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15Y1 - 도어 파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파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15Y1
KR200386215Y1 KR20-2005-0001683U KR20050001683U KR200386215Y1 KR 200386215 Y1 KR200386215 Y1 KR 200386215Y1 KR 20050001683 U KR20050001683 U KR 20050001683U KR 200386215 Y1 KR200386215 Y1 KR 200386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ing
reinforcement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20-2005-0001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1Profile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상가 또는 사무실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의 간격을 없애주어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파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된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결합시키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보강 프레임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보강 프레임과 도어날개가 밀착되게 하므로서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는 한편 시건홀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파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파손 방지 장치{Door damage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상가 또는 사무실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의 간격을 없애주어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파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 설치되는 방화문(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에 도어(3)가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2)에는 패킹(5)을 끼워주게 된다.
상기 방화문(1)은 도어(3)가 닫힌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날개(4)가 도어 프레임(2)에 밀착되게 되지 않고, 도어 프레임(2)과 도어(3) 사이 특히 도어 프레임(2)과 상기 도어 프레임(2)을 일부 덮어주는 도어 날개(4)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이러한 틈새는 도난사고의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즉 도어 프레임(2)과 도어날개(4) 사이에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나 지렛대를 이용하여 못을 빼는데 사용하는 도구(일명 빠루) 등의 기구를 넣고 도어 프레임(2)과 도어날개(4)사이를 벌리게 되면 도어 프레임(2)에 형성된 시건홀(2a)의 측면 즉 시건홀 지지부(2b)가 파손되어 도어(3)가 열리게 되는 것으로, 이는 도어(3)와 도어날개(4)사이의 틈새가 벌어져 있어 드라이버나 빠루 등이 들어가는 한편 도어 프레임(2)이 두께 1.6mm의 갈바 철판으로 제작되어 도어(3)가 강제로 벌어질 때 시건홀 지지부(2b)가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두께 2.0mm의 SS41냉연압연강판으로 제작된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는 한편 시건홀 지지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도어를 강제로 개방실킬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된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결합시키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보강 프레임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보강 프레임과 도어날개가 밀착되게 하므로서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는 한편 시건홀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파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화문(1)의 도어 프레임(2)에 고정되어 도어날개(4)와 도어 프레임(2)사이의 간격을 없애주어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등으로 도어 프레임(2)과 도어날개(4) 사이를 벌릴 수 없도록 도어 프레임(2)에 보강 프레임(10)을 대고 접시머리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강 프레임(10)에 의해 도어날개(4)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시건홀 지지부(10a)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보강 프레임(10)은 도어 프레임(2)중 도어(3)의 시건장치가 구비된 쪽의 수직으로 설치된 곳에만 설치되면 되는 것으로, 통상 도어(3)를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등으로 파손시킬 때 시건장치가 구비된 곳에서 시건홀 지지부(2b)를 파손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2)의 일부에만 보강 프레임(10)을 설치하면 된다.
보강 프레임(10)은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2)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대략 ㄴ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중앙에는 시건장치의 시건봉이 이동할 수 있도록 시건홀(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상하로 도어 프레임(2)에 나사 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홀(12)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강 프레임(10)은 도어 프레임(2)에 밀착 고정시킬 때 도 4와 같이 도어 프레임(2)의 전면에 노출된 부위와 도어(3)쪽으로 노출된 부위를 덮어주도록 하고, 시건홀(11)은 도어 프레임(2)에 형성된 시건홀(2a)과 일치시켜 시건장치의 사용시 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도어 프레임(2)의 시건홀 지지부(2b)와 보강 프레임(10)의 시건홀 지지부(10a)가 서로 일치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벽면의 전방으로 노출된 도어 프레임(2)을 감싸주기 위하여 도 7 및 도 9와 같이 ㄷ자 형태를 갖도록 보강 프레임(20)을 제작하거나,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일측으로 공간부(35)가 형성되도록 보강 프레임(30)을 제작한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은 보강 프레임(30)은 벽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부(35)를 형성시켜 도어 프레임(2)의 전면을 완전히 감싸주도록 하는 한편 접시머리를 갖는 앵커볼트(36)를 이용하여 보강 프레임(10)을 고정시키도록 하고, 또한 공간부(35)의 저면은 막아주되 상면은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여 공간부(35)를 우유 배달구 또는 신문 배달함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공간부(35)는 일정공간이 형성되므로, 하부가 막혀지면 공간부(35)가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신문 수납이나 우유 배달함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설치하거나, 도어 프레임(2)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떠한 형태로 설치하더라도 도어 프레임(2)과 도어날개(4)사이의 틈새를 없애주게 된다.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10)은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도어(3)가 설치된 쪽을 감싸주되 밀착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대략 ㄴ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시건홀(11)과 나사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시건홀(11)이 도어 프레임(2)의 시건홀(2a)에 일치될 수 있게끔 보강 프레임(10)을 도어 프레임(2)에 대고 나사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으로, 시건홀 지지부(10a)와 시건홀 지지부(2b)가 일치되게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 프레임(10)은 도어 프레임(2)의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건장치가 설치된 곳의 상하부로 일정 길이만큼만 덮어줄 수 있도록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2)에 보강 프레임(10)을 대고 나사홀(12)에 나사를 박아 도어 프레임(2)과 보강 프레임(10)을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 같이 보강 프레임(10)을 도어 프레임(2)에 고정시키면 보강 프레임(10)과 도어(3)의 도어날개(4)가 밀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프레임(2)과 도어날개(4)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보강 프레임(10)에 의해 도어날개(4)와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지렛대를 이용하여 못을 빼는데 사용하는 도구(일명 빠루)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3)를 파손시킬 때 도어날개(4)의 틈새로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나 지렛대를 이용하여 못을 빼는데 사용하는 도구(일명 빠루) 등을 밀어 넣을 수가 없어 도어(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어(3)를 파손시킬 때 도어 프레임(2)의 시건홀 지지부(2b)를 파손시키게 되나,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10)은 두께 2.0mm의 SS41냉연압연강판으로 제작되어 시건홀 지지부(10a)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강제적인 도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0)은 도 4내지 도 6과 같이 ㄴ자형을 사용하지 않고, 도 7 내지 도 9와 같은 ㄷ자형의 보강 프레임(2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ㄷ자형 보강 프레임(20)은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전방 측면을 감싸게 설치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20)은 ㄷ자 형태로 제작될 뿐 그 설치나 효과는 보강 프레임(10)과 동일한 것으로, 보강 프레임(20)과 도어날개(4) 사이의 틈새를 없애는 한편 시건장치의 시건봉이 끼워져 있는 시건홀 지지부(20a)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공간부(35)를 형성한 보강 프레임(3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보강 프레임(30)은 도어 프레임(2)에 고정시키지 않고 앵커 볼트(36)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도어(3)가 설치되는 쪽을 감싸게 되고, 앵커 볼트(36)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보강 프레임(30)에 형성된 공간부(35)는 별도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공간부(35)의 하측을 막아주고 상부는 개방시켜 주어 신문 또는 우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신문 배달함과 우유 배달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방화문의 도어 프레임에 보강 프레임을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과 도어의 도어날개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없애주어 도어가 닫혔을 경우 도어날개가 보강 프레임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에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등을 밀어 넣어 도어를 파손하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특히 도어가 파손될 때 시건홀 지지부가 파손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보강 프레임에 의해 시건홀 지지부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드라이버나 빠루 등에 의한 도어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보강 프레임으로 없애주는 한편 시건장치의 시건봉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시건홀 지지부를 보강해주어 도어의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범법자에 의한 도어 파손을 방지하여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이 설치된 방화문 정면도
도 2는 기존의 방화문 평단면도
도 3은 기존의 도어 프레임과 도어날개 사이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을 설치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설치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실시예 설치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실시예 설치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보강 프레임 다른 실시예 설치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화문 2 : 도어 프레임
3 : 도어 4 : 도어날개
10,20,30 : 보강 프레임 11,21,31 : 시건홀
12,22,32 : 나사홀 35 : 공간부
36 : 앵커볼트

