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509Y1 -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509Y1
KR200378509Y1 KR20-2004-0035255U KR20040035255U KR200378509Y1 KR 200378509 Y1 KR200378509 Y1 KR 200378509Y1 KR 20040035255 U KR20040035255 U KR 20040035255U KR 200378509 Y1 KR200378509 Y1 KR 200378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lind
stage
independent dri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신영
Original Assignee
윤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신영 filed Critical 윤신영
Priority to KR20-2004-0035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다단 독립구동 회전체들로 구성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를 포함한 기준 블라인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를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되, 기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과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을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의 각 회전체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회전 구동력이 독립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MULTI-AXIS INDEPENDENT DRIVING BLIND APPARATUS}
본 고안은 창문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라인드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창문 차단장치는 사생활보호나 광량 차단 내지 조절과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서 사용된다. 그 종류는 커튼, 버티칼, 롤블라인더, 로만쉐이드, 썬팅, 블라인드 등으로 다양하며, 소비자들은 사용용도와 창문구조 및 각자의 취향을 고려해서 자신이 원하는 제품들을 구입하여 설치 사용한다.
그중 블라인드는 얇고 좁은 금속판ㆍ나무판ㆍ플라스틱판 등의 루버(louver)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엮어 늘어뜨려 햇빛을 가리는 창문 차단장치로서, 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끈과 전체를 올리는 끈을 이용해서 광선의 각도에 따라 판의 경사를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블라인드 전체를 걷어 올릴 수 있다. 블라인드는 주로 사무실의 창에 많이 사용하지만 요즈음에는 천ㆍ종이 등 다양한 재질을 갖춘 블라인드가 등장하면서 가정의 장식용으로도 많이 애용되어지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블라인드는 한대당 복수개의 루버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와 각 루버를 상하로 움직이는 작동로프가 각각 구비된다.
통유리로 된과 같은 폭넓은 사이즈의 창문의 경우 여러대의 블라인드들을 연이어 설치할 필요성이 있는데, 블라인드들이 연접 설치된 창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루버를 걷어올리든지 또는 회전시키고자 싶는 해당 블라인드로 다가가서 작동루프를 당기든지 또는 회전레버를 조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를 연이어 수평다단 설치하면서 한곳에서 통합 조정하면서도 각단의 블라인드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평다단 설치가능한 블라인드들을 통합조정 가능함과 아울러 각단의 분리와 결합도 용이한 구조를 가진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용 블라인드에 있어 회전레버 없이 볼체인만으로도 루버들의 승강 구동과 아울러 회전각 조정이 가능한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다단 독립구동 회전체들로 구성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를 포함한 기준 블라인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를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되, 기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과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을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의 각 회전체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회전 구동력이 독립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블라인드 구동축의 구동관체를 감싸는 탄성홀더를 끼워 조립하되, 상기 구동관체에는 다수의 루버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중방줄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홀더의 양측 연결편에는 루버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방줄 및 후방줄을 고정시켜 놓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내에 두개의 스토퍼를 설치하되, 스토퍼에 구동관체와 합체 회전하는 탄성홀더의 양측 연결편이 걸려 정지되게 구성하여 구동관체가 별도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는, 수평으로 연접되게 적어도 두단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라 칭해지는 한곳에서 통합적인 조정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블라인드가 수평으로 3단을 연접 설치한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를 일 예로 예시하고 있다.
제1단 블라인드(12a)는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를 포함한 기준 블라인드로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에는 다단 독립구동 회전체들인 휠체인들(61,44,52)이 구비되어져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의 특징은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의 제1, 제2, 제3단 블라인드(12a,12b,12c)으로의 회전구동력 전달이 제1,제2,제3 루버구동부(18a,18b,18c)의 구동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제1단 블라인드(12a)로의 구동력은 제1 구동축관(72)에 의해서 바로 전달되고, 제2단 블라인드(12b)로의 구동력은 제1 구동관체(78) 내부를 통과하는 제2 구동축관(48)을 통해서 전달되고, 제3단 블라인드(12c)로의 구동력은 제2 구동관체(128) 내부를 통과하는 제3 구동축관(60)을 통해서 전달된다. 제1, 제2, 제3 구동축관(72,48,60)은 다단 독립구동 회전체인 체인휠(61,44,52)에 대응 연결 및 장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서의 특징은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의 제2단 블라인드(12b) 및 제3단 블라인드(12c)으로의 회전구동력 전달이 제1,2단 루버구동부(18a,18b)의 상부측의 별도 동력전달축을 통해서 회전 구동축인 제2단 루버구동부(18b) 및 제3단 루버구동부(18c)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면 하기와 같다.
도 2의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는, 기준 블라인드인 제1단 블라인드(12a)의 좌측에 각단 루버구동부(18a,18b,18c)를 독립적으로 회전구동이 가능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를 결합 설치하므로, 기준 블라인드인 제1단 블라인드(12a) 뿐만 아니라 제1단 블라인드(12a)에 연이어 설치된 제2단,제3단 블라인드(12b,12c)에 대해서도 독립적으로 회전구동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는 3단의 블라인드(12a,12b,12c)의 제1,제2,제3 루버(16a,16b,16c)들의 승강 및 회전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볼체인(14a,14b,14c)과, 볼체인(14a,14b,14c)을 맞물고 있는 대응 제1,제2,제3 체인휠(도 3의 61,44,52)과, 제1,제2,제3 체인휠(61,44,52)에 대응 결합된 제1,제2,제3 구동축관(도 3의 72,48,60)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분해 사시도가 참조되어 후술되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볼체인(14a,14b,14c)은 독립구동 회전체인 제1,제2,제3 체인휠(도 3의 61,44,52)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 체인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볼체인(14a,14b,14c)과 대응 체인휠(61,44,52)의 구성은 독립구동 회전체의 회전구동력 전달을 위한 바람직한 일 예이므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제1단 블라인드(12a)의 타측에는 제2단 블라인드(12b)을 수평으로 연접 설치하고, 제2단 블라인드(12b)의 타측에는 제3단 블라인드(12c)을 수평으로 연접 설치함으로써 3단의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가 구성된다.
