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017Y1 -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 Google Patents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017Y1
KR200386017Y1 KR20-2005-0007441U KR20050007441U KR200386017Y1 KR 200386017 Y1 KR200386017 Y1 KR 200386017Y1 KR 20050007441 U KR20050007441 U KR 20050007441U KR 200386017 Y1 KR200386017 Y1 KR 200386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plow
frame
ang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찬 filed Critical 김병찬
Priority to KR20-2005-0007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8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working sub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01B3/28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서 트랙터 동력을 이용하여 땅을 갈아주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와 인접되는 땅을 갈아주도록 보습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보습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흙이 넘어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쟁기틀(1)과 프레임 연결구(5)에 연결되는 쟁기 프레임(4)의 일측이 연결되어 쟁기(1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습이동 실린더(3)와;
상기 연결 프레임(7)의 하측으로 고정된 회전 안내봉(16)을 통과하여 보습(20)의 하측에 연결되는 회전축(15)이 볼트(17)를 통하여 보습 받침대(21)가 연결된 회전봉(14)을 관통하며 회전봉(14)의 일측에서 축 연결구(13)와 연결 프레임(7)에 설치된 보습조절 실린더(11)의 실린더축(12)이 연결되어 보습(20)의 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The trenchplow accommodable take the angle of control and colter the position}
본 고안은 주로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서 트랙터 동력을 이용하여 땅을 갈아주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와 인접되는 땅을 갈아주도록 보습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보습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흙이 넘어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에 관한 것이다.
쟁기는 주로 트랙터에 연결되어 땅을 갈아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대부분 노지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기존 노지에서 사용하는 쟁기는 땅을 깊이 갈아줄 수 있으나 대부분 대형 트랙터를 사용하는 한편 2련 이상 4련의 쟁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넓이가 한정된 비닐하우스에서 사용하기는 그 면적이 좁아 어려웠다.
기존 깊이 갈이를 위한 트랙터는 120∼150 마력 정도의 중, 대형 트랙터를 사용하는 관계로 이를 비닐하우스에 적용시키기 어려워 비닐하우스 내부의 땅을 깊이 갈아엎지 못하고, 비닐하우스에 출입이 가능한 35∼42 마력의 트랙터를 사용할 경우 깊이 갈아주지 못하고 얕게 알아줄 수밖에 없으며, 특히 땅을 깊이 파주고 업어주지 못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쟁기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0312861호(2003. 05. 16. 공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쟁기틀에 쟁기 프레임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하고 쟁기 프레임이 쟁기틀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이동되게 설치하고, 그 후방에는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이동되는 각도조절 프레임을 설치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깊이를 조절하여 일정한 깊이로 쟁기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보습의 위치를 동력모터와 스크류축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트랙터로 인하여 작업이 불가능한 비닐하우스의 측면 또는 코너 작업이 용이하게 하였다.
그러나, 보습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유압모터와 이송스크류 및 가이드봉을 통한 직진이동을 통하여 이동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보습의 위치 이동을 위한 시간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위치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봉과 이송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위치가 흙과 가깝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 흙이 튀어 쉽게 붙게 되어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갈아업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갈아지는 흙이 한 방향으로만 넘어가게 되므로 흙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었으며, 보습의 형태에 따라서 흙이 원활하게 넘어가지 않아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습조절 실린더를 이용하여 보습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흙이 넘어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습의 상측으로 보습각도 조절구를 설치하여 흙이 넘어갈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쟁기틀에서 보습이동 실린더를 이용하여 쟁기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서 쟁기의 위치가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비닐 하우스의 측면과 코너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쟁기틀과 프레임 연결구에 연결되는 쟁기 프레임의 일측이 연결되어 쟁기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습이동 실린더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측으로 고정된 회전 안내봉을 통과하여 보습의 하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볼트를 통하여 보습 받침대가 연결된 회전봉을 관통하며 회전봉의 일측에서 축 연결구와 연결 프레임에 설치된 보습조절 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연결되어 보습의 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적인 트랙터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트랙터 연결대(2)에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쟁기틀(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핀(1a)을 통하여 2개의 쟁기 프레임(4)이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쟁기 프레임(4)의 어느 한쪽과 쟁기틀(1)에는 보습이동 실린더(3)가 설치되어 있어서 쟁기 프레임(4)을 회전 이동시켜 쟁기(1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쟁기 프레임(4)의 반대쪽에는 프레임 연결구(5)를 설치하고 이 프레임 연결구(5)에 쟁기 프레임(4)을 연결핀(5a)으로 연결한다.
