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91Y1 -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91Y1
KR200384791Y1 KR20-2005-0001690U KR20050001690U KR200384791Y1 KR 200384791 Y1 KR200384791 Y1 KR 200384791Y1 KR 20050001690 U KR20050001690 U KR 20050001690U KR 200384791 Y1 KR200384791 Y1 KR 200384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upport
main body
separated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식회사 산유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식회사 산유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Priority to KR20-2005-0001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 요소를 결합시킨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물막이 장치는 상기 철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하부 지지대와 ;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지지대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된 원통형 통체 형상의 본체와 ;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파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작업대와 ;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작업대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지지대로 구성되데, 상기 구성요소들이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두개 이상으로 분리된 하부지지대 및 본체의 서로 결합되는 면의 일측에는 위치고정핀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면에는 위치고정홀을 형성하여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였으며, 상기 하부지지대 및 본체의 서로 대향되는 면의 일측에는 자력이 미치게 함으로서 반대측 결합 단부를 서로 결합되게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A Waterproof Equipment with Magnetic Holders used in Submerged and Dried Condition}
본 고안은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 철 구조물의 원통형 파일에 대한 보수, 보강 및 각종 검사 등의 작업을 구조몰이 완공된 상태 즉, 수중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누수 방지 효과가 우수한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다나 강 등의 해안 철 구조물을 보수 유지 또는 각종 검사 작업을 할 경우에는 철 구조물이 수중에 묻혀있는 상태에서 수중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중 작업은 잠수부가 수중에 들어가서 수중에서 작업 가능한 재료나 장치로 작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수중 작업은 작업시기에 대한 제한은 작지만, 작업시간 즉, 잠수부가 수중에서 장시간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작업시간에 대한 제약을 받으며, 품질 관리에 제약 조건이 많다.
또한, 수중 작업용으로 개발된 재료나 장치들은 고가 일뿐만 아니라 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현장에서 적용이 적은 편이다.
또한, 대형 케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설치하여 내부의 물을 배제시켜서 건조상태에서 작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에 앵커나 볼트를 설치하여 부력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준비작업에 잠수부나 수중에서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형구조물이나 앵커나 볼트 설치가 쉬운 구조물에는 적합하지만 철 구조물에 사용할 때에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따르며, 설치 및 해체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은 방수형 철판수문 밀봉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4-0011742호로 개시되어 있으나, 외력을 수압만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장치가 중량이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 부착력이 달라지므로 장치의 안정성이 부족하며, 수압에 의한 부착력의 변화가 심하므로 수직 평형을 위해 장치 자체의 중량을 사용하므로 장치가 무거우며, 그에 따르는 대형 크레인 등의 대형 부대장비가 필요하고, 작업안전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저심도에서는 수압이 작으므로 수밀성이 결여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수간만이나 수면의 상하에 관계없이 언제라도 수상 및 수중 철 구조물에 대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안의 원통형 철 구조물의 주변을 물막이하여 건조시킨 후 대기압 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물막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누수 방지 구조를 형성하여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마그네틱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철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하부 지지대와 ;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지지대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된 원통형 통체 형상의 본체와 ;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파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작업대와 ; 상기 상부 작업대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작업대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지지대로 구성되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두개 이상으로 분리된 하부지지대 및 본체의 서로 결합되는 면의 일측에는 위치고정핀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면에는 위치고정홀을 형성하여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였으며, 상기 하부지지대 및 본체의 서로 대향되는 면의 일측에는 자력을 발생함으로서 반대측 결합 단부를 당겨 서로 결합되게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막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막이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물막이 장치는 철 구조물(100)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10)와 상기 하부지지대(1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을 확보해주는 상부 작업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 구조물(100)의 외면에 밀착되는 내면을 갖도록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철구조물(100)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원통형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이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지지대(10)는 원통형 통체를 종(縱)으로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된 두 개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판 중 일측의 고정판에는 위치고정핀(15)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다른 하부지지대 조각의 고정판에는 위치고정홀(15a)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치고정핀(15)이 위치고정홀(15a)에 끼워짐에 의해 서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하부지지대(10)에 형성된 고정판에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홀더(13)가 설치되어 있어 위치고정핀(15)을 위치고정홀(15a)에 충분히 삽입한 후 마그네틱 홀더(13)를 작동시키면 서로 분리된 두 조작의 하부지지대(1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0)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볼트를 조저 상기 마그네틱 홀더(13)에 의해 결합된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단에는 상기한 본체(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1)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0)와 동일하게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종(縱)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본체(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는 상기 하부지지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작은 지름을 갖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대경의 본체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개로 분리된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도 역시 고절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하부지지대(10)의 고정판에 형성된 것과 동일 유사한 위치고정핀(15)과 위치고정홀(15a)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마그네틱 홀더(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는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홀더(13)가 설치되어 있어 하부지지대(10)에 자력을 미치게 하여 하부지지대(10)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하부 걸림깃(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걸림깃(111)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조임으로서 상기 마그네틱 홀더(13)에 의해 고정된 결합 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1)와 하부지지대(1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고정볼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10)의 외주면에 고정볼트를 힌지 고정시키고, 본체(11)하부의 결합부 외주면에 형성된 하부걸림깃(111)을 절단하여 걸림홈(111a)을 형성하여 고정볼트을 회동시킨 후 고정너트를 조임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서 고정볼트의 분실이나 고정볼트가 고정되는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본체(11)의 상단에는 상부 작업대(1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상부 작업대(12)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도 1에는 사각 통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일예로 들었으나 상기한 본체(11)와 동일하게 원통형 통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작업대(12)는 그 중앙에 상기 본체(11)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결합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마그네틱 홀더(13)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판이 고정된다.
