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27A -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27A
KR20240009727A KR1020220087002A KR20220087002A KR20240009727A KR 20240009727 A KR20240009727 A KR 20240009727A KR 1020220087002 A KR1020220087002 A KR 1020220087002A KR 20220087002 A KR20220087002 A KR 20220087002A KR 20240009727 A KR20240009727 A KR 2024000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ensor module
smart sensor
senso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크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크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크밸
Priority to KR102022008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27A/ko
Publication of KR2024000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 G06F15/7803System on board, i.e. computer system on one or more PCB, e.g. motherboards, daughterboards or bl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가 자체적으로 제어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스마트센서와 주변기기와 연결하되 주변 환경을 수집, 전송,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스마트센서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디바이스 보드에 스마트 센서가 장착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펌웨어가 실행되도록 하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를 수신하고, 스마트 센서 모듈의 프로그램은 장치에 스마트 센서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 서로 연동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IOT SERVICE SYSTEM USING SMART DEVICE WITH VARIOUS SMART SENSOR}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가 자체적으로 제어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스마트 센서를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서 사람들이 사물의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집하는 방법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를 통한 사물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함에 따라 사물이 가지는 특성을 지능화하고, 사물이 각자 통신을 하여 정보와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사람들이 더 편리하게 사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 기기는 사물 인터넷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기나 사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기기는 일반 가정에서 활용되는 CCTV, 전등, 경보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가 될 수도 있고,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센서, 보안 장치, 변압/변전기, 차단기, 에너지 저장장치, 의료기기, 공장 자동화기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단말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원격으로 데이터 수집, 전송, 제어할 수 있다. 단말과 사물 인터넷 기기는 홈 네트워크,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물 인터넷 기기에 접근하고 데이터를 수집, 전송,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된 제어권을 갖게 된다.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해 다수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 및 제어하는데 가장 필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사물 인터넷 기기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어 장치로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Micro Controller Unit: MCU)을 포함한 전기/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전용 제어 보드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가 있다. 전용 제어 보드는 보드가 삽입될 전기/전자 제품이 필요로 하는 사양에 따라 제작하는 맞춤형 제어 보드이며, PLC는 충분한 수량의 릴레이(Relay), DC 입력, 접점 입력, 아날로그 입력 단자를 실장한 범용 제어 보드이다.
한편,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사물 인터넷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네트워크 통신 기술이 필요하며, 인터넷 기기를 통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산업현장의 환경에 따라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다양한 센서 및 기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산업현장에서는 공정 등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스마트센서가 활용되기도 한다. 스마트센서는 측정 대상물로부터, 압력, 온도, 가속도, 생체 신호 등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켜 주는 기본적인 센서에 논리, 판단, 통신 기능을 결합시켜 의사결정이 가능한 센서를 의미한다. 기존의 센서가 단순 검출 또는 검지하는 수준의 것이라면, 현재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하면 이를 중앙처리장치에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즉, 하나의 칩에 메모리, MCU, 전원, 통신 기능까지 집적된 센서로 발전 중이며, 이는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전달하는 수준으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산업현장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센서를 포함한 각종 센서 및 기기 등의 하드웨어가 변경되면, 데이터의 종류 및 형식이 변경됨에 따라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디바이스), 소프트웨어, 유저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엔지니어 및 기술이 필요한데 사물 인터넷 기기 및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8411호(2021.08.3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이나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되 스마트센서의 연결 유무상태와 연결 대상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전송 및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스마트센서의 정보 및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이를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와 연동되어 사용 가능하며, 센서별로 자체적인 제어 및 통신 기능이 탑재되어 단순히 측정 값에 대한 검출뿐만 아니라 이를 개별적으로 처리 또는 판단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센서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스마트센서와 주변기기와 연결하되 주변 환경을 수집, 전송,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 센서,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스마트센서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디바이스 보드에 스마트 센서가 장착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펌웨어가 실행되도록 하되, 스마트 센서로부터 스마트 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를 수신하고, 스마트 센서 모듈의 프로그램은 장치에 스마트 센서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 서로 연동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디바이스 보드의 펌웨어는 스마트 센서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펌웨어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스마트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센서의 펌웨어는 센서의 종류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보드는 관리 서버에 스마트 센서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가 수신한 스마트센서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스마트센서 및 기타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디바이스 보드는 관리 서버가 수신한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디바이스의 펌웨어를 자동 업데이트 제공하는 OTA(Over the Air)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센서 모듈은, 센서 기기와 대응되어 측정 값을 검출하거나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 값 또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센서 모듈의 센서부는 스마트 센서 모듈에 장착되는 센서 기기 자체이거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처리부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센서 모듈은 디바이스 보드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 외에 