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704B1 -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704B1
KR100196704B1 KR1019920017107A KR920017107A KR100196704B1 KR 100196704 B1 KR100196704 B1 KR 100196704B1 KR 1019920017107 A KR1019920017107 A KR 1019920017107A KR 920017107 A KR920017107 A KR 920017107A KR 100196704 B1 KR100196704 B1 KR 10019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lter
fixed
frame
lower frame
i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오 타니미즈
코오이치 카와노
Original Assignee
수가노 쇼오코오
수가노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가노 쇼오코오, 수가노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수가노 쇼오코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704B1/ko

Links

Abstract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 비회전식 매스트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또는 반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회전식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을 회전 또는 반전시키는 회전축, 하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복수쌍의 바닥쇠, 각 쌍의 바닥쇠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회전식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코울터 등으로 구성된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에는, 하부프레임의 반전작동과 연동하여 트랙터의 트레드에 상당하는 양만큼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의 코울터의 이동이나 경작깊이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코울터를 경작작업에서의 지표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며, 비회전식 매스트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코울터위치 조정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울터 조정장치를 설치한 반전식 경작기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전식 경작기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전식 경작기의 정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전식 경작기의 비회전부재를 상세하게 표시한 측면도이다.
제5도는 안내판의 정면도이다.
제6도는 코울터 지지수단과 코울터유니트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7도는 코울터 지지수단, 안내판 및 코울터유니트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8도는 코울터 지지수단, 안내판 및 코울터유니트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9도는 캠플레이트와 안내판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안내판의 정면도이다.
제11도는 매스트프레임과 코울터 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2도는 코울터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3도는 코울터유니트가 12°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4도는 코울터유니트가 9°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5도는 코울터유니트가 6°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6도는 종래의 반전식 경작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프레임 11 : 프론트프레임
12 : 슬라이드프레임 13 : 리어프레임
14 : 바닥쇠 16,37 : 코울터
17 : 회전축 20 : 매스트프레임
24,25 : 코울터 지지수단 30 : 코울터유니트
42c,42d,42e : 조정용 볼트공 43e,43f,43g : 선택공
본 발명은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된 플라우가, 일정한 각도로 선회작동하거나, 또는 경작하는 깊이나 반전플라우를 견인하는 트랙터의 트레드의 변화에 따라 경작깊이방향으로 작동되는 반전식 경작기의 코울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경작작업에 사용되는 농기계의 한 종류로 보톰플라우잉머신(bottom plowing machine)이 사용되어 왔다.
보톰플라우잉머신을 사용하여 경작지를 경작하고자 할 때에는, 보톰플라우잉머신의 바닥쇠가 일정한 깊이로 흙을 파도록 하기 위해서는 트랙터를 사용하여 보톰플라우잉머신을 견인해야 한다.
종래의 보톰플라우잉머신에서는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바닥쇠에 의해 흙(굳어진 토양)이 절삭, 반전 및 파쇄되어 이랑이 형성되며 절삭, 반전 및 파쇄된 흙은 플라우의 회전에 의한 경작방향에 대해서 이랑의 오른쪽으로만 놓여지게 된다.
하나의 이랑이 형성되면 트랙터를 두렁(headland)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한 작업을 반복하여 연속해서 이랑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보톰플라우잉머신을 사용하여 경작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초기에는 경작지(넓은 경작지인 경우에는 다수로 분할된 경작지)의 중앙으로부터 경작작업을 시작해야 하며, 그 후, 미리 정해진 일정한 경작방법에 의해 경작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경작지에서는 절삭, 반전 및 파쇄된 흙이 경작 작업의 초기에 형성된 이랑에 대해서 대칭으로 쌓이게 된다. 그러므로, 경작을 위한 작업준비와 경작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의 마지막단계에서 두렁에 대한 경작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종래의 보톰플라우잉머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능률이 비능률적이다.
경작지에서의 경작작업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면, 작업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고 하는 기술적인 고안으로부터, 최근에는 반전식 경작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경작기에는 하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바닥쇠가 설치되어 있다.
반전식 경작기를 사용하는 경작작업에서는, 1줄의 이랑에 대한 경작작업을 실시하고 두렁에서 트랙터의 방향을 전환시킨 후, 경작작업이 완료된 이랑과 이웃하는 이랑에 대한 경작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부바닥쇠와 하부바닥쇠를 회전시켜서 그 위치를 변환시킨다.
