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110Y1 -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110Y1
KR200385110Y1 KR20-2005-0003762U KR20050003762U KR200385110Y1 KR 200385110 Y1 KR200385110 Y1 KR 200385110Y1 KR 20050003762 U KR20050003762 U KR 20050003762U KR 200385110 Y1 KR200385110 Y1 KR 200385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track
base body
suppor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허 우
Original Assignee
동허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허 우 filed Critical 동허 우
Priority to KR20-2005-0003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61H2007/009Kneading having massage elements rotating on parallel output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베이스체, 2개의 구동부재, 2개의 피동부재, 2개의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 2개의 안마부재, 하나의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를 포함하며, 양방향 스크루와 체인에 의하여 구동모터를 구비한 의자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체는 체인에 의하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움직임으로써 피동부재에 설치된 안마부재를 연동시켜 요동되게 하며, 상기 안마부재는 위치한정 지지대와 궤도의 설치와 지지에 의하여 위치가 한정되고 지지되어 일정한 각도로 상승하면서 소정의 범위에서 요동하면서 주무름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하여 안마부재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양방향 스크루를 연동시키는 동력원을 동시에 공유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동 방식의 설계는 안마의자로 하여금 동등한 안마기능을 구비한 상태에서 보다 가볍고 얇은 구조가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IMPROVED MASSAGE DEVICE STRUCTURE}
본 고안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신체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개량된 구조의 안마의자형 안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 우로 편위하여 부채형으로 조이면서 주무름 동작을 진행할 수 있는 안마장치에 이용되며 하나의 동력원으로써 안마장치로 하여금 왕복 이동하거나 또는 고정된 위치에서 안마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마의자는 직접 그 위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의 등에 대하여 상, 하로 눌러주거나 좌, 우로 밀어주는 안마기계로서 사용자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신체 피로를 풀어준다.
연구에 의하면, 현재 좌, 우로 편위하여 부채형으로 조일 수 있는 안마장치가 장착된 안마의자는, 안마장치 상의 연동레버를 작동시켜 조이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과 안마장치가 의자 프레임에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동력은 서로 독립된 것이다. 의자 프레임에는 스크루 또는 체인이 설치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안마장치가 스크루 상에서 이동하게 되며, 안마장치의 일 측에도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연동에 의하여 연동레버를 작동시킨다. 안마장치로 하여금 소정의 위치에서 안마하도록 할 때, 스크루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안마장치를 소정의 높이까지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키고 안마장치 상의 모터를 작동시켜 안마를 진행시킨다. 한편 이동식 안마를 행할 때, 모터에 의하여 스크루 또는 체인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마장치로 하여금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안마장치는 자체 동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면 어떻게 하면 상기 종래의 안마장치의 전동 구조 및 동력원을 개량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경량화, 소형화된 구조로 만들 수 있는가 하는 것은 해당 업계의 목표이다.
본 고안의 설계자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연구한 결과 하나의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안마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보다 바람직한 실용성을 구비한 새로운 구조체를 고안하여 냈다.
좌, 우 방향으로 편위하여 조임식 안마를 할 수 있는 종래의 안마장치는 2개 이상의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야만 안마장치가 부채형으로 좌, 우 방향으로 요동되면서 조임식 안마를 진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의자 프레임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안마장치의 연동구조는 안마장치의 체적이 커지는 주된 원인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 문제이다.
본 고안은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인 베이스체, 2개의 구동부재, 2개의 피동부재, 2개의 아이들러 기어, 2개의 안마부재, 하나의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를 포함하고, 하나의 양방향 스크루와 체인에 의하여 하나의 구동모터가 장착된 의자 프레임에 설치된다. 그 중, 상기 메인 베이스체는 체인에 의하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움직임으로써 피동부재 상에 설치된 안마부재를 연동시켜 요동되게 하며, 상기 안마부재는 위치한정 지지대의 설치와 궤도의 지지 및 위치 한정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상승하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요동되고 주무름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써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를 구성한다.
