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34Y1 - 냉동상품 자판기 - Google Patents

냉동상품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34Y1
KR200385934Y1 KR20-2005-0007789U KR20050007789U KR200385934Y1 KR 200385934 Y1 KR200385934 Y1 KR 200385934Y1 KR 20050007789 U KR20050007789 U KR 20050007789U KR 200385934 Y1 KR200385934 Y1 KR 200385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ocket
transfer
vending machin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정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은 filed Critical 정지은
Priority to KR20-2005-0007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냉동상품을 상품을 박스형상의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배출수단으로 상품을 배출구로 배출시켜 이송 및 배출 동작이 정확하고 동작이 간결하여 상품을 완벽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한 냉동상품 자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냉동 상품 자판기에 있어서는 박판 필름으로 구성된 이송기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주머니 형태의 포켓을 형성하여 이송롤러가 이송기구를 감아 포켓에 수납된 상품을 배출수단으로 배출하여 소비자가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수단은 타격장치에 의하여 포켓에 수납된 제품을 후방에서 타격하여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취하여 이송기구 역시 타격에 의하여 상품이 손쉽게 배출되도록 전후방이 개구된 주머니 형태의 포켓을 갖는다.
그러나 타격 또는 흔드는 방식으로 상품을 배출하는 방법은 상품이 포켓에 밀착되어 배출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타격시 상품이 흔들리는 관계로 수납된 상품을 완벽하게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여 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송필름(2)에 상품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포켓(4)이 박스 형태로 벌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가이드(6)를 설치하여 구성된 상품 이송수단과, 유/공압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22)를 자판기 내부의 배출구(30)와 평행하도록 브라켓(28)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24) 끝단에 직교하게 L자형의 이송바(26)를 실린더와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송바(26)의 끝단에는 이송판(30)을 설치하여 피스톤로드(24)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26)가 당겨지면서 이송판(30)이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상품 배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냉동 상품 자판기.

