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993B1 - 이중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이중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993B1
KR102143993B1 KR1020190073617A KR20190073617A KR102143993B1 KR 102143993 B1 KR102143993 B1 KR 102143993B1 KR 1020190073617 A KR1020190073617 A KR 1020190073617A KR 20190073617 A KR20190073617 A KR 20190073617A KR 102143993 B1 KR102143993 B1 KR 10214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upled
port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Original Assignee
김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진 filed Critical 김혜진
Priority to KR102019007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는 메인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롤러 하방에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이격시키는 서브 롤러가 결합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크린을 이중으로 구비함으로써, 차광 및 단열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블라인드{BLIND}
본 발명은 이중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차광 및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이중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주택이나 사무실에서 창호 내부에 설치되어 차광 및 실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 나무나 알루미늄 재질의 좁고 긴 띠 형상의 슬랫 여러개를 줄로 연결하여 슬랫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는 구성간의 연결이 복잡하고, 가정에서의 실내 장식 효과와 실내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997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회전체에 스크린 상단이 연결되어 감겨지는 블라인드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블라인드는 스크린이 원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바람이 불면 흔들리게 되어 차광효과가 떨어지고, 창문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햇빛이 실내로 스며들어 완전한 차광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블라인드는 유리창의 상단에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커튼박스에 설치되어 유리창과 스크린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외부의 열에너지가 실내로 투입되어 열에너지의 차단을 달성할 수 없어 그늘막 기능뿐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165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408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928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79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창문으로부터 햇빛을 차광하고, 외부와 단열되도록 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는 메인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롤러 하방에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이격시키는 서브 롤러가 결합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 양측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부 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하단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하단바에는 양단에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양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이탈방지장치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바는 하단에 상기 제1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하단바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밀려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고,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의 체결에 따라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며 상기 이동부재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라인드에 따르면, 스크린을 이중으로 구비함으로써, 차광 및 단열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양단이 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차광 및 단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양단에 이탈방지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스크린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중 블라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A"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는 이중 스크린을 통해 차광 및 단열에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100)는 프레임부(110) 및 회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부 프레임(111), 측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10)은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111)이 배치되고, 양측에 상기 측부 프레임(112)이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113)이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11)은 후술될 회전부(120)가 설치되는 곳으로,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부 프레임(112)은 상기 측부 프레임(112)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가 돌출 형성되어 사각 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는 돌출 형성된 형상 뿐만 아니라, 홈 형상으로 상기 측부 프레임(112)의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포트(112a)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삽입홈(112c)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포트(112b)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2 삽입홈(112d)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13)은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3a)은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홈(113a)은 상기 하부 프레임(113)의 상면 중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샤프트(121)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21)에 메인 롤러(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21) 및 메인 롤러(123) 사이에는 베어링(122)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샤프트(121)와 상기 메인 롤러(123)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 롤러(123)에는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감긴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23)에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이 풀릴 때, 상기 제1 스크린(125)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린(126)이 후방에 배치되도록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은 상기 메인 롤러(1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롤러(123)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은 상기 메인 롤러(123)의 회전에 따라 겹쳐진 상태로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은 상기 측부 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감기거나 하방으로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의 양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이탈방지장치(129)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장치(129)는 상기 제1 포트(112a) 밑 제2 포트(1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삽입홈(112c) 및 제2 삽입홈(112d)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이 상기 제1 삽입홈(112c) 및 제2 삽입홈(112d)에 삽입되고, 흔들림이나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 롤러(123)와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서브 롤러(12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서브 롤러(124)는 상기 메인 롤러(12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롤러(123)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롤러(123)에서 풀리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롤러(123)에 의해 하방으로 풀리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 중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스크린(126)이 상기 제1 스크린(125)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서브 롤러(124)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하방으로 풀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서브 롤러(124)는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크린(125)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1 포트(112a)의 제1 삽입홈(112c)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크린(126)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2 포트(112b)의 제2 삽입홈(112d)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의 양측 단부와 상기 측부 프레임(112)과의 사이의 유격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차광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의 하단에는 바 형상의 하단바(127)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하단바(127)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의 하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이 상기 안착홈(113a)에 각각 안착된다.
또한, 상기 하단바(127)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이 상기 메인 롤러(123)부터 풀릴 때 하중에 의해 일직선으로 하방될 수 있도록 중량체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별도의 중량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바(127)의 양단에는 가이드부재(128)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8)는 상기 측부 프레임(11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28)는 양측의 외측면에 안내홈(128a)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28a)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가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28)는 상기 제1 스크린(125) 및 제2 스크린(12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포트(112a) 및 제2 포트(112b)에 안내되며 상하 이동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단바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단바(127)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13)의 안착홈(113a)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13)과 자성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바(127)는 상기 하부 프레임(11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13)의 일측면에는 제1 홀(113b)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3a)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홀(113b)과 직교되도록 연통되는 제2 홀(113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홀(113b)은 상기 하부 프레임(113)의 일측면(전방) 및 타측면(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홀(113c)은 인접하는 상기 제1 홀(113b)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홀(113c)에는 고정부재(113d)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13d)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홀(113b)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113f)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3d)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수나사산(113e)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홀(113b)에는 고정핀(113g)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핀(113g)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113f)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13h)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바(127)의 하단 중 상기 제1 홀(113b)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127a)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홈(127a)에는 이동부재(127b)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이동부재(127b)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113d)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127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27b)는 상기 이동홈(127a)의 내측에 스프링(127d)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27d)은 상기 이동부재(127b)를 상기 고정부재(113d)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113d)가 삽입되었을 때 밀려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13g)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3d)가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재(113d)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3d)의 수나사산(113e)과 상기 이동부재(127b)의 암나사산(127c)이 서로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3d)와 이동부재(127b)가 서로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이동부재(127b)가 상기 스프링(127d)의 탄성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고정부재(113d)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하단바(127)가 상기 안착홈(113a)에 안착되었을 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라인드에 따르면, 스크린을 이중으로 구비함으로써, 차광 및 단열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양단이 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차광 및 단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라인드 110: 프레임부
111: 상부 프레임 112: 측부 프레임
112a: 제1 포트 112b: 제2 포트
112c: 제1 삽입홈 112d: 제2 삽입홈
113: 하부 프레임 113a: 안착홈
113b: 제1 홀 113c: 제2 홀
113d: 고정부재 113e: 수나사산
113f: 제1 베벨기어 113g: 고정핀
113h: 제2 베벨기어 120: 회전부
121: 샤프트 122: 베어링
123: 메인 롤러 124: 서브 롤러
125: 제1 스크린 126: 제2 스크린
127: 하단바 127a: 이동홈
127b: 이동부재 127c: 암나사산
127d: 스프링 128: 가이드부재
128a: 안내홈

