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897Y1 -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897Y1
KR200386897Y1 KR20-2005-0008755U KR20050008755U KR200386897Y1 KR 200386897 Y1 KR200386897 Y1 KR 200386897Y1 KR 20050008755 U KR20050008755 U KR 20050008755U KR 200386897 Y1 KR200386897 Y1 KR 200386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rotary
blocking device
coupling
window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신영
Original Assignee
윤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신영 filed Critical 윤신영
Priority to KR20-2005-0008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8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7Details of tilting bars and thei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coaxial tilting bar and raising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1Screens joined one below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단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는, 기준단(12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들(12b,12c)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고, 연접 설치 각단들(12a,12b,12c)에는 회전관체(150,240,340)를 좌측 결합구(140)(210)(310)와 우측의 회전전달체(160)(250), 우측결합관(364)으로 각각 결합하여 각단 좌우측지지대(100,170)(200,260)(300,380)에 축회전하게 끼우되, 전체 각단 좌측지지대(100,200,300)의 내측돌출관(102,202,302)과 좌측 결합구(140,210,310)에 클러치 스프링(130,220,320)을 각각 위치시켜 각단에 회전관체(150,240,340) 회전시 클러치 기능을 제공하고, 회전전달체(160,250)는 후단의 연결작동체(230,330)와 물림 결합하여, 기준단(12a)의 체인휠(120)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전체단의 회전관체(150,240,340)가 연동 회전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WINDOW SHUT OFF APPARATUS CAPABLE OF LINKAGE DRIVING MUTI-STAGE}
본 고안은 창문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 연동구동 가능한 창문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문 차단장치는 사생활보호나 광량 차단 내지 조절과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서 사용된다. 그 종류는 커튼, 버티칼, 롤블라인더, 로만쉐이드, 썬팅, 블라인드 등으로 다양하며, 소비자들은 사용용도와 창문구조 및 각자의 취향을 고려해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들을 구입하여 설치 사용한다.
그중 창문의 차단조절 방행이 상하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창문차단장치로는 블라인드, 롤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등이 있다. 블라인드는 상하 조절과 아울러 루버 회전을 통한 틈새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로만쉐이드는 상하 조절만 가능하지만 천을 이용해 미적으로 다양한 느낌을 자아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롤스크린은 단열 효과 등이 좋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많이 쓰이며, 스크린 원단을 다양한 색깔로 조화시키게 되면 개성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블라인드 중에서 특히 천연 원목을 사용한 우드 블라인드는 친환경적이라는 점에서 요즈음에 인기를 얻고 있으며, 천으로 된 블라인드에 비해 청결 유지가 쉽고 벽지와 친환경적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이러한 차단조절 방행이 상하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창문차단장치는 각자 나름대로의 장점을 살려 통유리로 된 대체로 폭이 넓은 창문이나 일측 전체가 유리된 벽 등에 설치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여러 단들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를 하게된다.