처리부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의 자체적 명령으로 제어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되는 관리 서버는, 스마트 센서 모듈의 연결 유무를 바탕으로 스마트 센서 모듈 또는 센서 기기의 종류 또는 슬롯 위치 등의 정보를 전송받는 브로커 서버, 스마트 센서 모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브로커 서버에서 받은 정보를 분류하는 서버 스위치,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상태로 연결되고 웹 서비스 방식으로 수행되되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되는 관리 서버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보드로부터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마트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스마트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되는 관리 서버에 의하면,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를 기초로 디바이스 보드의 펌웨어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OTA(Over the Air)서비스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산업현장이나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되 스마트센서의 연결 유무상태와 연결 대상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전송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스마트센서의 정보 및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이를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와 연동되어 사용 가능하며, 센서별로 자체적인 제어 및 통신 기능이 탑재되어 단순히 측정 값에 대한 검출뿐만 아니라 이를 개별적으로 처리 또는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스마트센서 모듈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 프론트엔드(Front-end) 서비스 수행 방식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OTA 서비스 수행 방식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스마트센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하여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며, 궁극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모니터링 또는 제어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의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포함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센서기기(100), 스마트 디바이스(200), 관리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기기(100)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사물 인터넷 기기나 센서로써, 일반가정에서 활용되는 전등, 경보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기기가 사용 될 수 있다. 아울러, 센서기기(100)는 산업 현장에서 센서를 활용하는 보안 장치, 변압/변전기, 차단기, 에너지 저장장치, 의료기기, 공장 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센서 등이 될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이러한 센서기기(100)에 적용되는 기기 또는 센서에서 검출 및 측정된 데이터나 신호 등을 전송 받거나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보드(210) 및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보드(210)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각 기능 부품이 장착된 메인 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보드(210)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에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즉, 디바이스 보드(210)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들이 메인보드에 연결 또는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기기(100)와 연결되며, 연결된 센서기기(100)에 의한 출력 신호나 센서 측정값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센서기기(100)와의 통신 기능이나, 데이터 처리 또는 판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보드(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기기(100)와 대응되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각각의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부(221)와 처리부(2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SOC(System on Chip)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자체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MCU(Micro Controller Unit)를 구비하여 미리 설정된 입력 프로그램 및 데이터 통신(MoDbus RS-485)을 통해 순차적으로 논리 연산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21)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에 장착되는 센서기기(100)로 이루어진 것이거나, 센서기기(100)와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센서부(221)는 센서기기(100)로 구성될 경우 센서기기(100)와 대응되는 별도의 센서소자가 탑재된 것이거나, 센서기기(100)가 직접적으로 장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21)는 센서 기능에 따라 측정된 값이나 신호를 처리부(22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22)는 MCU 등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통신기(예컨대 MoDbus RS-48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222)는 센서부(221)에 의한 값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여, 이를 연산 처리하거나 신호 증폭 등의 데이터 처리 또는 판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222)는 후술하는 디바이스 보드(210)의 스마트 모듈 인식부(215)와 송수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각 센서별로 제어 프로그램 및 통신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능형 센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별도 구동을 위한 전력부(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센서 모듈(220)들은 각각 고유의 ID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보드(2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 메모리(212), 통신 모듈(213), 전원 모듈(214), 스마트 센서 모듈 인식부(215), 및 디스플레이 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디바이스 보드(210)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장착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펌웨어(Firmware)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스마트 센서 모듈(220)로부터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위치 정보는 후술할 복수개의 스마트 센서 모듈 인식부(215)들 중에 어느 스마트 센서 모듈 인식부(215)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장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이 실행하는 펌웨어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펌웨어는 통신 모듈(213)을 이용하여 자동 프로그래밍을 수행하여 스마트 센서 모듈(220)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통신 모듈(213)을 이용하여 어느 한 슬레이브 커넥터의 형태를 가지는 스마트 센서 모듈 인식부(215)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추가로 장착되면, 추가 장착된 스마트 센서 모듈(220) 및 센서기기(1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관리 서버(300)나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순차적으로 해당 스마트 센서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펌웨어 업데이트는 관리 서버(300)에 업로드를 통하여 수동 업데이트 하는 과정과 OTA부트로더를 통하여 자동 업데이트 하는 방법이 있다. 자동 업데이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메모리(212)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펌웨어가 저장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212)는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12)는 휘발성 저장 매체(volatile storage media)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non-volatile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213)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관리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40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13)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은 MQT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200) 내의 Wifi 또는 CAT.M1(LTE)를 포함한 통신 모듈(213)과 관리 서버(300) 내의 브로커서버와 IoT표준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전원 모듈(214)은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전원 모듈(214)은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사용가능 전압 이상의 전압이 입력될 때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과 서지(Suerge)성 입력 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원 모듈(214)의 입력 단자는 범용적인 아답터와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겸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마이크로USB-B 혹은 USB-C 타입의 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센서 모듈 인식부(215)는 전원 입력단자와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들이 구성된 커넥터일 수 있다. 