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42B1 - 미용 밴드 - Google Patents

미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42B1
KR101737542B1 KR1020160145297A KR20160145297A KR101737542B1 KR 101737542 B1 KR101737542 B1 KR 101737542B1 KR 1020160145297 A KR1020160145297 A KR 1020160145297A KR 20160145297 A KR20160145297 A KR 20160145297A KR 101737542 B1 KR101737542 B1 KR 10173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er
projection
hea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0489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375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4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는, 사용자의 얼굴에서 턱 부분에 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감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얼굴에 밀착되는 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일면의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림프를 자극하는 림프 자극돌기; 상기 일면에서 상기 림프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측두를 자극하는 측두 자극돌기; 및 상기 일면에서 상기 측두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하악을 자극하는 하악 자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용 밴드{cosmetic band}
본 발명은 미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얼굴을 효과적으로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하는 미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얼굴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하여, 퍼프 등의 화장도구를 사용해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거나, 화장품이 함침된 마스크팩을 얼굴에 붙이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된다. 여성들은 이러한 행위를 통해 피부가 청결하고 윤기있게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그런데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거나 마스크팩을 피부에 붙이는 행위의 경우,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전달하는데 그치는 것일 뿐이어서, 주름 제거나 리프팅 등의 효과를 거둘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리프팅 효과를 얻기 위해, 최근에는 머리를 감싸서 턱과 좌우의 볼을 위로 당겨주는 밴드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여성들은 이러한 밴드를 일정시간 동안 머리에 감아 사용함으로써, 볼 등의 피부가 리프팅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그런데 이러한 밴드는 피부를 위로 잡아당기기만 할 뿐이어서 오히려 피부가 늘어나 처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피부의 탄력이 저하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성들이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전달하면서도 밴드를 통한 리프팅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간차를 두어 마스크팩을 일정시간 동안 피부에 붙이는 행위와 밴드를 머리에 감아 고정하는 행위를 각각 해야 했으므로,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피부의 리프팅 효과와 유효 성분 전달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리프팅 시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품의 개발 및 출시가 시급하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마스크팩을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머리에 감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팅 효과와 유효성분을 피부에 전달하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미용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돌기들을 마련하여 두고, 돌기의 위치를 특정하여 돌기에 의해 림프와 측두, 하악 등의 자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피부를 맑게 하고 얼굴을 작게 교정해주는 동시에 턱 라인을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용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는, 사용자의 얼굴에서 턱 부분에 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감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얼굴에 밀착되는 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일면의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림프를 자극하는 림프 자극돌기; 상기 일면에서 상기 림프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측두를 자극하는 측두 자극돌기; 및 상기 일면에서 상기 측두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하악을 자극하는 하악 자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마스크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마스크팩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자극돌기가 탈착되도록 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일면에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되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고정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며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본체가 잡아당겨지면서 확대된 상기 구멍에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상기 구멍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선돌기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곡선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직선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선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선돌기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일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선돌기는, 점 부분의 직경이 끊어진 부분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악 자극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점선돌기 사이 또는 상기 점선돌기의 끊어진 부분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양측에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림프 자극돌기 또는 상기 측두 자극돌기는, 상기 연결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머리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밴드는, 머리에 감아 고정되면 얼굴에 부착된 마스크팩을 피부에 안정적으로 밀착시켜서, 리프팅 효과를 거두면서도 마스크팩에 함침된 화장품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밴드는, 본체에 일정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돌기들을 통해 림프를 자극하여 피부를 맑게 하면서 혈색을 개선하고, 측두를 자극하여 작은 얼굴로 만들어주며, 동시에 하악을 자극해 처진 턱선을 당기고 탄력을 증가시켜 턱 라인을 만들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자극돌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자극돌기의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밴드(1)는, 본체(10), 고정부(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사용자의 얼굴(F)에서 턱 부분에 밀착된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F)에는 마스크팩(P)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본체(10)는 마스크팩(P)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에 의해 얼굴(F)에 밀착되는 마스크팩(P)은, 목화씨를 둘러싸고 있는 미세한 솜털로 만들어진 고밀착 큐프라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탄력, 밀착력이 높고 뛰어난 수분보유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P)은, 파라벤, 미네랄오일, 벤질알코올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지 않는 대신, 천연향균제로 피부 재생효과와 세포벽 강화, 피부면역력 증가 효과를 갖는 프로폴리스와, 피부재생 및 탄력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 등록특허 제10-0966835에 기재된 식물성 성분(botaniceutical plus 10으로 지칭), 프랑스 세더마(Sederma)社에서 개발한 리프팅, 피부진정, 수분저장, 피부보호 효과를 갖는 다이나리프트TM 등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마스크팩(P)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에 전달되어 특정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유효물질이 젖어있는 모든 시트를 포괄할 수 있다.