여러 단들이 연접 설치된 창문차단장치는 각 단마다 차단 조절을 위한 조정부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가서 조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를 연이어 수평다단 설치하면서 한곳에서 전체 단을 연동조정하면서도 조립설치가 용이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단 조립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제조원가도 저렴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용 블라인드에 있어 전체 단을 연동조정함과 동시에 회전레버 없이 볼체인만으로도 루버들의 승강 구동과 아울러 회전각 조정이 가능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창문차단장치에 있어서, 기준단(12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들(12b,12c)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고, 연접 설치 각단들(12a,12b,12c)에는 회전관체(150,240,340)를 좌측 결합구(140)(210)(310)와 우측의 회전전달체(160)(250), 우측결합관(364)으로 각각 결합하여 각단 좌우측지지대(100,170)(200,260)(300,380)에 축회전하게 끼우되, 전체 각단 좌측지지대(100,200,300)의 내측돌출관(102,202,302)과 좌측 결합구(140,210,310)에 클러치 스프링(130,220,320)을 각각 위치시켜 각단에 회전관체(150,240,340) 회전시 클러치 기능을 제공하고, 회전전달체(160,250)는 후단의 연결작동체(230,330)와 물림 결합하여, 기준단(12a)의 체인휠(120)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전체단의 회전관체(150,240,340)가 연동 회전되게 구성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는 여러가지 종류중 블라인드장치를 그 일 예로 도시하였고, 그 중에서도 각단 블라인드(12a,12b,12c)가 3단으로 수평 연접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는 창문의 차단조절 방행이 상하로 이루어지는 구조인 창문차단장치 예컨대, 블라인드, 롤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등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연접 단수도 3단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준단을 제외한 적어도 한단 이상의 다수단을 연접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는, 기준단인 제1단(12a)에 수평으로 연접시켜 타단들 예컨대, 제2단(12b) 및 제3단(12c)을 차례로 설치될 수 있게 구현하되, 기준단인 제1단(12a) 한곳에서만 회전구동체인인 볼체인(14)을 이용하여 구동 회전체인 체인휠(120)을 회전 구동하게 되면 타단들(12b,12c)의 회전관체(240,340)는 기준단인 제1단(12a)의 회전관체(150)와 함께 연동 구동되게 구성한다. 그러므로 제2단(12b) 및 제3단(12c)에는 볼체인과 체인훨이 없는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단(12a)의 좌측지지대(100)의 내측돌출관(102)에 체인휠커버(110)와 볼체인(14)이 조립된 체인휠(120)을 헐겁게 끼워 넣게 구성하므로, 사용자가 볼체인(14)을 당김에 따라 체인휠(120)이 체인휠커버(110)내에서 축회전 가능케 된다.
그 후 클러치 스프링(130)을 제1단 좌측지지대(100)의 돌출관(102)에 억지 삽입시키되, 클러치 스프링(130)의 양측 절곡단(132,134)사이들에서 스프링 바이어스력(spring bias force) 이완가능한 위치의 공간부에 체인휠(120)의 만곡걸림편(122)이 위치되게끔 해서 끼워 넣는다. 그 다음으로 제1단 좌측결합구(140)를 좌측지지대(100)의 내측돌출관(102)에 끼워넣으면, 내측돌출관(120)의 선단부 결합홈(102)과 좌측 결합구(140)의 선단부 결합편(142)이 딸깍하며 조립 결합된다. 이때 클러치 스프링(130)의 양측 절곡단(132,134) 사이의 나머지 공간부에는 좌측결합구(140)의 양측 내향돌조(142)가 위치되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단 좌측 지지대(100)의 내측돌출관(102)에 억지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130)은 평소 스프링 압착력에 의해 내측돌출관(102)을 죄어주는 상태가 되어 제1단 회전관체(150)가 부적절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며, 사용자가 볼체인(도 1의 14)을 당길 시에는 체인휠(120)의 만곡 걸림편(122)이 클러치 스프링(130)의 양측 절곡단(132,134)중 한단에 걸려 힘을 가함으로 클러치 스프링(130)의 조임상태가 풀리게 되어 제1단 회전관체(150)가 축회전 가능토록 허락한다.
상기와 같이 좌측 결합구(140)를 조립 결합한 다음에는 좌측 결합구(140)의 결합안내홈(144)에 제1단 회전관체(150)의 내향결합돌부(152)를 끼워넣음으로써 제1단 회전관체(150)를 좌측결합구(140)에 고정되게 한다.
그 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1단 회전관체(150)의 우측부를 회전전달체(160)의 좌측 결합부에 끼워넣어 고정시키고, 제1단 설치프레임(도 1의 22a)과 제1단 우측 지지대(170)에 체결 조립함으로써, 제1단(12a)을 조립 완성시킨다.
이를 도 4에 상세 도시된 제1단 회전 전달체(160)를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는 도 3의 제1단 회전전달체(160)와 제2단 회전전달체(250)를 일부절개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회전전달체(160)는 좌측면이 폐쇄되고 회전전달체(160)의 내부 축방향으로 안내각봉(162)이 연장 형성되어 우측 외부로 출몰되어 있다.
