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67Y1 - 물탱크용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67Y1
KR200385567Y1 KR20-2005-0006844U KR20050006844U KR200385567Y1 KR 200385567 Y1 KR200385567 Y1 KR 200385567Y1 KR 20050006844 U KR20050006844 U KR 20050006844U KR 200385567 Y1 KR200385567 Y1 KR 200385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rsible pump
water tank
water
vacuum clean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엽
Original Assignee
박성호
김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김진엽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20-2005-0006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6Cleaning of water-treatmen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나 저수조 등과 같이 물과 오물이 포함된 곳을 청소할 때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의 내부에 이 물질이 일정량이상 고이면 자동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체결된 뚜껑부에 콘트롤박스와 흡입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고, 본체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일측의 오물함을 타측에는 수중펌프실을 형성하여 밸브로 연결하고, 상기 오물함의 내측에는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며, 수중펌프실의 상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호스를 인출하도록 하며, 상기 수중펌프는 콘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청소기.

Description

물탱크용 청소기{Cleanner for Water tank}
본 고안은 물탱크나 저수조 등과 같이 물과 오물이 포함된 곳을 청소할 때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의 내부에 이 물질이 일정량이상 고이면 자동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물탱크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서는 물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를 청소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물탱크에 수중펌프를 투입하고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하면 수중펌프가 작동하면서 물탱크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물탱크내의 바닥에 남아있던 물과, 물탱크의 내부를 청소할 때 발생하는 각종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아내게 된다.
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되어온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각종 이물질을 진공청소기가 흡입하여 일정량이 차게 되면 배출되도록 한 청소기의 오물배출장치가 실용신안 공보 제92-8638호로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자체에서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이물질을 일일이 꺼내야하는 단점은 해결하였으나 사람이 일일이 유로의 호스를 조정하여 흐름을 변환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흡입구로 다시 배출되기 때문에 흡입구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안내구를 분리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진공청소기에 흡입용 모터와 배출용 펌프를 함께 설치하여 이물질이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펌프가 작동하여 청소기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한 장치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등록 제 151726호로 등록되었다.
위의 고안은 청소기 내부에 청소기 본체 내에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일정량 이상의 오물이 차면 자동으로 배출되어 작업에 간편한 점은 있으나 위 고안은 물탱크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중펌프와, 청소기 본체 내에 고정되어 있는 수중펌프를 사용함으로써 두개의 수중펌프를 교대로 작동하여 사용하므로 본체의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져 보관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청소기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는 가격이 비싸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수중펌프를 사용하므로써 물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를 단순화하여 청소기의 부피를 축소함으로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내의 물을 빼내기 위한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청소기로 유입되는 오물을 배출하므로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체결된 뚜껑부에 콘트롤박스와 흡입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고, 본체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일측의 오물함을 타측에는 수중펌프실을 형성하여 밸브로 연결하고, 상기 오물함의 내측에는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며, 수중펌프실의 상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호스를 인출하도록 하며, 상기 수중펌프는 콘트롤박스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진공청소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체결된 뚜껑부(20)에는 콘트롤박스(11)와 흡입 구동용 모터(13)가 설치되며, 본체는 격벽(15)에 의해 분리되어 일측의 오물함(17)을 타측에는 수중펌프실(18)을 형성하여 밸브(19)로 연결하고, 상기 오물함(17)의 내측에는 수위감지센서(14)를 설치하며, 수중펌프실(18)의 상부 일측에 개구부(16)를 형성하여 수중펌프(30)의 호스(32)를 인출하도록 하며, 상기 수중펌프(30)는 콘트롤박스(11)에 의해 제어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물탱크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우선 물탱크내에 수중펌프(30)을 투입하여 물탱크내의 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종전의 작업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물탱크내의 물이 제거된 후에는 물탱크내의 벽면을 물을 뿌려가면서 청소하게 되는 것이며, 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과 상기 물에 섞이는 오물들이 물탱크의 바닥에 고이면 이를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수중펌프실(18)에 수중펌프(30)를 넣은 상태에서 배출용 호스관(32)를 개구부(16)를 통해 외부로 연결하고 수중펌프의 작동을 콘트롤하기 위한 배선을 콘트롤박스(11)에 연결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작동하면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체결된 뚜껑부(20)에 설치된 흡입 구동용 모터(13)가 작동하여 공기를 흡입하면 오물함(17)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므로 기압이 낮아져 전방의 유입호스(23)를 통하여 바닥에 고인 물을 빨아 올려 청소기 본체(10)의 오물함(17)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토출구(25)측에 자루형상의 필터(27)를 설치하여 부피가 큰 오물은 일차 필터링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체의 오물함(17)의 내부에 오물이 축적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거 오물의 수위가 체크밸브(19)를 넘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오물함(17)에 있던 오물이 수중펌프실(18)로 이동되어져 양측의 오물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물의 수위가 상부의 수위감지센서(14a)에 도달하면 수위감지센서(14a)는 이를 감지하여 오물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를 콘트롤박스(11)측으로 출력하면 콘트롤박스(11)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과 동시에 수중펌프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수중펌프(30)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수중펌프가 작동되면 수중펌프실내의 오물은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수중펌프(30)를 사용하여 청소기 내부의 오물을 배출하는 양이 진공청소기로 유입되는 오물의 양보다 많으므로 청소기 내부의 오물은 제거되고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로 낮아지게 되면 수위감지센서(15b)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박스(11)로 신호를 출력하면 콘트롤박스(11)에서 이를 입력하여 인식하고 수중펌프(30)로 신호를 출력하여 수중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설명에서는 청소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편리하도록 멜빵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등에 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사용에 편리를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바닥에 캐스터를 부착하면 저수조의 내부에서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서는 주지의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물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에서 하나의 수중펌프를 사용함으로써 기기를 단순화하여 청소기의 부피를 축소함으로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물탱크내의 물을 빼내기 위한 수중펌프의 유입구를 청소기에 결합시키는 부분을 간편히하여 쉽게 조립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청소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청소기의 단면도

