220087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folding member
foldable
pl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530B1 (ko
Inventor
김의형
조상래
강성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17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5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6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leg or foot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 송아지를 고정하기 위한 휴대용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아지 고정장치를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편리하며,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Foldable Calf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경우 송아지를 고정하기 위한 휴대용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아지의 사육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이나 외상의 진찰 및 치료작업을 하거나, 수액 등을 장시간 주사하고자 할 때에는 송아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수액 등을 주사하고자 할 때 송아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축사 기둥, 팔레트 등 간이 고정시설을 이용하여 송아지를 눕혀 보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해 인력이 필요하고 물론 송아지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송아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송아지의 외상 등을 진찰 또는 치료하거나, 수액 등을 장시간 주입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보정틀이 개시된 바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0814975호(2008.03.12.)
기존의 수액주입을 위한 송아지 보정틀은 크기가 크고 무거워 휴대 및 이동하기 불편하고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송아지 고정장치를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편리하며,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아지 몸통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수액 또는 송아지 머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접철부재; 송아지 제1 다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2 접철부재; 및 송아지 제2 다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타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3 접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송아지의 머리 또는 송아지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4 접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철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길이 연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를 슬라이드하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는 수액 주입이 필요한 송아지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접철식 구성으로 보관시 접어서 간단히 보관할 수 있고, 크기도 휴대용 크기로서 이동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접은 형태를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에 힌지부재가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펼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펼친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펼쳐 송아지가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를 다른 형태로 펼쳐 송아지가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의 제1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 멈춤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접철부재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재 및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접철부재 하면에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 멈춤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의 길이 연장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자료들이 나타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10)는 제1 플레이트(100);, 제1 접철부재(200);, 제2 접철부재(300);, 제3 접철부재(400); 및 제4 접철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송아지의 몸통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에는 제1 내지 제4 접철부재(200, 300, 400, 500)가 접혀 플레이트(100)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었을 때, 제1 내지 제4 접철부재(200, 300, 400, 5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10)는 제1 내지 제4 접철부재(200, 300, 400, 50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으나 제1 내지 제4 접철부재(200, 300, 400, 500)가 펼쳐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접철부재(200, 300, 400, 500)를 플레이트(100)에 수직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 돌기(110) 높이 이상으로 제1 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시켜 펼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제1 면과 제 2면으로 분리되는 형태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00)의 제1 면과 제2 면을 접을 수 있도록 힌지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120)는 제1 플레이트(100)의 중심축을 따라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여 제1 플레이트(100)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힌지부재(120)가 배치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면의 저면과 제2면의 저면이 서로 마주 보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를 접을 수 있어 크기가 더 작아지며 휴대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는 수액이나 송아지 머리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봉(rod), 막대기, 샤프트, 각목 또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등 일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의 단부는 제1 플레이트(100)의 모서리부 일측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는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00)와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를 회전하여 펼치면 적어도 일부가 제1 플레이트(100) 상을 벗어나 펼쳐지면서 제1 접철부재(200) 상에 송아지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송아지에게 수액 주사를 마친 후 송아지를 분리시키고 제1 접철부재(200)을 회전하여 접으면 제1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에는 고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제1 접철부재(200) 상에 위치하는 송아지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일 예로, 고리, 스트랩, 버클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접철부재(2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은 고정부재(210)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을 따라 움직이며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접철부재(200)의 하면에는 제1 멈춤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멈춤돌기(230)는 제1 접철부재(200)의 힌지 결합 인접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에는 제1 멈춤돌기(23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음각의 제1 멈춤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멈춤홈(120)은 제1 플레이트(200)가 힌지 결합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다가 제1 멈춤돌기(230)가 제1 멈춤홈(120)에 삽입되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1 멈춤홈(120)은 힌지 결합에서 송아지의 머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선 상에서 힌지 결합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접철부재(200)에는 제1 길이 연장 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길이 연장 부재(240)는 제1 접철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부재로 제1 접철부재(200)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1 길이 연장 부재(240)의 단면적은 제1 접철부재(20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고, 제1 길이 연장 부재(240)는 제1 접철부재(20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접철부재(300)는 송아지의 제1 다리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봉(rod), 막대기, 샤프트, 각목 또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등 일 수 있다. 