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968B1 -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 Google Patents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968B1
KR101190968B1 KR1020120065902A KR20120065902A KR101190968B1 KR 101190968 B1 KR101190968 B1 KR 101190968B1 KR 1020120065902 A KR1020120065902 A KR 1020120065902A KR 20120065902 A KR20120065902 A KR 20120065902A KR 101190968 B1 KR101190968 B1 KR 101190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fixed
support
fixing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to KR102012006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송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줌은 물론 노동력 소모를 줄이도록 하고, 이동성을 향상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주사액의 온도를 송아지의 체온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쇼크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가 통하는 다수의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된 받침판부와; 받침판부의 후단부로부터 전위 일측까지 받침판부의 양측에 고정된 터널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통하도록 다수의 시술 공간이 형성되어 터널형 공간으로 송아지가 출입가능하면서 양측 벽체로는 송아지의 몸체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받침판부의 전단부에 고정된 지지틀에 높이와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된 2개의 호형 목고정대로 이루어져 목고정대에 송아지의 목부위를 끼워 고정하는 목고정부와; 몸체부의 전단부 양측 벽체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송아지의 흉수를 받쳐주는 흉수 받침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액을 걸어주는 수액 걸이부와; 받침판부의 전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2개의 바퀴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MOVABLE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SQUEEZE FRAME FOR CALF}
본 발명은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송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줌은 물론 노동력 소모를 줄이도록 하고, 이동성을 향상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주사액의 온도를 송아지의 체온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쇼크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송아지의 사육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이나 외상의 진찰 및 치료작업을 하거나, 수액 등을 장시간 주사하고자 할 때에는 송아지가 안락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송아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2~4명의 보조 작업자가 송아지를 잡거나 도와주어야 하였으며, 특히 수액 등을 장시간 주사하고자 할 때에는 축사 기둥, 사료 팔레트 등 간이 고정시설을 이용하여 송아지를 눕혀 보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해 작업 인력이 소모됨은 물론 송아지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생산성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송아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송아지의 외상 등을 진찰 또는 치료하거나, 수액 등을 장시간 주입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보정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송아지 보정틀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비용이 고가이며,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평균적인 몸집을 갖는 송아지의 보정 등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없으나 평균치에서 벗어나는 송아지에게는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이동성이 전혀 없어 송아지의 보정을 위해 송아지 보정틀이 있는 장소까지 송아지를 끌고 와야 하였으므로 이 과정에서 작업 인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고 송아지에게 큰 스트레스를 줄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한편,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 떨어지는 계절에는 수액을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온하여 주사하고 있으나, 수액 주입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외부기온으로 인해 수액의 온도가 점차 떨어지면서 저온충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송아지 보정틀에 수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나, 종래 송아지 보정틀의 경우 수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전무하여 동절기 등 외부온도가 하락하면 수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 못하여 수액주사가 치료를 위한 목적임에도 불구 송아지에게 온도충격, 스트레스 등을 유발하게 되고, 비용적인 측면을 감안할 때 소규모 농가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어 송아지 보정틀에 수액 온도 유지장치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송아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줌은 물론 노동력 소모를 줄이도록 하고, 이동성을 향상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주사액의 온도를 송아지의 체온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쇼크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부가 통하는 다수의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된 받침판부; 상기 받침판부의 후단부로부터 전위 일측까지 상기 받침판부의 양측에 고정된 터널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통하도록 다수의 시술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터널형 공간으로 송아지가 출입가능하면서 양측 벽체로는 송아지의 몸체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받침판부의 전단부에 고정된 지지틀에 높이와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된 2개의 호형 목고정대로 이루어져 상기 목고정대에 송아지의 목부위를 끼워 고정하는 목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 양측 