본체(10)는 고정부(20)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H)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10)에 고정부(20)가 마련될 수 있도록 본체(10)에는 일면(11)의 양측에 고정부(2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17)를 갖는다.
연결부(17)는 본체(10)의 일면(11)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17)에는 고정부(20)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연결부(17)와 후술할 자극돌기(12)가 마련되는 일면(11)이 일체형으로 신축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연결부(17)에 탈착되는 고정부(20)는 본체(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이나 구조를 가져서 본체(10)를 머리(H)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10)는 얼굴(F)에 밀착되는 일면(11)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12)를 포함한다. 자극돌기(12)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부(121), 고정부(122), 삽입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121)는 일면(11)에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얼굴(F)의 각 부위를 자극할 수 있다.
고정부(122)는, 일면(11)의 반대편인 타면(14)에 안착되어, 자극돌기(12)가 일면(11)에서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22)의 단면은 돌출부(121)의 단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자극돌기(12)를 본체(10)에 결합할 때 돌출부(121)가 아닌 고정부(122)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삽입부(123)는, 돌출부(121)와 고정부(122)를 연결하되 돌출부(121) 또는 고정부(122)보다 작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자극돌기(12)는,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의 일면(11)에는 자극돌기(12)가 탈착되도록 하는 구멍(111)을 포함할 수 있고, 자극돌기(12)는 본체(10)에 마련되는 구멍(111)에 끼워질 수 있는데, 본체(10)가 실리콘이나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자극돌기(12)는 본체(10)가 사용자에 의해 잡아당겨지면서 구멍(111)이 확대될 때, 확대된 구멍(111)에 고정부(122) 또는 돌출부(121)가 삽입된 후 삽입부(123)가 구멍(111)에 안착됨에 따라,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1)나 고정부(122)의 단면은 구멍(111)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고 삽입부(123)는 구멍(11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사용자는 구멍(111) 주변을 잡아당겨서 삽입부(123)가 구멍(111)에 안착될 때까지 고정부(122) 등을 구멍(111)에 강제로 밀어넣은 후 잡아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구멍(111)에 자극돌기(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의 일면(11)에 마련되는 자극돌기(12)는 본체(10)의 구멍(111)에 끼워지므로, 본체(10)의 구멍(111)의 배치에 따라 자극돌기(12)의 배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자극돌기(12)는 본체(10)의 일면(11)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극돌기(12)는 일례로 20도 내지 40도(바람직하게는 25도 내지 30도)의 경도를 갖는 실리콘 등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본체(10)와는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10)보다 신축성이 다소 낮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압을 구현할 수 있다.
자극돌기(12)는, 림프 자극돌기(12a), 측두 자극돌기(12b), 하악 자극돌기(1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림프 자극돌기(12a)는, 일면(11)의 좌우에 마련되며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될 때 사용자의 림프를 자극한다. 여기서 림프 자극돌기(12a)는 얼굴(F)에 위치한 림프절을 자극할 수 있으며,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될 때 림프 자극돌기(12a)가 자극하는 림프 자극부위(A)는, 뒤통수와 귀 사이에 있는 occipital lymph node, 귀 뒤에 있는 posterior auricular lymph node, 귀 앞에 있는 parotid lymph node, 턱의 뒤쪽에 있는 submandibular lymph node, 턱의 앞쪽에 있는 submental lymph node 등일 수 있으며, 일례로 림프 자극돌기(12a)는 parotid lymph node를 자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림프 자극돌기(12a)는, 본체(10)의 일면(11)에 마련되거나, 및/또는 본체(10)의 일면(11) 양측에 마련되는 연결부(17)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본체(10)를 머리(H)에 고정할 때 림프 자극돌기(12a)가 림프절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림프 자극돌기(12a)가 얼굴(F)의 림프절을 자극하게 됨에 따라, 본 실시예는 림프절의 지압과 같은 자극을 통해 피부에 나쁜 찌꺼기들이 배출되도록 하여, 피부가 맑아지고 혈색이 좋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측두 자극돌기(12b)는, 일면(11)에서 림프 자극돌기(12a)보다 내측에 마련된다. 측두 자극돌기(12b)는 림프 자극돌기(12a)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10)의 일면(11)에서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반대편 변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할 수 있다.