제1단 블라인드(12a)의 좌우측 지지대(24,26)간에는 천정 등의 벽체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22a)이 협지 고정되고, 제2단 블라인드(12b)의 좌우측 지지대(28,30)간에는 제2 프레임(22b)이 협지 고정되며, 제3단 블라인드(12c)의 좌우측 지지대(32,34)간에는 제3 프레임(22c)이 협지 고정된다. 제1 프레임(22a)내에는 제1 루버(16a)들의 승강 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제1단 루버구동부(18a)가 제1 프레임(22a)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게 하되 축회전 가능케 구비하고, 제2 프레임(22b)내에는 제2 루버(16b)들의 승강 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제2단 루버구동부(18b)가 제2 프레임(22b)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게 하되 축회전 가능케 구비하며, 제3 프레임(22c)내에는 제3 루버(16c)들의 승강 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제3단 루버구동부(18c)가 제3 프레임(22c)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게 하되 축회전 가능케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는 기준 블라인드인 제1단 블라인드(12a)의 공통지지대(24)의 좌측부에 연장 설치되는 바, 제1 체인휠(61), 좌우 돌출관(40,42)을 가지는 공통지지대(24), 제2 구동축관(48)이 결합되는 제2 체인휠(44), 체인휠 커버(50), 제3 구동축관(60)이 결합되는 제3 체인휠(52), 축공(58)을 가지는 조정부 지지대(36)로 구성한다. 조정부 지지대(36)의 상부연장편(37)의 측홈에 공통지지대(24)의 상부측 돌봉(25)이 끼워져 결합된다.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공통지지대(24)는 제1단 블라인드(12a)의 우측 지지대 역할과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좌측 지지대 역할을 겸용하며, 좌우 돌출관(40,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동축관(48)은 공통지지대(24)의 좌우 돌출관(40,4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조립 완성시 우측 돌출관(42)의 돌출된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는 적정 길이를 가진다. 조립자는 제2 구동축관(48)을 제2 체인휠(44)의 측부돌관(46)에 끼워 넣은 다음 무두볼트(47)로 체결 고정하고, 제2 체인휠(44)에 제2 볼체인(도 2의 14b)을 걸어 맞물리도록 한다. 그 후 제2 구동축관(48)의 타단을 공통지지대(24)의 좌우 돌출관(40,42)을 관통하게 밀어넣음으로써 제2 구동축관(48)이 우측 돌출관(42) 외측으로 출몰됨과 동시에 공통지지대(24)의 좌측 돌출관(40)의 원통면에 제2 체인휠(44)이 헐겁게 끼워져서 축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는 제2 체인휠(44)의 측부돌관(46)을 체인휠 커버(50)의 관통공에 헐겁게 끼워 넣음과 동시에 체인휠 커버(50)의 타측부로 제2 체인휠(44)의 측부돌관(46)이 출몰되게 하는데, 출몰된 측부돌관(46)의 원통면은 제3 체인휠(52)이 끼워져 축회전 가능토록 마련된 것이다.
제3 구동축관(60)은 제2 구동축관(48)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조립 완성시 제1단 블라인드(12a)의 우측 지지대(26)의 외측부로 약간 돌출될 정도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제3 구동축관(60)의 일단부에는 무두볼트(57)가 체결되는 체결홈(300)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회전구동력 전달을 위한 스플라인축부(302)가 형성된다.
조립자는 제3 구동축관(60)을 제3 체인휠(52)의 측부돌관(54)에 억지로 끼워 무두볼트(57)로 체결 고정하고, 제3 체인휠(52)에 제3 볼체인(도 2의 14c)을 걸어 맞물리도록 한다. 그 후 제3 구동축관(60)의 타단을 제2 구동축관(48)내를 관통시키게 되면 그 타단이 제2 구동축관(48)의 외측부로 출몰되게 함과 동시에 제3 체인휠(52)이 제2 체인휠(44)의 측부돌관(46)의 외주면에 헐겁게 끼워져서 축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후 조정부 지지대(36)의 상부연장편(37)의 측홈에 공통지지대(24)의 상부측 돌봉(25)이 끼워져 결합함과 동시에 조정부 지지대(36)의 축홈(58)에 제3 체인휠(52)의 측부돌관(54)을 헐겁게 끼워 제3 체인휠(52)을 축회전 가능케 조립한다.
한편 공통지지대(24)의 우측 돌출관(42)에 끼워지는 제1 체인휠(61)은 제1 및 제2 체인휠(44,52)과는 다르게 일체 성형된 각 측부돌관(46,54)이 없는 대신 원통외주면의 일측에 걸림편(62)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돌출관(42)에 제1 체인휠(61)을 헐겁게 끼워넣기 이전에 먼저 제1 체인휠(61)에 제1 볼체인(도 2의 14a)을 걸어 맞물리도록 한다.