요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 회전관체(150)에 고정된 제1단 회전전달체(160)를 내측 돌출관(172)에 축회전가능케 끼움과 동시에 제1단 회전전달체(160)의 안내각봉(162)을 우측 지지대(170)의 내측돌출관(172)을 관통시켜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고, 제1단 설치프레임(도 1 및 도 2의 22a)을 좌우측 지지대(100,170)의 상부 체결편(106)(174)에 각각 체결함으로서, 제1단(12a)의 조립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제2단(12b)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단(12b)의 좌측지지대(200)의 내측돌출관(202)에 클러치 스프링(220)을 억지 삽입시킨다. 그후 연결작동체(230)를 좌측결합구(210)에 삽입하여 연결작동체(230)의 안내봉(232)을 좌측 결합구(210)의 외측으로 출몰시키되, 연결작동체(230)의 결합안내홈(234)과 좌측 결합구(210)의 결합안내홈(212)은 서로 일치되게 정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작동체(230)의 결합안내홈(234)은 연결작동체(230)의 스프링 걸림편(236)에 대향한 위치의 걸림환테(238)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작동체(230)의 후미부 측면에는 각형 결합홈(239)이 마련되어 있어, 제1단(12a)과 제2단(12b)을 연접 설치시 제1단(12a)의 회전전달체(160)의 안내각봉(162)이 끼워질 수 있게 해준다.
그런 다음에는 정렬상태에 있는 연결작동체(230)의 결합안내홈(234)과 좌측 결합구(210)의 결합안내홈(212)에 제2단 회전관체(240)의 내향결합돌부(242)를 협지 끼움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제2단 회전관체(240)의 좌측부내에 좌측 결합구(210)와 연결작동체(230)를 삽입 고정시킨다.
그 후 연결작동체(230)의 안내봉(232)을 제2단 좌측지지대(200)의 돌출관(202) 내부로 끼워 넣게 되면 연결작동체(230)의 스프링 걸림편(236)은, 제2단 좌측 지지대(200)의 내측돌출관(202)에 억지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220)의 양측 절곡단(222,224)사이중 스프링 바이어스력 이완가능한 위치인 일측공간부에 위치되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단 좌측 지지대(200)의 내측돌출관(202)에 억지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220)은 평소 스프링 압착력에 의해 내측돌출관(220)을 죄어주는 상태가 되어 제2단 회전관체(240)가 부적절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해준다. 아울러, 제1단(12a)과 제2단(12b) 연접설치시, 제1단 회전관체(150)의 회전구동에 연동하여 제2단(12b)의 연결작동체(230)가 회전하게 되면 연결작동체(230)의 스프링 걸림편(236)이 클러치 스프링(220)의 양측 절곡단(222,224)중 한단에 걸려 힘을 가함으로 클러치 스프링(220)의 조임상태가 풀리게 되고, 결국 제2단 회전관체(240)가 축회전 가능토록 허락한다.
상기와 같이 제2단 회전관체(240)를 좌측 결합구(210)에 끼운 다음에는, 회전전달체(250)의 결합부분에 제2단 회전관체(240)의 우측 내향결합돌부(242)을 협지 끼움함으로써 제2단 회전관체(240)를 조립한다. 그후 제2단 설치프레임(22b)과 회전전달체(250)를 제2단 우측 지지대(260)에 결합 조립함으로써 제2단(12b)의 조립을 완성한다. 요컨대 제2단 회전관체(240)에 고정된 제2단 회전전달체(250)의 안내각봉(252)을 우측 지지대(260)의 내측돌출관(262)을 관통시켜 외부로 출몰하도록 하고, 제2단 설치프레임(22b)을 제2단(12b)의 좌우측 지지대(200,260)의 체결편(204,264)에 체결한다.