본 고안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가 부채형으로 조일 수 있는 안마부재에 이용될 때 안마부재 자체는 별도의 독립된 동력원이 필요 없이 양방향 스크루를 연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동시에 공유함으로써 원가를 크게 절감시키며, 상기 연동구조의 설계는 안마의자로 하여금 기존의 기능 효과를 상실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가볍고 얇은 구조가 되도록 한다. 또한 2개의 안마부재 사이에 위치한정 지지대가 설치되고 하나의 궤도에 의하여 위치가 한정되며 상승함으로써 안마부재로 하여금 예정된 안마동작을 진행하도록 하며 누름에 의한 힘이 보다 더 충분하고 매끄러워 지도록 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기능 효과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도 2,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은 하나의 메인 베이스체(10), 2개의 구동부재(11), 2개의 피동부재(12), 2개의 아이들러 기어(13), 2개의 안마부재(20), 하나의 위치한정 지지대(30) 및 하나의 궤도(40)를 포함하고, 하나의 양방향 스크루(50)와 체인(60)에 의하여 하나의 구동모터(71)가 장착된 의자 프레임(70)에 설치된다.
그 중 메인 베이스체(10)의 하부는 양방향 스크루(50)에 관통 설치되어 결합되며, 양방향 스크루(50)가 회전할 때 메인 베이스체(10)는 양방향 스크루(50) 상에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양방향 스크루(50)는 의자 프레임(70)의 구동모터(71)에 의하여 작동된다. 메인 베이스체(10)의 저부에는 롤러(101)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101)에 의하여 메인 베이스체(10)가 이동 시 생성되는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메인 베이스체(10)의 양측 수평 부분은 각각 베어링에 의하여 구동부재(11)가 설치되는 바 상기 구동부재(11)의 하부는 구동기어(102)이고 상기 중 한쪽 구동부재(11)의 상부에 베벨기어(103)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체(10)의 양측 수직 부분은 각각 베어링에 의하여 피동부재(12)가 설치되는 바 그 중 한쪽 피동부재(12)의 내측에 베벨기어(121)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11)의 베벨기어(103)와 연동되고 외측에는 오프셋 레버(122)가 연장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피동부재(12)는 연장되어 직접 오프셋 레버(122)를 형성한다. 상기 2개의 피동부재(12)는 상호 연동되며 동시에 동작한다. 또 상기 구동부재(11)의 일 측에 아이들러 기어(13)가 설치되며 체인(60)은 메인 베이스체(10)를 둘러싸면서 아이들러 기어(13)에 의하여 눌린 다음 구동기어(102)에 접함으로써 구동기어(102)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며 체인(60)은 의자 프레임(70)의 구동모터(71)에 의하여 작동된다.
2개의 안마부재(20) 상부에는 안마 롤러(21)가 설치되고 중간 하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된 위치고정 구멍(22)이 설치되며, 일 측에는 유니버설 베어링 (universal bearing)이 장착된 가동 구멍(23)이 설치된다. 안마부재(20)는 상기 위치고정 구멍(22)에 의하여 피동부재(12)의 오프셋 레버(122)에 결합되며 상기 유니버설 베어링이 장착된 가동 구멍(23)은 위치한정 지지재(30)를 설치하는데 이용된다.
위치한정 지지대(30)의 양측에는 가동 레버(31)가 연장 설치되고 중간 부분에는 관통공(32)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30)는 양단의 가동 레버(31)에 의하여 두 개의 안마부재(20)의 가동 구멍(23)을 관통하며, 상기 관통공(32)에 의하여 궤도(40)를 관통시킨다.
궤도(40)는 그 양단이 연장되어 의자 프레임(70)에 연결 설치되며 안마부재(20)로 하여금 일정한 각도로 상승하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동시에 안마부재(20)는 여전히 위치고정 구멍(22)을 중앙 축 중심으로 하고, 가동 구멍(23)을 가로방향 축 중심으로 하여 적당하게 편위되어 요동되면서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71)는 양방향 스크루(50) 및 체인(60)을 제어하여 독립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합의 연동관계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평면도와 도 4 및 도 5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구동모터(71)는 체인(60)으로 하여금 독립적 또는 양방향 스크루(5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인(60)은 구동기어(102)를 작동시켜 회전시키고 다시 구동기어(102) 상의 베벨기어(103)로 피동부재(12)의 베벨기어(103)를 연동시킴으로써 양측의 오프셋 레버(122)로 하여금 회전하면서 편위되어 흔들리게 하며 그 위에 설치된 안마부재(20)로 하여금 오프셋 레버(122)를 축 중심으로 하여 부채형으로 요동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안마부재(20)의 일 측은 위치한정 지지대(30)에 의하여 상승되는 바 상기 상승되는 부분은 궤도(40)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으로 요동될 때 가동 구멍(23)과 가동 레버(31)에 의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안마부재(20)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안마할 때 편위된 타원형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주무르고(도 4를 참조), 이동식 안마를 행할 때 사용자의 등 양측에서 뱀의 이동모양으로 왕복하면서 주무른다(도 5 참조).