벽체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송아지의 흉수를 받쳐주는 흉수 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액을 걸어주는 수액 걸이부; 및 상기 받침판부의 전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2개의 바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판부는, 전후좌우에 4개의 지지파이프가 직사각 형상으로 서로 고정되어 받침틀을 형성하고, 송아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이 상기 받침틀의 전후와 좌우에 격자형으로 고정되어 받침판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틀의 전위와 후위에는 송아지의 앞발과 뒷발을 끈으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발목 고정고리가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후단부에서부터 전위 일측까지 등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자형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사이에 고정된 다수의 연결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흉수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의 지주 중 가장 전단부의 지주 양측에 각각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관과, 상기 슬라이딩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슬라이딩관 사이에 연결된 라운드진 흉수 받침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 고정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전단부 양측에 고정된 지지파이프 상단부에 연결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틀;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지지틀의 연결대에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관; 일자형상으로 각각 구성되면서 각 상단부에서 고정편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중간부에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높이조절관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상기 다수의 높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가 높이조절핀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관에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봉;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봉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제1 목고정대; 상기 제1 목고정대와는 반대방향의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봉 중 다른 하나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고정편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폭조절공 중 어느 하나와 제1 폭조절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목고정대;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폭조절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 목고정대의 상단부에 링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폭조절대; 및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목고정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폭조절대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폭조절대의 다수의 폭조절공 중 어느 하나를 제2 폭조절핀을 통해 고정하는 폭조절구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액 걸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측 지주에 고정된 높이조절관과, 상단부에 수액 걸이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높이조절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액 걸이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측 지주 또는 상기 수액 걸이봉에 고정되어 수액 이송관이 침지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해주기 위한 수중가온기와, 상기 수중가온기를 통해 가열되는 수조내의 물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진 수액 온도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판부의 받침틀 전위 양측에는 축수용편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바퀴의 안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받침틀의 바퀴 전후위치에는 바퀴 가드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바퀴 가드의 중앙 상부에는 축수용편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상기 바퀴의 바깥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판부의 바퀴 위치 반대측 하면 양측에는 지면지지대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는 출입문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 일측에는, 송아지 보정에 필요한 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기구 보관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아지를 출입문을 통해 몸체부 안쪽으로 진입시킨 후 송아지의 목부위를 목고정부를 통해 타이트하게 고정하면 송아지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와 함께 송아지의 각 발목 부위를 발목 고정고리를 통해 묶어주면 송아지가 직립상태로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별도의 인력 도움없이도 송아지의 병변을 진단하거나, 병증을 치료하거나, 수액 등을 주사하기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받침판부의 전위에 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송아지가 있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송아지를 안전하게 보정한 상태에서 수액 주사 등의 작업 진행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인력소모를 줄임은 물론 송아지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시간의 수액 주사시 외부 온도가 저하되더라도 수조에 수액 이송관을 침지하고, 수조에 담기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송아지의 체온과 비슷한 적정온도의 수액을 처방받음으로써 저온충격을 방지하고, 수액처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고정부의 높낮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흉수 받침부와 수액 걸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송아지가 평균치보다 크거나 작더라도 그에 맞게 각 부위의 높낮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는 것이며, 송아지 보정틀을 