측두 자극돌기(12b)는, 측두 자극부위(B)로 볼의 바깥쪽을 지압하게 되며, 이 경우 머리뼈 바닥과 옆면 중간 부분에 붙어있는 불규칙한 뼈를 줄여서, 작은 얼굴(F)로 만들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측두 자극돌기(12b)는 본체(10)의 일면(11)에 마련되거나 및/또는 연결부(17)에 마련될 수 있지만, 측두 자극돌기(12b)가 마련되는 연결부(17)는, 림프 자극돌기(12a)가 마련되는 연결부(17)와 다를 수 있다.
즉 본체(10)의 일면(11)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부(17) 중 어느 하나에는 림프 자극돌기(12a)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측두 자극돌기(12b)가 마련될 수 있다.
하악 자극돌기(12c)는, 일면(11)에서 측두 자극돌기(12b)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될 때 사용자의 하악(下顎)을 자극한다. 하악 자극돌기(12c)는 하악 자극부위(C)로 아래턱을 이루는 말발굽 모양의 뼈를 눌러서 아래턱을 지압하여, 처진 턱선을 당기게 하고 탄력을 증가하면서 아름다운 턱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하악 자극돌기(12c)는 림프 자극돌기(12a)나 측두 자극돌기(12b)보다 많은 수로 마련될 수 있고,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례로 좌우 각 3개씩 마련되어 총 6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하악 자극돌기(12c)의 개수나 배치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자극돌기(12)는, 림프 자극돌기(12a)를 통해 피부를 맑게 하고, 측두 자극돌기(12b)를 통해 얼굴(F)을 작게 하며, 하악 자극돌기(12c)를 통해 턱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돌기(12)의 구체적인 배치를 통하여, 본 실시예는 단순히 지압을 구현하는 돌기를 마련하는 경우와 대비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효과들을 한번에 부여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켜줄 수 있다.
본체(10)의 일면(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선돌기(1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점선돌기(13)는 본체(10)의 일면(11)에서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점선돌기(13)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일례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곡률반경이 (비선형으로) 커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점선돌기(13)는 점 부분의 직경이 점과 점 사이에서 끊어진 부분(131)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점선돌기(13)는 본체(10)의 일면(11)에 밀착되는 마스크팩(P)이 일면(1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점선돌기(13)는 본체(10)와 동일/유사하게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일면(11)에 돌출되도록 일면(11)에 부가되거나, 또는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악 자극돌기(12c)는 아래턱을 자극하며, 점선돌기(13)는 턱에 인접하는 변에 가까이 마련되므로, 하악 자극돌기(12c)와 점선돌기(13)가 서로 간섭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하악 자극돌기(12c)는, 복수 개의 점선돌기(13) 사이 또는 점선돌기(13)의 끊어진 부분(131) 상에 마련됨에 따라, 하악 자극돌기(12c)와 점선돌기(13)가 서로 겹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자극돌기(12)는 얼굴(F)에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점선돌기(13)는 마스크팩(P)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극돌기(12)의 돌출 높이는 점선돌기(13)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일례로 점선돌기(13)는 2 내지 5mm의 직경과 0.5 내지 2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자극돌기(12)의 돌출부(121)는 5 내지 15mm의 직경과 3 내지 8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자극돌기(12)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곡선돌기(15)와 직선돌기(16)보다도 돌출되는 높이가 클 수 있다.
본체(10)에서 일면(11)의 반대편인 타면(14)에는, 곡선돌기(15) 및 직선돌기(16)가 마련될 수 있다.