또한, 도 6, 도 7을 살펴보면, 본 고안은 위치한정 지지대(30) 및 궤도(40)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이동 지지대(3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체이동 지지대(300)의 양측에는 안마부재(20)의 가동 구멍(23)을 관통하는 가동 레버(310)가 연장 설치되며, 상기 가동 레버(31)의 양단에는 또 버팀대(320)가 하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320)의 단부와 의자 프레임(70)에는 모두 휠(330)이 설치되며, 상기 의자 프레임(70) 상의 휠(330)의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궤도 홈(72)이 설치된다. 메인 베이스체(1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부재(20)를 움직일 때 상기 안마부재(20)는 자체이동 지지대(300)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위치가 제한될 수 있어 제1 실시예의 위치한정 지지대(30) 및 궤도(40)와 같은 효과를 가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위치한정 지지대(30)와 궤도(40)를 사용하지 않고 가로방향 지지레버(30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3000)의 양측은 연장되어 안마부재(20)의 가동 구멍(23)을 관통하며 그 양단에 휠(3100)이 설치된다. 상기 의자 프레임(70) 상의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3000)의 휠(3100)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궤도 홈(720)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체(1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부재(20)를 움직일 때 안마부재(20)는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3000)에 의하여 의자 프레임(70) 상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면서 위치가 한정된다. 이로써 제1 실시예의 위치한정 지지대(30) 및 궤도(40)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보여준 구조에 의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1) 본 고안이 부채형으로 조일 수 있는 안마부재(20)에 이용될 때 안마부재(20) 자체는 별도의 독립된 동력원이 필요 없이 양방향 스크루(50)를 연동시키는 구동모터(71)를 동시에 공유함으로써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구조의 설계 방식은 안마의자를 기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보다 가볍고 얇은 구조가 되도록 한다.
(2) 2개의 안마부재(20) 사이에 위치한정 지지대(30)를 설치함과 동시에 궤도(40)로써 위치를 확정하고 상승되게 함으로써 안마부재(20)로 하여금 소정의 안마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가압에 의하여 생성된 힘이 보다 충분하고 매끄러워지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돌파성을 가진 구조체이며 개량된 고안 내용은 산업상 이용가능성과 진보성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은 어떠한 출판물에도 발표된 적이 없으므로 신규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실용신안 출원 요건을 구비한다.
상술한 내용은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할 뿐 이로써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공개된 내용에 의하여 행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의자 프레임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4는 고정된 위치에서의 본 고안의 주무름 안마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주무름 안마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의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중 부호에 대한 설명>
10 메인 베이스체 101 롤러 102 구동기어 103 베벨기어
11 구동부재 12 피동부재 121 베벨기어 122 오프셋 레버
13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
20 안마부재 21 안마롤러 22 위치고정 구멍 23 가동 구멍
30 위치한정 지지대 31 가동 레버 32 관통공
300 자체이동 지지대 310 가동 레버
320 버팀대 330 휠 3000 가로방향 지지대 3100 휠
40 궤도 50 양방향 스크루 60 체인
70 의자 프레임 71 구동모터 72 궤도 홈 720 궤도 홈

Claims (4)

  1. 좌, 우 방향으로 편위하여 부채형으로 조이면서 주무름 동작을 하는 안마의자에 이용되고, 메인 베이스체, 2개의 구동부재, 2개의 피동부재, 2개의 아이들러 기어, 2개의 안마부재,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를 포함하고, 양방향 스크루와 체인에 의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를 구비한 의자 프레임에 장착되는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체의 하부는 상기 양방향 스크루에 관통 설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양방향 스크루는 의자 프레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체의 양측 수평면 부분에는 각각 베어링에 의하여 하나의 구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하측은 구동기어이고 상기 2개의 구동부재 중 한쪽 구동부재의 상부에 베벨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체의 양측 수직 부분에 각각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피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2개의 피동부재 중 한쪽 피동부재의 내측에는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베벨기어와 연동하고 외측에는 하나의 오프셋 레버가 연장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피동부재는 연장되어 직접 오프셋 레버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피동부재는 서로 연동되어 동기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의 일 측에 아이들러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은 메인 베이스체를 둘러싸면서 아이들러 기어를 누른 다음 구동기어에 접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로 하여금 체인의 연동 작용을 받도록 하며, 상기 체인은 의자 프레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안마부재의 