그러므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바닥쇠가 부착된 반전식 경작기를 사용하므로서, 연속적인 경작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반전식 경작기는, 바닥쇠가 고정된 반전플라우프레임, 3점링크를 사용하여 트랙터와 연결시키는 비반전식(non-reversible) 매스트프레임, 각각의 바닥쇠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흙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의 코울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식 또는 비반전식 바닥쇠를 사용하는 종래의 보톰플라우잉머신에서는, 바닥쇠 자체가 고정식 또는 비반전식이기 때문에, 각각의 코울터는 경작이 진행되는 방향에 있는 바닥쇠의 전방에서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코울터의 배치위치에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장치로, 제16도에 표시된 반전식 바닥쇠 경작기가 채용되었다.
제16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바닥쇠(1), (2), (3), (4)와 대응하는 모든 코울터(1a), (2a), (3a), (4a)는, 신축작동하는 역회전실린더(6)에 의해 플라우프레임이 비반전식 프로트프레임(11)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각각 플라우프레임(5)에 고정되어 있다.
이 장치는 구조적으로는 문제점이 없지만, 경작작업을 위한 구동력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앞에서 설명한 구조로 구성된 경작기는 크로스바의 후방에서 보디의 길이가 대단히 길기 때문에, 경작작업에 있어서의 견인저항력에 대한 힘의 작용점이 후방에서 과도하게 벗어나며, 따라서, 트랙터의 구동력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1바닥쇠(트랙터와 최근접한 바닥쇠)에 대응하는 제1코울터는 비반전식 또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하는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경작폭(1줄의 이랑에 대한 경작에 있어서의 경작되는 폭)은, 경작깊이(미리 설정된 경작깊이)에 따라 변화되는 트랙터의 경사 때문에 부지불식간에 변화하며, 따라서 바닥쇠의 회전작동에 대응하여 경작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코울터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이미 정해진 트레드를 사용하는 트랙터에서는, 바닥쇠가 회전작동한 후 제1코울터가 제1바닥쇠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것은 회전작동에 있어서 코울터의 위치가 트랙터의 트레드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울터의 위치를 트랙터의 트레드에 따라서 경작되는 폭방향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으로 좀더 보완된 경작기가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코울터의 위치조정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공소 제61-25321호 공보와 일본국 특공평 제1-59841호 공보에 각각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2종류의 코울터 조정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울터 조정장치에 의하면, 반전식 경작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므로서, 바닥쇠의 반전작동에 따른 카운터의 경사와 편심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은 종래부터 작업자에 의해 실시되어 왔으며, 조정작업 또한 번거로운 일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쇠의 반전작동과 연동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작깊이에 따른 트랙터의 경사도만큼 코울터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적어도, 제1코울터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쇠의 반전작동과 연동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트랙터의 트레드의 거리만큼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 코울터를 이동시킴으로서 적어도 제1코울터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또는 반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을 회전 또는 반전시키는 회전축, 하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복수쌍의 바닥쇠, 각 쌍의 바닥쇠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코울터 등으로 구성된 반전식 경작기에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코울터 조정장치에는 하부프레임의 반전작동과 연동하며, 적어도 1줄의 이랑에 대한 경작깊이와 트랙터의 트레드에 의한 필요량만큼 경작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코울터를 이동시키므로서,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된 코울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코울터위치 조정수단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한 코울터위치 조정수단은 코울터를 지지하는 코울터 지지수단과, 하부프레임의 반전동작을 편심된 회전동작으로 전환시키므로서 코울터 이동장치의 편심량만큼 코울터 지지수단을 이동시키는 코울터 이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코울터 이동장치에 편심된 회전동작을 평면에 대해서 코울터 지지수단을 각운동이나 선회작동으로 전환시키는 선회장치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코울터 지지수단의 각운동에 의한 회전각에 상당하는 편심량에 의해, 하부프레임의 반전작동과 연동하는 회전각만큼 평면에 대해서 코울터를 경사지게 하므로서 코울터가 경작지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코울터 조정수단에 의하면, 반전작동에 있어서 바닥쇠의 회전 동작은 코울터 이동장치에 의해 선회동작으로 전환되며, 코울터 지지수단은 경작깊이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코울터를 각운동시키거나 경사지게 하기 위한 선회동작에 의해 선회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코울터 이동장치에 편심된 상태의 회전동작을 평면에서의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의 코울터 지지수단의 