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121Y1 -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121Y1
KR200385121Y1 KR20-2005-0004964U KR20050004964U KR200385121Y1 KR 200385121 Y1 KR200385121 Y1 KR 200385121Y1 KR 20050004964 U KR20050004964 U KR 20050004964U KR 200385121 Y1 KR200385121 Y1 KR 200385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ctuator
coupling
coupling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영
Original Assignee
대한콘트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콘트롤테크(주) filed Critical 대한콘트롤테크(주)
Priority to KR20-2005-0004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1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장 자동화에서 각종 계측제어 시스템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결합된 볼밸브 또는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개폐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상단에 설치 고정되는 한편, 그 상측에는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구성함으로서,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또는 마운트결합구의 각 규격에 따라 간편하고 편리하게 가변함과 아울러, 그 상측에 리밋스위치를 안전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를 제공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Variable bracket for actuator}
본 고안은 엑츄에이터의 상측에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엑츄에이터의 상단에 형성된 마운트결합구의 간격 및 샤프트의 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가변하여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는 공장자동화에서 각종 계측제어 시스템에 설치된 상태에서 90도로 회전하여 그 하부에 결합된 볼밸브 또는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엑츄에이터는 통상 그 상부에 포지셔너나 리밋스위치가(이하 리밋스위치로 통칭함) 박스형태로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이 상기 리밋스위치를 엑츄에이터의 상측에 설치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켓트가 구비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한 밸브의 ON-OFF는 상기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 브라켓트는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및 마운트결합구의 규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서 제공되어야 하는 바, 상기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및 마운트결합구의 규격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가로 × 세로 × 높이(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높이)
80 × 30 × 20 80 × 30 × 30 130 × 30 × 20 130 × 30 × 30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10)의 하부에는 그 중앙의 샤프트와 동일 축선 상에 밸브(20)가 결합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리밋스위치(30)가 결합되도록 샤프트(12)가 일정높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2)의 높이는 20mm 또는 30mm로서 그 높이가 규격으로 정해진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트(40)가 볼트 결합되도록 마운트결합구(14)가 형성되는 바, 상기 마운트결합구(14)는 세로 폭이 30mm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반면, 가로 폭은 80mm 또는 130mm로서 그 간격이 규격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엑츄에이터(10)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트(40)는 일정넓이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에 상기 리밋스위치(30)가 샤프트(12)와 결합되도록 샤프트결합공(42)이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결합공(42)의 주변에는 상기 리밋스위치(30)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리밋스위치결합공(44)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상기 샤프트(12)의 높이만큼 하향 절곡되는 한편, 상기 하향 절곡된 하단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절곡된 면상에 상기 마운트결합구(14)와 볼트 결합되도록 마운트결합공(46)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트(40)는 샤프트(12)의 높이에 따라 20mm 또는 30mm로 각각 구분되는 한편, 그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단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그 면상에 관통된 마운트결합공(46)의 간격이 80mm 또 130mm로 각각 구분된다.