Description

냉동상품 자판기{Bending machine for forzen food}
본 고안은 아이스크림과 같은 냉동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냉동 상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상품을 상품을 박스형상의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배출수단으로 상품을 배출구로 배출시켜 이송 및 배출 동작이 정확하고 동작이 간결하여 상품을 완벽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한 냉동상품 자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냉동상품 자판기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냉동상태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자판기이며 통상 냉동 상품 자판기에 있어서는, 상품을 냉동고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냉장고 내부에 체인 또는 벨트에 다수개의 저장기구가 장치된 이송기구를 설치하여 체인 또는 벨트를 회전시켜 상품을 정해진 위치까지 수직 또는 수평 이송한 후 별도의 기구로 배출문을 통하여 인출하는 방법과 나선형 철사를 회전시켜 상품을 밀어내는 스파이럴 방법에 의하여 상품을 냉동고 외부로 인출함으로 냉동고 내부에는 일정한 틀로 되어 있는 이송기구가 내장되어야 하는 관계로 이송기구가 모터축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야 작동되는 공통점이 있는데 영하 20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냉동고에 장치된 이송기구의 동작부위 또는 구동축에는 습기가 결빙된 성애가 착상되며 대부분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연속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한 점진적으로 진행된 결빙은 작동간을 결속하여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데 모터축에 해빙장치를 하여 방제를 하기도 하나 해빙장치를 시설할 수 없는 요소에는 성애가 결국은 얼음덩이로 되어 중대한 고장을 발생시킴으로 신뢰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과 상품의 인출이 냉동고의 측면 또는 하단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품이 인출될때 비중이 높은 냉기가 함께 유출되어 냉동기의 가동시간을 연장하게 함으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박판 필름으로 구성된 이송기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주머니 형태의 포켓을 형성하여 이송롤러가 이송기구를 감아 포켓에 수납된 상품을 배출수단으로 배출하여 소비자가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수단은 타격장치에 의하여 포켓에 수납된 제품을 후방에서 타격하여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취하여 이송기구 역시 타격에 의하여 상품이 손쉽게 배출되도록 전후방이 개구된 주머니 형태의 포켓을 갖는다.
그러나 타격 또는 흔드는 방식으로 상품을 배출하는 방법은 상품이 포켓에 밀착되어 배출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타격시 상품이 흔들리는 관계로 수납된 상품을 완벽하게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여 된다.
또한 상품을 타격 하다 보면 상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이송기구의 손상이 발생하여 연속적인 이송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냉동 상품 자판기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포켓이 박스 형태로 벌려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여 된 이송수단과, 이송수단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품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상품을 밀어주면서 배출하므로 상품이 손상이 없게 됨은 포켓이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품의 수납이 편리한 냉동 상품 자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판기의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동상품을 이송하는 이송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동상품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평면도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냉동상품 자판기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자판기 몸체(A)의 내부 하부로는 냉동고(40)가 /위치되며, 냉동고 상단에는 회전식 출입문(60)과 출입문의 상부에 상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냉동고는 박스형의 밀폐식이며 상부에 형성된 문짝이 회전되면서 위로 들리면서 열리는 방식이며 이송수단에 의하여 상품을 이송시 개폐되고 상품이 외부로 인출되면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송수단은 박판 상태의 이송필름(2)의 좌우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하로 이송용구멍(14)을 천공하여 이송필름(2)의 양단을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된 브라켓 사이에 놓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롤러(11)에 롤상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하며, 이송시 이송용구멍(14)을 감지하여 이송필름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필름(2)에는 박판 상태의 포켓(4) 상 하단을 횡 방향으로 접착 고정하여 좌우로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포켓(4)의 안쪽으로는 L자 형의 가이드(6)를 접착하여 포켓(4)이 박스형상으로 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이송필름에 접착 고정되는 포켓(4)은 상하로 접착 고정되는 접착면(8)과 접착면(8a)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약 5내지 6cm 정도 길게 하여 이송필름(2)접착 고정한 후 가이드(6)를 안쪽에 접착 고정하여 상품을 수납할 때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송필름이 롤 상으로 권취될 때 가이드가 절곡되면서 판상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이송롤러에 감겨지는 두께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6)의 접혀지는 접힘부(10)에는 V자형 홈(1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롤 상으로 권취될 때 손쉽게 접혀지도록 한다.
상기한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은 유/공압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22)를 자판기 내부의 배출구(30)와 평행하도록 브라켓(28)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24) 끝단에 직교하게 L자형의 이송바(26)를 실린더와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송바(26)의 끝단에는 이송판(30)을 설치하여 피스톤로드(24)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26)가 당겨지면서 이송판(30)이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이때 이송바(26)를 L자형으로 장착한 것은 실린더를 후방에 설치하여 상품을 밀어주게되면 그만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이송바를 L자형으로 꺾어 피스톤로드(24)를 당기면 공간을 보다 적게 차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바의 전방에 장착되는 이송판(30)은 원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에 따라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냉동상품 자판기의 이송롤러(11)에 이송필름의 단부를 고정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송롤러가 회전되면서 이송필름(2)이 감겨져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이송필름(2)의 양단은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된 브라켓 사이에 놓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되며 이송시 이송용구멍(14)을 감지하여 이송필름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이송필름이 원하는 위치에 정지하면 유/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이송바(30)가 당겨지면서 포켓(4)에 내재된 냉동상품을 밀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냉동상품은 L자형 가이드(6)의 안쪽에 내재되어 상품무게와 가이드(6)에 의하여 박스형태를 이루는 포켓(4)에 수납되어 냉동고 상단에 설치된 회전식 출입문을 밀면서 위로 당겨지고 이송용 구멍이 감지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게되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26)가 당겨지면서 이송판(30)이 상품을 정확하게 밀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송바가 포켓에 내재된 상품을 밀어서 배출하면 동작이 정지하여 초기 상태로 되며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물건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센서가 감지하여 모터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이송롤러가 회전하여 이송필름(2)을 감으면서 롤상으로 말게 된다.
이때 이송필름(2)에 접착 고정된 포켓(4)은 상품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6)에 의하여 박스형태로 유지되나 상품이 배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6)가 절곡되면서 접혀지게 되므로 이송롤러에는 박판 형태로 감겨지게 되어 두께를 최소화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포켓은 다음 동작 즉, 사용자의 구입에 따라 다음 동작을 반복하므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통상의 냉동상품 자판기는 냉동 상품을 포켓에 집어넣은 후 냉동고에 보관하고 이송롤러의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회전식 문을 상측으로 밀면서 외부로 나오게 되고 포켓이 빠진 다음에는 자중에 닫히는 방식이므로 포켓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도 회전식 문의 개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냉동고에 상품의 보관시 즉, 포켓에 상품을 집어넣은 후 냉동고에 보관시에도 가이드에 의하여 포켓이 쉽게 벌려지게되므로 상품을 보다 손쉽게 집어놓을 수 있는 것이고, 냉동고에 적재시 이송필름이 상부로 당겨질 수 있도록 적재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이송필름에 접착 고정되는 포켓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포켓이 박스형태로 손쉽게 유지되므로 상품을 정확하게 밀어서 배출이 가능하여 자판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에 의하여 포켓이 박스형태로 손쉽게 벌려지기 때문에 상품을 보다 손쉽게 집어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판기의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동상품을 이송하는 이송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동상품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이송필름 4: 포켓
6: 가이드 26: 이송바
30: 이송판