이동동작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코울터 지지수단의 이동동작에 의한 이동량만큼의 편심량에 의해 코울터를 하부프레임의 반전동작과 연동시켜서 이동량만큼 이동시키므로서, 코울터가 대응하는 바닥쇠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코울터 조정수단에 의하면, 반전작동에 의한 바닥쇠의 회전동작은 코울터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동작으로 전환되며, 코울터 지지수단은 트랙터의 트레드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코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동작에 의해 경작작업에서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코울터 조정장치가 설치된 반전식 경작기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반전식 경작기는 주로 하부프레임(10)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1도와 제2도에 포함되어 있고, 제1도와 제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하부프레임(10)은 하부프레임(10)의 전면에 있는 프론트프레임(11)과, 프론트프레임(11)을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프레임(12)과, 슬라이드프레임(12)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는 리어프레임(13)과, 리어프레임(13)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바닥쇠와 제2바닥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어프레임(13)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각 쌍의 바닥쇠(14a), (14b)는, 각각의 경작방향이 서로 대향하며, 따라서 절단 및 파쇄된 흙은, 바닥쇠의 회전작동에 의한 경작방향에 따라서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쌓여지게 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15)의 신축작동을 이용하여 슬라이드프레임(12)을 경작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5)가 리어프레임(13)과 프론트프레임(11)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쇠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서 자유자재로 편심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처음에 선정된 바닥쇠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서, 제1코울터(37)는 제1바닥쇠(14a)에 대응하며, 제2코울터(16)는 제2바닥쇠(14b)에 대해서 대응한다.
제2코울터(16)는 종래의 경작기에서와 같이, 리어프레임(1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리어프레임(13)의 제2바닥쇠(14b) 전방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코울터(16)는 제2바닥쇠(14b)와 함께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보톰프라우잉머신 다중링크(예를 들어 3점링크)를 사용하면, 한쌍의 제3코울터를 리어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들 한쌍의 제3코울터도 제3바닥쇠와 함께 회전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제1코울터(37)는 비반전식 또는 고정식 매스트프레임(20)에 공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스트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7)이 매스트프레임(20)의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축(17)의 한쪽 끝은 하부프레임(10)의 프론트프레임(11)의 전면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매스트프레임(20)은 주요부품으로서 기능을 하는 매스트(22)와, 매스트(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분기프레임(21)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분기프레임(21)에는 경작이 진행되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뻗어있는 2개의 다리가 있으며, 매스트(22)는 하부 분기프레임(21)의 정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직립하고 있다.
회전축(17)을 지지하는 관형 베어링(tubular bearing)(23)은 매스트(22)의 기부(基部)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7)의 다른쪽 끝이 관형 베어링에 삽입되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L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코울터 지지수단(24), (25)는 베어링(2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형 베어링(23)에 지지되어 있으며, 다음에 설명하는 코울터유니트(30)가 코울터 지지수단(24), (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코울터유니트(30)에는 그 끝부분에 부채형 안내부(31)가 있으며, 그 다른쪽 끝부분은 피봇축(32a)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2)와 코울터유니트보디(33)가 포함되어 있다.
코울터유니트보디(33)의 한쪽 끝은 피봇축(32a)의 축심선과 동축선(同軸線)상에서 매스트프레임(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32)의 안내부(31)는 코울터유니트보디(3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울터유니트보디(33)는 가이드부재(32)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피봇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경작의 폭방향을 따라서 부채형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코울터유니트보디(33)의 다른쪽 끝은 수직하방으로 굽혀져 있으며, 코울터유니트보디(33)의 곡면부는 지지단부(34)로서의 역할을 한다.
지지단부(34)에는 베어링(36)이 고정되어 있으며, 코울터지지축(35)이 클램프(36a)를 관통하여 베어링(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바닥쇠(14a)와 대응하는 제1코울터(37)는 코울터지지축(35)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코울터유니트보디(33)의 지지단부(34)의 기부는 스윙암(38)의 기부(38a)에 고정되어 있다.
