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867B1 - 시신용 머리싸개 - Google Patents

시신용 머리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867B1
KR101223867B1 KR1020110104420A KR20110104420A KR101223867B1 KR 101223867 B1 KR101223867 B1 KR 101223867B1 KR 1020110104420 A KR1020110104420 A KR 1020110104420A KR 20110104420 A KR20110104420 A KR 20110104420A KR 101223867 B1 KR101223867 B1 KR 10122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d
pad
deceased
cov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선우
나경미
Original Assignee
나경미
송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미, 송선우 filed Critical 나경미
Priority to KR102011010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7Devices for absorbing decomposition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신에 수의를 입히기전에 시신을 눕힌 후 머리를 간편하면서도 정돈된 상태로 감쌀 수 있도록 한 머리싸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시신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하면서 시신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이 흡수부재의 안쪽에 시신의 머리가 안치되도록 하는 베개가 고정되는 덮개패드와; 상기 덮개패드에 연결,형성되면서 시신의 턱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신의 목을 감싸면서 지지해주도록 지지부와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턱보공;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시신용 머리싸개{Head Cover for Corpse}
본 발명은 시신용 머리싸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신에 수의를 입히기전에 시신을 눕힌 후 머리를 매우 위생적이고 간편하면서도 정돈된 상태로 감쌀 수 있도록 한 머리싸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례(喪禮) 절차에 따르면, 임종을 모신 분들이 조용히 명복을 빈 다음 고인의 눈,귀 등을 막은 다음에 시신판위에 옮겨 모시는데, 임종 후 모셔진 시신은 반듯한 상태가 되도록 시신의 손과 발을 묶고 귀와 코 등에 솜을 넣고 머리를 한지로 감싸는 수시(收屍)를 실시하게 된다.
수시를 실시한 후, 근조 표시가 된 등을 달거나 상중이라는 종이를 대분 등에 붙여 발상을 하고, 부고를 내며 임종 하루후에 시신을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히는 염습(殮襲)을 하게 된다.
염습을 한 후에는 입관, 발인, 운구, 하관, 성분 등의 절차를 통해 모든 장례절차를 마치게 된다.
여기서, 수시를 하는 과정중 고인의 머리부분은 미리 수작업으로 접어서 만든 턱보공을 고인의 목을 감싸서 받치고, 솜(탈지면)으로 얼굴을 가린 후 한지로 감싸도록 하였다.
상기 턱보공을 통해 고인의 목을 감싸면서 받치는 것은 염습후 입관시에 시신의 체내 이물질이 목구멍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시신의 자세를 바르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고인의 목을 감싸서 받치는 턱보공은 고인의 목을 한번 더 옥죈다는 느낌을 주어서 유가족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고, 더욱이 한지는 재질상 구겨지면 다시 바르게 펼 수 없기 때문에, 아직 고인을 대면하지 못한 유가족에게는 고인의 얼굴을 재 대면시 적지 않은 슬픔과 놀라움에 당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탈지면은 먼지가 많아서 고인의 분비물이 나올 경우와, 남성 고인인 경우 수염이 있어 탈지면이 얼굴과 함께 묻어나서 다시한번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고인의 머리가 잘 고정되지 않아 입관시까지 고인을 모실때 머리 부분이 움직여 자세가 흐트러지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42266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된 시신을 바닥에 눕힐때 사용하는 매트 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425982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된 시신용 베개와 같이 별도로 각각 구비되므로, 이 또한 수시, 염습 등의 절차 진행시 작업이 번거롭게 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422665호(공고일 : 206.7.3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425982호(공고일 : 2006.9.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화된 하나의 단품으로 형성하여 수시 작업시 매우 편리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더욱이 시신의 머리 부분이 깔끔하고 정성이 들어간 상태로 처리된 모습을 보이도록 함으로써, 유가족의 입장에서 고인에 대한 최대한의 예의를 갖추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시신용 머리싸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시신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하면서 시신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이 흡수부재의 안쪽에 시신의 머리가 안치되도록 하는 덮개패드와; 상기 덮개패드에 연결,형성되면서 시신의 턱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신의 목을 감싸면서 지지해주도록 지지부와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턱보공;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덮개패드에는 시신의 머리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베개를 더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의 중앙에는 덮개부재가 덮개패드로부터 수직한 바깥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덮힐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와 턱보공은 연결편을 통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턱보공을 통해 시신의 목을 감싼 다음 고정되도록 턱보공의 지지부와 밴드부에는 제 1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를 통해 시신의 머리를 감싼 다음 고정되도록 패드의 양쪽면의 안쪽 및 바깥쪽에는 제 2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를 통해 시신의 머리를 감싼 다음 덮개부재를 덮어 고정하는 경우, 덮개부재의 안쪽면과 패드의 바깥쪽면에 제 3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3결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 훅단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로 시신의 머리를 덮을때, 먼저 시신의 얼굴에 덮을 수 있도록 흡수부재를 가지는 보조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의 둘레에는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리싸개는 시신을 수시하는 경우에, 시신의 머리를 간편하면서도 정돈된 상태로 감쌀 수 있고, 시신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을 패드의 흡수부재를 통해 흡수함으로써 수시를 실행하는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고인의 재 대면시에도 유가족에게 정돈되고 