제3단(12c)의 조립 구성도 제2단(12c)의 조립구성과 거의 유사하며, 단지 제3단(12c)이 마지막 단이므로 제1단(12a) 및 제2단(12b)과 같은 회전전달체(160,250)이 아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단 우측 결합관(364)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우측 결합관(364)은 제1단(12a) 및 제2단(12b)의 회전전달체(160,250)에 있던 안내각봉(162,252)이 없으며, 양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 우측단에 내향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결합관(364)에는 제3단(12c)의 구성 부품들의 조립을 원활하게 허락하기 위해, 우측 결합관(364)내로 푸쉬캡(366)을 끼워 넣어 우측결합관(364)의 우측단 내향걸림턱에 걸리게하면 우측 외부로는 푸쉬캡(366)이 출몰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여기에 우측결합관(364)내에 압축스프링(362)을 삽입하고 고정캡(360)으로 우측결합관(364)의 좌측을 탄지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는 제3단 설치프레임(22c)을 제3단 좌우지지대(300,380)의 상부체결편(304,384)에 먼저 체결조립하고, 제3단 회전관체(340)의 좌우측을 제3단 좌우지지대(300,380)의 내측 돌출관(302,382)에 끼워넣는다. 이때 우측결합관(364)의 푸쉬캡(366)의 푸쉬기능을 이용하여 제3단 회전관체(340)를 제3단 우측지지대(38)의 내측돌출관(382)에 쉽게 끼울 수 있으며, 그 결과 제3단(12c)의 조립이 완성된다.
연접 설치되는 제1단(12a) 및 제2단(12b)의 우측지지대(170)(260)의 측면부에는 도 6의 대표 일예와 같은 삽입홈(176)이 형성되어 있고, 제(12b) 및 제3단(12c)의 좌측지지대(200)(300)의 측면부에는 도 6의 대표 일예와 같은 삽입돌부(206)이 형성되어 있어, 제1단(12a)과 제2단(12b), 그리고 제2단(12b)과 제3단(12c)을 연접설치시 삽입고정된다. 동시에 제1단(12a)의 회전전달체(160)의 안내각봉(162)은 제2단(12b)의 연결작동체(230)의 각형결합홈(239)에 삽입되어 물리게 된다.
도 5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단(12a)의 우측 지지대(170)와 제2단(12b)의 좌측 지지대(200)가 연접설치에 따른 단면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a)의 일예 사시도로서, 도 3과는 상이하게 제2단(12b) 및 제3단(12c)에는 클러치스프링(220)(320)이 없는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a)는 제2단(12b) 및 제3단(12c)에 연결작동체(230,330)가 없으며, 좌측 결합구(210,310)를 대신하여 피동체(210a,310a)로 구성한다.
제2단 피동체(210a),제3단 피동체(310a)는 제2단 회전관체(240),제3단 회전관체(340)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제2단 좌측 지지대(200) 및 제3단 좌측 지지대(300)의 내측돌출관(202)(302)에 축회전가능케 끼워짐과 동시에 그 안내봉(212a)(312a)이 상기 내측돌출관(202)(302) 내부로 삽입된다. 그래서 안내봉(212a)(312a)의 측면부에 형성된 결합홈(214a)(314a)에 제2단(12b) 및 제3단(12c)의 회전전달체(160)(250)의 안내각봉(162)(252)가 삽입되고 물려서 피동회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a)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10)에 비해서 구성부품 수가 적으므로 저단가로 제품출하가 가능하며, 보급형으로 소비자에게 제공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에도 큰 어려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창문차단장치를 블라인드장치로 일 예를 들었고, 그중에서는 루버의 회전각 조정과 동시에 루버의 승강 조정이 가능한 구성(예컨대, 탄성홀더 600)을 도 3에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성요소들 및 부품에 대해서는 도 9, 도 10, 도 11a 내지 도 11c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9 내지 도 11c는 기준단인 제1단(12a)의 구성을 일 예로 예시한 것이며, 제1단(12a) 이외 타단들(12b,12c)도 제1단(12a)의 구성과 동일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적용된 블라인드장치에서 제1단(12a)의 루버(16a)의 승강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회전관체(150) 및 설치 프레임(22a)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제1단 블라인드(12a)의 회전 구동축을 이루는 제1단 회전관체(150)의 안내환테(614) 사이에 탄성홀더(600)를 끼워 조립시키되, 탄성홀더(600)가 제1 회전관체(150)을 더 압박하며 감싸질 수 있도록 탄성홀더(600)의 원통면에 C링(604)을 체결시킨다. 그에 따라 제1단 회전관체(150)가 회전시 탄성홀더(600)도 합체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관(150)에는 다수의 루버(16a)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중방줄(610)을 묶어 놓는데, 중방줄(610)은 프레임(22a)의 하부면 통공(618)과 루버(16a)들의 통공을 통해서 하부지지판에 고정된다. 제1단 회전관체(150)를 감싸며 압박하는 탄성홀더(600)의 양측 연결편(602a,602b)에는 루버(16a)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전방줄(612) 및 후방줄(614)을 묶어 놓는데, 전방줄(612) 및 후방줄(614)는 제1단 설치 프레임(22a)의 하부면 통공(620)(622)을 관통하여 루버(16a)들의 양측단을 지나가는데, 전방줄(612)과 후방줄(614), 그리고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지지줄(616)에 의해서 루버(16a)는 지지되고 구속된다.