스마트 센서 모듈(220)들은 디바이스 보드(210)의 각 센서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프로그램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형태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컴퓨팅 장치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와 메모리(212)를 포함하고, 메모리(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유저 인터페이스의 실행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 서버(3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216)로서 태블릿 PC를 사용하거나, 그 밖에 디스플레이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보드(210)의 펌웨어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6)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 보드(210)에 장착되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 또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의 펌웨어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종류 및 장착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펌웨어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자동으로 인식함에 따라 그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제어 프로그램은 디바이스 보드(210)에 다른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장착된 경우에 서로 연동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센서기기(100)에 적용되는 기기는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기기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또, 출력 기기는 입력 기기의 입력에 반응하여 알람, 발광, 진동 등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반응 기기일 수 있다. 입력 기기와 연결된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제어 프로그램과 출력 기기와 연결된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제어 프로그램은 서로 간의 기기 정보를 전달받아서, 이를 기초로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기기가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먼지 센서 또는 소음 센서 등의 측정 센서로 구성되고 출력 기기가 사이렌 알람인 경우, 각종 측정 센서에서 감지되는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한 센서 데이터 설정값보다 이상인 경우 사이렌 알람이 작동되도록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각 프로그램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입력 기기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호간에 연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입력 기기와 단일의 출력 기기의 조합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입력 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출력 기기가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212), 메모리(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400)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의 프론트엔드(Front-end) 서비스 수행 방식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관리 서버(300)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종류 및 슬롯 위치, 센서기기(100)의 연결 유, 무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목록을 구성하고 관련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 내의 브로커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브로커 서버(320)로 받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할 것과 사용자 단말(400)로 보낼 정보를 서버 스위치(340)에서 분류하여 하드웨어 최신 정보와 기기의 고유 식별번호(ID)를 DB저장(341)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 화면은 API서버(342)를 통하여 프론트엔드 웹서버(351)로 화면갱신이 수행될 수 있다. 웹서버(351)는 하드웨어 정보와 동기화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웹브라우저(353)에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은 웹브라우저(353)과 모바일 앱(352)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00, 310)의 등록 절차는 스마트 디바이스(200, 310)의 고유 식별번호(ID)를 디스플레이 모듈(216)에 QR코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400)의 모바일 앱(352) 화면에서 디바이스 등록을 실행시키면 모바일 기기는 QR코드 스캔 모드로 변경되고, 이를 스캔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QR코드 정보가 BLE통신으로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고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인터넷망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프론트엔드 서비스(350)의 웹서버(351)에 접속하며, 프론트엔드 서비스(350)의 방식은 웹 서비스 방식이며 웹서비스는 통신 프로토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고유 번호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장치의 실시간 혹은 누적 데이터 역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열람하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에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센서기기(100)의 타입 정보(주변 기기의 종류와 슬롯 위치)를 기반으로 프론트엔드 서비스(35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에 자동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명령을 요청하면 데이터베이스(330)에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하며, 브로커서버(320)에서 MQTT통신 프로토콜로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제어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제어 정보를 메모리(212)에 저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의 펌웨어 제어 명령과 디스플레이 모듈(216)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의 OTA 서비스 수행 방식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펌웨어의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OTA(Over The Air)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OTA부트로더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펌웨어를 인터넷을 통하여 업데이트 하고자 하는 최신 버전 펌웨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장소에 상관없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라면 동시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은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펌웨어 버전과 OTA서비스부에 등록된 펌웨어의 버전을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펌웨어 버전 보다 OTA서비스부에 등록된 펌웨어의 버전이 최신이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펌웨어의 OTA 부트로더가 실행되며, OTA 서비스부와의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펌웨어 버전이 일치하면 업데이트는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OTA 서비스 펌웨어 업데이트는 자동모드(스마트 디바이스 전체)와 수동모드(스마트 디바이스 선택적)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정보를 자동으로 동기화하여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 서버(300)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다양한 사물들을 별도의 사용자의 제어 과정 없이 연결만으로 즉시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센서기기(100) 또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 추가 장착시, 추가된 센서기기(100) 또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사용자 