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693Y1 -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693Y1
KR200384693Y1 KR20-2004-0034429U KR20040034429U KR200384693Y1 KR 200384693 Y1 KR200384693 Y1 KR 200384693Y1 KR 20040034429 U KR20040034429 U KR 20040034429U KR 200384693 Y1 KR200384693 Y1 KR 200384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paraffin
super
core
c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부 박
이옥길
Original Assignee
정 부 박
이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부 박, 이옥길 filed Critical 정 부 박
Priority to KR20-2004-0034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고체 상태의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양초의 초몸체 중앙부분만이 용융 연소되므로 인하여 초가 연소될 수 록 불꽃이 작아지고 중앙부분의 파라핀만이 연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초용기(100)에 고체상태로 수용되는 고체상태의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 상기 초몸체(200)의 상측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심지구(300)와, 상기 심지구(300)를 중앙부위에 수용하며 초몸체(200)인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하강되는 하강구(40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심지구를 구비하므로서 파라핀으로 구성되는 초몸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소모되고 심지구로의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불꽃의 크기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초{A candle}
본 고안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심지구를 구비하여서 파라핀 잔량에 관계없이 균일한 불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상기 심지구의 심지체를 카아본섬유의 일종인 카아본얀과 이를 감싸 심지체를 형성하며 망체로 이루어진 심튜브와 심체튜브로 구성하여서 심지체가 연소 소모되지 않고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고체 상태인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초몸체와, 상기 초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실로 이루어진 심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심지의 연소과정에 발생한 열에 의하여 주변의 파라핀이 액상으로 변하여서 심지에 스며들어 연소되는 심지와 함께 연소가 이루어져서 불꽃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초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초몸체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파라핀만이 용융 연소되므로 인하여 깊은 홈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상과 같이 깊은 홈이 형성되게 되면 중앙부위의 심지에 연소를 위한 산소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불꽃이 작아지거나 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찰등과 같이 100 일 기도등으로 인하여 장기간 촛불을 켜두는 경우에는 초몸체를 길고 굵게 형성하므로서 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분만이 녹아서 깊은 홈이 발생하여 장기간 점등되지 못하고 소등되어 기도를 하는 수련자에게 심리적 불안감감과 실망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초몸체의 중앙부분만이 용융 연소되므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심지구를 구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심지구의 심지체를 카아본섬유의 일종인 카아본얀과 이를 감싸 심지체를 형성하며 망체로 이루어진 심튜브와 심체튜브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심지구를 구비하므로서 파라핀으로 구성되는 초몸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소모되고 심지구로의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불꽃의 크기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심지구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초용기(100)에 고체상태로 수용되는 고체상태의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 상기 초몸체(200)의 상측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심지구(300)와, 상기 심지구(300)를 중앙부위에 수용하며 초몸체(200)인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하강되는 하강구(4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지구(300)는 하강구(400)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끼워 결합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동으로 이루어진 심지몸체(310)와, 상기 심지몸체(310)의 중앙부위에 끼워 결합되어 기화된 파라핀을 연소시켜 불꽃을 유지하는 심지체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심지체는 용융 기화된 파라핀 기체가 상승 공급될 수 있게 기체 상승관로를 형성하는 망상의 심튜브(321)와, 상기 심튜브(321)의 외주연에 감싸여져 연소를 위하 심지를 형성할 수 있게 카아본얀으로 이루어진 심지(322)와, 상기 심지(322)가 원형을 유지하게 감싸여지며 불꽃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심지(32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측에 위치되어 감싸여지는 심지튜브(323)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강구(400)는 용융된 액상 파라핀의 상측에서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몸체에 부력중공부(410)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초몸체(200)는 장식성을 높일 수 있게 투명한 유리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하강구(400)도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유리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초몸체(200)와의 사이에 승강을 위한 공기유동공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초용기(100)에 고체상태로 수용되는 고체상태의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 상기 초몸체(200)의 상측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심지구(300)와, 상기 심지구(300)를 중앙부위에 수용하며 초몸체(200)인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하강되는 하강구(400)로 구성하되, 상기 심지구(300)는 하강구(400)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끼워 결합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동으로 이루어진 