이루는 모든 구조물을 시판되고 있는 원형 파이프와 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전위측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목고정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흉수 받침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수액 걸이부와 수액 온도유지부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아지를 직립상태로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고정하면서 병변의 진단, 병증의 치료, 수액 주사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며, 또 송아지를 보정한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받침판부(10)에 송아지의 몸체를 수용하는 몸체부(20)와, 송아지의 목부위를 고정하는 목고정부(30)와, 이동을 위한 2개의 바퀴(40)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받침판부(10)는, 전후좌우에 4개의 지지파이프가 직사각 형상으로 서로 고정되어 받침틀(11)을 형성하고, 송아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이 받침틀(11)의 전후와 좌우에 격자형으로 고정되어 받침판(12)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철근의 격자 사이의 공간이 이물질 통과공을 이루어 분뇨 또는 오염물을 하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받침틀(11)의 전위와 후위 양측에는 송아지의 앞발과 뒷발을 끈으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발목 고정고리(14)가 각각 고정되어 발목 고정끈(미도시)을 통해 송아지의 발목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몸체부(20)는, 받침판부(10)의 후단부로부터 전위 일측까지 받침판부(10)의 양측에 고정된 터널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통하도록 다수의 시술 공간이 형성되어 터널형 공간으로 송아지가 출입가능하면서 양측 벽체로는 송아지의 몸체를 지지하는 부위로서, 받침판부(10)의 후단부에서부터 전위 일측까지 등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자형 지주(21)와, 각 지주(21)의 사이에 고정된 다수의 연결대(22)로 이루어지며, 각 지주(21)를 통해 터널형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각 지주(21)와 연결대(22) 이외의 공간이 외부와 통하는 시술 공간을 이루게 된다. 도면상에는 "∩"자형 지주(21) 3개가 받침판부(10)의 후단부로부터 전위 일측까지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각 지주(21)의 사이에 연결대(22)가 연결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목고정부(30)는, 받침판부(10)의 전단부에 고정된 지지틀(31)에 높이와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된 2개의 호형 목고정대(35)(36)로 이루어져 각 목고정대(35)(36)의 사이에 송아지의 목부위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목고정부(30)의 지지틀(31)은 받침판부(10)의 전단부 양측에 고정된 지지파이프 상단부에 연결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고정부(30)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공(32a)이 형성된 상태로 지지틀(31)의 연결대에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관(32)과; 일자형상으로 각각 구성되면서 각 상단부에서 고정편(3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중간부에 다수의 높이조절공(34a)이 형성된 상태로 높이조절관(32)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다수의 높이조절공(34a) 중 어느 하나가 높이조절핀(32b)에 의해 높이조절관(32)에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봉(34)이 구비되어 송아지의 키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목고정부(30)에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높이조절봉(34)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제1 목고정대(35)와; 제1 목고정대(35)와는 반대방향의 호형으로 이루어져 높이조절봉(34) 중 다른 하나와 분리된 상태로 고정편(33)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폭조절공(33a) 중 어느 하나와 제1 폭조절핀(33b)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목고정대(36)와;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폭조절공(37a)이 형성된 상태로 제2 목고정대(36)의 상단부에 링크(37b)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폭조절대(37)와;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고정공(38a)이 형성된 상태로 제1 목고정대(35)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폭조절대(37)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면서 폭조절대(37)의 다수의 폭조절공(37a) 중 어느 하나를 제2 폭조절핀(38b)을 통해 고정하는 폭조절구(38)가 구비되어 송아지의 목 두께에 따라 제1 목고정대(35)와 제2 목고정대(36)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받침판부(10)의 받침틀(11) 전위 양측에는 축수용편(41)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바퀴(40)의 안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받침틀(11)의 바퀴 전후위치에는 바퀴 가드(42)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면서 바퀴 가드(42)의 중앙 상부에도 축수용편(43)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바퀴(40)의 바깥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받침판부(10)의 바퀴 위치 반대측 하면 양측에는 지면지지대(15)가 각각 장착되고, 몸체부(20)의 후단부에는 출입문(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함께, 송아지의 흉수를 받쳐주는 흉수 받침부(60)와, 수액 주사시 수액을 걸어놓을 수 있는 수액 걸이부(70)와, 수액 이송관을 침지시켜 수액을 일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수액 온도유지부(80)가 더 구비된다.
흉수 받침부(60)는, 몸체부(20)의 지주(21) 중 가장 전단부의 지주(21) 양측에 각각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관(61)과, 슬라이딩관(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나사(62)와, 슬라이딩관(61) 사이에 연결된 라운드진 흉수 받침봉(63)으로 이루어져 송아지의 키에 맞게 흉수 받침부(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액 걸이부(70)는, 몸체부(20)의 전단부측 지주(21)에 고정된 높이조절관(71)과, 상단부에 수액 걸이구(72)가 형성된 상태로 높이조절관(71)에 높이조절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액 걸이봉(73)과, 수액 걸이봉(73)의 위치를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나사(74)로 이루어진다.