단말(400)의 응용 프로그램과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구매한 센서기기(100) 및 그 스마트 센서 모듈(220)을 직접 디바이스 보드(210)에 추가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인력 및 비용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직접 센서기기(100) 및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디바이스 보드(210)에 추가 장착되면,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400)의 응용 프로그램에 인터페이스 제어 툴이 추가되어, 응용 프로그램과 해당 센서기기(100) 및 스마트 센서 모듈(220)의 구동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연계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자체적으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복수개의 스마트 센서 모듈(220)이 디바이스 보드(210)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서로 연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거나 각 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 스마트 센서 모듈(220)은 각각의 센서별로 제어프로그램 및 통신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센서에 의한 단순 측정 기술뿐만 아니라 모니터링이나 처리, 관리 및 판단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지능형 센서로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에, 스마트 센서 모듈(220)에서 측정 값에 대한 관리나 판단 등을 자체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센서기기 200, 310 : 스마트 디바이스
210 : 디바이스 보드 211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212 : 메모리 213 : 통신 모듈
214 : 전원 모듈 215 : 스마트 센서 모듈 인식부
216 : 디스플레이 모듈 220 : 스마트 센서 모듈
300 : 관리서버 320 : 브로커 서버
330 : 데이터베이스 340 : 서버 스위치
350 : 프론트엔드 서비스부 400 :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센서 기기와 연결되되, 상기 센서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 센서 모듈;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바이스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디바이스 보드에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이 장착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펌웨어가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로부터 스마트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디바이스 보드에 다른 스마트 센서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 서로 연동되도록 하되, 상기 펌웨어의 명령에 따라 상호 연동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디바이스 보드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들의 제어 프로그램의 자체적 명령으로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센서 기기는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기기와 연결된 스마트 센서 모듈의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출력 기기와 연결된 스마트 센서 모듈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 기기와 상기 출력 기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상기 입력 기기와 단일의 상기 출력 기기가 조합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상기 입력 기기 상호간에는 연동되지 않도록 하고, 복수개의 상기 입력 기기에 대하여 단일의 상기 출력 기기가 연동되도록 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보드의 펌웨어는 상기 스마트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되도록 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펌웨어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보드는 관리 서버에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한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보드는 관리 서버가 수신한 스마트 센서 모듈의 종류 정보 및 장착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바이스 보드의 펌웨어의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OTA(Over The Air)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은,
    상기 센서 기기와 대응되어 측정 값을 검출하거나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 값 또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 기기 자체이거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로 구성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보드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 외에 상기 처리부에 의한 제어 프로그램의 자체적 명령으로 제어되는,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의 연결 유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 또는 상기 센서 기기의 종류 또는 슬롯 위치 등의 정보를 전송받는 브로커 서버;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에 대한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브로커 서버에서 받은 상기 정보를 분류하는 서버 스위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상태로 연결되고 웹 서비스 방식으로 수행되되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론트엔드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KR1020220087002A 2022-07-14 2022-07-14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20240009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02A KR20240009727A (ko) 2022-07-14 2022-07-14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02A KR20240009727A (ko) 2022-07-14 2022-07-14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27A true KR20240009727A (ko) 2024-01-23

Family

ID=8971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02A KR20240009727A (ko) 2022-07-14 2022-07-14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7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411B1 (ko) 2021-06-10 2021-09-03 정현수 스마트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411B1 (ko) 2021-06-10 2021-09-03 정현수 스마트 센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8169B1 (en) Rfid architecture in an industrial controller environment
US10324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process control hardware
KR101716855B1 (ko)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
KR20190079917A (ko)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US10979962B2 (en) Wireless system configuration of master zone devices based on signal strength analysis
EP3070883A1 (en)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ting home appliance
CN109274775A (zh) 一种具有物联网功能的模块化状态智能感测终端
KR102071635B1 (ko) 모듈화 스마트 센서-플러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화 스마트 센서-플러그 시스템
CN110045629A (zh) 一种智能安防家居控制系统
KR101950335B1 (ko)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6466A (ko) 센싱 방법 및 장치
US20210109743A1 (en) Security system with smart connection module
US20230403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KR20240009727A (ko) 다양한 스마트 센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N102608972A (zh) 酒柜的远程监控方法
KR20180054157A (ko) 신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단말 관리 방법 및 장치
Zarzycki Adaptive Designs with Distributed Intelligent Systems
JP20200179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9417537B (zh) 通信适配器、电气设备、电气设备系统、控制通信适配器的方法
KR20230052575A (ko)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200385681Y1 (ko) 전력감시 시스템의 하위 디지털계전기 자동 인식장치
KR101452692B1 (ko) Iot기반 조립형 종단 단말장치
US11102616B2 (en) Method of tracking objects using thermostat
KR102096028B1 (ko) 지능형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장치
KR19980082109A (ko) 무인 기지국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