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024Y1 - 슬립형 손잡이 - Google Patents

슬립형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24Y1
KR200387024Y1 KR20-2005-0007246U KR20050007246U KR200387024Y1 KR 200387024 Y1 KR200387024 Y1 KR 200387024Y1 KR 20050007246 U KR20050007246 U KR 20050007246U KR 200387024 Y1 KR200387024 Y1 KR 200387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lip
fixing
handle por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20-2005-0007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손잡이부를 고정부에 대해 슬립타입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슬립형 손잡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슬립형 손잡이는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되게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슬립 이동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립형 손잡이{SLIB TYPE HANDLE}
본 고안은 슬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고정부에 대해 슬립타입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슬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잡이는 도어 전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내용물의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개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가구와 같은 고가 장식품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기 때문에 견고성 뿐만 아니라 기능이나 디자인도 구매동기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구 제조업자는 가구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가구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기능 및 디자인의 신규 모델 창출에 노력을 다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관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슬립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개폐방식이 참신하고, 평상시에는 개폐를 위한 파지구조가 은닉되어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이 용이한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되게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슬립 이동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돌기에서 돌출형성된 제1탄성체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된 제2탄성체고정돌기에 양단이 고정되어 손잡이부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손잡이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측단면도이고, 도4는 도3에서 손잡이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는 고정부(10), 손잡이부(20) 및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10)는 가구의 도어(40)에 부착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이드슬릿(11)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되게 설치된다. 즉,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에는 가이드돌기(21)가 형성되어, 이 가이드돌기(21)가 상기 가이드슬릿(11)에 삽입되고 가이드슬릿(11)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손잡이부(20)가 고정부(10)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릿(11)에 삽입되는 볼트고정돌기(22)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고정돌기(22)에는 상기 가이드슬릿(11)의 폭 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26a)를 구비하는 볼트(26)가 고정부(10)의 내면을 통해 고정되어 손잡이부(20)가 고정부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볼트고정돌기(22)는 가이드슬릿(11)을 통해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게 하여 상기 볼트의 머리부(26a)가 고정부(1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이격되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고정돌기(22)는 상기 가이드슬릿(11)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20)의 상측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탄성체(3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21)에서 돌출형성된 제1탄성체고정돌기(23)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고정부(10)의 내측에 돌출형성된 제2탄성고정돌기(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0)가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면 압축되고, 손잡이부(20)의 가압이 해제되면 그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면서 손잡이부(20)를 상측으로 원위치시킨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상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도어(40)의 전면부와 손잡이부(20)의 저면 사이에 파지공간(T)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의 상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대응하게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손잡이부(20)가 하측으로 이동을 될 때 손잡이부(20)가 비스듬하게 돌출되므로, 도어(40)의 전면부와 손잡이부(20)의 저면 사이의 파지공간(T)이 넓게 확보되어, 손잡이부(20)의 하부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오목한 호형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손잡이의 저면은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 이동 했을 때 넓은 파지공간이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의 양측에는 유동방지홈(13)이 상기 손잡이부(2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에는 상기 유동방지홈(13)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유동방지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부(20)에서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의 상면 일측에는 미끄럼방지돌기(25)를 형성시켜 손잡이부(10)의 하측 이동을 위해 손잡이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를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 외형을 반구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외관 창출을 위해 도5및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로 도어를 열때는 손잡이부(20)의 상단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가 고정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11)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이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고정부(10)의 내측에 상기 제1탄성체고정돌기(23)와 제2탄성체고정돌기(12)에 고정된 탄성체(30)가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3)에 상기 손잡이부(20)의 저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22)가 삽입되어 이동되므로, 손잡이부(20)가 고정부(1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때 손잡이부(20)가 고정부상에서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부상에서 상기 손잡이부(20)의 하부가 돌출되어 도어(40)의 전면부와 손잡이부(20)의 저면 사이에 파지공간(T)이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부(20)의 하부를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도어를 열면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0)의 경사면이 상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경사져 있어 상기 손잡이부(20)가 비스듬하게 돌출되므로, 도어(40)의 전면부와 손잡이부(20)의 저면 사이의 파지공간(T)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의 하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를 연 다음 상기 손잡이부(20)를 파지한 손을 놓으면, 상기 고정부(10)의 내측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30)가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면서 상기 손잡이부(20)가 상측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볼트고정돌기(21)가 상기 가이드슬릿(11)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손잡이부(20)가 원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파지구조가 노출되어 있지 않고, 평상시에는 파지구조가 은닉되어 있다가 도어를 여닫을 때만 손잡이부를 하측으로 슬립시켜 파지구조를 노출시키는 슬립형의 손잡이로써 그 개폐방식이 참신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손잡이를 통해 가구에 장식미를 부가할 수 있어 가구에 미려함이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는 슬립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개폐방식이 참신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시에만 손잡이부를 슬립시켜 파지구조를 노출시키고 평상시에는 파지구조가 은닉되어 있으므로 손잡이의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1에서 손잡이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3에서 손잡이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1에서 볼트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저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부 11: 가이드슬릿
12: 제2탄성체고정돌기 13: 유동방지홈
20: 손잡이부 21: 가이드돌기
22: 볼트고정돌기 23: 제1탄성체고정돌기
24: 유동방지돌기 25: 미끄럼방지돌기
26: 볼트 26a: 머리부
30: 탄성체 40: 도어