수액 온도유지부(80)는, 수액 걸이봉(73)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수액 이송관(1)이 침지되는 수조(81)와, 수조(81)에 담긴 물을 가열해주기 위한 수중가온기(82)와, 수중가온기(82)를 통해 가열되는 수조내의 물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하는 온도조절기(83)로 이루어진다. 수액 온도유지부(80)에 적용되는 수중가온기(82)는 방수특성을 갖는 가온기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종류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온도조절기(83) 역시 방수특성을 갖는 온도조절기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종류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20)의 일측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는 수액 온도유지부(80)에 적용되는 수중가온기(82), 온도조절기(83)는 물론 송아지 보정시 사용되는 몸통 움직임 방지벨트(미도시), 발목 고정끈(미도시)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기구 보관함(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송아지 보정틀의 몸체부(20) 후단부위를 잡고 약간 들어주게 되면 받침판부(10) 전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바퀴(40)만 지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송아지 보정틀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대상이 되는 송아지가 있는 위치로 송아지 보정틀을 이동시킨 후에는 송아지를 끌고 나와 출입문(50)을 열고 몸체부(20) 안쪽으로 송아지를 넣어주게 된다.
송아지의 키, 목둘레 등 신체 특징에 맞게 흉수 받침부(60)와 목고정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또 목고정부(30)의 폭을 조절한 후 목고정부(30)의 폭조절대(37)와 제2 목고정대(36)를 개방하며, 송아지의 목부위를 제1 목고정대(35)에 위치시킨 후 다시 폭조절대(37)와 제2 목고정대(36)를 회전시키고, 제2 폭조절핀(38b)을 폭고정구(38)의 고정공(38a)에 삽입하여 폭조절대(37)의 위치를 고정해주면 송아지의 목부위가 제1 목고정대(35)와 제2 목고정대(36)의 사이에서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다.
흉수 받침부(60)를 조정할 때에는 양측 슬라이딩관(61)의 각 고정나사(62)를 풀어 양측 슬라이딩관(61)의 높이를 송아지의 키에 맞게 위치시킨 후 다시 각 고정나사(62)를 조여주면 된다.
목고정부(30)를 조정할 때에는 높이조절핀(32b)을 빼낸 후 높이조절봉(34)의 높이를 송아지의 키에 맞게 위치시킨 후 다시 높이조절핀(32b)을 끼워 높이조절봉(34)을 높이조절관(32)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제1 폭조절핀(33b)과 제2 폭조절핀(38b)을 빼내고 제2 목고정대(36)를 송아지의 목두께에 맞게 적절히 위치시킨 후 다시 제1 폭조절핀(33b)과 제2 폭조절핀(38b)을 고정하여 제1 목고정대(35)와 제2 목고정대(36)의 사이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송아지가 목고정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목고정부(30)로부터 빠져 나가려할 경우 송아지 자신의 목에 압박감이 발생되므로 심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며, 송아지의 흉수부위가 흉수 받침부(60)에 받쳐진 상태에 있게 되므로 송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송아지의 움직임은 자연히 최소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송아지 보정작업과 병행하여 필요한 경우 발목 고정끈으로 송아지의 발목을 발목 고정고리(14)에 묶어주고, 몸통 움직임 방지벨트로 송아지의 몸통을 몸체부(20)에 결속해주게 되면 송아지가 직립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최소화되게 된다.