Claims (4)

  1.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는 메인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롤러 하방에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이격시키는 서브 롤러가 결합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 양측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양단이 삽입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부 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하단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하단바에는 양단에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각 양단에는 일정간격으로 이탈방지장치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고정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바는 하단에 상기 제1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하단바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밀려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고,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의 체결에 따라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며 상기 이동부재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라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73617A 2019-06-20 2019-06-20 이중 블라인드 KR10214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17A KR102143993B1 (ko) 2019-06-20 2019-06-20 이중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17A KR102143993B1 (ko) 2019-06-20 2019-06-20 이중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93B1 true KR102143993B1 (ko) 2020-08-12

Family

ID=7203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617A KR102143993B1 (ko) 2019-06-20 2019-06-20 이중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260A (ja) * 1997-02-27 1998-09-08 Taiyo Kogyo Kk 遮光膜装置
KR19990016518U (ko) 1997-10-28 1999-05-25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JP2008169586A (ja) * 2007-01-10 2008-07-24 Bunka Shutter Co Ltd 複合シャッター
KR20130004084U (ko)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트러스트 이동축 상부 서포터 고정용 지그
KR101492050B1 (ko) * 2014-07-04 2015-02-11 (주)점보산업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260A (ja) * 1997-02-27 1998-09-08 Taiyo Kogyo Kk 遮光膜装置
KR19990016518U (ko) 1997-10-28 1999-05-25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JP2008169586A (ja) * 2007-01-10 2008-07-24 Bunka Shutter Co Ltd 複合シャッター
KR20130004084U (ko)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트러스트 이동축 상부 서포터 고정용 지그
KR101492050B1 (ko) * 2014-07-04 2015-02-11 (주)점보산업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6833A1 (en) Coil brush curtain assembly
US11898401B2 (en)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EP3140488B1 (en) Screen device
US20110005690A1 (en) Window Covering
TW549349U (en) Positioning and locking device for roll-up window curtains
US20170122030A1 (en) Sunshade structure
US20100263804A1 (en) Window blinds that let in air but block out light
KR101492050B1 (ko)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KR102143993B1 (ko) 이중 블라인드
KR20160095331A (ko) 전동식 블라인드장치
GB2524370A (en) Window blind
WO2015012624A1 (ko) 수평이동이 가능한 롤스크린장치
AU2013206551B2 (en) Covering device and coupling module thereof
KR20200129542A (ko) 다기능 블라인드 장치
KR20220170304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
KR20110019971A (ko) 블라인드
US20160060955A1 (en) Retractable light-diffusing module and light-diffusing structure thereof
KR20100007981U (ko) 암막 원단을 이용한 콤비 롤 스크린
KR20150012224A (ko) 수평이동이 가능한 롤스크린장치
KR101473225B1 (ko) 수직 이동형 블라인드
KR102310686B1 (ko) 블라인드용 권취봉 위치 조절장치
KR20230092259A (ko) 다기능 블라인드
KR200466786Y1 (ko) 방범셔터의 투시형 슬랫
JP5748425B2 (ja) シャッタ
KR20220170303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용 틸팅 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