상기 쟁기 프레임(4)의 중앙 후방으로 프레임 고정구(6)를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시키고 그 하측으로 호상의 연결 프레임(7)을 고정하여 이 연결 프레임(7)에 쟁기(10)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쟁기(10)는 연결 프레임(7)의 하측으로 회전 안내봉(16)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연결되며, 회전 안내봉(16)의 일측으로 회전봉(14)을 설치한 후 회전봉(14)과 회전 안내봉(16)을 회전축(15)이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5)의 선단에는 보습(20)을 설치하고, 회전봉(14)의 한쪽부분에는 보습 받침대(21)를 돌출시켜 보습(20)과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봉(14)에는 볼트(17)를 이용하여 회전축(15)에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봉(14)의 일측으로 축 연결구(13)가 돌출되어 연결 프레임(7)에 상측이 연결되어 직립되게 설치되는 보습조절 실린더(11)의 실린더축(1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축 연결구(13)는 회전봉(14)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회전범위가 90°를 넘지 않으며, 실린더축(12)의 상측이 어느정도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보습(20)의 상측은 절반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을 분할해서 보습각도 조절구(22)를 연결부재(24)에 의해 움직임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이 보습각도 조절구(22)의 후방에서 가이드대(23)를 연결 프레임(7)에 ×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트랙터 연결대(2)를 통상적인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견인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평상시에는 도 3 과 같이 연결 프레임(7)과 쟁기 프레임(4)이 쟁기틀(1)과 일직선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쟁기(10)를 통한 흙의 갈아업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쟁기(10)에 설치되는 보습(20)의 방향을 설정하여 흙이 갈아 업어지는 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도 8 과 같이 보습(20)이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흙을 갈아 엎는 경우에도 흙이 한 방향으로 넘어가지 않게 되므로 흙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 트랙터에서 유압을 공급하여 보습조절 실린더(11)를 구동시켜 실런더축(12)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실린더축(12)이 축 연결구(13)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이와 연결된 회전봉(1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봉(14)과 볼트(17)로 연결된 회전축(15)이 회전 안내봉(16)에 안내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봉(14)과 회전축(15)이 회전되면서 동시에 보습 받침대(2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보습(20)을 도 9 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습(20)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연결부재(2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의 보습각도 조절구(22)가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후방에 연결된 가이드대(23)의 길이가 동일하고 위치만 이동되면서 보습조절 실린더(11)가 설치된 방향의 보습각도 조절구(22)는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편의 가이드대(23)의 길이가 동일하고 위치만 이동되면서 보습각도 조절구(22)는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보습(20)이 경사진 상태에서 경사의 각도를 더 크게 개방시키게 되어서 흙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이나 필요에 의해 보습(2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보습조절 실린더(11)를 구동시켜 실린더축(12)이 후진되도록 하면 축 연결구(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봉(14)과 회전축(1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회전봉(14)과 회전축(15)이 회전 이동되면서 보습 받침대(21)가 보습(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도 9 의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습(20)의 위치를 변경시킨 이후에는 보습(20)을 통하여 흙이 갈어 업어지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습조절 실린더(11)의 구동에 따라서 보습(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서 보습(20)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주로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작업하는 데 용이한 것으로, 쟁기 프레임(4)을 일직선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측면과 코너의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도시하지 않은 트랙터에서 유압을 공급하여 보습이동 실린더(3)를 구동시키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쟁기 프레임(4)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습이동 실린더(3)를 전진시키면 연결핀(1a, 5a)을 중심으로 쟁기 프레임(4)이 실선과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진행방향의 우측을 작업할 수 있게 되며, 보습이동 실린더(3)를 후진시키면 연결핀(1a, 5a)을 중심으로 쟁기 프레임(4)이 가상선과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진행방향의 