송아지를 송아지 보정틀에 보정한 상태에서 수액 주사 등이 실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송아지는 받침판부(10)에 얹혀진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송아지의 강제 이동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전혀 없음은 물론 송아지를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송아지를 이동시킨 후 수액 주사를 놓아주게 되면 수액이 주입되는 시간 동안에도 송아지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주사침이 송아지 몸체에서 이탈되지 않아 원활한 수액 주입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의 받침판부(10)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철근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송아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받침판부(10)에 상부에 얹혀진 분뇨 또는 오염물이 얹혀지더라도 청소를 해주면 각 철근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아지에게 수액을 주사할 때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며, 대부분 실외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동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는 수액의 온도가 과도하게 떨어져 송아지에게 저온충격을 유발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수조(81)를 포함하는 수액 온도유지부(80)를 구비한 것으로, 수액 걸이봉(73)에 수조(81)를 고정하고, 여기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수조(81)내에 구비된 수중가온기(82)를 통해 물을 송아지 체온과 비슷한 정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액 이송관(1)을 수조(81) 안쪽에 침지시켜주면 수액 이송관(1)을 통해 이동하는 수액이 송아지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 수액을 주사하더라도 송아지가 저온충격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수조(81)에 담긴 물은 항상 송아지 체온과 비슷한 정도로 일정한 온도범위를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조(81)에는 온도조절기(83)를 구비하여 이러한 온도조절기(83)를 통해 수중가온기(82)의 구동 시간 및 온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수조(81) 내의 물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의 일측에는 기구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어 송아지의 보정에 필요한 몸통 움직임 방지벨트, 발목 고정끈은 물론 수액 온도유지부(80)에 적용되는 수중가온기(82), 온도조절기(83)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10 : 받침판부 11 : 받침틀
12 : 받침판 14 : 발목 고정고리
15 : 지면 지지대 20 : 몸체부
21 : 지주 22 : 연결대
30 : 목고정부 31 : 지지틀
32,71 : 높이조절관 32a,38a : 고정공
32b :높이조절핀 33 : 고정편
33a,37a : 폭조절공 33b : 제1 폭조절핀
34 : 높이조절봉 34a : 높이조절공
35 : 제1 목고정대 36 : 제2 목고정대
37 : 폭조절대 37b : 링크
38 : 폭조절구 38b : 제2 폭조절핀
40 : 바퀴 41,43 : 축수용편
42 : 바퀴 가드 50 : 출입문
60 : 흉수 받침부 61 : 슬라이딩관
62,74 : 고정나사 63 : 흉수 받침봉
70 : 수액 걸이부 72 : 수액 걸이구
73 : 수액 걸이봉 80 : 수액 온도유지부
81 : 수조 82 : 수중가온기
83 : 온도조절기

Claims (7)

  1. 상하부가 통하는 다수의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된 받침판부;
    상기 받침판부의 후단부로부터 전위 일측까지 상기 받침판부의 양측에 고정된 터널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통하도록 다수의 시술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터널형 공간으로 송아지가 출입가능하면서 양측 벽체로는 송아지의 몸체를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받침판부의 전단부에 고정된 지지틀에 높이와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된 2개의 호형 목고정대로 이루어져 상기 목고정대에 송아지의 목부위를 끼워 고정하는 목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 양측 벽체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송아지의 흉수를 받쳐주는 흉수 받침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액을 걸어주는 수액 걸이부; 및
    상기 받침판부의 전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2개의 바퀴를 포함하여서 된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는, 전후좌우에 4개의 지지파이프가 직사각 형상으로 서로 고정되어 받침틀을 형성하고, 송아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다수의 철근이 상기 받침틀의 전후와 좌우에 격자형으로 고정되어 받침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후단부에서부터 전위 일측까지 등간격으로 고정된 다수의 "∩"자형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사이에 고정된 다수의 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흉수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의 지주 중 가장 전단부의 지주 양측에 각각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관과, 상기 슬라이딩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슬라이딩관 사이에 연결된 라운드진 흉수 받침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고정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전단부 양측에 고정된 지지파이프 상단부에 연결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지지틀;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지지틀의 연결대에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관;
    일자형상으로 각각 구성되면서 각 상단부에서 고정편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중간부에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높이조절관에 승강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상기 다수의 높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가 높이조절핀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관에 고정되는 2개의 높이조절봉;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봉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제1 목고정대;