깔끔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싸개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보조패드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머리싸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싸개(1)는 바닥에 깔리면서 시신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덮개패드(10)와, 이 덮개패드(10)에 연결,형성되면서 시신의 턱을 감싸면서 지지해주는 턱보공(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덮개패드(10)와 턱보공(20)은 연결편(21)을 통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21)의 길이는 성인 평균 얼굴과 목 길이를 고려하여 정한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10)와 턱보공(20)은 면, 인견, 광목, 삼베 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부드러운 재질이므로 고인에게 불편함을 주는 인상을 방지하여 유가족에게도 자연스러운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10)는 고인의 머리 부분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길이와 면적을 가지고, 안쪽면에는 흡수부재(11)가 결합된다.
상기 흡수부재(11)에는 향, 숯, 흡수제, 탈취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10)는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덮개부재(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 덮개부재(12)에는 덮개패드(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지만, 흡수부재(11)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10)의 덮개부재(12)의 안쪽면에는 벨크로 테이프(1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덮개패드(10)의 바깥면 해당 위치에도 벨크로 테이프(1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덮개패드(10)의 중앙 위치에는 고인의 머리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베개(30)가 구비된다.
상기 베개(30)는 덮개패드(10)의 흡수부재(11)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아예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시 흡수부재(11)의 중앙위치에 놓고 시신의 머리를 안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개(30)의 모양은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와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보공(20)은 밴드형을 이루면서 한쪽 부분(대략 턱보공 길이 전체의 절반 정도)은 두툼하게 형성되는 지지부(22)를 이루고, 다른쪽 부분은 고정하기 위한 얇은 두께의 밴드부(23)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턱보공(20)을 통해 고인의 목을 감싸는 경우, 지지부(22)와 밴드부(23)는 벨크로 테이프(24)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와 밴드부(23)는 벨크로 테이프(24)외에, 훅 단추로도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22)와 밴드부(23)를 끈으로 묶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22)와 밴드부(23)를 끈으로 결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끈을 지지부(22)와 밴드부(2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패드(10)로 시신의 머리를 감쌀때, 별도 마련한 보조패드(40)를 얼굴에 덮고 덮개패드(10)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패드(40)는 덮개패드(10)와 마찬가지로 흡수부재(41)가 구비되고, 시신의 얼굴(평균적인 성인 얼굴 크기)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리싸개(1)의 일 부분에 각종 종교 심벌 또는 장례식에 사용되는 근조 문구를 형성하거나 머리싸개 자체를 근조 깃발 모양으로 디자인을 형상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2)의 종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벨크로 테이프(14)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벨크로테이프(14)와 대응되는 위치의 덮개부재(12)의 바깥면에도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다.
종방향의 벨크로 테이프(14)는 시신의 얼굴 크기에 따라 마지막에 덮는 덮개부재(12)의 덮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얼굴이 큰 시신인 경우에는 덮개부재(12)를 덮개패드(10)에 보다 적게 덮어서 시신의 얼굴에 맞도록 하며, 반대로 얼굴이 작은 시신인 경우에는 덮개부재(12)를 덮개패드(10)에 바짝 당겨서 벨크로 테이프(14)로 부착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덮개패드(10)의 둘레를 따라 고무줄과 같은 신축부재(15)를 삽입하여 덮개패드(10)를 시신의 얼굴에 덮을때, 신축부재(15)에 의해 조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싸개(1)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인의 머리 부분을 베개(30)에 눕히면서 반듯한 자세가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턱보공(20)의 지지부(22)를 고인의 턱 밑에 넣어서 받치면서 밴드부(23)로 덮으면서 벨크로 테이프(24)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패드(10)의 중앙에 배치된 베개(30)를 중심으로 양쪽 면중 어느 한쪽 면을 먼저 고인의 얼굴에 덮고, 나머지 반대쪽 면을 덮은 다음, 덮개패드(10)의 중앙 상부에 연장,형성된 덮개부재(13)를 덮으면서 벨크로 테이프(13)로 결합, 고정하여 마무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신용 머리싸개는 고인의 분비물(구강 등에서 분비되는 것)을 덮개패드(10)의 안쪽면에 형성된 흡수부재(11)를 통해 흡수하고, 턱보공(20)에 의해 고인의 턱을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으므로, 수시가 끝난 후 염습이전까지 가장 위생적으로 고인을 모실 수 있다.
또한, 흡수부재(11) 자체에 향이 발산되거나 또는 탈취제를 포함함으로써, 고인의 구강으로 부터 나오는 분비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입관전에 고인을 대면하지 못한 유가족이 있는 경우, 재 대면시 외적 으로 정돈된 모습을 볼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재 대면에 따른 슬픔이 가중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12)에 형성되는 벨크로 테이프(14)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시신의 얼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덮개패드(10)에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덮개패드(10)의 둘레를 따라 고무줄과 같은 신축부재(15)가 구비되어 있어, 시신의 얼굴에 덮을때, 보다 조여주도록 하여 덮개패드(10)의 안쪽에 구비된 흡수부재(11)가 시신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어 시신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 흡수기능이 더욱 양호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머리싸개
10 : 덮개패드
11 : 흡수부재
12 : 덮개부재
13 : 벨크로 테이프(가로형)
14 : 벨크로 테이프(세로형)
15 : 신축부재
20 : 턱보공
21 : 연결편
22 : 지지부
23 : 밴드부
24 : 벨크로 테이프
30 : 베개
40 : 보조패드