상측에 안마롤러가 설치되고 중간 하부에 베어링이 장착된 위치고정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안마부재의 일 측에 유니버설 베어링이 장착된 가동 구멍이 설치되고 안마부재는 상기 위치고정 구멍에 의하여 상기 피동부재의 오프셋 레버에 결합되며, 상기 유니버설 베어링이 장착된 가동 구멍은 위치한정 지지대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의 양측에는 가동 레버가 연장 설치되고 중간부분에는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는 양단의 가동 레버에 의하여 상기 2개의 안마부재의 가동 구멍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은 궤도를 관통 설치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궤도는, 그 양단이 연장되어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안마부재로 하여금 일정한 각도로 상승되면서 위치가 확정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안마부재는 위치고정 구멍을 중앙 축 중심으로 하고, 가동 구멍을 가로방향 축 중심으로 하여 적당하게 편위되어 요동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구동모터는 체인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양방향 스크루와 함께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체인은 구동기어를 구동시켜 회전시킨 다음 베벨기어에 의하여 피동부재를 연동시킴으로써 피동부재 양측의 오프셋 레버로 하여금 편위하여 요동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안마부재 일 측은 위치한정 지지대에 의하여 상승되고 상기 상승되는 부분에 의하여 궤도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가동 구멍과 가동 레버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 범위에서 동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체의 저부에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 대신 자체이동 지지대 및 상기 의자 프레임에 설치된 궤도 홈을 이용하며, 그 중 상기 자체이동 지지대의 양측에는 상기 안마부재의 가동 구멍을 관통하는 가동 레버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가동 레버의 양단은 각각 버팀대가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팀대의 단부에는 휠이 설치되며, 상기 의자 프레임 상의 상기 휠의 이동 방향과 대응된 위치에 궤도 홈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체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부재를 움직일 때 안마부재는 자체이동 지지대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위치가 한정됨과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 대신 가로방향 지지레버를 사용하며,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의 양측은 연장되어 안마부재의 가동 구멍을 관통하며 그 양단에는 휠이 설치되고 상기 의자 프레임 상의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의 휠 이동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궤도 홈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베이스체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마부재를 움직일 때 상기 안마부재는 상기 가로방향 지지레버에 의하여 의자 프레임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면서 위치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위치한정 지지대 및 궤도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의 개량된 구조체.
KR20-2005-0003762U 2005-02-11 2005-02-11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KR200385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62U KR200385110Y1 (ko) 2005-02-11 2005-02-11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62U KR200385110Y1 (ko) 2005-02-11 2005-02-11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110Y1 true KR200385110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62U KR200385110Y1 (ko) 2005-02-11 2005-02-11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1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7724A (ja) * 2020-07-31 2022-02-14 マーサライフ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背もたれマッサージ装置及びそのマッサージ経路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7724A (ja) * 2020-07-31 2022-02-14 マーサライフ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背もたれマッサージ装置及びそのマッサージ経路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146B1 (ko) 의자형 안마기
CN202554399U (zh) 按摩机构及具有该按摩机构的按摩机
CN102429805A (zh) 一种按摩器
WO2009084574A1 (ja) 他動運動機器
CN105250129B (zh) 一种捶打按摩健身椅
US6039705A (en) Structure of a pad type roller massager
CN202366144U (zh) 一种按摩器
KR200385110Y1 (ko) 개량된 구조의 안마장치
CN107343846B (zh) 一种适用于颈椎病、腰椎病的床及其工作方法
CN201012165Y (zh) 具有腿部按摩功能的家用温热理疗床
CN106038223A (zh) 一种摇摆揉捶按摩机芯
JP7032825B1 (ja) 単一の平台にダブル振幅を生成させる作動が実現できるリズム運動器機
CN202191458U (zh) 一种具有刮擦按摩功能的按摩器
CN202044471U (zh) 带往复运动的按摩装置
JP3813828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4261356A (ja) 椅子式マッサージ装置
KR20210002171U (ko) 회전식 안마 전동 기구
JP3110094U (ja) マッサージ器
KR200496069Y1 (ko) 지방 제거 마사지 장치
KR100791546B1 (ko) 체지방 분해용 운동기구
KR200459242Y1 (ko) 변위 작동이 가능한 마사지 기구
CN200984314Y (zh) 足部按摩机
JP2008200433A (ja) ダイエットマシーン
KR20090005129U (ko) 안마기의 안마부재 조립체
KR100506857B1 (ko) 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