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681Y1 -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681Y1
KR200385681Y1 KR20-2005-0007615U KR20050007615U KR200385681Y1 KR 200385681 Y1 KR200385681 Y1 KR 200385681Y1 KR 20050007615 U KR20050007615 U KR 20050007615U KR 200385681 Y1 KR200385681 Y1 KR 200385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relay
network protocol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감시시스템에서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계전기와 통신시스템을 구성할 경우에 하위의 디지털 계전기를 자동 인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으로 본 고안은 상위 감시반과 상기 상위 감시반에 접속되고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과 접속되는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 및 디지털 계전기들로 구성된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를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위 감시반은 상기 전력감시 시스템에 접속된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의 주소 및 종류를 확인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장치를 이용하는 데,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장치는 상기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의 주소 및 종류를 나타내는 각 계전기의 고유 기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프레임을 상기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요구하여 자동으로 하위 디지털 계전기의 종류 및 주소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Automatic Detection of Digital Relay for Power Monitoring System }
본 고안은 전력감시시스템에서 소정 통신 네크워크를 사용하여 계전기와 통신시스템을 구성할 경우에 디지털 계전기 자동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위 시스템 구성자가 소정 통신 네크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자동으로 정보를 얻어 에 소정 통신 네크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하위 시스템 기기, 즉 디지털 계전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식별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예컨대 I-NET는 산업용 통신방식으로 중앙에서 원격에 있는 계전기가 계측한 각종 전압, 전력,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여 감시하고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매체 및 프로토콜에 관한 통신규약이다.
종래 I-NET를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수집 프로그램인 HMI(Human Machine Interface)프로그램이 설치된 감시반(개인용 컴퓨터로 구성)과 감시반 컴퓨터의 RS-232포토와 같은 범용 직렬 통신포트를 I-NET 프로토콜 접속장치와 연결하고 I-NET 프로토콜 접속장치의 I-NET 포트와 각 계전기의 I-NET 통신포트를 멀티-드롭(muti-drop)방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감시반은 계전기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려면, 하위 계전기의 종류 및 통신 주소를 눈으로 확인 하고 감시할 데이터(POINT)를 상위 감시반의 HMI에 프로그래밍 하고 이를 HMI가 존재하는 상기 상위 감시반 컴퓨터에서 RS-232 포트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I-NET 프레임을 I-NET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전달한다.
I-NET 프로토콜 접속장치는 감시반측에서 받은 데이터를 계전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I-NET 신호 레벨에 맞게 변환하여 계전기에 질의를 하게되고, 해당 계전기는 질의된 데이터를 I-NET망 접속장치에 I-NET 신호 레벨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I-NET망 접속장치는 계전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RS-232 신호 레벨로 변환하여 송신하면 감시반 PC는 이를 수신하여 HMI 프로그램에서 감시자가 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게 된다. 다른 계전기의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같은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e->f->g->h).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HMI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 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상위 감시반 구성시 HMI 프로그래밍을 위해 I-NET망의 구성 상태에 대한 모든 정보(기기의 종류, 통신 주소)를 상위 구성자가 모두 알고 있어야 했고, 이를 위해서는 눈으로 직접 기기의 종류 및 통신 주소를 확인해야 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본 고안은 종래에 전력 감시 시스템 구성시 수동으로 상위 감시반측에서 하위 계전기측의 종류 및 통신 주소를 눈으로 확인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했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 장치가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도록 하여 프로그래머는 하위 계전기의 구성을 알지 못해도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질의하여 하위 계전기의 구성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위 감시반측에서 하위 계전기측의 종류 및 구성상태를 알수 있는 것을 개요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 구성시에 하위측 계전기의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성한 후, 계전기들을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연결하면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는 초기 기동시 도 4에 보여지는 프레임을 연결된 모든 계전기에 송신한다.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로부터 도 4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한 각 계전기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 코드인 Device ID , 계전기마다 다르지만 계측기가 측정한 측정값 또는 접점의 상태등의 정보가 담긴 Data를 도 5에 보여지는 프레임 내에 표시하여 이 프레임으로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응답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도 3에서 a 내지 h 로 기재된 처리과정에서 처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는 상위의 감시반의 요청에 응답할 준비를 마치게 된다.
그리하여, 시스템의 상위 감시반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에 연결된 계전기들의 종류와 통신주소, Device ID같은 정보를 묻는 프레임을 I-NET망 접속장치로 송신하게 되면,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는 도 7에 기재된 것와 같이 시스템에 연결된 계전기들의 주소, Device ID등을 담은 프레임을 상위 감시반의 HMI 프로그램 장치에 응답하여 보고함으로써, 상위 감시반의 운영자는 이와같은 HM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의 수동으로 망 구성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소정 네트워크에 연결된 계전기의 종류와 통신 주소를 인식할 수 있는 전력 감시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에 구성되어 있는 하위 계전기들의 종류와 통신주소를 수동으로 확인하였던 것을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전원을 ON 시켰을 때,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연결된 기기의 Device ID(계전기 고유 식별 코드)를 질의할 수 있도록 하여 계전기에서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회신한 ID 정보를 가지고 소정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계전기의 종류를 자동 판별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계전기로부터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보내는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서 계전기에 요청하는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계전기에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응답하는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위 감시반의 HMI에서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 요청하는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소정 통신 네크워크 프로토콜 접속장치에서 상위 감시반의 HMI에 응답하는 프레임 및 데이터부분의 내용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상위 감시반 2....... 소정 통신 네크워크 접속장치
3,4,5,6..... 디지털 계전기