Claims (3)

  1. 진공청소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체결된 뚜껑부(20)에는 콘트롤박스(11)와 흡입 구동용 모터(13)가 설치되며, 본체는 격벽(15)에 의해 분리되어 일측의 오물함(17)을 타측에는 수중펌프실(18)을 형성되며, 상기 오물함(17)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감지센서(14)를 설치하며, 일측에는 고인 물을 빨아 올리기 위한 유입호스(23)가 설치되고, 수중펌프실(18)의 상부 일측에 개구부(16)를 형성하여 수중펌프(30)의 호스(32)를 인출하도록 하며, 상기 수중펌프(30)는 콘트롤박스(11)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물함과 수중펌프실은 체크밸브작용에 의해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청소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청소기.
KR20-2005-0006844U 2005-03-15 2005-03-15 물탱크용 청소기 KR200385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44U KR200385567Y1 (ko) 2005-03-15 2005-03-15 물탱크용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44U KR200385567Y1 (ko) 2005-03-15 2005-03-15 물탱크용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67Y1 true KR200385567Y1 (ko) 2005-05-31

Family

ID=4368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44U KR200385567Y1 (ko) 2005-03-15 2005-03-15 물탱크용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942A (zh) * 2018-08-22 2018-12-25 中船广西船舶及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锅炉水腔清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942A (zh) * 2018-08-22 2018-12-25 中船广西船舶及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锅炉水腔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0104A (en) Wet-dry vacuum apparatus with pump means for discharging liquid therefrom
CN216256939U (zh) 一种清洁设备基站
US8904571B2 (en) Fresh flush recycling toilet
JPH0731569A (ja) 床面清掃機
US7107646B2 (en) Industrial oil/dust collector
US5985009A (en) Automatic carpet cleaning waste water disposal apparatus
KR200420598Y1 (ko) 압축공기 작동식 복합 진공청소기
KR200385567Y1 (ko) 물탱크용 청소기
GB2604393A (en) A wet-dry vacuum device assembly and pump accessory therefor
KR100759875B1 (ko) 습, 건식오물용 진공흡입차
JPH09479A (ja) 床面清掃機
KR102000097B1 (ko) 소형 다목적 준설 및 진공청소차
CN217137942U (zh) 一种洗地机的污水循环装置
US11877714B2 (en) Water management system
KR102205171B1 (ko) 다용도 습식용 진공청소기
US6453507B1 (en) Self contained, self-cleaning, wet/dry vacuum machine
WO2010048860A1 (zh) 一种轻便的洗地或地毯机
KR200151726Y1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KR101182482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가 구비된 진공흡입장치
KR100417800B1 (ko) 진공흡입펌프를 이용한 산업용 수봉식 진공청소기
CN219763230U (zh) 一种拖地机的自动换水充电设备
CN214302036U (zh) 一种马桶快速清洗消毒设备
CN219331527U (zh) 水箱组件及清洁电器
CN215609861U (zh) 一种房屋建筑施工除积水环保装置
CN211561243U (zh) 一种手术室5l负压吸引器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