제1 체인휠(61)을 공통지지대(24)의 우측 돌출관(42)에 끼워 넣은 후 제1 클러치 스프링(64)을 우측 돌출관(42)에 억지 삽입하되, 반드시 제1 클러치 스프링(64)의 양측 절곡단(66,68) 사이에 제1 체인휠(61)의 걸림편(62)을 위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 지지대(24)의 우측 돌출관(42)에 억지 삽입된 제1 클러치 스프링(64)은 평소 스프링 압착력에 의해 우측 돌출관(42)을 죄어주는 상태가 되어 제1 구동부(18a)의 부적절한 회전이 없도록 하지만, 사용자가 제1 루버(16a)들의 승강 또는 회전각 조정을 위해 볼체인(도 1의 14a)을 당길 시 제1 체인휠(61)의 걸림편(62)이 제1 클러치 스프링(64)의 양측 절곡단(66,68)중 한단에 걸려 힘을 가함으로 제1 클러치 스프링(64)의 조임상태가 풀리게 되어 제1 루버구동부(18a)의 축회전이 가능케 허락한다.
제1 클러치 스프링(64)을 억지 삽입 후 조립자는 체인휠 커버(70)를 끼우고 체인휠 커버(70)를 관통시켜 제1 클러치 스프링(64)을 압착시키면서 제1 구동축관(72)을 공통지지대(24)의 우측 돌출관(42)의 원통면에 약간 헐겁게 끼워 넣음으로써, 제1 구동축관(72)이 제1 클러치 스프링(64)의 양측 절곡단(66,68)에 결합된다. 그후 제2 구동축관(48)에 요철형상 내주공을 가지는 이탈방지탭(74)을 억지 삽입하여 좌우측의 부품들이 위치이탈이 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구동축관(72)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 역할을 하는 결합관으로서 그 일측에 돌출환테(304)가 형성된 구조인데, 그 축관 내주면에는 내주 결합홈(308)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향걸림환테(310)가 형성되어 제1 클러치 스프링(64)이 수납 고정되게 하며, 그 외주면에는 외주 결합홈(306)이 형성된다. 상기 내주결합홈(308)과 외주 결합홈(306)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관계로 위치된다. 상기 내주 결합홈(308)에는 제1 클러치 스프링(64)의 양측 절곡단(66,68)이 삽입 결합되며, 상기 외주 결합홈(306)에는 제1 구동관체(78)의 내향결합돌부(80)가 삽입 결합될 것이다.
한편 제1 구동관체(78)는 도 3에서 그 길이가 생략되어 있지만 루버(도 1의 16a)의 폭길이와 유사하다. 제1 구동관체(78)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루버(16a)들이 연결줄을 통해서 일체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볼체인(14a)을 이용하여 루버(16a)들을 승강구동할 뿐만 아니라 루버(16a)들의 회전각도 조정할 수 있도록 도 14 및 도 15에 상세히 도시된 구조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루버(16a)의 승강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 제1 구동관체(78) 및 프레임(22a)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제1단 블라인드(12a)의 회전 구동축을 이루는 제1 구동관체(78)의 안내환테(614) 사이에 탄성홀더(600)를 끼워 조립시키되, 탄성홀더(600)가 제1 구동관체(78)을 더 압박하며 감싸질 수 있도록 탄성홀더(600)의 원통면에 C링(604)을 체결시킨다. 그에 따라 제1 구동관체(78)가 회전시 탄성홀더(600)도 합체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관(78)에는 다수의 루버(16a)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중방줄(610)을 묶어 놓는데, 중방줄(610)은 프레임(22a)의 하부면 통공(618)과 루버(16a)들의 통공을 통해서 하부지지판에 고정된다. 제1 구동관체(78)를 감싸며 압박하는 탄성홀더(600)의 양측 연결편(602a,602b)에는 루버(16a)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전방줄(612) 및 후방줄(614)을 묶어 놓는데, 전방줄(612) 및 후방줄(614)는 프레임(22a)의 하부면 통공(620)(622)을 관통하여 루버(16a)들의 양측단을 지나가는데, 전방줄(612)과 후방줄(614), 그리고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지지줄(616)에 의해서 루버(16a)는 지지되고 구속된다.
천정 등과 같은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22a)내 하부면에는 두개의 스토퍼(608a,608b)를 설치하되, 제1,제2 스토퍼(608a,608b)에 제1 구동관체(78)와 합체 회전하는 탄성홀더(600)의 양측 연결편(602a,602b)이 걸려 정지되게 구성한다. 그래서 탄성홀더(600)는 회전되게 않게 하고 제1 구동관체(78)만 별도로 회전되게 한다.
도 14의 제1단 프레임(22a)에서, 참조번호 "630"은 도 15의 탄성고정편(640)이 고정되는 고정홈이고, "632"는 공통지지대(24)의 우측 체결편(27)이 삽입홈이며, "634"는 공통지지대(24)의 측부로부터 체결되는 나사 체결홈이다.
도 15에서, 미 설명된 참조번호 "76"은 제1 구동관체(78)을 관통하며 제2단 블라인드(12b)의 회전 구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사각 안내관이고, "60"은 제1 사각안내관(76)을 관통하며 제3단 블라인드(12c)의 회전 구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 구동축관이다.