스윙암(38)은 코울터유니트보디(33)에 대해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스윙암(38)에는 제4도와 제12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스윙암(3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안내공(38b)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와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그 중심이 회전축(17)에 대해서 편심된 캠(41)이 있는 캠플레이트(42)가 베어링(23)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횐전축(17)의 단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캠(41)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공이 있는 안내판(43)이 회전축(17)의 단면도 캠플레이트(42)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플레이트(42)는 캠(41)의 회전중심이 회전축(17)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것과 마찬가지로, 4개의 볼트에 의해서 회전축(17)의 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축(17)의 회전과 연동상태를 유지하며, 안내판(43)은 캠(41)이 회전축(17)에 대해서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캠플레이트(42)의 캠(41)과 연결공(43a)사이에서 결합된 상태로 선회작동한다.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안내판(43)에는 그 상단부에 볼트공(43c)이 있는 돌기(4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판(43)은 볼트공(43c)과 매스트프레임(20)에 형성된 암(24a)에 피봇축(32a)이 단순히 삽입됨으로서 매스트프레임(20)에 대해서 선회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안내판(43)에는, 또, 안내판(43)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뻗어있는 암(43d)이 형성되어 있으며, 암(43d)에는 그 상단부에 선택공(43e),(43f),(43g)이 형성되어 있다.
코울터 지지수단에는 그 한쪽면으로부터 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암(24a)이 형성되어 있다.
암(24a)의 길이는 암(43d)의 길이보다 다소 짧으며, 그 단부에는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코울터 지지수단의 암(24a)은, 그 양쪽 단부에 구멍(46a), (46b)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46)을 매개체로 하여 안내판(43)의 암(43d)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46)의 구멍(46a)은 볼트에 의해서 암(24a)의 구멍(24b)과 연결되며, 구멍(46b)은 선택공(43e), (43f), (43g)중의 한곳과 연결된다.
선택공(43e), (43f), (43g)은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코울터(37)가 흙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을 유지하도록 한다.
선택공(43e), (43f), (43g)중의 어느 한 선택공의 선택은 경작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트랙터의 경사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서, 경작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트랙터는 경작방향으로부터 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더욱 경사지게 된다.
이때, 바닥쇠의 회전작동과 연동하는 큰 각도에 의해 평면 트랙터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제1코울터(37)를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 선택공(43e)이 선택되며, 따라서, 트랙터의 경사는 제1코울터(37)의 경사에 의해 상쇄되어 코울터(37)는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작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트랙터는 평면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된다.
이때 바닥쇠의 회전작동과 연동하는 작은 각도에 따라 제1코울터(37)를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 선택공(43g)이 선택되며, 따라서 코울터(37)는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양쪽의 경우 모두 트랙터의 경사도 즉, 경작깊이에 따라서 경사지게 되며, 따라서, 제1코울터(37)는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지표면에 대해서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선택공(43e), (43f), (43g)의 선택에 따른 제1코울터(37)의 경사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택공(43e)을 선택하고 연결판(46)을 매개체로 하여 캠플레이트(42)의 구멍(42b)과 연결하면, 제1코울터(37)는 제1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12°경사지게 되며, 경작이 진행되는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선택공(43f)을 선택하면 제1코울터(37)는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9°경사지게 되며, 선택공(43g)을 선택하면 제1코울터(37)는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6°경사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경작깊이는 3단계로 구분되며,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코울터를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선택공(43e), (43f), (43g)중에서 3단계중의 어느 한단계와 일치하는 선택공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경작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제1코울터를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43e)의 선택공이 구멍(42b)과 연결된다(이 경우에, 제1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에 대해서 12°(최대각도) 경사진다).
반대로, 경작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제1코울터를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43g)의 선택공이 구멍(42b)과 연결된다(이 경우에, 제1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에 대해서 6°(최소각도) 경사진다).
경작깊이가 최대깊이와 최소깊이 사이의 중간깊이인 경우에는, 제1코울터를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43f)의 선택공이 구멍(42b)과 연결된다(이 경우에,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에 대해서 9°(중간각도) 경사진다).
그리고 캠플레이트(42)에는 제12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작작업의 폭방향을 따라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조정용 볼트공(또는 장공(長孔))(42c), (42d), (42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트(48)를 조정용 볼트공(42c), (42d), (42e)중의 어느 한 곳과 제8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스윙암(38)의 안내공(38b)에 결합되어 있는 로울러(47)에 체결하므로서, 캠플레이트(42)가 스윙암(38)에 고정된다.
조정용 볼트공(42c), (42d), (42e)의 배열간격은 다른 종류의 트랙터에 의한 다른 종류의 트레드패턴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서, 최소 트레드로부터 최대 트레드까지 5종류의 트레드로 구분하며, 사용되는 트랙터의 트레드종류에 따라 조정용 볼트공(42c), (42d), (42e)중의 어느 한 곳을 선택하게 된다.