    상기 제1 목고정대와는 반대방향의 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봉 중 다른 하나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고정편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폭조절공 중 어느 하나와 제1 폭조절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목고정대;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폭조절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 목고정대의 상단부에 링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폭조절대; 및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목고정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폭조절대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폭조절대의 다수의 폭조절공 중 어느 하나를 제2 폭조절핀을 통해 고정하는 폭조절구를 포함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걸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측 지주에 고정된 높이조절관과, 상단부에 수액 걸이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높이조절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액 걸이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액 걸이봉에 고정되어 수액 이송관이 침지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해주기 위한 수중가온기와, 상기 수중가온기를 통해 가열되는 수조내의 물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진 수액 온도유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의 받침틀 전위 양측에는 축수용편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바퀴의 안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받침틀의 바퀴 전후위치에는 바퀴 가드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바퀴 가드의 중앙 상부에는 축수용편이 각각 고정되어 여기에 상기 바퀴의 바깥쪽면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부의 바퀴 위치 반대측 하면 양측에는 지면지지대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는 출입문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KR1020120065902A 2012-06-20 2012-06-20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KR101190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902A KR101190968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902A KR101190968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968B1 true KR101190968B1 (ko) 2012-10-12

Family

ID=4728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902A KR101190968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95B1 (ko) 2012-03-02 2014-07-24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859082B1 (ko) 2016-05-27 2018-05-17 메디키네틱스 주식회사 사지동물 운반용 수레
CN113855311A (zh) * 2021-10-26 2021-12-31 河北华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牲畜治疗用注射装置
KR20220087786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KR20230071812A (ko) 2021-11-15 2023-05-24 안도영 동물치료용 자세고정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80Y1 (ko) 2005-05-03 2005-07-18 울산광역시(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가축 보정기구
KR100814975B1 (ko) 2006-07-28 2008-03-2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다기능 소 보정틀
KR100864877B1 (ko)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KR200446563Y1 (ko) 2007-11-08 2009-11-10 대한민국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80Y1 (ko) 2005-05-03 2005-07-18 울산광역시(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가축 보정기구
KR100814975B1 (ko) 2006-07-28 2008-03-2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다기능 소 보정틀
KR200446563Y1 (ko) 2007-11-08 2009-11-10 대한민국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KR100864877B1 (ko)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95B1 (ko) 2012-03-02 2014-07-24 고상열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859082B1 (ko) 2016-05-27 2018-05-17 메디키네틱스 주식회사 사지동물 운반용 수레
KR20220087786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KR102535530B1 (ko) 2020-12-18 2023-05-24 대한민국 접철식 송아지 고정장치
CN113855311A (zh) * 2021-10-26 2021-12-31 河北华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牲畜治疗用注射装置
KR20230071812A (ko) 2021-11-15 2023-05-24 안도영 동물치료용 자세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968B1 (ko) 이동형 송아지 보정틀
KR100814975B1 (ko) 다기능 소 보정틀
KR200446563Y1 (ko) 가축의 수액 주입을 위한 보정 및 보온 장치
CN110680552A (zh) 一种家兔实验装置
US3250252A (en) Veterinary animal restraining apparatus
US6640751B1 (en) Animal support apparatus
CN208128814U (zh) 一种蔬菜种植用种子消毒装置
US20160045356A1 (en) Medical Compression Device for Animals
US4891849A (en) Hydrotherapy patient support apparatus
CN211704929U (zh) 一种畜牧兽医用打针固定装置
CN209075570U (zh) 一种护理工具用消毒装置
US568811A (en) Combination bed and bath for invalids
CN210991226U (zh) 一种新生儿外出检查专用车
CN207305697U (zh) 一种山羊挤奶台
CN220655720U (zh) 一种保定架
CN207836370U (zh) 一种农作物用防护支撑装置
CN110025397A (zh) 一种幼猪防疫治疗用固定夹具
CN206896432U (zh) 一种家兔授精辅助装置
CN206651889U (zh) 一种便于拆装的兽医用打针固定装置
CN206776388U (zh) 简便实用的水稻杂交用温烫去雄装置
CN219940868U (zh) 一种猪用多功能手术保定台
CN209749400U (zh) 便携式谷子温汤杀雄装置
CN213883641U (zh) 一种兽医吊瓶固定架
CN204158528U (zh) 烧伤整形科保温架
CN204836987U (zh) 一种铁皮石斛芽苗晾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