따라서 종래 브라켓트(40)는 상기와 같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12)의 높이와 마운트결합구(14)의 규격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를 설치 및 유지보수시 해당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또는 마운트결합구(14)의 규격과 동일한 것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상기 엑츄에이터(10)의 교체시에 있어서도 기존의 브라켓트(40)와 일치되어야 하는 등 매우 불편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또는 마운트결합구의 각 규격에 따라 간편하게 가변함과 아울러, 그 상측에 리밋스위치를 안전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하나의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상기 각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또는 마운트결합구의 규격에 따라 가변적으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유지보수 및 설치가 간편하여 관리 차원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장 자동화에서 각종 계측제어 시스템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결합된 볼밸브 또는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개폐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상단에 설치 고정되는 한편, 그 상측에는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샤프트결합공과 리밋스위치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하향 절곡된 상부브라켓트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마운트결합구에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마운트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하부브라켓트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양측 하향 절곡부에는 상·하부결합공이 각각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브라켓트의 상향 절곡부에는 볼트결합공이 관통되어 결합볼트를 통해 상기 하부브라켓트의 볼트결합공이 상부브라켓트의 상부 또는 하부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하향 절곡부 내측에 밀착되는 하부브라켓트의 상향 절곡부 상의 볼트결합공 내주면에는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볼트와 나사식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가 도시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의 일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의 다른 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10)의 상측에 리밋스위치(3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트(100)를 구비하되, 상기 브라켓트(100)는 크게 상부브라켓트(120)와 하부브라켓트(140)로 이루어져 이를 결합볼트(160)로 간편하게 결합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또는 마운트결합구(14)의 규격에 따라 상부브라켓트(120)의 높이 및 양측 하부브라켓트(140)의 마운트결합공(144)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상부브라켓트(120)는 그 중앙에 상기 리밋스위치(30)가 샤프트(12)와 결합되도록 샤프트결합공(122)이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결합공(122)의 주변에는 상기 리밋스위치(30)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리밋스위치결합공(124)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일정높이만큼 하향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향 절곡된 양측 면상에는 상·하부결합공(126, 128)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바, 상기 상·하부결합공(126, 128)의 상·하 중심 사이의 간격은 10mm가 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높이가 20mm일 때와 30mm일 때에 따라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10mm 높이의 차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트(140)는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하향 절곡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엑츄에이터(10)의 상단에 볼트 결합되도록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하부브라켓트(140)는 상기 상부브라켓트(120)의 하향 절곡부에 밀착되는 상향 절곡부 상에 상기 상·하부결합공(126, 128)과 대응되는 볼트결합공(142)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향 절곡부의 하단에는 상기 엑츄에이터(10)의 마운트결합구(14)와 볼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마운트결합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운트결합공(144)은 일정길이의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운트결합구(14)와 볼트 결합 시 일정간격의 편차가 보상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트(120)의 하향 절곡부 내측에 밀착되는 하부브라켓트(140)의 상향 절곡부 상의 볼트결합공(142) 내주면에는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결합볼트(160)와 나사식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볼트(160)는 상부브라켓트의 하향 절곡부와 볼트머리 사이에 와셔(162)가 결합되는 바, 상기 와셔(162)는 결합볼트(16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변형 브라켓트(100)의 구성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와 마운트결하구(14)의 규격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브라켓트(100)를 설치시에는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의 높이에 따라 하부브라켓트(140)의 볼트결합공(142)과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120)의 상·하부결합공(126, 128)을 선택하여 결합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높이가 20mm인 경우에는 하부브라켓트(140)의 볼트결합공(142)과 상부브라켓트(120)의 상부결합공(126)이 결합볼트(160)에 의해 설치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10)의 샤프트(12) 높이가 30mm인 경우에는 하부브라켓트(140)의 볼트결합공(142)과 상부브라켓트(120)의 하부결합공(128)이 결합볼트(160)에 의해 설치 고정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상부브라켓트(120)의 높이가 20mm의 샤프트(12) 높이와 일치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부브라켓트(120)의 높이가 30mm의 샤프트(12) 높이와 일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부브라켓트(120)와 하부브라켓트(140)를 결합볼트(160)로서 고정 설치시 상기 엑츄에이터(10)의 마운트결합구(14) 규격에 따라 상기 하부브라켓트(140)에 형성된 마운트결합공(144)의 위치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향하도록 선택하여 결합한다.