제2 접철부재(300)의 단부는 제1 플레이트(100)의 일측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철부재(300)는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00)와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접철부재(3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치면 적어도 일부가 제1 플레이트(100) 상을 벗어나 펼쳐지면서 제2 접철부재(300) 상에 송아지의 제1 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송아지에게 수액 주사를 마친 후 송아지를 분리시키고 제2 접철부재(300)을 회전하여 접으면 제1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접철부재(300)에는 고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제2 접철부재(300) 상에 위치하는 송아지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고, 일 예로, 고리, 스트랩, 버클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접철부재(3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은 고정부재(210)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을 따라 움직이며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접철부재(300)의 하면에는 제2 멈춤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멈춤돌기(330)는 제2 접철부재(300)의 힌지 결합 인접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에는 제2 멈춤돌기(33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음각의 제2 멈춤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멈춤홈(121)은 제1 플레이트(200)가 힌지 결합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다가 제2 멈춤돌기(330)가 제2 멈춤홈(121)에 삽입되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2 멈춤홈(121)은 힌지 결합 부분에서 송아지의 제1 다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선 상에서 힌지 결합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접철부재(300)에는 제2 길이 연장 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길이 연장 부재(340)는 제2 접철부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부재로 제2 접철부재(30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2 길이 연장 부재(340)의 단면적은 제2 접철부재(30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고, 제2 길이 연장 부재(340)는 제2 접철부재(30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제3 접철부재(400)는 송아지의 제2 다리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봉(rod), 막대기, 샤프트, 각목 또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등 일 수 있다. 제3 접철부재(400)의 단부는 제1 플레이트(100)의 타측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3 접철부재(400)는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00)와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접철부재(4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치면 적어도 일부가 제1 플레이트(100) 상을 벗어나 펼쳐지면서 제3 접철부재(400) 상에 송아지의 제2 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송아지에게 수액 주사를 마친 후 송아지를 분리시키고 제3 접철부재(400)을 회전하여 접으면 제1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3 접철부재(400)에는 고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제3 접철부재(400) 상에 위치하는 송아지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고, 일 예로, 고리, 스트랩, 버클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접철부재(4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은 고정부재(210)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을 따라 움직이며 송아지의 제2 다리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접철부재(400)의 하면에는 제3 멈춤돌기(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멈춤돌기(430)는 제3 접철부재(400)의 힌지 결합 인접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에는 제3 멈춤돌기(43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음각의 제3 멈춤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멈춤홈(122)은 제1 플레이트(200)가 힌지 결합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다가 제3 멈춤돌기(430)가 제3 멈춤홈(122)에 삽입되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3 멈춤홈(122)은 힌지 결합 부분에서 송아지의 제2 다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선 상에서 힌지 결합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접철부재(400)에는 제3 길이 연장 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길이 연장 부재(440)는 제3 접철부재(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부재로 제3 접철부재(40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3 길이 연장 부재(440)의 단면적은 제3 접철부재(40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고, 제3 길이 연장 부재(440)는 제3 접철부재(40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제4 접철부재(500)는 수액 또는 송아지의 머리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봉(rod), 막대기, 샤프트, 각목 또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등 일 수 있다. 제4 접철부재(500)의 단부는 제1 플레이트(100)의 일측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4 접철부재(500)는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00)와 접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접철부재(500)를 회전하여 펼치면 적어도 일부가 제1 플레이트(100) 상을 벗어나 펼쳐지면서 제4 접철부재(500) 상에 수액 또는 송아지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송아지에게 수액 주사를 마친 후 송아지를 분리시키고 제4 접철부재(500)을 회전하여 접으면 제1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4 접철부재(500)에는 고정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제4 접철부재(200) 상에 위치하는 송아지의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고, 일 예로, 고리, 스트랩, 버클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송아지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접철부재(5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은 고정부재(210)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220)을 따라 움직이며 송아지의 제2 다리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4 접철부재(500)의 하면에는 제4 멈춤돌기(5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멈춤돌기(530)는 제4 접철부재(500)의 힌지 결합 인접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0)에는 제4 멈춤돌기(53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음각의 제4 멈춤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멈춤홈(123)은 제1 플레이트(200)가 힌지 결합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다가 제4 멈춤돌기(530)가 제4 멈춤홈(123)에 삽입되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4 멈춤홈(123)은 힌지 결합 부분에서 송아지의 제2 다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선 상에서 힌지 결합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접철부재(500)에는 제4 길이 연장 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4 길이 연장 부재(540)는 제4 접철부재(5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부재로 제4 접철부재(50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4 길이 연장 부재(540)의 단면적은 제4 접철부재(50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고, 제4 길이 연장 부재(540)는 제4 접철부재(50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접철부재(200) 또는 제4 접철부재(500)에는 말단부에 거치홀(600)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홀(600)은 수액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봉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홀이다. 거치봉은 수액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수액은 송아지에게 주입되기 위해 송아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봉이 거치홀(600)에 삽입된 경우 상기 거치봉의 거치부는 송아지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 플레이트 200 : 제1 접철부재
300 : 제2 접철부재 400 : 제3 접철부재
500 : 제4 접철부재

Claims (9)

  1. 송아지 몸통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수액 또는 송아지 머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접철부재;
    송아지 제1 다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2 접철부재; 및
    송아지 제2 다리를 고정하며, 상기 플레이트 타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3 접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송아지의 머리 또는 송아지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스트랩(strap)인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일측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4 접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철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에는 길이 연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접철부재, 상기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3 접철부재를 슬라이드하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부재의 하면에는 제1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멈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멈춤돌기는 상기 제1 멈춤돌기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접철부재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철부재의 하면에는 제2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멈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2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멈춤돌기는 상기 제2 멈춤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접철부재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철부재의 하면에는 제3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3 멈춤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3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멈춤돌기는 상기 제3 멈춤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3 접철부재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접철식 송아지 보정장치.