사용자는 천정에 못 등을 이용하여 탄성고정편(640)을 고정시킨 후 프레임(22a,22b,22c)을 탄성 고정편(604)에 밀어 끼워넣어 결합 고정되어지게 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 및 승강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는 루버(16a)는 수평하게 누워있는데 사용자가 볼체인(14a)의 앞줄을 당기게 되면 체인휠(44)의 정회전에 따라 제1 구동관체(78)와 그에 합체된 탄성홀더(600)가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16a)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면서 약간 당겨 올라가게 된다. 즉 루버(16a)의 회전각이 전면으로 경사지게 조정되어진다. 그 상태에서 계속해서 볼체인(14a)을 당기게 되면 프레임(22a)의 스토퍼(608a)에 탄성홀더(600)의 연결편(602a)가 걸려 정지하게 되어 탄성홀더(600)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하지만 탄성홀더(600)에 감싸진 제1 구동관체(78)는 탄성홀더(600)와는 걸림에 의해 약간 이격상태가 되어 계속 회전하게 되면서 중방실(610)을 권취함으로써 루버(16a)들을 위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사용자가 볼체인(14a)의 뒷줄을 당기게 되면 체인휠(44)의 역회전에 따라 제1 구동관체(78)와 그에 합체된 탄성홀더(600)는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16b)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회전각이 조절되면서 약간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볼체인(14a)만을 이용하여 루버(16a)들을 승강구동할 뿐만 아니라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도 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면, 제1 구동축관(72)과 이탈방지탭(74)을 끼운 후 조립자는 공통지지대(24)의 우측으로 출몰되어 길게 연장된 제3 구동축관(60)의 일단부가 삽입되게 제1 사각 안내관(76)을 꽂아 넣고서 그 제1 사각 안내관(76)의 일단을 제2 구동축관(48)의 사각결합돌부(49)에 삽입고정시킨다. 그런 후 제1 구동관체(78)의 내향결합돌부(80)를 제1 구동축관(72)의 결합홈(306)에 끼워 맞춘다.
지지편(8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양측이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1 사각안내관(76)이 공회전 가능할 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통공(312)이 구비되며 그 외주 일측에서는 길이방향으로 협지홈(314)이 형성된다. 조립자는 지지편(82)을 제1 사각 안내관(76)에 꽂아 넣고선 지지편(82)의 협지홈(314)을 제1 구동관체(78)의 내향결합돌부(80)에 삽입되게 한 후 쭉 밀어 넣어줌으로써, 지지편(82)은 제1 구동관체(78)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1 사각안내관(76)을 지탱해줌에 의해 제1 사각 안내관(76)의 휨을 방지한다.
한편 제1단 블라인드(12a)의 구동부인 제1 루버구동부(18a)의 우측 지지대(26)는 내향돌출관(86)을 구성하되 외측 축공(84)에는 걸림홈(85)을 형성한다. 상기 우측 지지대(26)의 외측에서 내향돌출관(86)측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관체(88)가 삽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관체(88)는, 일측단부 원통면에는 걸림환테(320)가 구성되고 측면 동심원을 따라가며 4개의 삽입돌기(322)들이 빙둘러 형성되며, 원통의 타측단부에는 사각돌관(324)이 형성된다.
회전관체(88)를 우측지지대(26)의 내향돌출관(86)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시 회전관체(88)의 걸림환테(320)는 외측 축공(84)의 걸림홈(85)에 걸리게 되며, 회전관체(88)를 삽입한 후 내향 돌출관(86)에 피동축관(90)을 끼우고 이탈방지탭(93)을 회전관체(88)의 원통부분에 억지 삽입하여 회전관체(88)가 외측으로 빠지지않게 고정시킨다.
그 후 조립자는 이미 끼워진 제3 구동축관(60)의 단부를 통해 우측 지지대(26)에 가조립된 회전관체(88)를 삽입함과 아울러 회전관체(88)의 사각돌관(324)을 제1 사각 안내관(76)내에 삽입 고정하고, 피동축관(90)의 결합홈(92)에 제1 구동관체(78)의 내향결합돌부(80)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1 루버구동부(18a)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공통지지대(24)의 우측 체결편(27)은 제1단 블라인드(12a) 제1 프레임(도 2의 22a)의 일측 삽입홈에 끼우고 제1단 좌측 지지대(26)의 체결편(94)은 상기 제1 프레임(22a)의 타측 삽입홈에 끼워 조립함은 물론이다.
도 7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가 포함되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각 볼체인(14a,14b,14c)의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와 제1 루버구동부(18a) 및 루버(16a)의 조립 구성이 포함된 기준블라인드 즉 제1단 블라인드(12a)은 다축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세트(set)제품중 하나의 단품이 되며, 하나의 단품으로도 블라인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단 블라인드(12a)에서 수평으로 연잇는 적어도 한단 이상의 블라인드들을 예컨대, 도 3의 제2단 블라인드(12b) 및 제3단 블라인드(12c)를 차례로 설치할 수 있다.
제2단 블라인드(12b)의 조립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단 좌측지지대(28)의 내향 돌출관(100)을 구성하되 제1단 우측지지대(26)와 마찬가지로 외측 축공에 걸림홈을 형성한다.