Claims (10)

  1. 시신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하면서 시신으로부터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이 흡수부재의 안쪽에 시신의 머리가 안치되도록 하는 덮개패드와;
    상기 패드에 연결,형성되면서 시신의 턱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신의 목을 감싸면서 지지해주도록 지지부와 밴드부로 이루어지는 턱보공과;
    상기 덮개패드에 시신의 머리를 안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베개와;
    상기 덮개패드의 중앙에 덮개패드로부터 수직한 바깥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덮힐 수 있도록 된 덮개부재와;
    상기 턱보공을 통해 시신의 목을 감싼 다음 고정되도록 턱보공의 지지부와 밴드부에 구비되는 제 1결합수단과;
    상기 덮개패드를 통해 시신의 머리를 감싼 다음 고정되도록 덮개패드의 양쪽면의 안쪽 및 바깥쪽에 구비되는 제 2결합수단과;
    상기 덮개패드를 통해 시신의 머리를 감싼 다음 덮개부재를 덮어 고정하는 경우, 덮개부재의 안쪽면과 덮개패드의 바깥쪽면에 구비되는 제 3결합수단과;
    상기 덮개패드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신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용 머리싸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드와 턱보공은 연결편을 통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용 머리싸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3결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 훅단추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용 머리싸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드로 시신의 머리를 덮을때, 먼저 시신의 얼굴에 덮을 수 있도록 흡수부재를 가지는 보조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신용 머리싸개.
  10. 삭제
KR1020110104420A 2011-10-13 2011-10-13 시신용 머리싸개 KR101223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420A KR101223867B1 (ko) 2011-10-13 2011-10-13 시신용 머리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420A KR101223867B1 (ko) 2011-10-13 2011-10-13 시신용 머리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867B1 true KR101223867B1 (ko) 2013-01-17

Family

ID=4784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420A KR101223867B1 (ko) 2011-10-13 2011-10-13 시신용 머리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10Y1 (ko) 2020-11-24 2021-08-02 전석기 시신용 얼굴가리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59Y1 (ko) * 2004-12-01 2005-03-08 김지홍 장례용 염포
KR200415069Y1 (ko) * 2006-01-26 2006-04-27 이배연 장례용품
KR200422665Y1 (ko) * 2006-04-27 2006-07-31 이숙재 시신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59Y1 (ko) * 2004-12-01 2005-03-08 김지홍 장례용 염포
KR200415069Y1 (ko) * 2006-01-26 2006-04-27 이배연 장례용품
KR200422665Y1 (ko) * 2006-04-27 2006-07-31 이숙재 시신용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10Y1 (ko) 2020-11-24 2021-08-02 전석기 시신용 얼굴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42B1 (ko) 미용 밴드
KR101223867B1 (ko) 시신용 머리싸개
KR101349260B1 (ko) 적외선 비염치료기
KR200483136Y1 (ko) 애완동물용 재활 보조기구
CN207101037U (zh) 一种床笠
KR200409481Y1 (ko) 마스크팩
CN204600947U (zh) 婴儿护理床
KR101882910B1 (ko) 시신 이송용 기능성 항균 수세매트
KR20130063052A (ko) 수면 보조장치
CN205849655U (zh) 头部敷料固定帽
CN210812076U (zh) 一种新生儿使用的医用鸟巢
CN206314620U (zh) 具有可调节角度的下巴支撑装置的口罩
CN213158712U (zh) 一种婴儿无创呼吸机鼻塞固定帽
CN206366085U (zh) 一种用于小儿无创呼吸机辅助通气鼻塞的固定帽
KR200415069Y1 (ko) 장례용품
US20070235025A1 (en) Baby hernia belt
CN214909921U (zh) 一种带有可拆卸式衬垫的搁手架
CN210872479U (zh) 一种新生儿肚脐护理装置
TWM566594U (zh) Mask-back adjustable belt
CN215960623U (zh) 湿敷防渗透气护套
CN215192693U (zh) 布朗架牵引包
JP3068781U (ja) 浄土杖
CN213553150U (zh) 一种用于骨科术后患者患肢抬高的绑带组件
CN210301528U (zh) 一种失禁性皮炎患者用下肢垫
CN211560707U (zh) 一种肝胆外科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