KR1020200178167A 2020-12-18 2020-12-18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KR102535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67A KR102535530B1 (ko) 2020-12-18 2020-12-18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67A KR102535530B1 (ko) 2020-12-18 2020-12-18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86A true KR20220087786A (ko) 2022-06-27
KR102535530B1 KR102535530B1 (ko) 2023-05-24

Family

ID=8224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67A KR102535530B1 (ko) 2020-12-18 2020-12-18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530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91U (ko) * 1994-03-05 1995-10-16 신일현 소치료용 이동식 보정기
KR19990085511A (ko) * 1998-05-19 1999-12-06 김강권 소 보정장치
KR19990041447U (ko) * 1998-05-19 1999-12-15 김강권 이동식 간이 보정틀
KR20000002670A (ko) * 1998-06-22 2000-01-15 김주열 가축 정맥 주사장치
KR200324224Y1 (ko) * 2003-05-30 2003-08-21 김주경 동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기구
KR200387074Y1 (ko) * 2005-03-25 2005-06-17 오천균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KR100814975B1 (ko) 2006-07-28 2008-03-2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다기능 소 보정틀
KR20080004904U (ko) * 2007-04-20 2008-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보정틀
KR20090004517U (ko) * 2007-11-08 2009-05-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KR101190968B1 (ko) * 2012-06-20 2012-10-12 제주특별자치도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KR101768491B1 (ko) * 2016-03-16 2017-08-16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소 사육용 약재 투여 보조장치
KR101770517B1 (ko) * 2016-07-04 2017-08-22 윤성우 송아지 힘줄 보정기
JP2018519032A (ja) * 2015-05-29 2018-07-19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91U (ko) * 1994-03-05 1995-10-16 신일현 소치료용 이동식 보정기
KR19990085511A (ko) * 1998-05-19 1999-12-06 김강권 소 보정장치
KR19990041447U (ko) * 1998-05-19 1999-12-15 김강권 이동식 간이 보정틀
KR20000002670A (ko) * 1998-06-22 2000-01-15 김주열 가축 정맥 주사장치
KR200324224Y1 (ko) * 2003-05-30 2003-08-21 김주경 동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기구
KR200387074Y1 (ko) * 2005-03-25 2005-06-17 오천균 가축용 정맥주사장치
KR100814975B1 (ko) 2006-07-28 2008-03-2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다기능 소 보정틀
KR20080004904U (ko) * 2007-04-20 2008-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보정틀
KR20090004517U (ko) * 2007-11-08 2009-05-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KR101190968B1 (ko) * 2012-06-20 2012-10-12 제주특별자치도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JP2018519032A (ja) * 2015-05-29 2018-07-19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支持装置
KR101768491B1 (ko) * 2016-03-16 2017-08-16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소 사육용 약재 투여 보조장치
KR101770517B1 (ko) * 2016-07-04 2017-08-22 윤성우 송아지 힘줄 보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530B1 (ko)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17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of which end portion is perturbable by using elastic force of flexible display device during hinge operation
US4927128A (en) Sliding leg bodywork table
US9241859B2 (en) Folding table, portable, in particular massage table
US7934687B2 (en) Appendage elevation support structure
US20150282606A1 (en) Foldable Table
US3545738A (en) Medical examining and treatment table
US8246482B1 (en) Golf stance trainer
US6182578B1 (en) Portable treatment table
US9179786B1 (en) Collapsible napper for a playard bassinet
EP1112704A1 (en) Collapsible folding massage table
US9424818B1 (en) Travel guitar
KR20220087786A (ko)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US20220354265A1 (en) Foldable and adjustable beds
US20100236593A1 (en) Frame Structure For A Quickly Erectable Canopy Shelter
US20210046349A1 (en) Bed Exercise Apparatus
JPH08254037A (ja) デッキ等の折畳支持装置
US20190350374A1 (en) Modular bed assembly
US20230404275A1 (en) Adjustable bed
CN108938223A (zh) 一种可折叠的医疗急救担架
WO2023202671A1 (zh) 一种折叠书桌
CN105126259B (zh) 一种底座可折叠式蓝光照射仪
US2743049A (en) Foldable ladder support
US20050000010A1 (en) Apparatus for tipping a spa cover
US10363376B2 (en) Safety device for a medical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