조립자는 제2단 좌측 지지대(28)의 내향 돌출관(100)에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을 억지 삽입시켜 평소 스프링 압착력에 의해 상기 내향 돌출관(100)을 죄어주는 상태가 되고 한다. 그후 도 8의 부품 사시도에 상세히 도시된 구조와 같은 좌측 결합관(102)을 제2단 좌측 지지대(28)의 내향 돌출관(100)에 헐겁게 끼우되, 좌측결합관(102)의 내향돌조(110)를 억지 삽입된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의 양측 절곡단(106,108)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은 좌측결합관(102)의 내향걸림환테(112)에 걸리게 되어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
도 9a는 도 3의 연결대(114)와 연결관체(118)에 대한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연결대(114)와 연결관체(118)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축방향 절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9a, 도 9b를 함께 참조하면, 연결대(114)는 연결관체(118)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헐겁게 끼워져 축회전 가능하며 연결대(114)의 사각봉(116)은 연결관체(116)를 관통하여 밖으로 출몰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대(114)의 원통면에 형성된 외주단턱과 연결관체(118)의 내주단턱의 맞물림으로 인해 우측으로는 빠지지 않는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14)의 좌측부에는 스플라인축공(330)이 구비되어 제3 구동축관(60)의 스플라인축부(302)가 끼워질 수 있으며, 연결대(114)의 우측단에는 사각돌봉(116)이 구비되어 제2 사각안내관(122)에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관체(118)의 좌측면에는 4개의 삽입홈(332)들이 원주방향으로 빙둘러가며 형성되어 제1 구동부(18a)의 회전관체(88)의 4개의 삽입돌기(322)들이 끼워질 수 있게 구성되고, 연결관체(118)의 우측단에는 외향걸림환테(121)의 일부를 따라가며 스프링 걸림편(120)이 구비된다.
연결관체(118)의 스프링 걸림편(120)과 아울러 좌측 결합관(102)의 내향돌조(110)는 사용자가 루버(16b)의 승강을 위해 볼체인(도 1의 14b)을 당길 시 제2 체인휠(44)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연결관체(118)에 전달되면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의 양측 절곡단(106,108)중 한단에 걸려 힘을 가하게 작용함으로써 결국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의 조임상태가 풀리게 되어 제2 루버구동부(18b)의 축회전이 가능케 허락한다.
조립자는 연결대(114)를 연결관체(118)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제2단 좌측 지지대(28)의 내향 돌출관(100)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제2 클러치 스프링(104)은 스프링 걸림편(120)에 의해서 감싸지면서 그 양측 절곡단(106,108)이 스프링 걸림편(120) 사이의 개구 사이에 끼워지게 스프링 걸림편(120)에 걸리게된다. 이때 연결관체(118)의 걸림환테(121)의 좌측면은 제2단 좌측지지대(28)의 내측 돌출관(100)의 측면과 맞닿게 되므로 연결관체(118)가 외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되며, 이런상태에서 제2단 좌측 지지대(28)의 외측 축공의 걸림홈에 이탈방지탭(122)을 삽입시켜서 연결관체(118)의 좌측단을 억지 끼움함으로써 연결관체(118)가 내측으로 빠지지 않고 축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조립자는 제2 사각안내관(122)에 이탈방지탭(74)을 억지 삽입한 후 제2 사각 안내관(122)을 연결대(114)의 사각봉(116)에 끼운다. 그 다음으로는 제2 사각안내관(122)의 일단에 제2 구동관체(128)를 꽂아 넣고선 제2 구동관체(128)의 내향결합돌부(128)를 좌측 결합관(102)의 결합홈(103)에 끼워 맞춘다.
그후 도 5와 동일한 구조로된 지지편(132)을 제2 사각 안내관(122)에 꽂아 넣고선 지지편(132)의 협지홈(131)을 제2 구동관체(128)의 결합돌부(130)에 삽입되게 한 후 쭉 밀어 넣어줌으로써, 지지편(132)은 제2 구동관체(128)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여 제2 사각안내관(122)을 지탱해줌에 의해 제2 사각안내관(122)의 휨을 방지한다.
제2단 블라인드(12b)의 제2단 루버구동부(18b)의 우측 지지대(30)도 제1단 루버구동부(18a)의 우측 지지대(26)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회전체(138)는 제1단 블라인드(12a)의 회전관체(88)와 동일한 구성이다.
회전체(138)를 제2단 우측지지대(30)의 외측에서 내향돌출관(132)으로 삽입시 회전체(138)의 걸림환테(160)는 외측 축공(134)의 걸림홈(136)에 걸리게 되며, 회전체(138)를 삽입한 후 내향 돌출관(133)에 우측 결합관(140)을 끼우고 이탈방지탭(142)을 회전체(138)의 원통부분에 억지 삽입하여 회전체(138)가 외측으로 빠지지않게 고정시킨다.
그 후 조립자는 회전체(138)의 사각돌관(164)을 제2 사각 안내관(122)내에 삽입 무두볼트 고정하고, 우측 결합관(140)의 결합홈(141)에 제2 구동관체(128)의 내향결합돌부(130)를 끼워넣음으로써 제2 구동부(18b)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좌측지지대(28)의 우측 체결편(150)은 제2단 블라인드(12b) 프레임(미도시됨)의 일측 가이드레일홈에 끼우고 제2단 좌측 지지대(26)의 좌측 체결편(152)은 제2단 블라인드(12b) 프레임의 타측 가이드 레일홈에 끼워 조립함은 물론이다.