즉, 상기 마운트결합구(14)의 가로 폭이 130mm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브라켓트(140)의 상향 절곡부가 상부브라켓트(120)의 하향 절곡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트결합공(144)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한편, 상기 마운트결합구(14)의 가로 폭이 80mm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브라켓트(140)의 상향 절곡부가 상부브라켓트(120)의 하향 절곡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트결합공(144)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설치 고정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양측 하부브라켓트(140)의 마운트결합공(144) 사이의 간격이 130mm가 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양측 하부브라켓트(140)의 마운트결합공(144) 사이의 간격이 80mm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엑츄에이터(10) 상측에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30)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100)를 상·하부브라켓트(120, 140)로 구획하여 형성한 후, 상기 상·하부브라켓트(120, 140)가 결합볼트(160)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서, 엑츄에이터(10)의 여러 규격에 대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에 의하면 상기 상부브라켓트와 하부브라켓트가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엑츄에이터의 샤프트 및 마운트결합구의 규격에 따라 간편하게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판매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엑츄에이터의 재고에 대한 부담 및 가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될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브라켓트의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여 현장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엑츄에이터 및 그 브라켓트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엑츄에이터 및 그 브라켓트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가 도시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의 일 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의 다른 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엑츄에이터 12: 샤프트
14: 마운트결합구 20: 밸브
30: 리밋스위치 100: 브라켓트
120: 상부브라켓트 122: 샤프트결합공
124: 리밋스위치결합공 126: 상부결합공
128: 하부결합공 140: 하부브라켓트
142: 볼트결합공 144: 마운트결합공
160: 결합볼트 162: 와셔

Claims (2)

  1. 공장 자동화에서 각종 계측제어 시스템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결합된 볼밸브 또는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개폐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상단에 설치 고정되는 한편, 그 상측에는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포지셔너 또는 리밋스위치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샤프트결합공과 리밋스위치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하향 절곡된 상부브라켓트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마운트결합구에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마운트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하부브라켓트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양측 하향 절곡부에는 상·하부결합공이 각각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브라켓트의 상향 절곡부에는 볼트결합공이 관통되어 결합볼트를 통해 상기 하부브라켓트의 볼트결합공이 상부브라켓트의 상부 또는 하부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하향 절곡부 내측에 밀착되는 하부브라켓트의 상향 절곡부 상의 볼트결합공 내주면에는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볼트와 나사식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KR20-2005-0004964U 2005-02-24 2005-02-24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KR200385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64U KR200385121Y1 (ko) 2005-02-24 2005-02-24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64U KR200385121Y1 (ko) 2005-02-24 2005-02-24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121Y1 true KR200385121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64U KR200385121Y1 (ko) 2005-02-24 2005-02-24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1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60B1 (ko) * 2019-07-01 2020-11-30 주식회사 대정밸브 버터플라이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60B1 (ko) * 2019-07-01 2020-11-30 주식회사 대정밸브 버터플라이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2274B (zh) 具有分配设备的内置式冷藏箱
KR200385121Y1 (ko) 가변형 엑츄에이터용 브라켓트
KR100750254B1 (ko) 높이조절 가능형 냉장고 도어용 힌지
WO2021073657A1 (zh) 铰链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101421959B1 (ko)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구조
CN109339366A (zh) 一种可调节装饰板安装结构
KR20170095631A (ko) 핸들 회전이 방지되는 볼밸브
KR20140000451U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CA2508305C (en) A built-under sink
KR101055953B1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CN111043822A (zh) 一种调节嵌入式冰箱开门结构
CN109900050B (zh) 调整脚安装结构及冰箱
KR101315046B1 (ko) 온수 분배시스템의 환수관 어셈블리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CN221005657U (zh) 连接装置及制冷设备
CN220355851U (zh) 制冷设备
CN109124533B (zh) 一种嵌入式洗碗机安装结构
KR200403578Y1 (ko) 보일러용 배관커버
CN220828997U (zh) 制冷设备
KR200366061Y1 (ko) 템퍼스위치 고정구
KR200389443Y1 (ko) 온수량이 조절되는 밸브일체형 온수분배기
CN209196374U (zh) 管接头安装组件
CN208502501U (zh) 一种天地铰链的自动回位调节结构
KR200301542Y1 (ko) 높이 조절용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323

Effective date: 20070824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