천정 등과 같은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단 설치 프레임(22a)내 하부면에는 두개의 스토퍼(608a,608b)를 설치하되, 제1,제2 스토퍼(608a,608b)에 제1단 회전관체(150)와 합체 회전하는 탄성홀더(600)의 양측 연결편(602a,602b)이 걸려 정지되게 구성한다. 그래서 탄성홀더(600)는 회전되게 않게 하고 제1단 회전관체(150)만 별도로 회전되게 한다.
도 9의 제1단 설치프레임(22a)에서, 참조번호 "630"은 도 10의 탄성고정편(640)이 고정되는 고정홈이고, "632"는 지지대(100)의 체결편(106)(174)이 삽입되는 삽입홈이며, "634"는 지지대(100)(170)의 측부에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 체결홈이다. 사용자는 천정에 못 등을 이용하여 탄성고정편(640)을 고정시킨 후 설치 프레임(22a)을 탄성 고정편(604)에 밀어 끼워넣어 탄지 고정시킨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 및 승강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와 같은 상태에서는 루버(16a)는 수평하게 누워있는데 사용자가 볼체인(14)의 앞줄을 당기게 되면 체인휠(120)의 정회전에 따라 회전관체(150)와 그에 합체된 탄성홀더(600)가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16a)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면서 약간 당겨 올라가게 된다. 즉 루버(16a)의 회전각이 전면으로 경사지게 조정되어진다. 그 상태에서 계속해서 볼체인(14)을 당기게 되면 제1단 설치프레임(22a)의 스토퍼(608a)에 탄성홀더(600)의 연결편(602a)가 걸려 정지하게 되어 탄성홀더(600)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하지만 탄성홀더(600)에 감싸진 회전관체(150)는 탄성홀더(600)와는 걸림에 의해 약간 이격상태가 되어 계속 회전하게 되면서 중방실(610)을 권취함으로써 루버(16a)들을 위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사용자가 볼체인(14)의 뒷줄을 당기게 되면 체인휠(120)의 역회전에 따라 제1단 회전관체(150)와 그에 합체된 탄성홀더(600)는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16b)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약간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볼체인(14a)만을 이용하여 루버(16a)들을 승강구동할 뿐만 아니라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도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단을 차례로 연접 설치하여 사용자가 한곳에서 조정가능하되, 전체를 연동구동 시킬 수 있으며 조립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제조원가도 저렴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창문용 블라인드에 적용하면, 전체 단을 연동조정함과 동시에 회전레버 없이 볼체인만으로도 루버들의 승강 구동과 아울러 회전각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의 일 예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전달체(160,250)의 구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1단 우측 지지대(170)와 제2단 좌측 지지대(200) 연접설치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연접한 지지대들의 측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연결작동체(230,330)의 구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의 일예 사시도로서, 제2단 및 제3단에 클러치스프링 없는 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가 블라인드장치로 구현될 경우, 루버(16a)의 승강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 및 승강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a,12b,12c ... 제1,제2,제3단
120 ... 체인휠
130,220,320 ... 클러치 스프링
160,250 ... 회전전달체
150,240,340 ... 회전관체
230,330 ... 연결작동체

Claims (4)

  1. 창문차단장치에 있어서,
    기준단(12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들(12b,12c)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고, 연접 설치 각단들(12a,12b,12c)에는 회전관체(150,240,340)를 좌측 결합구(140)(210)(310)와 우측의 회전전달체(160)(250),우측결합관(364)으로 각각 결합하여 각단 좌우측지지대(100,170)(200,260)(300,380)에 축회전하게 끼우되, 전체 각단 좌측지지대(100,200,300)의 내측돌출관(102,202,302)과 좌측 결합구(140,210,310)에 클러치 스프링(130,220,320)을 각각 위치시켜 각단에 회전관체(150,240,340) 회전시 클러치 기능을 제공하고, 회전전달체(160,250)는 후단의 연결작동체(230,330)와 물림 결합하여, 기준단(12a)의 체인휠(120)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전체단의 회전관체(150,240,340)가 연동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체(160)(250)의 안내각봉(162)(252)을 우측 지지대(170)(260)의 돌출관(172)(262)을 관통하여 외부로 출몰시키되, 후단의 좌측지지대(200)(300)의 내측돌출관(202)(302)에 삽입된 연결작동체(118,204)의 각형 결합홈(239)에 삽입되어 물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관체(150,240,340)를 감싸는 탄성홀더(600)를 끼워 조립하되, 상기 회전관체(150,240,340)에는 다수의 루버(16a)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중방줄(610)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홀더(600)의 양측 연결편(602a,602b)에는 루버(16a)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방줄(612) 및 후방줄(614)을 고정시켜 놓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4. 창문차단장치에 있어서,