제2단 블라인드(12b)은 다축구동 블라인드장치 세트(set)제품중 하나의 단품이 되며, 제1단 블라인드(12a)에 수평으로 이어져 끼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단 블라인드(12a)의 우측 지지대(26)의 회전관체(88)의 4개의 삽입돌기(322)들 및 제3 구동축관(60)의 스플라인축부(302)를 각각 제2단 블라인드(12b)의 좌측 지지대(28)의 연결관체(118)의 4개의 삽입홈(332)들 및 연결대(114)의 스플라인축홈(330)에 끼워 넣고 조립함으로써 동력전달이 가능하게된다.
제2단 블라인드(12b)의 옆에는 제3단 블라인드(12c)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3단 블라인드(12c)의 조립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3단 블라인드(12c)을 구성하는 조립부품들중에서 좌측지지대(32), 이탈방지탭(201), 좌측 결합관(200), 연결관체(204), 제3 구동관체(206), 우측 결합관(208)은 제2단 블라인드(12b)의 좌측지지대(28), 이탈방지탭(122), 좌측 결합관(102), 연결관체(118), 제3 구동관체(128), 우측 결합관(140)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그리고 제3단 블라인드(12c)의 우측 지지대(34)는 제2단 블라인드(12b) 우측지지대(30)의 걸림홈(136)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기능이 거의 유사하다.
조립자는 제3 우측 지지대(32)의 내향 돌출관(210)에 클러치 스프링(204)을 억지 삽입시켜 평소 스프링 압착력에 의해 상기 내향 돌출관(210)을 죄어주는 상태가 되게 한다. 그후 좌측 결합관(200)을 상기 내향 돌출관(210)에 헐겁게 끼우되, 좌측결합관(210)의 내향돌조(212)를 억지 삽입된 제3 클러치 스프링(202)의 양측 절곡단(214,216)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3 클러치 스프링(202)은 좌측결합관(200)의 내향걸림환테(213)에 걸리게 되어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
그후 조립자는 연결관체(204)를 제3단 좌측 지지대(32)의 내향 돌출관(210)내에 삽입시키되, 제3 클러치 스프링(202)이 연결관체(204)의 스프링 걸림편(218)에 의해서 감싸지면서 그 양측 절곡단(214,216)이 스프링 걸림편(218) 사이의 개구 사이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연결관체(118)의 걸림환테(220)의 좌측면은 제3단 좌측지지대(32)의 내향 돌출관(210)의 측면과 맞닿게 되므로 연결관체(204)가 외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되며, 이런상태에서 제3단 좌측 지지대(32)의 외측 축공의 걸림홈에 이탈방지탭(201)을 삽입시켜서 연결관체(204)의 좌측단을 억지 끼움함으로써 연결관체(204)가 내측으로 빠지지 않고 축회전가능하게 된다.
그후 조립자는 좌측 결합관(200)의 결합홈(213)에 제3 구동관체(206)의 내향결합돌부(224)를 끼워 넣는다. 또한 우측 결합관(208)의 결합홈(222)에 제3 구동관체(206)의 내향결합돌부(224)를 끼워넣은 다음 제3단 우측 지지대(34)의 내향 돌출관(226)에 제3구동관(206)과 일체화된 우측결합관(208)을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3단 루버구동부(18c)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제3단 좌측지지대(32)의 우측 체결편(230)은 제3단 프레임(22c)의 일측 삽입홈(632)에 끼우고 제3단 우측 지지대(34)의 좌측 체결편(232)은 제3단 프레임(22c)의 타측 삽입홈(632)에 끼워 조립함은 물론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다양한 구현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의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구조는 도 7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도 7의 체인휠 커버(70,50)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으며, 공통지지대(24)의 좌측 돌출관(40)은 제거된다. 제1구동축관(78)은 공통지지대(24)의 우측돌출관(42)에 끼워진 제1 체인휠(61)과 결합시키고, 제2 구동축관(48)은 제1 구동축관(78)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관통시켜 제2 체인휠(44)에 바로 축고정하고, 제3 구동축관(60)은 제2 구동축관(48)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관통시켜 제3 체인휠(52)을 축고정됨과 아울러 제3 체인휠(52)의 타측부가 조정부 지지대(36)에 축회전되게 결합된다. 그래서 제3 구동축관(60)은 제3 체인휠(52)에 바로 축고정되고, 제2 구동축관(48)은 제2 체인휠(44)에 바로 축고정되며, 제1 구동축관(78)은 제1 체인휠(61)과 결합 구성된다.
도 11의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구조는, 제1 체인휠(61)과 결합된 제1 구동축관(78)을 지지하는 지지대(24), 제2 체인휠(44)과 결합된 제2 구동축관(48)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36b), 제3 체인 휠(52)과 결합된 제3 구동축관(60)과 결합된 제3 지지대(36a)를 각각 구비하되, 제1,제2,제3 지지대(24,36b,36a) 각각은 제1,제2,제3 체인휠(61,44,52)이 축회전할 수 있게 안내돌관(42,42b,42a)을 일체화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의 구조에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1 및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부품은 가능한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될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징은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의 제2단으로의 동력전달이 제1단 루버구동부(18a) 상부측의 별도 동력 전달축(550)을 통해서 제2단 루버구동부(18b)로 이루어지고, 제3단으로의 동력전달이 제1단, 제2단 루버구동부(18a,18b) 상부측의 별도 동력 전달축(550)을 통해서 제3단 루버구동부(18c)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때 제1단, 제2단, 및 제3단으로의 동력전달은 타단의 동력전달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제2,제3 프레임(422a, 422b,422c)를 도 13에 도시된 제1 프레임(422a)의 일예 구성과 같이,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적정 높이가 되게 확장 구성하고, 그에 따른 각단의 좌우 지지대(424,426)(428,430)(432,434)도 확장된 적정 높이를 가지게 구성하되, 제1단 좌우 지지대(424,426) 및 제2단 좌우지지대(428,430)의 확장부에는 동력전달축(550)을 이루는 축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구조도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2단 루버구동부(18b), 제3단 루버구동부(18c)로의 동력전달을 상기 동력전달축(550)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변경 구성된다.