Claims (4)

  1. 벽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2)에 도어(3)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내측에 밀착되게 ㄴ자 형상을 갖는 보강 프레임(10)을 설치하되 상기 보강 프레임(10)에는 도어(3)의 시건봉이 이동하는 시건홀(11)과 고정나사가 끼워지는 나사홀(12)이 형성되며, 도어(3)가 닫힐 때 보강 프레임(10)과 도어날개(4)가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파손 방지 장치.
  2. 벽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2)에 도어(3)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내측에 밀착되게 ㄷ자 형상을 갖는 보강 프레임(20)을 설치하되 상기 보강 프레임(20)에는 도어(3)의 시건봉이 이동하는 시건홀(21)과 고정나사가 끼워지는 나사홀(22)이 형성되며, 도어(3)가 닫힐 때 보강 프레임(20)과 도어날개(4)가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파손 방지 장치.
  3. 벽면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2)에 도어(3)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의 전면과 내측에 밀착되게 ㄷ자 형상을 갖고 내부에 공간부(35)를 형성한 보강 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보강 프레임(30)에는 도어(3)의 시건봉이 이동하는 시건홀(33)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30)의 전면에서 앵커볼트(36)로 고정되며, 도어(3)가 닫힐 때 보강 프레임(30)과 도어날개(4)가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파손 방지 장치.
  4. 삭제
KR20-2005-0001683U 2005-01-19 2005-01-19 도어 파손 방지 장치 KR200386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83U KR200386215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 파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83U KR200386215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 파손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15Y1 true KR200386215Y1 (ko) 2005-06-13

Family

ID=4368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83U KR200386215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 파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335B2 (en) Handle assembly
US8220296B2 (en) Locking assembly hasp
KR102301597B1 (ko) 전기 설비용 함체
US20110252838A1 (en) Handle
US7448235B2 (en) Meter box locking assembly
EP2248968A1 (en) Strike plate for spring-latch locks, particularly with a magnetic spring latch
US20180298654A1 (en) Cabinet assembly
KR200386215Y1 (ko) 도어 파손 방지 장치
GB2561840A (en) Door chain device
US11549281B2 (en) Door plate system, kit, and method
US8910346B1 (en) Device for repairing hinge area of a door
KR200446826Y1 (ko) 보강용 비드가 구비된 도어 파손 방지장치
KR200390363Y1 (ko) 도어 파손 방지 장치
EP3208409B1 (fr) Système antieffraction pour porte de garage
JP2007536445A (ja) 全面ガラスドアのための金具
GB2438491A (en) Door entry prevention device with biased lock concealing device
JP4492502B2 (ja) 自動販売機の防盗装置
WO2019161924A1 (en) Reinforcement bar and method for reinforcing a door assembly
JPS6145684Y2 (ko)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090007126U (ko)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447069Y1 (ko) 방화문용 방범장치
EP0851088A1 (en) A guar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