곡선돌기(15)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타면(14)에서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곡선돌기(15)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곡률반경이 (비선형으로) 커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곡선돌기(15)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라는 점에서 점선돌기(13)와 유사한 배치를 가질 수 있지만, 곡선돌기(15)는 선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반면 점선돌기(13)는 원형의 점이 비연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곡선돌기(15)의 곡률반경은, 점선돌기(13)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일면(11)과 타면(14)에 각각 마련되는 점선돌기(13)와 곡선돌기(15)는, 본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곡선돌기(15)는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잡아당겨질 때, 턱에 효율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곡선돌기(15)는 리브(rib)로서,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되면 본체(10)의 일면(11)이 턱 또는 턱에 부착된 마스크팩(P)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직선돌기(16)는, 타면(14)에서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직선돌기(16)는 곡선돌기(15)와 유사하게 선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직선돌기(16)는, 곡선돌기(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되도록 마련된다. 물론 이는 가장 작은 곡선돌기(15)의 곡률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직선돌기(16)가 곡선돌기(15)와 교차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본체(10)는 턱을 감싸는 부분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직선돌기(16)는 곡선돌기(15)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직선돌기(16)의 높이는 점선돌기(13)의 높이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다만 직선돌기(16)는 본체(10)가 턱 부분을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므로, 곡선돌기(15)보다는 두꺼운 폭을 가질 수 있고 일례로 1 내지 3mm의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곡선돌기(15)는 0.5 내지 2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20)는, 본체(10)를 사용자의 머리(H)에 감아 고정한다. 고정부(20)는 본체(10)의 일면(11)에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연결부(17)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본체(10)를 머리(H)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좌측에 연결되는 고정부(20)가 본체(10)의 우측에 연결되는 고정부(20)와 벨크로에 의해 고정되면, 본체(10)와 고정부(20)가 머리(H)를 감싸는 폐루프를 구성함에 따라, 본체(10)가 머리(H)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20)는 본체(10)의 좌측 연결부(17)와 우측 연결부(17)를 잇는 형태로 마련되어 본체(10)와 고정부(20)가 항상 폐루프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며, 고정부(20)의 고정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에 자극돌기(12) 등을 마련함으로써, 얼굴(F)에 마스크팩(P)을 부착한 뒤 본체(10)를 턱 등에 밀착시켜서, 마스크팩(P)에 함침된 유효성분을 피부에 흡수시키는 동시에 피부의 리프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하기 표 1 및 도 7과 같이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하기 표 1은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30세 이상의 성인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실험된 결과이다.
실험대상 실험방법 실험결과 비고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피부표면 피부 높이 측정 6.78% 증가 9.14% 증가 피부 리프팅 효과 있음
피부의 함몰된 부피 측정 8.85% 감소 17.49% 감소 볼 리프팅 효과 있음
팔자부위 피부의 함몰된 부피 측정 10.16% 감소 14.58% 감소 팔자부위 리프팅 효과 있음
이중턱 턱 밑부위 피부볼륨 측정 0.91mL 감소 1.53mL 감소 이중턱 리프팅 효과 있음
입꼬리 피부의 함몰된 부피 측정 7.31% 감소 15.14% 감소 처진 입꼬리 리프팅 효과 있음
하악 피부의 함몰된 부피 측정 19.19% 감소 17.03% 감소 하악 리프팅 효과 있음
피부이상 피부이상반응 관찰 없음 없음 피부이상반응 없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표면, 볼, 팔자부위, 이중턱, 처진 입꼬리, 하악 등에 대해 리프팅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동시에 피부이상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는바 본 발명에 의해 안전한 리프팅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10)가 턱을 감싸면서 머리(H)를 둘러 고정되면, 본체(10)의 자극돌기(12)를 통해 피부를 맑게 하면서도 리프팅 효과를 발생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F)을 아름답고 생기있게 가꿔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미용 밴드 F: 얼굴
H: 머리 P: 마스크팩
A: 림프 자극부위 B: 측두 자극부위
C: 하악 자극부위 10: 본체
11: 일면 111: 구멍
12: 자극돌기 12a: 림프 자극돌기
12b: 측두 자극돌기 12c: 하악 자극돌기
121: 돌출부 122: 고정부
123: 삽입부 13: 점선돌기
131: 끊어진 부분 14: 타면
15: 곡선돌기 16: 직선돌기
17: 연결부 20: 고정부

Claims (17)

  1. 사용자의 얼굴에서 턱 부분에 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감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얼굴에 밀착되는 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일면의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림프를 자극하는 림프 자극돌기;
    상기 일면에서 상기 림프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측두를 자극하는 측두 자극돌기; 및
    상기 일면에서 상기 측두 자극돌기보다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머리에 고정될 때 상기 사용자의 하악을 자극하는 하악 자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마스크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마스크팩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자극돌기가 탈착되도록 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일면에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되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고정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며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극돌기는, 상기 본체가 잡아당겨지면서 확대된 상기 구멍에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상기 구멍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돌기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곡선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직선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선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돌기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일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는 변의 중심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돌기는,
    점 부분의 직경이 끊어진 부분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자극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점선돌기 사이 또는 상기 점선돌기의 끊어진 부분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에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림프 자극돌기 또는 상기 측두 자극돌기는,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머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밴드.