우선 조립자는 제1단 루버구동부(18a), 제2단 루버구동부(18b), 제3단 루버구동부(18c)를 조립완성하고, 각 프레임(422a,422b,422c)를 설치한다.
그 후 제2단 좌측 지지대(428)의 하부기어 수납부(429)에 제1 하부기어(502)를 위치시키되, 상기 제2단 좌측 지지대(428)의 좌측으로 돌출된 연결관체(118a)의 단부에 축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제3단 좌측 지지대(432)의 하부기어 수납부(433)에 제2 하부기어(506)를 위치시키되, 상기 제3단 좌측 지지대(432)의 좌측으로 돌출된 연결관체(204a)의 단부에 축고정시킨다.
또한 제2단 우측 지지대(430)의 상부기어 수납부(431)에 제2 상부기어(504)를 위치시킨 다음, 축연결대(462)를 제2단 좌우 지지대(4280,430)의 확장부의 축공을 관통시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게하고, 축연결대(462)의 일단부를 제2 상부기어(504)에 키결합으로 축고정한다. 이때 스플라인 축공이 형성된 축연결대(462)의 타단부는 제2단 좌측 지지대(428)의 좌측면에 약간 출몰되는 바 이탈방지탭(464)으로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축연결대(462)가 제2단 좌우측 지지대(428,4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후 조립자는 제2 체인휠(444)에 결합된 제2 구동축관(448)을 제1단 좌우 지지대(424,426)의 축공을 관통시키되, 제1단 우측 지지대(426)의 상부기어 수납부(427)에 상부기어(50)를 위치시킨 다음 제2 구동축관(448)의 선단부에 키결합으로 축고정시켜서 제2 구동축관(448)이 축회전가능케 조립한다. 그런 후 제3 체인휠(452)에 결합된 제3 구동축관(460)에 체인휠 커버(450)를 헐겁게 끼우고 그 상태에서 제3 구동축관(460)을 제2 구동축관(460)내를 관통되게 밀어넣음으로써 제1단 우측 지지대(426)의 제1 상부기어(500) 외측으로 약간 출몰된 상태가 되게하고, 조정부 지지대(436)의 축돌출부를 제3 체인휠(452)에 끼워 제3 체인휠(452)이 축회전되게 함과 동시에 조정부 지지대(436)를 제1단 좌측 지지대(424)의 확장부측에 체결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단 블라인드(12a), 제2단 블라인드(12b), 제3단 블라인드(12c)의 단품 조립이 완성되고, 제1단 블라인드(12a) 옆에 제2단 블라인드(12b)을 수평으로 연접 설치하고, 제2단 블라인드(12b) 옆에 제3단 블라인드(12c)을 수평으로 연접 설치를 하여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의 세트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때 제1단 블라인드(12a)의 제1 상부기어(500)는 제2단 블라인드(12b)의 제1하부기어(502)에 맞물리도록 하여야 하고, 제2단 블라인드(12b)의 제2 상부기어(504)는 제3단 블라인드(12c)의 제2 하부기어(506)에 맞물리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10)는 사용자가 해당 볼체인을 당김으로 상기 다축독립구동 조정부(20)의 체인휠에 의해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제1단 블라인드(12a)에는 제1단 루버구동부(18a)의 회전 구동축에 바로 전달되고, 제1단 이상의 블라인드(12b,12c)에 대해서는 블라인드구동축(540)의 상부에 위치한 동력전달축(550)을 통해 해당 블라인드(12b,12c)으로 독립적으로 전달되어진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단의 블라인드들을 차례로 연접설치하되 사용자가 한곳에서 통합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단의 블라인드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블라인드 조정하는데 편리하며, 블라인드 각단의 분리와 결합도 용이하고 운반도 편리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회전레버 없이 볼체인만으로도 루버들 승강시킴과 동시에 루버회전각 조정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 구동축관(72)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지지편(82) 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제1단 블라인드(12a)의 우측 지지대(26)에 대한 구성부품들의 조립된 상태도 및 대응된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가 포함되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좌측 결합관(102)에 대한 부품 사시도,
도 9a는 도 3의 연결대(114)와 연결관체(118)에 대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 9b는 연결대(114)와 연결관체(118)의 조립 상태에서의 축방향 절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20)의 다양한 구현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루버의 승강구동 및 회전각 조정을 위한제1 구동관체 및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
도 16a 내지 도 16c는 루버(16a)들의 회전각 조정 및 승강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12a,12b,12c: 제1,2,3단 블라인드
14a,14b,14c: 볼체인 16a,16b,16c: 루버들
18a,18b,18c: 제1,2,3단 루버구동부 20: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
22a,22b,22c: 제1,2,3프레임 44: 제2 체인휠
48: 제2 구동축관 50: 체인휠 커버
52: 제3 체인휠 60: 제3 구동축관
61: 제1 체인휠 64: 제1 클러치 스프링
70: 체인휠 커버 72: 제1 구동축관
76: 제1 사각 안내관 78: 제1 구동관체
104:제2 클러치 스프링 114: 연결대
118: 연결관체 122: 제2 사각안내관

Claims (10)

  1.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다단 독립구동 회전체들로 구성된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를 포함한 기준 블라인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를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되, 기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과 하나 이상의 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을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의 각 회전체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회전 구동력이 독립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당 회전 구동력이 각단 블라인드들의 구동관체 속을 통해서 해당 블라인드 회전 구동축으로 독립적으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당 회전 구동력이 기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으로는 구동축관에 의해서 직접 전달되고, 타 블라인드의 회전 구동축으로는 기준 블라인드의 구동축관와는 별도의 동력전달축을 통해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블라인드 구동축의 구동관체를 감싸는 탄성홀더를 끼워 조립하되, 상기 구동관체에는 다수의 루버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중방줄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홀더의 양측 연결편에는 루버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방줄 및 후방줄을 고정시켜 놓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내에 스토퍼를 설치하되, 상기 스토퍼에 상기 구동관체와 합체 회전하는 탄성홀더의 양측 연결편이 걸려 정지되게 구성하여 구동관체가 별도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는,