좌측을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보습(20)의 위치를 이동시켜 통상적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공간을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쟁기틀과 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보습조절 실린더를 이용하여 회전봉과 회전축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보습 받침대를 따라 회전이동되는 보습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흙이 넘어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습의 상측으로 보습각도 조절구를 설치하여 흙이 넘어가는 부분의 각도는 더 커지고 흙이 넘어가지 않는 부분의 각도는 작아져서 흙이 넘어갈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쟁기틀에서 보습조절 실린더를 이용하여 쟁기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서 쟁기의 보습 위치가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비닐 하우스의 측면과 코너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 작동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우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쟁기에 대한 확대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쟁기에 대한 확대 측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쟁기에 대한 보습의 작동상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쟁기에 대한 보습의 각도조절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쟁기틀 1a, 5a : 연결핀
2 : 트랙터 연결대 3 : 보습이동 실린더
4 : 쟁기 프레임 5 : 프레임 연결구
6 : 프레임 고정구 7 : 연결 프레임
10 : 쟁기 11 : 보습조절 실린더
12 : 실린더축 13 : 축 연결구
14 : 회전봉 15 : 회전축
16 : 회전 안내봉 17 : 볼트
20 : 보습 21 : 보습 받침대
22 : 보습각도 조절구 23 : 가이드대
24 : 연결부재

Claims (3)

  1. 보습(20)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7)이 쟁기 프레임(4)을 통하여 쟁기틀(1)에 연결되고, 쟁기틀(1)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흙을 갈아업는 쟁기에 있어서,
    상기 쟁기틀(1)과 프레임 연결구(5)에 연결되는 쟁기 프레임(4)의 일측이 연결되어 쟁기(1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습이동 실린더(3)와;
    상기 연결 프레임(7)의 하측으로 고정된 회전 안내봉(16)을 통과하여 보습(20)의 하측에 연결되는 회전축(15)이 볼트(17)를 통하여 보습 받침대(21)가 연결된 회전봉(14)을 관통하며 회전봉(14)의 일측에서 축 연결구(13)와 연결 프레임(7)에 설치된 보습조절 실린더(11)의 실린더축(12)이 연결되어 보습(20)의 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2. 제1항에 있어서, 쟁기 프레임(4)은 한쪽이 쟁기틀(1)에 연결핀(1a)을 통하여 연결되고, 반대편이 프레임 연결구(5)에 연결핀(5a)을 통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3. 제1항에 있어서, 보습(20)은 상측에 보습각도 조절구(22)를 양측으로 설치하여 가이드대(23)로 연결하고 보습(20)과 연결부재(24)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KR20-2005-0007441U 2005-03-18 2005-03-18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KR200386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41U KR200386017Y1 (ko) 2005-03-18 2005-03-18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41U KR200386017Y1 (ko) 2005-03-18 2005-03-18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017Y1 true KR200386017Y1 (ko) 2005-06-07

Family

ID=4368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41U KR200386017Y1 (ko) 2005-03-18 2005-03-18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0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090B1 (ko) 이랑 쟁기
KR200386017Y1 (ko) 보습의 위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심경 플라우
JP3692017B2 (ja) 畦塗り機
JP387803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200412915Y1 (ko) 하우스용 심경 플라우
KR100430970B1 (ko) 트랙터용 휴립피복기
ATE383065T1 (de) Anbaudrehpflug
KR101889162B1 (ko) 경작지에 한쪽방향으로 밭을 갈기 위하여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라우
KR101106075B1 (ko) 농기계용 쟁기장치
US5280826A (en) Coulter adjusting device for reversible plow
KR200392362Y1 (ko) 두둑 성형기가 장착된 경운기
JP3704278B2 (ja) 農作業機
KR100911926B1 (ko) 트랙터용 회전 쟁기 좌우이동장치
KR100292071B1 (ko) 트랙터용 로터리플라우장착구
KR100196704B1 (ko)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KR970002243B1 (ko) 트랙터용 로타리쟁기
KR101657059B1 (ko)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200329708Y1 (ko) 트랙터용 쟁기의 위치 변경장치
KR102366878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KR200223379Y1 (ko) 승용관리기용 쟁기
CN214413408U (zh) 多角度可调整式微耕机
JPH0416961Y2 (ko)
KR890003960B1 (ko) 트랙터용 쟁기틀의 구동장치
KR970001194Y1 (ko) 트랙터용 로타리쟁기
KR19990068748A (ko) 트랙터용원판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