    기준단(12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들(12b,12c)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고, 연접 설치 각단들(12a,12b,12c)에는 회전관체(150,240,340)를 좌측 결합구(140),좌측의 피동체(210a)(310a)와 우측의 회전전달체(160)(250),우측결합관(364)으로 각각 결합하여 각단 좌우측지지대(100,170)(200,260)(300,380)에 축회전하게 끼우되, 기준단(12a)의 좌측지지대(100)의 내측돌출관(102)과 좌측 결합구(140)에 클러치 스프링(130)을 위치시켜 각단 회전관체(150,240,340) 연동회전시 클러치 기능을 제공하고, 회전전달체(160,250)는 후단의 피동체(210a,310a)와 물림 결합하여, 기준단(12a)의 체인휠(120)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전체단의 회전관체(150,240,340)가 연동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20-2005-0008755U 2005-03-30 2005-03-30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200386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55U KR200386897Y1 (ko) 2005-03-30 2005-03-30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55U KR200386897Y1 (ko) 2005-03-30 2005-03-30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602A Division KR100617903B1 (ko) 2005-03-30 2005-03-30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897Y1 true KR200386897Y1 (ko) 2005-06-16

Family

ID=4368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55U KR200386897Y1 (ko) 2005-03-30 2005-03-30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8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27B1 (ko) * 2009-09-14 2012-01-31 호 식 박 루버시스템 연결작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27B1 (ko) * 2009-09-14 2012-01-31 호 식 박 루버시스템 연결작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145B2 (en) Blind with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s
RU2480568C2 (ru) Способ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наклона для жалюзи - двойной шаг при наматывании по изменяемому радиусу
AU2006285004B2 (en)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000670B2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US8245444B2 (en) Light-control assembly
US20100219306A1 (en)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JP2007509265A (ja) ロールシェードチューブを連結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50107158A1 (en) Light-control assembly
US8141614B2 (en) Expanding coupling means for powered window covering
KR200386897Y1 (ko)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100617903B1 (ko)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100675556B1 (ko)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CN217206219U (zh) 一种能调节拉绳的天棚窗帘
KR200378509Y1 (ko)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100675554B1 (ko) 다단구동 창문차단장치
KR20110137152A (ko) 루버셔터
KR200369500Y1 (ko) 다축 독립구동 롤스크린 장치
US20220145698A1 (en) Folding/unfolding device for a window shade
KR200324572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구동축
KR100547287B1 (ko) 롤스크린용 구동브래킷
KR102143993B1 (ko) 이중 블라인드
KR20090046359A (ko) 버티컬 블라인드
KR20220160193A (ko) 블라인드 연결장치
KR200434152Y1 (ko) 롤블라인드용 종동브라켓의 지지기구
KR200202033Y1 (ko) 롤 스크린 블라인드용 죠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