상기 상부 작업대(12)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구멍(12a)의 가장자리에는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볼트를 채우므로서 상기 마그네틱 홀더(13)에 의해 결합된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작업대(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연장시켜 파도 방지턱(17)을 형성함으로서 파도에 의해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상부 작업대(12)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지지대(14)를 설치하여 상부 작업대(12)가 파도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고정 지지대(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작업대(12)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에 대하여 상부 작업대(12)가 지지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두 개의 파이프(14a, 14c)를 연결하고 그 중간에 조절나사를 설치하여 전체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10, 11, 12)가 결합되는 면과 하나 이상으로 분리된 하부지지대(10) 및 본체(11)의 결합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16, 16a)을 설치하였다.
상기 마그네틱 홀더(13)는 자력을 온/오프(on/off)시킴에 의해 상대물을 당기거나 놓아주는 장치로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보급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익히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상부 작업대(12)를 도 1에서는 하나의 통체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상기한 하부지지대(10)나 본체(11)와 같이 하나이상으로 종으로 분리하여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막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설치된다.
잠수부가 잠수하여 양쪽으로 분리된 하부 지지대(10)를 다수의 원통형 파일에 고정시키는 작업 전 예비 공정과, 마그네틱 홀더(13)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분리된 본체(11)를 철 구조물의 원통형 파일에 고정시켜서 서서히 내리면서 하부 지지대(10)와 결합하여 수밀성 및 차수성을 높이는 본체 결합공정과, 상부 작업대(12)의 양쪽을 결합하여 본체(11)에 결합하는 상부 결합공정, 그리고 전체 결합 후 내부의 물을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밖으로 제거하는 배수공정, 마지막으로 보수 보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공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막이 장치의 이동을 다른 파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로 제작된 하부 지지대(10)를 잠수부가 물속에 잠수하여 다수의 원통형 철 구조물(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은 먼저 위치고정핀(15)을 위치고정홀(15a)에 정렬시킨 후 힘을 가하면 위치고정핀(15)이 위치고정홀(15a)에 삽입되고, 위치고정핀(15)이 위치고정홀(15a)에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 마그네트 홀더(13)을 구동하여 양쪽을 결합시키면 내부의 특수 고무 패킹(16)에 의해 완벽한 수밀이 유지된다.
이어서 양쪽으로 분리된 본체(11)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위치에 내린 후에 위치고정핀(15)으로 위치를 잡아 주고 마그네틱 홀더(13)를 구동하여 결합시키면 내부의 특수 고무 패킹제(16)에 의해 밀폐가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본체(11)를 서서히 아래로 내려 하부 지지대(10)와 결합시키면, 물막이 장치의 내부는 물이 찬 상태의 완벽한 밀폐공간이 된다.
이어서 또한 양쪽으로 분리된 상부 작업대(12)를 본체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키면 물막이 장치의 전체 결합이 완료된다.