KR1020160145297A 2016-11-02 2016-11-02 미용 밴드 KR10173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97A KR101737542B1 (ko) 2016-11-02 2016-11-02 미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97A KR101737542B1 (ko) 2016-11-02 2016-11-02 미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542B1 true KR101737542B1 (ko) 2017-05-18

Family

ID=5904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297A KR101737542B1 (ko) 2016-11-02 2016-11-02 미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05B1 (ko) 2019-11-04 2020-07-22 (주)루데아 팔자주름 개선을 위한 리프팅밴드
KR20210061154A (ko) * 2019-11-19 2021-05-27 여혁 냉온찜질겸용 리프팅 밴드
KR102283269B1 (ko) * 2020-11-27 2021-07-29 브이앤코 주식회사 리프팅 밴드
KR20210143487A (ko) * 2020-05-20 2021-11-29 김수안 리프팅과 지압 마사지 기능을 겸비한 교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0713A (ko) 2020-11-05 2022-05-12 박지훈 벨라컨투어 울트라 v 리프팅 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00B1 (ko) 2013-06-19 2014-10-22 성미숙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JP2014200359A (ja) 2013-04-02 2014-10-27 誠 福島 多機能フェイスマス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0359A (ja) 2013-04-02 2014-10-27 誠 福島 多機能フェイスマスク
KR101452400B1 (ko) 2013-06-19 2014-10-22 성미숙 돌기가 부착된 마스크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05B1 (ko) 2019-11-04 2020-07-22 (주)루데아 팔자주름 개선을 위한 리프팅밴드
KR20210061154A (ko) * 2019-11-19 2021-05-27 여혁 냉온찜질겸용 리프팅 밴드
KR102281812B1 (ko) * 2019-11-19 2021-07-26 여혁 냉온찜질겸용 리프팅 밴드
KR20210143487A (ko) * 2020-05-20 2021-11-29 김수안 리프팅과 지압 마사지 기능을 겸비한 교정 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8135B1 (ko) 2020-05-20 2022-04-19 김수안 리프팅과 지압 마사지 기능을 겸비한 교정 밴드
KR20220060713A (ko) 2020-11-05 2022-05-12 박지훈 벨라컨투어 울트라 v 리프팅 밴드
KR102404830B1 (ko) * 2020-11-05 2022-05-31 박지훈 벨라컨투어 울트라 v 리프팅 밴드
KR102283269B1 (ko) * 2020-11-27 2021-07-29 브이앤코 주식회사 리프팅 밴드
WO2022114488A1 (ko) * 2020-11-27 2022-06-02 브이앤코 주식회사 리프팅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42B1 (ko) 미용 밴드
JP7405810B2 (ja) 美容マスク
TWI499408B (zh) 負壓式口部裝置
JP2013031681A (ja) 治療処置装置および治療処置法
KR200487759Y1 (ko) 기능성 건강 실리콘 패치
KR20180126287A (ko) 턱 전용 미용팩
KR20200075480A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101583449B1 (ko) 목 화장용구
KR20130006040U (ko) 미용모자
US20040139981A1 (en) Cosmetic mask
KR101545469B1 (ko) 실리콘 마스크 커버
KR20140139863A (ko) 손발톱 밴드
CN211835842U (zh) 一种骨科康复用便于使用的磁疗带
CN211560678U (zh) 一种腮腺手术加压器
KR101594926B1 (ko) 개구기
JP2004313277A (ja) ストレッチ・テープ
US10603221B1 (en) Noninvasive device and method for neck lift
US20210145087A1 (en) Mask Pack Supporting Band With Face Lifting Function
CN206566237U (zh) 含有人参的中药外敷膏药贴
CN211187746U (zh) 一种蜡疗固定袋
KR101831631B1 (ko) 피부 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RU217581U1 (ru)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ая маска
RU221425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ая маска с наполнителем
CN213941133U (zh) 一种美容保养用的冰敷头罩
RU213003U1 (ru) Защитная повязка для волос головы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цеду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5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528

Effective date: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