심지몸체(310)와, 상기 심지몸체(310)의 중앙부위에 끼워 결합되어 기화된 파라핀을 연소시켜 불꽃을 유지하는 심지체로 구성하며, 상기 심지체는 용융 기화된 파라핀 기체가 상승 공급될 수 있게 기체 상승관로를 형성하는 망상의 심튜브(321)와, 상기 심튜브(321)의 외주연에 감싸여져 연소를 위하 심지를 형성할 수 있게 카아본얀으로 이루어진 심지(322)와, 상기 심지(322)가 원형을 유지하게 감싸여지며 불꽃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심지(32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측에 위치되어 감싸여지는 심지튜브(323)로 구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심지구(300)의 심지체는 그 제작과정에 있어 초기 점화가 용이하게 그 외주연에 액상 파라핀을 뭍여 제작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촛불을 점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심지구(300)의 심지체에 불꽃을 접근시키게 되면, 상기 심지체에 코팅된 파라핀이 용융 기화되면서 불꽃이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심지체에서 연소되는 파라핀으로 인하여 발생한 열기가 열전도율이 높은 동으로 이루어진 심지몸체(310)를 통하여 초몸체(200)의 상측에 위치된 파라핀을 용융시켜 액상을 이루게 하며, 액상이된 파라핀은 카아본얀으로 이루어진 심지(322)에 흡수 유동되어서 불꽃유지를 위한 파라핀의 공급이 계속하여 이루어져 불꽃의 크기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연소과정에 있어 동재질로 이루어진 망상의 심지튜브(323)를 통하여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불안전 연소로 인한 그을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동재질로 이루어진 망상의 심튜브(321)를 통하여는 연소열에 의하여 기화된 파라핀 증기가 심지(322)로 직접 공급되어서 그 불꽃이 높은 조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초용기(100) 그 자체로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외부에 각종 장식 또는 문양이 형성된 별도의 장식용기에 이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초몸체를 이루는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자동 하강되는 심지구를 구비하므로서 파라핀 잔량에 관계없이 불꽃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심지구의 심지체를 카아본섬유의 일종인 카아본얀으로 이루어진 심지와 이를 감싸 심지체를 형성하며 망체로 이루어진 심튜브와 심체튜브로 구성하므로서 파라핀의 연소과정에 있어 심지체가 연소 소모되지 않아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심지구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용기
200 : 초몸체
300 : 심지구
310 : 심지몸체
321 : 심튜브 322 : 심지 323 : 심지튜브
400 : 하강구 410 : 부력중공부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초용기(100)에 고체상태로 수용되는 고체상태의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 상기 초몸체(200)의 상측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심지구(300)와, 상기 심지구(300)를 중앙부위에 수용하며 초몸체(200)인 파라핀의 소모에 따라 하강되는 하강구(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구(300)는 하강구(400)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끼워 결합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동으로 이루어진 심지몸체(310)와, 상기 심지몸체(310)의 중앙부위에 끼워 결합되어 기화된 파라핀을 연소시켜 불꽃을 유지하는 심지체로 구성하되,
    상기 심지체는 용융 기화된 파라핀 기체가 상승 공급될 수 있게 기체 상승관로를 형성하는 망상의 심튜브(321)와, 상기 심튜브(321)의 외주연에 감싸여져 연소를 위하 심지를 형성할 수 있게 카아본얀으로 이루어진 심지(322)와, 상기 심지(322)가 원형을 유지하게 감싸여지며 불꽃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심지(32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측에 위치되어 감싸여지는 심지튜브(3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구(400)는 용융된 액상 파라핀의 상측에서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몸체에 부력중공부(4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초몸체(200)는 장식성을 높일 수 있게 투명한 유리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하강구(400)도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초몸체(200)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유리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초몸체(200)와의 사이에 승강을 위한 공기유동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KR20-2004-0034429U 2004-12-03 2004-12-03 양초 KR200384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29U KR200384693Y1 (ko) 2004-12-03 2004-12-03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29U KR200384693Y1 (ko) 2004-12-03 2004-12-03 양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724A Division KR20060061723A (ko) 2004-12-02 2004-12-02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693Y1 true KR200384693Y1 (ko) 2005-05-17

Family

ID=4368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429U KR200384693Y1 (ko) 2004-12-03 2004-12-03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6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611B2 (en) Safety candle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3741711A (en) Composite indefinitely reusable decorative candle
US6296477B1 (en) Container solid light candle with heat-isolating effect
KR200384693Y1 (ko) 양초
KR20060061723A (ko) 양초
KR101514993B1 (ko) 양초등
CN2806475Y (zh) 一种组合蜡烛
WO2001014506A1 (fr) Bougie a flamme de couleur
CN209431397U (zh) 一种全新改进的安全酒精灯
KR200199375Y1 (ko) 곧고 바르게 연소되는 초심을 갖는 양초
KR200406736Y1 (ko) 장식용 호롱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JP2004327140A (ja) 灯火照明用の芯体保持具
KR200404568Y1 (ko) 장식용 수중촛대
JP7284898B2 (ja) ランプに使用される芯体ユニット及びこれを使用するランプ
KR200399382Y1 (ko) 개량 양초
JPH0524089Y2 (ko)
JPH0339473Y2 (ko)
JP6608736B2 (ja) ろうそく
JP3093463U (ja) オイルランプ
JP2012180478A (ja) ろうそく及びその芯並びにろうそくを用いたランプ
KR20090052403A (ko) 얼음 양초
KR200407026Y1 (ko) 장식용 촛대
JP2606225Y2 (ja) 水上浮揚式ローソク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