사용되는 트랙터의 트레드가 작은 종류인 경우에는, 바닥쇠의 회전작동에 의한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의 바닥쇠의 편심량도 작게 된다.
그리므로 이 경우에는,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의 제1코울터(37)의 편심량 또는 이동량은 작게 설정된다.
즉, 회전축(17)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조정용 볼트공(42f) (회전축 (17))의 중심으로부터 최소량 편심된 조정용 볼트공)을 선택하게 된다.
회전작동에 의한 바닥쇠의 편심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면, 회전축(17)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42e)의 조정용 볼트공을 선택하게 된다.
한편, 트랙터의 트레드가 큰 종류이기 때문에, 회전작동에 의한 바닥쇠의 편심량이 크게 되면 회전축(17)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42c)의 조정용 볼트공 (회전축(17)의 중심으로부터 최대량 편심된 조정용 볼트공)을 선택하게 된다.
(42c)의 조정용 볼트공을 선택하므로서 스윙암(38)의 진폭이 최대로 설정되며, 따라서,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 제1코울터(37)의 이동량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로울러(47)가 (42c)의 조정용 볼트공을 관통하여 캠플레이트(4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스윙암(38)의 진폭이 바닥쇠의 회전작동에 있어서 최대로 되는 것이다.
스윙암(38)의 선회는 코울터 지지수단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것은 제1코울터(37)를 경작작업의 폭방향에서 긴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코울터 지지수단은 피봇축(32a)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제1코울터(37)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가이드부재(32)의 안내부(31)를 따라서 부분적으로 선회작동을 한다.
참조부호(50)은 바닥쇠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역회전실린더이다.
역회전실린더(50)는 매스트(22)의 상단부에서 고정핀(51)을 사용하여 선회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론트프레임과, 프론트프레임의 뒤에 있는 기타 부재는 역회전실린더(50)의 신축작동에 의해 역회전된다.
이것은, 역회전실린더(50)가 유압펌프로부터 압력유를 공급받아서 신축작동을 하기 때문이다.
역회전실린더(50)의 실린더로드(52)의 끝부분은, 하부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론트프레임에서 선회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역회전실린더(50)로 공급되는 작동유는 압력차에 의해 변환되는 스위칭밸브가 부착된 유압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먼저, 실린더로드(52)의 수축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이 거의 직립상태가 되도록 회전되며, 그 후, 실린더로드(52)의 신장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은 역회전된다.
실린더로드(52)의 신축작동은 스위칭밸브의 변환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경작작업을 마친 바닥쇠가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다음의 경작작업을 하는 바닥쇠(14a), (14b)가 1줄의 이랑에 대해서 경작작업을 완료한 후 바닥쇠는 반전된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한 반전식 경작기에 사용되는 코울터 조정장치에 의하면, 제1코울터는 코울터 지지수단을 매개체로 하여 비회전부재의 역할을 하는 매스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코울터 지지수단은 경작깊이에 따른 각도만큼 제1코울터를 경사지도록 하거나 사용되는 트랙터의 트레드에 의한 경작작업의 폭에 따라서 제1코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플라우프레임의 반전작동과 연동하여 선회작동된다.