Claims (5)

  1. 박판 필름으로 구성된 이송기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주머니 형태의 포켓을 형성하여 모터의 회전에 작동하는 이송롤러가 이송기구를 감아 소정위치에서 정지시켜 포켓에 수납된 상품을 배출수단으로 배출하여 소비자가 취득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냉동상품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필름(2)에 상품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포켓(4)이 박스 형태로 벌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가이드(6)를 설치하여 구성된 상품 이송수단과, 유/공압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22)를 자판기 내부의 배출구(30)와 평행하도록 브라켓(28)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24) 끝단에 직교하게 L자형의 이송바(26)를 실린더와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송바(26)의 끝단에는 이송판(30)을 설치하여 피스톤로드(24)의 작동에 따라 이송바(26)가 당겨지면서 이송판(30)이 이송된 상품을 후방에서 밀어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상품 배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상품 자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켓(4)은 박판 상태의 필름 상 하단을 횡 방향으로 접착면(8)(8a)을 형성하여 좌우로 개방되도록 이송필름에 고정하고, 접착면(8)과 접착면(8a)의 길이보다 약 5 내지 6cm 정도 길게 형성하여 포켓의 하단이 박스형태로 개구되도록 구성하고, 이송롤러에 감겨질 때 서로 중첩되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상품 자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6)는 다소 딱딱한 합성수지 재질로 L자 형으로 구성하여 포켓에 접착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상품 자판기.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6)에 V자형 홈(1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롤 상으로 권취될 때 판상으로 접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상품 자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판(30)은 원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내용물에 따라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상품 자판기.
KR20-2005-0007789U 2005-03-22 2005-03-22 냉동상품 자판기 KR200385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9U KR200385934Y1 (ko) 2005-03-22 2005-03-22 냉동상품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89U KR200385934Y1 (ko) 2005-03-22 2005-03-22 냉동상품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34Y1 true KR200385934Y1 (ko) 2005-06-03

Family

ID=4368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89U KR200385934Y1 (ko) 2005-03-22 2005-03-22 냉동상품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3540A1 (en) System for removing the selected product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KR100608076B1 (ko)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매체회수방법
KR20070047438A (ko) 자동판매기 인출장치
KR200385934Y1 (ko) 냉동상품 자판기
US8763947B2 (en) Cover actuated roll towel dispense
KR200385935Y1 (ko) 냉동상품 자판기의 상품 이송기구
KR10060809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테킹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6598732B2 (en) Distributor
JP5427573B2 (ja) 物品前出し具及び物品配列棚
KR20090073320A (ko) 인스턴트피자 자동판매기
CN208985276U (zh) 具备双储货柜的智能售货机
KR200394123Y1 (ko) 냉동 상품 자판기의 상품 배출장치
KR200385933Y1 (ko) 냉동 상품 자판기의 상품 배출장치
CN101048634A (zh) 制冷装置
CN110310426A (zh) 出货装置、自动售卖机及自动售卖方法
JP2015041139A (ja) 商品収納装置
JP4044247B2 (ja) 自閉型扉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収容庫
JP5145100B2 (ja) 紙幣収納装置
KR200214712Y1 (ko) 냉동상품 자판기의 상품인출기구
CN112907823B (zh) 一种智能货斗及其自动售货机
JP2004272429A (ja) 自動販売機
KR200245416Y1 (ko) 냉동/냉장식품 자동판매기
KR200276031Y1 (ko) 자동판매기
CN220913697U (zh) 一种商品传送装置
US11448448B2 (en) Ice bagging and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