Claims (7)

  1.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되게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슬립 이동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부를 상측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립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돌기에서 돌출형성된 제1탄성체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된 제2탄성체고정돌기에 양단이 고정되어 손잡이부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가이드슬릿을 통해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진 볼트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볼트고정돌기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 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를 구비하는 볼트가 고정부의 내면을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 이동 했을 때 보다 넓은 파지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대응하게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 이동 했을 때 보다 넓은 파지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오목한 호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손잡이의 저면은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하 이동시 손잡이부가 고정부에서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면 양측에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에는 상기 유동방지홈에 안내되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 일측에는 손잡이의 하측 이동을 위한 가압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손잡이.
KR20-2005-0007246U 2005-03-17 2005-03-17 슬립형 손잡이 KR200387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46U KR200387024Y1 (ko) 2005-03-17 2005-03-17 슬립형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46U KR200387024Y1 (ko) 2005-03-17 2005-03-17 슬립형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24Y1 true KR200387024Y1 (ko) 2005-06-16

Family

ID=4368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46U KR200387024Y1 (ko) 2005-03-17 2005-03-17 슬립형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995B1 (ko) 슬라이딩형 커버 개방 장치
DE602004015118D1 (de) Behälter
TW200531667A (en) Valve of drink container
WO2004093533A3 (en) Coupling device
WO2019196611A1 (zh) 可用于薄膜键盘的长过行程及过行程可调复合型机械开关
US20150067987A1 (en) Pocket door pull devices
ATE468056T1 (de) Kaffeefilter
KR200387024Y1 (ko) 슬립형 손잡이
US20070266522A1 (en) Frictional door holder and stop
WO2009060723A1 (ja) 収容装置及び扉開閉装置
AU2006325300A1 (en) Ring binder mechanism
JP2003093116A5 (ko)
JP2006097248A5 (ko)
US6925933B1 (en) Portable stamp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USD534212S1 (en) Foldable writing implement
JP3144935U (ja) 箸箱
USD483462S1 (en) Limited opening grab handle ventilator
CA2455603A1 (en) Elastic buckle
JP3134244U (ja) 傘のオープン制御構造
JP2004061043A5 (ko)
KR200291004Y1 (ko) 주전자의 배출구 개폐수단
JP3847291B2 (ja) スライドできる蓋付きの箱
KR20140001123U (ko) 칫솔 케이스
KR200456405Y1 (ko) 용기의 개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