Claims (1)

  1. 상위 감시반과 상기 상위 감시반에 접속되고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과 접속되는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접속장치 및 디지털 계전기들로 구성된 소정 통신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위 감시반은 상기 전력감시 시스템에 접속된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의 주소 및 종류를 상기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접속장치에 요구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고, 상기 소정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접속장치는 전원이 온되었을 때 상기 하위 디지털 계전기들의 주소 및 종류를 나타내는 각 계전기의 고유 기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프레임을 상기 하위 디지털 계전기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상위 감시반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정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인식장치.
KR20-2005-0007615U 2005-03-21 2005-03-21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KR200385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15U KR200385681Y1 (ko) 2005-03-21 2005-03-21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15U KR200385681Y1 (ko) 2005-03-21 2005-03-21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681Y1 true KR200385681Y1 (ko) 2005-06-02

Family

ID=4368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15U KR200385681Y1 (ko) 2005-03-21 2005-03-21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6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80B1 (ko) 2008-07-11 2010-1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np 통신을 이용한 전력감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방법
KR101578557B1 (ko) 2009-03-10 2015-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전기 감시 장치
KR102073354B1 (ko) * 2019-11-04 2020-02-04 윤정희 보호계전기용 원격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80B1 (ko) 2008-07-11 2010-1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np 통신을 이용한 전력감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방법
KR101578557B1 (ko) 2009-03-10 2015-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전기 감시 장치
KR102073354B1 (ko) * 2019-11-04 2020-02-04 윤정희 보호계전기용 원격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873B2 (en) Method for servicing a field device
US8774204B2 (en) Handheld field maintenance bus monitor
US20190171540A1 (en) Apparatus fault detecting system and fault detection device
KR102030012B1 (ko)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1542791B (zh) 使用设施诊断系统的设施诊断方法
KR19980082259A (ko) 클린룸 계측장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US9720406B2 (en) Measuring system
US20230076969A1 (en) Industrial equipment and device monitoring-alarm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416658B2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KR20180009616A (ko) 센서융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통합관리 시스템
KR200385681Y1 (ko)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CN113074783A (zh) 一种灯塔式工业设备监测方法和装置
WO2017210271A1 (en) Liquid handling system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13063454A (zh) 批量检测水浸传感器的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1167970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养护室温湿度测试系统及方法
CN114595987A (zh) 多设备集中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89488A (zh) 一种可编程逻辑控制器侦测系统及方法
US20220166678A1 (en) Network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00067552A (ko) 산업용 모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장치
CN111650909A (zh) 一种污水处理工艺的智能控制系统、方法、可读存储介质及装置
KR100525510B1 (ko) 바이오 룸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421628B1 (en) Signal handling device
CN111143262A (zh) 转接装置及仪器控制系统与仪器控制方法
CN117750010A (zh) 智能监测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09727A (ko)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