결합이 완료된 후 상부 작업대의 상부에 있는 고정 지지대(14)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부 구보물과 상부작업대(12)사이에 고정시키면 물막이 장치는 부력에 저항할 수 있는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어서 내부의 수중펌프를 가동하여 내부의 물을 밖으로 배출시킨 후 열풍기를 넣어 원통형 파일의 물에 잠겨 있던 부분을 건조시켜 주면, 보수 보강의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상부 작업대(12)위 작업공간에 작업자가 앉아서 원통형 내부의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킴으로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각각의 연결부에 패킹을 설치하여 누수 차단 효과가 상승된 물막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막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막이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 지지대 11 : 본체
11a : 걸림턱 111 : 하부 걸림깃
111a : 걸림홈 12 : 상부 작업대
13 : 마그네틱 홀더 14 : 고정 지지대
14a : 대경파이프 14b : 조절나사
14c : 소경파이프 15 : 위치고정핀
15a : 위치고정홀 16, 16a : 고무 패킹재
17 : 파도 방지턱 20 : 고정볼트
100 : 철 구조물

Claims (3)

  1.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철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 구조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하부 지지대(10)와 ;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지지대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두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된 원통형 통체 형상의 본체(11)와 ;
    두 개 이상으로 종으로 분리되고,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파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작업대(12)와 ;
    상기 상부 작업대(12)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작업대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지지대(14)로 구성되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6)을 설치하고,
    상기 두개 이상으로 분리된 하부지지대(10) 및 본체(11)의 서로 결합되는 면의 일측에는 위치고정핀(15)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면에는 위치고정홀(15a)을 형성하여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였으며,
    상기 하부지지대(10) 및 본체(11)의 서로 대향되는 면의 일측에는 자력을 발생함으로서 반대측 결합 단부를 당겨 서로 결합되게 하는 마그네틱 홀더(13)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는 결합 보조 수단으로 고정볼트가 조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는 결합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볼트는 일측 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고, 타측 단부는 대향되는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린 후 조여지는 고정너트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KR20-2005-0001690U 2004-07-22 2005-01-19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KR200384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90U KR200384791Y1 (ko) 2004-07-22 2005-01-19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24 2004-07-22
KR20-2005-0001690U KR200384791Y1 (ko) 2004-07-22 2005-01-19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91Y1 true KR200384791Y1 (ko) 2005-05-19

Family

ID=4368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90U KR200384791Y1 (ko) 2004-07-22 2005-01-19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48B1 (ko) * 2006-12-27 2008-04-01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KR100915218B1 (ko) * 2007-11-20 2009-09-0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해상구조물 작업용 가물막이 장치
KR100936735B1 (ko) * 2008-01-08 2010-01-14 김지완 해상구조물의 기둥 도장작업대
US7684064B2 (en) 2003-11-12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job authentication
KR102436783B1 (ko) * 2021-11-05 2022-08-26 김지완 콘크리트 수중교각 보수보강 마그네틱 케이슨 공법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4064B2 (en) 2003-11-12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job authentication
KR100818248B1 (ko) * 2006-12-27 2008-04-01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KR100915218B1 (ko) * 2007-11-20 2009-09-0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해상구조물 작업용 가물막이 장치
KR100936735B1 (ko) * 2008-01-08 2010-01-14 김지완 해상구조물의 기둥 도장작업대
KR102436783B1 (ko) * 2021-11-05 2022-08-26 김지완 콘크리트 수중교각 보수보강 마그네틱 케이슨 공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791Y1 (ko)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물막이 장치
JP6853889B2 (ja) 浮体式風力タービンの係留ブイ
JP2006249685A (ja) 水中構造物の仮締切工法及び仮締切用構造体
US8066449B2 (en) Method for dry isolation of a water passage of a dam
JP4043380B2 (ja) 浮き基礎の浮体を沈下させ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02443891B1 (ko) 해저면의 모노파일 관입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모노파일 관입 방법
KR100818248B1 (ko)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JP2000257023A (ja) 橋脚耐震補強の水中施工方法
JP2001071991A (ja) セミサブ浮体式構造物並びに大型海洋構造物及び大型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
CA1086514A (en) Scissor well template
JP2926475B2 (ja) ドライ作業函
KR102097958B1 (ko) 계류용 파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0915218B1 (ko) 해상구조물 작업용 가물막이 장치
JP2011196053A (ja) グラウト注入施工方法、この施工方法を用いた桟橋施工方法及びこの施工方法に適用可能な基礎杭固定構造
US4991996A (en) Work enclosure for servicing marine structures
US7214003B1 (en) Segmental floating bulkhead assembly
KR100743639B1 (ko) 취수탑 보수공법
JPH09268562A (ja) 乾式作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作業函
KR20030068347A (ko) 말뚝 기초를 이용한 방파제
CN2450085Y (zh) 海底管线水下维修用筒型基础干式工作仓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NO781095L (no) Fremgangsmaate til oppfoerelse av en sjakt dannet av ringformede elementer, samt element til bruk ved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JP2009180018A (ja) 水中構造物の仮締切工法及び仮締切用構造体
USRE30823E (en) Offshore platform
USRE30825E (en) Offshore platform jo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