이것은, 바닥쇠의 반전작동과 연동하여 경작깊이에 따라 제1코울터를 경사지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편심량만큼 제1코울터를 이동시키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1코울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랙터의 경사각도와는 관계없이, 경작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항상 제1코울터를 경작지의 지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 바닥쇠의 반전작동 후, 반전된 바닥쇠의 전방으로 제1코울터를 확실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20), 상기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20)에 대해서 회전 또는 반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하부프레임(10), 상기 하부프레임(10)을 회전 또는 반전시키는 회전축(17), 하부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복수쌍의 바닥쇠, 각 쌍의 바닥쇠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 이상은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는 코울터로 구성된 반전식 경작기에 사용되는 코울터 조정장치에 있어서, 하부프레임(10)의 반전작동과 연동하여 1줄의 이랑에 대한 경작깊이와 트랙터의 트레드에 의한 필요량만큼 경작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코울터를 이동시키므로서, 비반전식 매스트프레임(20)에 고정된 코울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코울터위치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코울터위치 조정수단은, 코울터를 지지하는 코울터 지지수단과, 상기 코울터 지지수단에 고정되어 하부프레임(10)의 반전동작을 편심된 회전동작으로 전환시키므로서, 코울터 이동수단의 편심량만큼 코울터 지지수단을 이동시키는 코울터 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울터 이동수단은 편심된 회전동작을 평면에 대해서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을 각운동이나 선회작동으로 전환시키는 선회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의 각운동에 의한 회전각에 상당하는 편심량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의 반전작동과 연동하는 회전각만큼 평면에 대해서 코울터를 경사지게 하므로서, 코울터가 경작지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회수단은 하부프레임의 회전과 연동하여 선회작동하며, 측방으로 연장된 돌기가 있는 캠플레이트(42)로 구성되며, 상기한 조정용 볼트공(42c), (42d), (42e)은 세로방향을 따라서, 필요한 편심량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울터 이동수단은 편심된 상태의 회전동작을 평면 경작작업의 폭방향으로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의 이동동작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의 이동동작에 의한 이동량만큼의 편심량에 의해 코울터를 하부프레임(10)의 반전동작과 연동시켜서 이동량만큼 이동시키므로서, 코울터가 대응하는 바닥쇠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환수단은 그 회전중심이 하부프레임(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캠(41)이 있는 캠플레이트(42)로 구성되며, 상기한 캠플레이트(42)는 상기한 캠(41)의 회전중심이 회전축(17)의 회전중심에 대해서 편심되도록 회전축(17)을 매개체로 하여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캠플레이트(42)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필요한 편심량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구멍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울터 지지수단은 그 끝부분에 부채형 안내부(31)가 있으며, 그 다른쪽 끝부분은 피봇축(32a)에 의해 매스트프레임(2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2), 그 한쪽 끝이 상기한 가이드부재(32)에 고정되고, 회전축(17)의 회전작동과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회전축(17)과 상기한 코울터 이동장치사이에 배치되는 코울터 지지부재(24), (25), 상기한 가이드부재(32)가 코울터유니트보디(33)에 고정되도록 그 한쪽 끝이 가이드부재(32) 피봇축(32a)의 축심선과 동축선상에서 매스트프레임(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은 하방으로 굽혀 있으며, 코울터에 고정되는 코울터유니트보디(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KR1019920017107A 1991-09-20 1992-09-19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KR100196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268532A JP3117507B2 (ja) 1991-09-20 1991-09-20 リバ−シブルプラウ用コ−ルタ調節装置
JP91-268532 1991-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6704B1 true KR100196704B1 (ko) 1999-06-15

Family

ID=1745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107A KR100196704B1 (ko) 1991-09-20 1992-09-19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7507B2 (ko)
KR (1) KR100196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98B1 (ko) * 2014-10-20 2014-12-30 주식회사 신아이노텍 수평 반전식 논두렁 조성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98B1 (ko) * 2014-10-20 2014-12-30 주식회사 신아이노텍 수평 반전식 논두렁 조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7507B2 (ja) 2000-12-18
JPH06153601A (ja) 199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7065A (en) Soil-inversion cultivator
KR10227347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1313090B1 (ko) 이랑 쟁기
KR100196704B1 (ko) 반전식 경작기용 코울터 조정장치
US4936390A (en) Tool apparatus with tool attached to end of outrigger arm
EP0534691B1 (en) Coulter adjusting device for reversible plow
US5964167A (en) Variable width field implement
JPH0622603A (ja) 作業の進行方向に対して斜めに延びたロータを有する土地を耕す農業機械
EP0169619A2 (en) A plough
JP2915649B2 (ja) リバーシブルプラウ用コールタ調節装置
KR200222296Y1 (ko) 배토기의 보습구조
KR200223379Y1 (ko) 승용관리기용 쟁기
SU1651788A1 (ru) Корпус плуга
EP0305601A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JPH0436569Y2 (ko)
CN209358932U (zh) 一种农业生产用可调节深度的耕田机
EP0305600A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GB2163933A (en) Soil-inversion cultivator
WO2024079179A1 (en) Agricultural implement for working soil and method of operating agricultural implement
HU211102B (en) Suspended disk of one-sense operation with special regard to suspending supporting devices
CA1238510A (en) Rotary tiller apparatus
KR200259710Y1 (ko) 트랙터 로터리용 써레
CA1043623A (en) Combination post-plowing cultivating implement and field drag
JPH0441777Y2 (ko)
KR200219543Y1 (ko) 트랙터용 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