    기준 블라인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공통지지대의 우측 및 좌측 돌출관에 제1단의 구동축관이 결합된 제1단 독립구동 회전체와 제2단의 구동축관이 축결합된 제2단 독립구동 회전체를 축회전 가능케 각각 끼우며, 상기 제2단 독립구동 회전체의 측부돌관에는 그 다음단의 구동축관이 결합된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를 축회전 가능케 끼우는 방식으로 차례 차례로 끼우고 최종단 독립구동 회전체의 측부돌관을 조정부 지지대에 축회전 가능케 조립 구성하되,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들 각각에는 대응 회전구동 체인이 맞물려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는,
    기준 블라인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공통지지대의 일측 돌출관에 제1단의 구동축관이 결합된 제1단 독립구동 회전체를 축회전 가능케 끼우고, 상기 제1단 독립구동 회전체 축공에 그 다음단의 구동축관이 결합된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를 축회전 가능케 끼우는 방식으로 차례 차례로 끼우고 최종단 독립구동 회전체의 측부돌관을 조정부 지지대에 축회전 가능케 조립 구성하되,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들 각각에는 대응 회전구동 체인이 맞물려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는,
    기준 블라인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공통지지대의 우측 돌출관 및 좌측 돌출관에는 제1단의 구동축관이 결합된 제1단 독립구동 회전체와 제2단의 구동축관이 축결합된 제2단 독립구동 회전체를 각각 축회전 가능케 끼우며, 나머지는 조정부 지지대들 각각에 대응 구동축관이 결합된 독립구동 회전체들을 축회전 가능케 끼워지게 구성하되,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들 각각에는 대응 회전구동 체인이 맞물려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 독립구동 조정부는,
    각각이 안내돌관을 구비한 다수의 지지대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대응 지지대의 각 안내돌관에 해당 구동축관이 결합된 독립구동 회전체가 축회전 가능케 끼워지게 구성하되, 대응 독립구동 회전체들 각각에는 대응 회전구동 체인이 맞물려 조립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다수의 블라인드들 각각은 운반시에 타단 블라인드와는 분리되어 독립된 상태이며 조립설치시 연접단 블라인드와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장치.
KR20-2004-0035255U 2004-12-11 2004-12-11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200378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255U KR200378509Y1 (ko) 2004-12-11 2004-12-11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255U KR200378509Y1 (ko) 2004-12-11 2004-12-11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666A Division KR100675556B1 (ko) 2004-12-11 2004-12-11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509Y1 true KR200378509Y1 (ko) 2005-03-11

Family

ID=4368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255U KR200378509Y1 (ko) 2004-12-11 2004-12-11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8580B2 (en) Spring operated roller blind system with tension spring adjusting mechanism and locking element for said system
AU2007240243B2 (en) Adjustable drive coupling for adjacent architectural coverings
AU680486B2 (en) Roll screen apparatus
US10697232B2 (en) Motorized shutter assembly
US8579004B2 (en) Multi-section window dressing with coupling clutch
CN1886571B (zh) 用于连接卷式遮光帘的轴的装置系统
CA2479156C (en) Universal brackets for roller shade
US11332973B2 (en) Spring operated roller blind system with end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US20060272782A1 (en) System for coupling roller shade tubes
KR100675556B1 (ko)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US20080135191A1 (en) Link system for shade couplings
EP3163005B1 (en) Spring operated roller blind system with tension spring adjusting mechanism and locking element for said system
JP2023533619A (ja) ロールシェード組立体
EP1936107B1 (en) Adjustable drive coupling for adjacent architectural coverings
KR200378509Y1 (ko)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200369500Y1 (ko) 다축 독립구동 롤스크린 장치
CN217206219U (zh) 一种能调节拉绳的天棚窗帘
WO2010030177A2 (en) Device for pairwise coupling of rotatable shafts of systems for window covering
KR200386897Y1 (ko)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100675554B1 (ko) 다단구동 창문차단장치
KR100617903B1 (ko)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
KR100675553B1 (ko) 다단구동 창문차단장치
KR200300434Y1 (ko) 롤 커튼의 권취용 구동 장치
KR200360214Y1 (ko) 로만쉐이드형 커튼
KR101888242B1 (ko) 블라인드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